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부·가족치료에서의 공통요인(common factors)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 미국의 가족치료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지수(Ji Soo Han),오서현(Seo Hyun Oh),최연실(Youn Shil Choi) 한국가족치료학회 2022 가족과 가족치료 Vol.30 No.1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1년까지 20여 년간 한국과 미국의 가족치료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부부․가족치료(MFT)의 공통요인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3개의 한국 학술지와 7개의 미국 학술지에서 총 52편의 공통요인 논문을 선정한 후 해당논문을 학술지별, 연도별로 분류하고, 공통요인 관점에 대한 연구자들의 입장과 학문별 공통요인 적용영역을 구분하였다. 또한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분류하고 각 논문들에서 확인된 공통요인을 정리한 후, 부부․가족치료에서 공통요인의 역할 및 기여를 학문영역별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은 2016년 이후 부부․가족치료의 공통요인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교육/훈련에 가장 많이 적용되었다. 미국의 공통요인 연구는 꾸준한 양적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임상실천 영역에 가장 많이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는 ‘공통요인 확인’, ‘이론/모델 개발’, ‘공통요인에 대한 관점’, ‘공통요인별 연구’, ‘공통요인과 MFT 교육의 통합’, ‘MFT 공통요인 연구 리뷰’로 나뉘었다. 연구방법은 한국은 경험적 연구와 개념적 연구가 동등하게 이루어진 반면, 미국은 경험적 연구보다 개념적 연구가 더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국내 부부․가족치료의 연구, 이론, 임상실천, 교육/훈련, 슈퍼비전에서 공통요인에 대한 유용성과 시사점을 제공하고, 나아가 이 분야의 학문적, 실천적 성장과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Objectives: This study’s aim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the common factors of couple and family therapy (MFT)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family therapy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ver a period of 20 years from 2000 to 2021. Methods: A total of 52 common factor papers from 3 Korean and 7 American journals were analyzed. Results: In Korea, studies on common factors of couple and family therapy started appearing after 2016, and were most often applied to education/training. Studies derived from U.S. journals showed steady quantitative growth and were most often applied to clinical practice. Research topics were divided into identification of common factors, theory/model development, perspectives on common factors, research for each common factor, integration of common factors and MFT education, and review of MFT common factor research. Conclusions: Suggested implications for common factor research, theory, clinical practice, education/training and supervision,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promotion of academic and practical growth and development of couple and family counseling in Korea are presented.

      • 신흥시장 채권스프레드에서 글로벌 공통요인의 중요성 분석

        김권식 한국재무학회 2010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08

        본 연구에서는 지역(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별 신흥시장 채권 스프레드의 공 통요인이 존재하는지와 공통요인의 특징, 그리고 스프레드가 공통요인과 고유요인 중 어느 요 인에 의해서 더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2-요인 다변량 공통팩터 모형을 적용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첫째 지역별 신흥시장 채권 스프레드에는 2-개의 공통요 인이 있고 그 중 글로벌 공통요인은 VIX와 같은 위험선호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신흥시장 채권 스프레드의 동반 상승 및 하락 현상에는 글로벌 공통요인이라는 채널이 있다는 방증이다. 둘째, 지역별 신흥시장 채권 스프레드는 고유요인보다 공통요인에 의 해서 훨씬 더 영향을 받는다. 셋째, VIX로 대표되는 위험선호도 충격은 스프레드의 글로벌 공통 요인뿐만 아니라 고유요인까지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VIX지수가 글로벌 공통요인을 설명하 는 정도는 최대 50%이다. 따라서 글로벌 공통요인의 대용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할 때는 반듯이 VIX지수 이외의 다른 글로벌 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공통요인이 주식수익률간 상관행렬과 분산투자에 미치는 영향

