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어문학 관련 기초 자료 활용을 통한 사전편찬 연구 ―『고어대사전』을 중심으로―

        박재연,김영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5 고전과 해석 Vol.18 No.-

        본 논문은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가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수행한 “ 한중어문학자료 기초 자료 활용을 통한 사전편찬 연구”의 세부과제인 ‘고어대사전 편찬’에 연구 배경과 사전의 체재 및 편찬 의의를 논한 글이다. ‘고어대사전 편찬’은 한글이 창제된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 각종 한글 문헌에 나타나는 낱말과 문법적 요소들을 통합하여 표제어를 추출하고, 그에 대한 다양한 용례를 보여줌으로써 우리말 고어의 총체적 모습을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 사업은 2005년부터 2014년까지 9년 동안 진행되었으 며, 2010년에는 중간 결과물로 “필사본 고어대사전(전7책)”을 간행하였다. 이후에는 『필사본 고어대사 전』 기초 위에 15∼20세기까지의 목판본, 활자본 등의 자료를 반영하여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와의 균 형을 맞추는데 주력하고 있다. 현재까지 한글 문헌 650여 종 5,000여 책, 한글편지 및 한글고문서 3,000 여 점의 문헌을 대상으로 하여 표제어와 용례를 추출하였으며, 표제어는 15만여 개, 용례는 50만여 개 에 달한다. 향후 약 10여 책 이상의 규모로 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고어대사전』의 특징은 15세기부터 20세기를 아우르는 다양한 장르의 문헌들에서 어휘를 선별하 였기 때문에, 개별 어휘들의 통시적인 변화 모습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 고유어뿐만 아니라 한자어ㆍ 고제도어ㆍ고유명사ㆍ차용어까지도 총망라하였기 때문에 고어사전 가운데 가장 많은 표제어와 용례를 채록하고 있다는 점, 한문 원문과 중국어 원문이 있는 번역문헌들은 함께 싣고 있어 대부분 한글자료로 제공되었던 국어사 어휘 자료의 한계를 보완하여 더욱 정확한 어휘 의미 해석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 국어학뿐만 아니라 국문학, 중어중문학, 민속학 등의 인접학문 연구에도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This paper presents study background, dictionary system, and the significance of compilation of pre-modern korean dictionary which is a detailed assignment for “the study on compilation of dictionaries drawing on practical use of fundamental data of Korean-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Th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by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of SunMoon University with the support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an overall view of pre-modern Korean language by means of extracting headwords through integration words and grammatical elements that appears in different Hangeul literatures since the invention of Hangeul to the early twenties and presenting the use of words in various ways. Meanwhile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changed aspects of each vocabulary due to the quantitative insufficiency and time disconnection in the pre-existing korean dictionary itself. The project had been conducted for about nine years from 2005 to 2014, 『Pre-Modern Korean Dictionary in Handwritten Literature』(7volumes)” was published as the intermediate output in 2010. About 150,000 of the headwords and 500,000 of examples have been extracted from 5,000 books of 650 kinds, and about 3,000 items of Korean letters, pre-modern korean documents up to now. It is expected to be published to the scale of more than 10 books in the future. 『Pre-Modern Korean Dictionary』 shows distinctive features. Firstly, it contains vocabularies targeting the literatures of different genres throughout the 15th to the 20th century which make the readers trace the diachronic changes of the individual vocabulary. Secondly, it consists of the most headwords and examples among the ancient dictionaries because even the selected headwords cover all the important words from native words to Sino- korean words, proper nouns, and borrowed words. Thirdly, it includes translated literatures in Korean and Chinese version together, and which will contribute to accurate understanding of lexical meanings by redeeming the limit of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history available in korean only. At last, it not only expands the horizon of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history but it also could provide the basic materials to the related studies such as Korean literatures, Chinese literatures, folklore and so on.

      • KCI등재

        The Archaic Expressions of the King James Version (1611)

