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서 고정관념 문제 교육

        전희옥 ( Jun Hee Ok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4

        이 논문은 인간의 행복한 삶을 저해하는 고정관념 문제의 심각성을 제고하고, 이론적 검토를 통한 분석기준을 마련하여 현행 초등 사회과교과서의 단원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기초로 고정관념 문제 교육을 극복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으로, 먼저, 사회과 고정관념 문제 교육 내용 분석을 위한 논의를 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고정관념 문제 교육의 필요성, 사회과 사회문제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고정관념 문제, 사회과교육에서 고정관념 문제교육 내용의 적용 방향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둘째로, 초등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고정관념 문제 교육 내용의 실태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학교 사회과교육에서 고정관념 문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종합하면, 사회과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집필함에 있어서 고정관념 문제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내용을 대폭 확대하고, 고정관념을 조장할 수 있는 내용을 제거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함을 지적할 수 있다. 학교 사회과교육에서 고정관념 문제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교육과정 측면에서 이론적 실천적 노력이 요청된다는 것과, 교육과정운영 전문가로서 사회과 교사 측면에서 고정관념의 문제 교육을 위한 지식, 기능, 가치 등의 자질향상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정관념이 우리 삶의 곳곳에 깊숙이 뿌리박힌 사회 환경 속에서, 학습자들에게 고정관념을 극복하도록 교육한다는 주장은 슬로건으로 끝날 수 있다. 제대로 된 고정관념 문제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개방사회로의 대응능력 향상과 교육관련 종사자들이 왜곡되고 편협한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날 것이 요청된다. 고정관념을 극복 한 교육자만이 고정관념 문제 교육을 제대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사회과교육과정 운영 전문가들의 성찰적이며 비판적인 도전이 중요하다. The Directions on 'the stereotypes of the others' problems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been studied in this paper. The education of the stereotypes problems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increase the ability to control and resolve the stereotypes problems by participat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tribution, by analyzing the social studies education(textbook) from a stereotypes problem education point of view, to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ly, an investigation has been made into the theoretical approach of the stereotypes problems education. Secondly, I proposed the direction of the stereotypes problems education. In additio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textbook) has been analyzed.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need to expand the content concerned the resolution of the stereotypes problems, and to reduce the content that can provoke the stereotypes problems in writ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한 방향 : 쓰기 전 활동인 고정관념 깨뜨리기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강민경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5

        This paper is trying to help university writing by presenting pre–writing’s activities for training creative thinking. I think that breaking the stereotype is the most essential key elements to creative writing, and decide to show the instructional model. First, I looked why breaking the stereotypes is important in university writing. So I seized the underlying causes to make stereotypes and searched directions for up to break stereotypes. I discussed breaking stereotypes in layers of three kinds of methods. First is the “breaking the illusion of the senses”. It’s a realizing the limitations of human cognitive system and sense organs and training to be open minded. I suggested training methods to get out of the limits by using the theory in brain 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I thou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View,’ ‘position to think about change,’ ‘thinking of Janus’. Second is ‘breaking the false ideology’. Even if Subject has the correct sense, because the world is distorted by false ideologies, so he will have a fixed idea. I looked about the causes and symptoms of the false ideology and thought about training to escape from prejudice or preconception made by a false sense of reality. I suggested ‘thinking critically existing knowledge and common sense,’ ‘escaping from dichotomous thinking’. Third is the breaking conventional borrowings’. I looked stereotypes that common sense or knowledge are hardened like habits. I suggested ‘conventional thinking flip,’ ‘redefine’ and ‘thinking contrary lexical meaning’. To grow creativity and fresh ideas we should be able to break stereotypes and switch to a new awareness. This paper’s discusses will be expected to help practically in the university writing’s creative thinking and ideas. 본고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창의적 사고를 신장하기 위한 쓰기 전 활동의 실례(實例)를 제시함으로써 대학 글쓰기 교육에 도움을 주려는 것이다. 고정관념 깨기가 창의적 글쓰기의 가장 기초적인 출발이라 보고 그 수업 모형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는 고정관념 깨뜨리기가 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중요한가를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고정관념이 생기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면서 고정관념을 깨뜨리기 위한 방향까지 모색하고자 하였다. 고정관념 깨뜨리기 방식을 세 가지 층위에서 다루었다. 첫째는 ‘감각기관의 착각 깨뜨리기’로써 인간의 인식 체계와 감각기관이 갖는 한계를 자각하고 열린 사고를 갖는 훈련을 기르는 것이다. 뇌 과학과 인지심리학에서 활용되는 이론을 활용하여 인간이 고정관념을 갖게 되는 이유를 살피고 그 한계를 벗어나기 위한 훈련 방법을 제시하였다. ‘반대 방향으로 바라보기,’ ‘입장 바꿔 생각하기,’ ‘야누스의 사고’ 등을 생각해 보았다. 두 번째는 ‘허위 이데올로기 깨뜨리기’이다. 주체가 올바른 감각을 지니더라도 세계가 허위 이데올로기에 의해 왜곡되어 있으므로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고 고정관념을 갖게 된다. 허위 이데올로기의 원인과 현상에 대해 살피고 현실의 허위의식으로부터 생기는 편견이나 선입견을 탈피하기 위한 훈련을 생각해 보았다. ‘기존 지식과 상식을 비판적으로 사고하기,’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기’를 제시하였다. 세 번째는 ‘관습적 차용(借用) 깨뜨리기’로써 상식이나 지식이 습관처럼 굳어진 고정관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 ‘관습적 생각 뒤집기,’ ‘새롭게 정의하기,’ ‘사전적 의미 반대로 생각하기’를 제시하였다. 창의력을 키우고 참신한 생각을 하기 위해서는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인식을 새롭게 전환할 수 있어야 한다. 본고의 논의가 대학 글쓰기에서 창의적인 사고와 발상으로 나아가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성 고정관념 활성화가 남녀의 자아해석에 미치는 영향