        엄철준(Cheoljun Eom),박종원(Jong Won Park) 한국증권학회 2016 한국증권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는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잘 알려진 공통요인이 주식수익률간 상관관계행렬과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공통요인의 속성을 반영하는 상관관계행렬을 추정한 후, 이를 포트폴리오 구성을 위한 최적화함수에 적용하는 기존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상관관계행렬로부터 공통요인의 속성을 제거함으로서 해당 요인이 상관관계행렬에서 갖는 영향력을 직접 분석한다. 또 포트폴리오 구성에 원래 상관관계행렬을 적용한 결과와 공통요인이 제거된 상관관계행렬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하여 분산투자와 위험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2004년~2014년의 한국 주식시장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정된 7가지 공통요인(시장요인, 규모요인, 가치요인, 모멘텀, 단기반전요인, 장기반전요인, 유동성요인)이 상관관계행렬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시장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기업규모에 따라 표본을 구분한 결과는 대규모 주식에서는 시장요인, 가치요인, 장기반전요인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였으며, 소규모 주식에서는 규모요인이 분명한 차이를 만들었다. 둘째, 포트폴리오 구성을 위한 최적화함수에 적용한 결과는, 상관관계행렬에 대한 공통요인의 영향력 차이가 분산투자 및 위험축소의 정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침을 보여 준다. 특히 시장요인이 조정된 상관관계행렬을 이용한 포트폴리오에서 분산투자 및 위험축소 정도의 차이가 다른 공통요인에 비하여 분명하게 높게 나타난다. 기업규모에 따라 구분한 경우 소규모주식집단에서 규모요인이 조정된 상관관계행렬로부터 도출된 분산투자와 위험축소 수준이 대규모주식의 경우와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시장요인을 제거한 상관관계행렬을 이용한 최적화 함수로부터 도출된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 및 위험축소 수준이 원래 상관관계행렬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우월하였다. 이는 시장요인이 기존연구에서 보고된 자산배분 최적화함수의 실무적용에서 나타나는 문제(이론적 기대와 달리 실제적으로는 투자비중이 제한된 종목들에 집중되는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결과이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공통요인의 속성을 직접적으로 통제한 상관관계행렬을 이용하는 방법이 공통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평가와 자산배분 최적화함수의 실무적용상의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effect of common factors on correlation matrix of stock returns and portfolio diversification and risk reduction. Contrary to the traditional method which uses the property of common factors to estimate the correlation matrix, we use the adjusted correlation matrices which are excluded the properties of common factors from the original correlation matrix. Selected common factors are the market risk premium, SMB, HML, Momentum, Long-run reversal, Short-run reversal, and Liquidity factors. Major empirical results for the Korean Stock Market are as follows: First, the market factor has the most powerful effect on the correlation matrix of stock returns. And in the large stock group the market factor, SMB, and HML have a relatively high influence, but in the small stock group the size factor (SMB) make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rrelation matrices. Second, the results of portfolio optimization show that the effect of common factors on correlation matrix make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ortfolio diversification and risk reduction. Especially, the difference of diversification and risk reduction between the original portfolio optimization results and the adjusted portfolio optimization results is very large in case of using the adjusted correlation matrix with the market factor compared to those of other common factors. And in the small stock group the difference of diversification and risk reduction is large in case of using the adjusted correlation matrix with the size factor compared to the large stock group. Third, the performance of diversification and risk reduction is very high in case of using the adjusted correlation matrix with the market factor compared to those of original correlation matrix. These results mean that the practical problem of portfolio optimization function in real field (the results with concentrated diversification portfolios instead of the well-diversified portfolio which is expected in the portfolio theory) is caused by the effect of market factor on the correlation matrix and the adjusted correlation matrix which is excluded the property of common factor can be useful for constructing the optimal portfolio in real field.