        Ham Young-Yong(함영용) 신영어영문학회 2003 신영어영문학 Vol.26 No.-

        King James Version(1611)은 17세기 이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영문학 뿐만 아니라 영어와 영문법 전반에 걸쳐서도 막대한 영향을 끼쳐 온 “영산문의 가장 고귀한 대걸작”이기 때문에, King James Version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은 나름대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King James Version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어와 표현들 중에는, 고풍적임에도 불구하고, 그 어느 영어성경에서보다 의미가 적절하고 표현이 뛰어난 단어 또는 구절들도 많이 있지만, 이와 반대로 부적당한 고어 또는 고형의 표현들도 상당히 많이 있다. 이러한 고어 또는 고형의 표현들은 King James 역자들이 활동하던 시기에는 헬라어의 정확한 번역이었으나, 오늘날의 독자들에게는 많은 혼동을 불러 일으킨다. King James Version의 영어가 지니고 있는 독특한 특징 중의 하나는 고어법(archaism)의 사용이다. 그 이유는 출판 당시에 이미 1세기 이전의 고어들과 어법들이 King James Version에 전반적으로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King James Version의 문체가 성전에 걸맞는 장중함과 위엄을 갖게 된 원인이 바로 고어법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King James Version의 영어가 지니고 있는 고어법의 특징 중에서 특히 오늘날의 독자들에게 문제가 되는 표현들을 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한편으로는 King James Version 영어의 어휘가 지니고 있는 고어법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를 통하여 오늘날의 영어와는 다소 다른 초기 근대영어시대의 어휘들의 의미와 그것들의 의미변화의 한 단면을 추적해 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다만, 이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King James Version 영어의 구문이나 문체에서 나타나는 고어법 또는 고어체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는다.

      • KCI등재

        필사본 고소설 소재 四字 漢字語의 사전 처리를 위한 국어학적 연구 -『필사본 고어대사전』 등재항과의 대비를 겸하여-

        유경민 국어사학회 2014 국어사연구 Vol.0 No.18

        본고의 목적은 필사본 고소설에 쓰인 四字 漢字語를 추출하여 그것에 대한 국어학적, 어휘사적인 고찰과 함께 사전적 처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四字 漢字語는 고소설류에서 특히 많이 확인되나 외국인 선교사들이 번역한 한국어 성경 자료에서도 확인될 만큼 근대 국어 시기의 문헌 자료들에서 전반적으로 확인되는 어휘 요소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http://yoksa.aks.ac.kr에 공개되어 있는 필사본 고소설 텍스트와 『필사본 고어대사전』에서 四字 漢字語를 추출하였다. 『필사본 고어대사전』은 한글 창제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의 각종 한글 필사 문헌에 나타나는 낱말과 문법적 요소들을 통합하여 표제어로 다룬 사전으로, 규범사전보다는 기술사전에 가깝다. 그런데 필자가 필사본 고소설에서 직접 추출하여 정리한 목록과 이 사전 등재어를 대비해 본 결과 『필사본 고어대사전』에는 많은 어휘가 누락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사전의 구성이 충실하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어휘사 연구에 기존의 사전을 활용하는 것이 곤란한 일이라는 것을 시사해주는 결과이다. 이와 같은 문제에 접근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일차적으로 기존 사전의 어휘 추출 과정이나 표제항 선정 방식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 四字 漢字語 목록을 유형별로 정리하고, 四字 漢字語의 사전적 처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한자어의 표기 변이의 처리에 대하여서도 논의하였다. 동일한 단어가 다양한 표기로 나타나는 것은 근대국어 시기의 국어사 자료에서 볼 수있는 공통적인 특징이다. 본고의 四字 漢字語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를 통하여 한자 및 한자어의 한글 표기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四字 漢字語의 표기의 변이 양상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사전적 처리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글 문헌에서의 한자어 인식 문제와 그 해결 방법에 한 발 다가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verify how the lexicons in Korean classical manuscript novels can be lexico-historically utilized and how often they appears in the Korean classical manuscript novels. To be more specific, the paper focuses on four-letter sino-Korean words in Korean classical manuscript novels. This study is significant and meaningful, since four-letter sino-Kore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n the lexical history. In the first part, this paper extracts four-letter sino-Korean words from Korean classical manuscript novels shown at http://yoksa.aks.ac.kr. The extracted four-letter sino-Korean words are compared to those from the existing dictionary in the paper. The results show that a large number of lexicons are omitted in the existing dictionary. From this finding, it is apparent specifically first that the construction of existing dictionary is not sufficient, and second, that it is hard to use existing dictionary to study of the Korean lexical history. Based on these results, the extraction process and the manner of heading selection of the dictionary are pointed out in the paper. To solve such problems, four-letter sino-Korean word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a few solutions for the dictionary sort are proposed. The paper is not only about a study of Korean classical manuscript novels and four-letter sino-Korean words, but about a study of processing Chinese writing variation shown in the Korean lexical history. Varying writing of the same lexicon is a common feature in the material of modern Korean lexical history. Categorizing four-letter sino-Korean words systematically is one of the best ways to see how the Chinese and Korean marking has changed. This paper recommends lexicographic treatments to the variation of writing of sino-Korean that can be easily used for the study of four-letter sino-Korean words.