        방희정,조혜자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men's and women's self-construals do change according to gender-stereotype activ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en have stronger gender-stereotypes and construe self more gender-stereotypic way than women. In general, women showed having less gender-stereotype but they construed self more stereotypic way. And the stereotype activation affected only on women to construe self less stereotypic way. Both men and women do accept physical appearance stereotypes more than other domains of gender-stereotype when they construe their selves. Gender-role stereotypes are more accepted by men than women, and gender-stereotypes of ability are more accepted by men but refused by women when stereotype was activated. And men accepted prescriptive gender-stereotype more than women. People of high gender-stereotype group construe self more stereotypic way than those of low stereotype group. But in low gender-stereotype group, women construe self less stereotypic way when stereotype is activated than when not. These results are taken to show, among others, that self-stereotyping of targe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targets are man or woman, and that self stereotyping of an individual contributes to build a mechanism of maintaining gender-stereotype of a society to which he or she belongs. 본 연구는 성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 남성과 여성의 자아해석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남성들의 성 고정관념 점수가 여성들보다 높았고 이런 현상은 자아해석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여성들은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은 낮지만 자아해석은 매우 고정형적으로 하고 있었다. 성 고정관념의 활성화효과는 남성들에게는 나타나지 않고 여성들에게만 나타나,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 자아해석을 덜 고정형적으로 하는 탈동일시 경향을 보였다. 영역별로는 역할 영역에서 남성은 고정관념을 수용하는 반면 여성들은 거부하는 양상이 나타났고, 외모 영역에서는 남녀 모두 고정관념을 수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능력영역에서는 남성들은 고정관념이 활성화될 때 더 고정형적인 자아해석을 하는데 비해 여성들은 탈동일시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처방적인 성 고정관념을 자아에 반영하는 경향은 남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성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 정도에 따라 고정관념 고-저 집단을 나누어 자아해석을 살펴 본 결과, 남녀 모두 성 고정관념이 낮은 사람들은 높은 사람들에 비해 자아해석이 덜 고정형적이었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에는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었을 때에 성 고정관념이 낮은 사람들이 고정형적인 자아해석을 더 많이 억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 고정관념이 그 수혜자인 남성과 피해자인 여성의 자아해석에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쳐, 거부되기도 하지만, 자아에 반영되고 실천되어 성 고정관념을 유지시킬 수 있다고 해석되었다