      • KCI등재

        다중공통요인 모형을 이용한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이영훈(Young Hoon Lee),장혜리(Hayley Ja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18 한국경제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기간 동안 전자부품 산업을 대상으로 생산성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실증분석을 하였다. 선행 실증 연구에서 다양한 통제변수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면 관심 변수의 계수추정치는 편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수의 생산성 결정요인을 회귀 모형에서 고려하였다. 연구개발 투자와 같은 기업의 생산성 결정요인이 산업 전체의 연구개발 수준과 같은 공통요인(common factor)과 기업의 고유 특성을 나타내는 요인부하(factor loading)에 의해 결정된다는 가정을 하고, 다중공통요인 모형(multiple common factor model)을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다양한 변수를 잠재적인 공통요인으로 회귀 모형에 포함하고 공통요인 수의 추정 및 공통요인 식별 과정을 거친 결과, 외국인 직접투자 비중, 해외직접투자 비중, 연구개발 비중, 수입침투율,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 원유가격이 전자부품 기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으로 나타났다. 각 공통요인에 대한 요인부하는 기업 간에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국가 전체 연구개발 투자 흐름에 대한 기업 반응은 차이가 있었으며 그에 따라 생산성의 차이가 있었다. 산업 전체를 고려하면 해외직접투자, 연구개발,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생산성에 양의 영향을, 수입침투율과 원유가격은 음의 영향을 주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on Electronic Components industry for the period of 1983~2010. Since the restriction on available data, most empirical studies on the TFP determinants did not fully consider all the factors of TFP in their regression models and this might cause the omitted variable problem. This study tries to consider all possible determinants by applying multiple factor model with observed common factors. We assume that total factor productivity has factor structure with common factors and individual-specific factor loading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FDI inflow, FDO outflow, R&D expenditures, import penetration ratio, female participant ratio in labor market, oil price affect the productivity of a firm in Manufa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industry and the effects of common factors are heterogeneous to individual firm. R&D expenditures of Korea have positive effects on TFP of young firms while those have deteriorated effects on TFP of old firms. On average, FDI inflow, FDI outflow, R&D expenditure, women’s labor participation rate raised TFP but import penetration ratio, oil price affected negative effects on TFP.

      • KCI등재

        아시아 국채 시장에서 공통요인 및 위험가격에 관한 연구

        윤병조 글로벌경영학회 2018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5 No.1

        In this stud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ommon factors of the government bond yields in four Asian countries (Korea, Japan, India and Thailand), and the common factors were identified in mimicking portfolios made using estimated factors. The sample period is from April 2012 to December 2016, and maturities of government bonds are 2 years, 3 years, 5 years and 10 year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during the sample period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common factors were estimated from the four-country government bonds with different maturities and the degree of sensitivity of each government bond to the four common factors was measured. Second, factor mimicking portfolios are mostly described as the first common factor of individual government bonds, and are likely to be level. Third, the risk price of the factor was estimated as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and the largest common factor was estimated in the first and fourth common factors, so two common factors could be used to derive an efficient frontier. Portfolio composition is essential for risk management in order to operate government bonds that are highly correlated with interest rates in the face of uncertain US and European monetary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estimates common factors for Asian bond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in the international bond market, are expected to be useful information for investors considering the inclusion of Asian government bonds in their portfolio.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 4개국(한국, 일본, 인도, 태국) 국채 수익률의 공통요인을 추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시행하고, 추정된 요인들로 구성한 모방 포트폴리오에서 공통요인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2012년 4월부터 2016년 12월까지이며, 국채의 만기는 2년, 3년, 5년, 10년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표본기간동안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만기를 갖는 4개국 국채에서 총 4개의 공통요인을 추정하고, 개별 국채가 4개의 공통요인에 대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측정하였다. 둘째 회귀분석을 통해 아시아 4개국 국채의 공통요인으로 구성한 요인 모방 포트폴리오가 개별 국채들의 첫 번째 공통요인으로 대부분 설명되었으며, 공통요인에 대응되는 수준요인에 대해서도 일관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시아 4개국 국채를 활용한 포트폴리오 투자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대상이 수준요인임을 의미한다. 셋째 요인의 위험가격을 GMM(Generalized Method of Moments)으로 추정한 결과 두 번째 공통요인을 제외하고 대체로 유의하게 추정되었으며, 첫 번째와 네 번째 공통요인이 가장 크게 추정된 점을 고려할 때 효율적 경계선(efficient frontier)의 도출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었다. 미국과 유럽의 통화정책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금리와 연관성이 높은 국채를 운용하기 위해서는 위험관리차원에서 포트폴리오 구성이 필수적이다. 국제 채권시장에서 새롭게 조명받고 있는 아시아 국채를 대상으로 공통요인을 추정하고, 그 실체를 규명하려는 본 연구결과는 포트폴리오 편입대상으로 아시아 국채를 고려하고 있는 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주성분분석과 공통요인분석에 대한 비교연구: 요인구조 복원 관점에서

