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관광자원봉사자의 SNS 홍보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대학생 SNS 관광홍보 서포터즈를 대상으로 -

        진보라,이상호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5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ocess of tourism public relations by applying grounded theory to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NS tourism public relations,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form of tourism volunteer activity. The literature reviewed major concepts and prior research. For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 supporters in Changwon City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26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86 concepts. The students did not realize that SNS tourism public relation activities were volunteer activities. However, b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they felt responsibility and pride through writing publicity posts. The final core category was “the understanding of localization and the value of tourism volunteer activities along with original personal goals.”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new phenomena and provides basic data for empirical research related to online tourism volunteer activities. Management directions for online tourism public relations volunteer activitie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 중 새로운 형태인 SNS 관광홍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관광홍보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지역관광 홍보정책과 서포터즈 개념을 검토하였고, 연구 대상으로는 창원시 SNS 관광홍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대학생들을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86개의 개념에서 26개의 하위범주와 1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 대학생들은 초기에는 SNS 관광홍보활동이 자원봉사활동이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였으나 홍보활동이 지속되면서 타인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홍보게시물 작성과 관광정보 제공을 통해 책임감과 뿌듯함을 느끼는 등 대의적 동기에 만족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핵심범주는 ‘당초의 개인목표 실현과 함께 관광자원봉사활동의 가치와 지역에 대한 이해 제고’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온라인 관광자원봉사활동이라는 새로운 사회현상을 분석하였으며, 측정항목 도출로 실증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실무적으로는 대학교 등 자원봉사활동 관련 조직에 온라인 관광자원봉사활동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온라인 관광홍보정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 SNS 관광서포터즈를 중심으로

        진보라,석용현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18 관광레저연구 Vol.30 No.2

        Recently, many local governments are aware of the power and impact of SNS and operate SNS tourism supporters away from one-sided public rela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about SNS tourism supporters and suggest policy directions. The literature review covered the concepts about online local tourism public relations policy, SNS tourism supporters and previous researches. In the analysis, it analyzed SNS tourism supporters' operation status, operating organization and related ordinance, support cont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NS tourism supporters are a tourism volunteer. And this online public relations policy was pointed out that the lack of ordinance for operating SNS tourism supporters, unclear of status about SNS tourism supporters, absent of systematic manual, lack of expertise of the person in charge. In order to improve the situation, local governments should plan about tourist volunteer manpower plan, set up a location for SNS tourism supporters, set up regulations on the results of public relations activities, and put on public servant with expertise in SNS and online public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