      • KCI등재

        노인 고정관념의 억제와 오기억: 목표점화(goal priming) 및 망각지시의 비교

        신홍임,김민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2

        This study aimed to compare false memory effects of goal priming and directed forgetting to control negative stereotypical informations about elderly adults. Participants, 22 male and 34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stened to a news about increasing rates of elderly citizens in Korea living alone. This was followed by a lexical decision task with stereotypical and nonstereotypical word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of aging stereotypes and to devide the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high or low stereotype activation. After that, the participants read articles about young and elderly people either under the condition of goal priming or under the condition of the forget instruction. Finally, a recognition test was conducted based on the Deese-Roediger-McDermott (DRM) paradigm to compare effects of these two conditions for false memory about stereotypical and nonstereotypical item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high or low stereotype activ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lse recognition rates for stereotypical ite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activation group with the forget instruction than in this group of the goal priming condi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lse recognition rates for the nonstereotypical items. These findings supported our hypothesis, that the forget instruction activates negative stereotypical information, which resulted in the memory illusion and the disruption of stereotype control. In addition, the false recognition rates under the condition of goal priming were lower than under the condition of the forget instruction, which might be interpreted as evidence for effective stereotype control. Implications of the outcome for stereotype control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평소의 부정적인 태도나 차별행동을 생각하게 하여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을 억제하는 목표로 암묵적으로 동기화하는 목표점화조건과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을 직접적으로 망각지시하는 조건에서 노인 고정관념에 대한 오기억(false memory)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5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활성화하기 위해 실험도입부에 독거노인에 대한 뉴스를 청취하게 한 후 어휘판단과제에서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의 단어에 대한 반응시간을 토대로 고정관념이 활성화된 집단과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 후 목표점화 또는 망각지시의 조건에서 참가자들에게 노인에 대한 글을 읽도록 하고, Deese-Roediger-McDermott (DRM)의 패러다임을 토대로 재인과제를 실시하여 학습단계에서 제시되지 않은, 부정적인 고정관념 연관문장에 대한 오재인율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고정관념의 활성화, 지시유형 및 재인과제의 문장유형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고정관념이 활성화된 집단에서는 망각지시의 조건에서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에 대한 오재인율이 목표점화의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재인과제에서 노인고정관념과 연관된 문장에서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고정관념 억제에 대한 직접적인 망각지시가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더 많이 활성화시켜 오재인율을 높이는 데 비해 목표점화는 고정관념 억제를 암묵적으로 동기화시켜 고정관념이 활성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논의에서는 고정관념 억제에 목표점화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및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다루었다.

      • KCI등재

        성차별에서 나타나는 고정관념에 관한 분석

        전형준(Hyungjoon Jun)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3 인권법평론 Vol.- No.30

        유럽인권법원(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의 Carvalho Pinto de Sousa Morias v. Portugal 판례(이하 ‘Carvalho 판례’라고 한다.)는 성 고정관념이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성차별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유럽인권법원의 Carvalho 판례는 고정관념이 법원의 판결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사법적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분석의 의의가 있다. 성 고정관념은 종종 차별 사례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국가와 법원이 고정관념에 바탕을 두고 판단하는 것은 차별의 악순환을 만든다. 불평등한 대우를 정당화하는 것은 고정관념적인 가정에 기초하고 있으며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기 쉽다. 편견을 언급함으로써 사람들로부터 추정된 정상성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박탈당하게 되고, 이러한 정상성은 더욱 강화될 뿐이다. 유럽인권법원은 과거에 비교 가능성 테스트를 생략하고 고정관념에 더 집중한 것도 사실이나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유럽인권법원은 성 고정관념의 폐해를 드러내기 위해 더욱 적극적인 자세를 취해야 한다. 고정관념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지만, 무해한 일반화와 위험한 고정관념을 구별해야 한다. 또 다른 문제는 유럽인권협약 제14조 차별 금지 조항으로 인해 유럽에서는 공개적이고 직접적인 차별이 드물다는 것이다. 차별에 대한 포괄적인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유럽인권법원은 무엇보다도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더 복잡한 형태의 차별의 존재를 고려해야 한다. “반고정관념 접근법”은 차별의 기초가 되는 고정관념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사법 분야에서 편견을 전통이나 문화적 요소로 인식하지 않고 고정관념을 고착화하지 않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성 평등은 유럽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주제이며 따라서 체계적인 성차별의 원인을 해결하는 데 전념해야 할 것이다. 고정관념의 위험성을 강조하여 그들의 영향뿐만 아니라 이미 그들의 존재와 확산에 대응하도록 법원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Carvalho Pinto de Sousa Morias v. Portugal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shows how gender stereotypes affect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name of tradition. The Carvalho case is relevant to analyze in that it shows the extent to which stereotypes play a role in judicial decisions. Gender stereotypes often provide basis for discriminatory acts in society. State acts as well as court decisions based on stereotypes could create a vicious circle of discrimination. Stereotypical assumptions are often used for justifying unequal treatment. By referring to prejudice, people are deprived of the possibility of escaping from their presumed normality, and this normality is only reinforced.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in the past jurisprudence omitted the comparability test and focused more on stereotypes, but this was not enough. Rather,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should take a more proactive stance to tackle stereotypes based on gender. It is neither possible nor desirable to eliminate stereotypes completely, but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harmless generalizations from harmful stereotypes. Another problem is that direct discrimination no longer occurs often in the European context due to the non-discrimination provision of Article 14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To ensure comprehensive protection against discrimination,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must, above all, take into account the existence of more complex forms of discrimination that cannot be directly recognized. The “anti-stereotype approach” provides ways to identify the stereotypes that underlie discrimination. In the field of justic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not to recognize stereotypes as a traditional or cultural element. Gender equality can no longer be put off, not only in Europe, but also globally, and therefore must be committed to addressing the causes of systemic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Courts need to play an active role in highlighting the harms of stereotypes and responding not only to their impact, but also to their already existing and widespread presence.