        정선호,서상윤,Jung, Sunho,Seo, Sangyun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6

        Common facto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present two technically distinctive approaches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ch of the psychometric literature recommends the use of common factor analysis instead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Nonetheless, factor analysts us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ore frequently because they believe tha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uld yield (relatively) less accurate estimates of factor loadings compared to common factor analysis but most often produce similar pattern of factor loadings, leading to essentially the same factor interpretations. A simulation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ve performance of these two approaches in terms of factor pattern recovery under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of sample size, overdetermination, and communality.The results show tha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erforms better in factor recovery with small sample sizes (below 200). It was further shown that this tendency is more prominent when there are a small number of variables per factor. The present results are of practical use for factor analysts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the social sciences.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방법을 사용해서 다양한 조건에서 주성분분석이 얼마나 잘 요인 구조를 복원할 수 있는지를 공통요인분석과 비교하여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요인 대 변수 비율, 공통성, 그리고 표본크기를 실험변수로 설정하였다. 주성분분석은 표본의 크기가 200개 이하인 경우 공통적으로 공통요인분석에 비해 더 우수한 요인구조의 복원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요인 당 변수 수가 적은 경우, 주성분분석은 50개의 표본에서도 만족할 만한 수준의 요인복원능력을 보여주었다. 이와 더불어 공통성 수준 또한 낮은 경우 필요한 표본수는 100개로 늘어난다. 본 연구결과는 요인추출방법으로서 주성분분석의 선택의 근거를 제시하고 타당한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준다.

      • KCI등재

        분산 위험의 공통요인과 지역요인에 대한 연구: S&P500과 KOSPI200 지수옵션에 대한 증거

        윤선중 ( Sun Joong Yoon ),강소현 ( So Hyun Kang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2 선물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S&P500 옵션과 KOSPI200 옵션의 내재분산(implied variance)을 요인분석(factor analysis)하여 분산위험 (변동성 위험과 점프위험)의 주요 요인을 추장하고 공통 요인(common factor)과 지역요인(local factor)으로 분해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분산 위험의 약 10, 1201令 만이 두 옵션시장의 공통요인에 의해 설명되었으며, S& P500 옵션 내재분산의 65%, KOSPI200 옵션 내재분산의 70% 가 각 국가의 지역요인에 의해 설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국 이자율 움직임의 대부분이 공통요인에 의해 설명 된다는 채권시장의 결과와 대비된다. 이어서 공통요인과 지역요인의 경제적 의미를 찾기 위해 위험중립 분산, 왜도, 첨도를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통/지역 요인은 만기 l개월 옵션에 대해서 KOSPI200 위험중립적률이 S&P500 위함 중립적률(rosk-neutral moments)보다 큰 영향을 주는 반면, 만기 2개월 옵션에 대해서는 KOSPI200 위험중립적률의 영향력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결과는 K0SP1200 옵션이 만기 l개월 미 만의 근월물에 거래가 집중되며, 차근월물로 갈수록 거래가 급감된다는 사실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This paper conducts a factor analysis using the implied variances of S&P 500 index options and KOSPI 200 Index options. After estimat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variance risks, we rotate the factors to decompose them into a common factor and local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10-12 percent of variance risks in both markets is explained by the common factor and 65 percent of SW 500 implied variances and 70 percent of KOSPI 200 implied variances are explained by each local factor, which is in contrast to the results for bond markets that the most variation of interest rates could be explained by a common factor. To figure out the source of common and local factors, additionally, we adopt the regression models that incorporate the risk-neutral (RN) variance, skewness, and kurtosis as explanatory variables. Approximately, the common factor is mainly determined by the RN variance of the SW 500 index and RN higher moments of the KOSPE 200 index, In contrast, the SW 500 local factor is influenced by the RN variance of the S&P 590 index and the KOSPI 200 local factor Is explained by the RN higher moment of the KOSPI 200 index.