      • KCI등재

        심훈 번역본 『대지』의 서술상 특징과 의미 연구

        허진(Hur jin)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7

        이 연구의 목적은 심훈이 번역한 『대지』의 서술상의 특징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심훈 번역본『대지』의 서술상 특징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심훈은 『대지』에서 고어 · 비속한 표현 · 사투리 등의 어휘를 빈번하게 사용했다. 심훈이『대지』에서 고어를 사용한 것은 식민지 지식인의 자존감 회복과 관련이 있다. 심훈은 니이 이타루(新居格)의 일본어판 『대지』를 한국어로 옮기며, 조선의 생활상과 풍습을 담은 고어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대지』를 니이 이타루의『대지』와 변별되는 텍스트로 새롭게 쓰려 했던 것이다. 다음으로 심훈은 비속한 표현을 『대지』 번역에 반영함으로써 농민 · 문지기 · 이발사 등 서발턴의 언어를 번역 문학에 오롯이 복원해 놓았다. 이러한 서발턴의 언어를 통해서 그의 번역은 구체적인 실감과 사실성을 획득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심훈은 『대지』를 옮기며 사투리를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심훈이 『대지』 속 등장인물의 대화를 표준어가 아니라 사투리로 번역한 것은 사투리가 농민의 언어에 더 가깝다고 생각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심훈은 조선의 생활상과 풍습을 담은 고어들, 서발턴의 삶을 담은 비속한 표현과 사투리를 사용해 『대지』를 번역했다. 이런 방식으로 그는 식민주의에 저항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Good Earth』 translated by Sim Hoon and explore its meaning. Sim Hoon frequently used vocabulary such as archaic word, vulgar expression, and dialect in 『The Good Earth』. First, Sim Hoon"s use of archaic word in 『The Good Earth』 is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the colonial intellectuals" self-esteem. Sim Hoon attempted to include Joseon-like things in 『The Good Earth』. So he used a language containing life and customs of Joseon. Next, Sim Hoon reflected vulgar expressions in his translation of 『The Good Earth』. Therefore the languages of subaltern, such as farmers, a gatekeeper, and a barber, were able to be restored without erasing from the translation literature. Through such subaltern"s language, his translation was able to acquire reality and the concrete sense of fact. Lastly, Shim Hoon actively used dialect in『The Good Earth』. It seems that he thought dialect was closer to the language of farmers. In other words, Sim Hoon did not just translate Nii Itaro(新居格)’s 『The Good Earth』 into Korean. Instead, he used the archaic words containing the life and customs of Joseon, the vulgar expressions of the subaltern and the dialect that subaltern actually used. In this way, he attempted to overcome sense of shame that he felt while reading foreign literature in Japanese and he tried to resist colonialism. In summary, in 『The Good Earth』, Sim Hoon attempted to resist colonialism through language.

      • KCI등재

        김소월 시어의 문맥적 의미에 관한 연구 ―‘거츨다, 흘늣기다, □지다, 그물안개’에 국한하여―

        유형선 ( Yoo Hyoung-sun ),윤애경 ( Yoon Ae-kyung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1

        본고에서는 김소월이 사용한 시어 중에서 고어로 추정되는 어휘에 대해 고구한다. 소월이 시어로 고어를 많이 사용하였지만, 고어에 대한 어학적인 연구는 이기문(1983)이 유일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학계에서는 그에 걸맞은 연구를 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문학적인 연구는 주로 시어의 의미 해석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그런데 시어를 해석하면서 추상적이고 관념적으로 접근한 경우가 많아 시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제시하지 못했다. 문맥적 의미가 통하지 않는 시어의 뜻풀이는 시적 상상력의 경계를 넘어서는 것이다. 시인이 선택한 시어는 그 시에서 가장 정확한 단어이다. 시어는 서로 긴밀하게 씨줄과 날줄의 긴장 관계를 유지한다. 이렇게 치밀한 과정을 거친 시어의 뜻풀이가 어색하다면, 즉 문맥적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면, 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우리는 시어의 의미 해석을 더 이상 선입견과 상상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不運에우는그대여」에 나오는 ‘거츠른바위’를 선행 연구에서는 대부분 ‘거친 바위’라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는데, 그 뜻으로는 문맥상 의미가 자연스럽지 않다. 시적 화자는 그대가 불운에 우는 이유를 안다고 하였다. 그 이유는 시에서 ‘그대의 가슴속’에 있다고 하였다. ‘거츠른’은 심리적인 상태를 묘사하고 있기에 ‘거친 바위’라는 의미로 봐서는 문맥상 어울리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고어 ‘거츨다’에서 해석의 실마리를 찾았다. 고어에서는 ‘허망하다, 허황되다, 망령되다’ 등의 의미로 쓰였다. ‘바위’는 실제 돌덩어리 암석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단단함, 확고함을 상징한다. 그대의 ‘고정 관념 또는 고집’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허망한 바위’, ‘허황된 바위’로 보면, 그대가 불운에 우는 까닭은 그대가 스스로 허황된 생각을 하고, 시간이 지나도 바위처럼 굳은 망령된 믿음이 다시 생기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소월이 사용한 시어 중에서 고어로 추정되는 어휘에 대해 살펴 보았다. 본고에서는 ‘거츨다, 흘늣기다, □지다, 그물안개’에 국한하여 고어의 용례와 의미를 제시한 후, 해당 시의 전체적인 문맥과 호응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과정에서 소월이 추상적이기보다는 구체적인 시어를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밝혔다. This study studied the vocabulary presumed to be archaic word among the poetic words Kim So-wol. The meaning explanation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y has a problem that contextual meaning does not correspond. I think that the preceding study was due to lack of awareness of archaic word. So-wol was not satisfied with the existing vocabulary in the poetry writing. He searched accurate word that can to describe the situation and emotion. The word is the very archaic word. Also archaic word did role of foregrounding. This study examined the usage and meaning of archaic word and then examined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overall context of the poem as the meaning of archaic word in the corresponding vocabulary. Compared to the interpretation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meaning of the poetic language explored in this study is well corresponded to the context. I argue that we should rethink the poetic world of Kim So-wol. The newly interpreted poetic words are as follows. 1. ‘geocheulda (거츨다)’ does not mean ‘roughness’, but it means ‘vain’. 2. ‘heulneusgida (흘늣기다)’ does not mean ‘to sob’, but ‘to disperse’. 3. ‘tteojida (□지다)’ does not ‘widen’ or ‘to leave’, but it means ‘be out of my mind’. 4. ‘geumul (그물)’ does not mean ‘net-like density’, but ‘night (evening)’ means.