      • KCI등재

        공직 내 여성관리자에 대한 고정관념적 평가의 역학

        원숙연(Won Sook -Yeon) 한국여성학회 2009 한국여성학 Vol.25 No.1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에 대한 고정관념적 평가의 역학을 성차(????)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남성지배적 공직에서 여성관리자는 남성관리자에 비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특히 남성은 여성관리자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이러한 현실을 성-고정관념의 맥락에서 설명하는 본 연구는 다음의 문제를 제기한다. 관리직여성의 과소대표성이 심각한 공직에서 성-고정관념적 인식은 어느 정도인가? 성-고정관념적 인식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 간 성차(????)가 존재하는가? 관리자-부하의 성별조합에 따라 성-고정관념적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조직에서 남녀의 구성비, 여성과의 접촉 및 여성과의 긍정적인 업무경험이 여성관리자에 대한 고정관념적 평가에 영향을 미칠까? 이상의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중앙정부 17개 부처의 소속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성은 여성 및 여성관리자에 대해 높은 수준의 고정관념적 평가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은 여성의 인식과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외모 및 여성관리자와 일하는 남성부하가 겪는 갈등에 대한 고정관념적 평가는 여성의 경우에도 엄존하였다. 셋째, 성별조합의 영향력과 관련하여, 남성관리자와 함께 일하는 남성부하(MM)가 가장 높은 고정관념적 평가를 견지하고 있었으며, 이는 남성상관과 함께 일하는 여성부하(MF)와 여성상관과 함께 일하는 여성부하(FF)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접촉가설의 가정과 달리 여성과의 업무상 접촉이나 조직 내 여성비율이 여성관리자에 대한 고정관념적 평가의 완화에 미치는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여성의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여성관리자에 대한 고정관념적 평가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령과 학력이 여성관리자에 대한 고정관념적 평가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적 결과가 갖는 함의와 이를 바탕으로 한 조직관리 방향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ereotypical perceptions towards female managers in comparison to their male counterparts. A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gende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xisting studies, female managers tended to be evaluated less positively than male managers both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which were characterized by male-dominan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questions. To what extent do organizational members in public organizations evaluate female managers in gender typed ways?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in gender typed evaluation of female managers? Does gender combination between managers and members make differences in gender typed evaluation of female managers? Do some factors such as gender-ratio in organizations, frequencies of formal contact to female managers, and positive working experiences with women impact on gender-typed evaluation of female managers? In order to find answer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564 civil servants i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Findings indicated that men had strong stereotypical evaluation of women in general as well as women in management. Men's stereotypical evaluation of women and female manag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women. Furthermore, in stereotypical evaluation of women's appearance -so called lookism-,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Regarding psychological conflict faced by men working with female supervisors(managers) in terms of gender identity, a similar picture was emerged. With respect to influence of gender combination, male members working with male managers(MM) showed the highest stereotypical evaluation of female managers, which was remarkably different from female members working with male managers (MF) and their sisters working with female managers(FF). Lastly, unlike the main assumption of contact theory, frequencies of contact to women in working settings and gender ratio in their working place did not work in ameliorate stereotypical evaluation of female managers. On the contrary, satisfactory experiences with women in working settings weakened stereotypical evaluation of female manager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gender equality and effective management were discussed via gender perspectives.