      • KCI우수등재

        외로움-이차공통요인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박광배,이다니,엄진섭,장은진,정안숙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7 No.4

        본 논문은 외로움이 네 가지의 이론적 관점들을 일차요인으로 포괄하는 이차공통요인(second-order common factor) 개념이라는 가정에 기초하여 ‘외로움-이차공통요인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것이다. 외로움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관점의 개인 간 외로움(소원감), 실존주의 심리학적 관점의 실존적 외로움(고립감), 현상학적 관점의 개인 내 외로움(위축된 사교성), 그리고 긍정심리학적 관점의 외로움 예방 및 치유 요인(자기가치감)을 포괄하는 40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는 18세부터 75세까지의 성인 1,170명(문항개발 절차 550명, 척도타당화 절차 62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차공통요인 구조가 명확히 검증되었고, 높은 신뢰도와 준거타당도, 구성개념타당도, 공인(동시)타당도, 변별타당도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넓은 연령범위의 성인이 경험하는 다양한 유형의 외로움을 측정하므로,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감의 일반적인 실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sent paper is to report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oneliness scale that is based on a second-order common factor model assuming first-order factors incorporating four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toward loneliness. The scale consists of 40 items to measure the sense of estrangement (interpersonal loneliness), reduced sociability (intrapersonal loneliness), the sense of isolation (existential loneliness), and the sense of self-worth as a known preventive and alleviating facto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volving 1,170 respondents between the ages of 18 and 75 clearly showed a second-order common factor structure consisting of four primary factor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found acceptable wit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 ranged between .881 and .962. Criterion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were all confirmed as expected. Since the loneliness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measures various types of loneliness experienced by adults in a wide age rang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tool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general reality of loneliness and social isolation experienced by people in the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주요국의 주가 변동 요인 분석

        이종하 ( Jong Ha Lee ),이충열 ( Choong Lyol Lee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1 국제경제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2000년~2010년 기간 중 동아시아 8개국의 주가 변동요인을 세계시장의 공통요인, 동아시아 지역시장의 공통요인 및 개별국가의 고유한 요인으로 구분한 뒤, 주성분분석과 구조적 벡터자기회귀(SVAR)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들 국가들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장기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주가의 가장 큰 변동요인은 대체로 개별국의 고유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글로벌 요인과 동아시아 지역요인을 비교할 때, 지역요인이 글로벌 요인보다 각국의 주가 변동에 미치는 영향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글로벌 금융위기를 중심으로 기간을 구분하여 주가 변동요인을 살펴본 결과, 국내 고유한 요인의 비중이 감소한 반면 글로벌 요인의 영향력이 커졌고, 지역요인의 비중은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동아시아 주가 변동요인에서 대외요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대 후반인 유럽통화통합 이전의 유럽 수준에 접근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paper applies the SVAR model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to identify the underlying shocks of stock price indices of East Asian counties into "global", "regional" and "country-specific" shocks from 2000 to 2010. In addition, we divide the sample period into two subsample periods of ``befor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and check the difference of the importance of these shocks. From this analysis, we find several important facts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shock of the stock price indices in East Asia is the domestic one and second, the regional common factor is more important than the global common factor to explain the movement of stock price indices of East Asia. Third, during global financial crisis period, the domestic factor becomes less important while the global one become more important. Finally, the importance of external factor in East Asia is as large as that of Europe countries before the monetary u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