      • KCI등재

        성별 반(反)고정관념이 남성과 여성의 기부금에 미치는 영향

        조혜원,전유정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23 연세경영연구 Vol.60 No.2

        소비자는 일상에서 고정관념과 일치하거나 고정관념에 반(反)하는 메시지에 다양한 형태로(예. 광고) 노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관념과 반(反)고정관념이 소비자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고정관념과 반(反)고정관념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는 성별 관련 고정관념 및 반(反)고정관념이 기부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실험을 통해 남성과 여성 소비자들이 성별 관련 고정관념(vs. 반(反)고정관념)에 노출되었을 때 기부금에 차이가 생기는지 조사하였다. 300명의 남성과 여성에게 전통적인 성별 고정관념을 확인하거나 반박하는 메시지를 접하게 하고, 자선단체에 얼마만큼 기부할지 답하게 하였다. 그 결과, 성별 관련 고정관념적인 메시지에 노출되었을 때 남성의 기부 금액이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反)고정관념적인 메시지를 접하게 되었을 때 남녀의 기부 금액의 차이는 역전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선 단체에 더 많은 기부를 유인하고자 할 때에는 남성과 여성에게 메시지가 다르게 작성되어야 한다고 제시한다. 본 연구는 고정관념과 반(反)고정관념의 영향을 자선 기부라는 컨텍스트에서 들여다 본 최초의 연구 중 하나로써,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Consumers are exposed to messages that are consistent or inconsistent with gender stereotypes in their daily lives (e.g. advertisemen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how these stereotypes and counter-stereotypes influence consumer behavior.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is area,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gender-related stereotype (vs. counter-stereotype) on charitable donation among men and women. Three hundred men and women were exposed to a message that either confirmed or refuted the conventional gender stereotype, and were asked to indicate how much money they are willing to donate to charity. We found that compared to women, men donated greater amount of money to charity when they were exposed to a stereotypical message. However, when they were exposed to a counter-stereotypical message, this difference in donation amount between women and men was rever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irms should be cautious when using messages associated with gender stereotypes and carefully tailor their marketing messages to promote charitable donations. This study is one of the first to examine the impact of stereotypes and counter-stereotypes in the context of charitable giving, and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성이 결혼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태연,안권순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7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of migrants married women.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difference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according to their country of origin? Second, how relationship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Third, how intermediation of marital satisfaction for sex role stereotype and sex permission? This study investigates 143 migrants married women of multicultural family in S-city, T-gun. They are consist of 14 Korea races, 27 Chinese, 46 Vietnam, 29 Philippines and others peoples. For measurement, this study uses Sex Behavior Scale, Sex Role Stereotype, Marital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Data. Then the collected data are gone through t-test, Chi-squr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comes up with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need multiple programme for the respect of peculiar culture and tradition rather than one community of migrants married women for their country of origin. Second, They need policy plan for cognition improvement and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 background or their country of origin. Third, We need reduce programme for the sex role stereotype of migrants married women for their country of origi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would be cognition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 background or their country of origin and cognition of stereotype and prejudice of migrants married women for their country of origin.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성이 결혼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출신국가에 따라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전통적인 성역할 고정관념과 결혼생활만족의 관계를 성 허용 정도가 매개하는가? 연구를 위하여 S시와 T군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정의 외국인 아내 14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성 행동규범, 성 역할 고정관념, 결혼만족도, 사회인구학적 변수로 구성하였다. 본 설문지의 자료 처리는 t-검정, 차이검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논의는 첫째, 출신국가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도에서의 차이에서는 출신국가에 따라 성역할 고정관념과 결혼생활만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결혼 전 성 허용 정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 허용 정도 및 결혼생활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는 성역할 고정관념은 결혼 전 성 허용과 및 결혼생활만족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성 허용 정도는 결혼생활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 고정관념과 결혼생활만족도사이에서 성 역할 고정관념이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사회의 세계화와 다민족 사회로의 이행이 매우 바른 속도로 진정되는 가운데 결혼이주여성의 성공적인 결혼생활을 위해서 많은 정책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을 하나의 공동체로 보기보다는 출신국가마다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가족 친지 지역사회 모두가 출신국가 마다의 다른 문화배경을 이해하고 다름을 인정할 수 있도록 인식개선을 위한 정책수립이 요구된다. 셋째, 성역할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낮은 결혼생활 만족도로 해석되기에 결혼이주여성들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결혼이주여성의 행복한 결혼 생활을 위해서는 출신국가의 다른 문화배경을 인정하여 선입견과 편견을 갖지 않고 다름을 인정하여 다문화 가정을 색안경을 끼지 않고 우리 사회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전 국민 의식개선이 중요하다.

      • KCI등재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과 지시망각의 실패

        신홍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2 No.4

        Can people intentionally control their memories, when they are instructed to suppress irrelevant information? What happens when people have been admonished to forget stereotypical information in a stereotype activated situ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rected forgetting of stereotypical information by using the list method. Participants studied stereotypical and nonstereotypical words either with an initially activated social category (elderly people prime) or with no social category (neutral prime). They were then instructed to either forget or remember the studied words. Unfortunately, the results showed word list effects so that stereotypical items were overall better recalled than neutral words, regardless of stereotype activation, instruction of directed forgetting and secondary task. However, partly consistent with Macrae et al. (1997), the directed-forgetting effects were not founded for the stereotypical items, when categorical primes were activated, whereas they were obtained for nonstereotypical information in the neutral condition. Implications of the outcome for stereotype suppression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활성화된 상황에서 망각지시를 통해 고정관념과 연관된 단어목록에 대한 기억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참가자에게 고정관념과 연관된 글 또는 연관되지 않는 글을 읽도록 하여 고정관념의 활성화를 조작한 후 지시망각절차를 사용하여 고정관념 연관 단어목록과 비연관 단어목록에 대한 회상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이중과제를 제시하여 인지부하가 고정관념 단어목록의 지시망각에 주는 영향을 조사했다. 실험결과에서는 단어목록의 주효과로 인해 고정관념 단어목록에 대한 지시망각의 효과를 세분화하여 볼 수 없었으나, 고정관념 비연관 단어목록에 대해서는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억지시조건에 비해 망각지시조건에서 이득효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노인고정관념을 대상으로 반복검증하고자 한 Macrae 등(1997)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고정관념과 지시망각에 대한 더 심층적인 탐색을 통해 지시망각절차에 대한 이해를 돕고, 고정관념의 정보처리과정에서 주체의 의도적인 망각시도가 성공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 고정관념의 위협이 서비스 제공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준희 ( June Hee Na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3 유통정보학회지 Vol.16 No.6

        고정관념의 위협은 매우 위협적이다. 인종차별, 빈부격차, 학벌주의 등 고정관념의 위협은 매우 광범위하고 악질적이다. 고정관념의 위협은 스스로에게 열등감을 주고, 사회적으로 공격적이고 폐쇄적으로 만들어 희생자를 해친다.그러나 학벌 없는 링컨은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대통령이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고정관념의 위협이 긍정적일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실험1에서 자아통제가 강한 서비스 제공자는 고정관념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통제조건보다 더 긍정적인 서비스 태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자아통제가 약한 서비스 제공자는 고정관념의 위협시 통제조건보다 더 부정적인 서비스 태도를 보였다. 실험2에서 서비스 제공자에게 고정관념의 위협을 가하면 동일한 고정관념 위협의 희생자 에게 어떤 태도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지적 소모가 고정관념 위협에 미치는 악영향과 사회적 자신감의 긍정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고정관념의 희생자는 동일한 희생자를 동병상련의 따뜻한 정이 아니라 오히려 혐오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인지소모는 부정적 혐오감을 증폭시키는 악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사회적 자신감은 인지소모에 관계없이 사회적약자에 대해서 비교적 양호한 서비스 태도를 보였다. Stereotype threat is a real threat. Such area as race, academic career, rich-poor stereotype, and so on, orients stereotype threat, its negative termination is extensive and wicked. Stereotype threat has tortured its victims through internal inferiority feeling and external social relationship failure. However, Lincoln who had no brilliant academic career won most admirable president. This study explored positive aspect of stereotype threat. Ex.1 said subject who had high self-control showed positive service attitudes even though stereotype threat, but low self-control subject hit negative performance. Ex.2 researched the effects of cognitive depletion and social confidence on stereotype threat and performance. In results, stereotype victims showed aversive attitude toward same victim members,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victims were likely to be aversive by themselves. Cognitive depletion amplified these negative effects, social confidence, however, took consistent service spirit to stereotype victims even though deple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