      •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에서 키에르케고어 철학의 수용

        오신택 ( Shin Taek Oh ) 한국해석학회 2015 해석학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에 영향을 끼친 다양한 철학적 배경들 가운데 특히 로저스가 자신의 상담방법을 정립하는 초기에 키에르케고어 철학을 핵심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규명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은 전체로서의 유기체의 실현경향성을 위주로 자기실현,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을 다루고 있다 이것은 키에르케고어에게서 신에게 근거를 두고 불안과 절망 속에서 자기를 구성해간다는 주장과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다. 로저스가 말하는 전체로서의 유기체의 실현경향성은 인간이 성장과 완성을 향하여 인간존재성을 최고로 성취하기 위하여 나아간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로저스가 말년에 인정한 영적인 차원까지 연결된다. 개별적인 자기실현은 결국은 전체로서의 유기체의 실현경향성과 조화되거나 부조화를 이룰 수밖에 없다. 이때 개별적인 자기실현은 되어감의 과정에 있는 불완전한 자기를 전체 유기체의 실현 경향성과 조화를 이루면서 완전한 자기를 이룬다는 것인데 이러한 내용은 결국 키에르케고어의 진정한 자기가 되기 위해 자기를 신에게 근거지워야만 한다는 주장과 공명하고 있다. 로저스에게 ‘전체로서의 유기체(organism as a whole)’라는 독특한 개념은 키에르케고어가 말하는 그리스도교의 신과 일치하지는 않으나 개념의 구성방식에서 신의 위치에 놓인다. 불안과 절망에서 몸부림치면서 진정한 자기를 찾으려는 키에르케 고어의 자기는 신에게서 자기 근거를 찾을 때만 불안과 절망을 극복할 수 있다. 이와유사하게 참된 자기를 알지 못하여 방황하면서 괴로워하고 정신적인 갈등에 빠져 심리치료사를 찾아온 내담자와의 상담이 제대로 이뤄지려면 내담자의 영혼과 심리치료사의 영혼이 접촉하는 데까지 이르러야 한다고 로저스는 고백한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로저스의 이론과 키에르케고어의 철학의 상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In this paper, I try to investigate that Rogers Carl had accepted the Kierkegaardian philosophy largely in establishing his early counseling methods. The the client-centered therapy of Rogers Carl deals with the self realization and the human who fully functions mainly with the tend to be more practical action of the organism as the whole. This is connected to the contention that human constitutes the self among his anxiety and despair with the foundation of the God. The very unique concept, the organism as a whole in Rogers is not coincided with the God in Kierkegaard, however, the method of organizing of both are similar. The self in the Kierkegaardian philosophy who wants to find the real self in his desperate anxiety and despair can overcome them by finding himself grounded in the God. Likewise, Rogers mentions that the soul of client who suffers from the mental conflict without knowing true himself and the psychotherapist should be met to each other for the successful therapy. I think that we can find the interrelationship in the theory of Rogers and the Kierkegaardian philosophy in these points.

      • KCI등재

        옛말 사전의 의의와 과제 : 언간 어휘 사전의 체재를 중심으로

        신성철(Shin Seong-cheol) 국어문학회 2010 국어문학 Vol.48 No.-

        언간은 경어법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거나 대부분 한문 원본을 번역한 언해본과는 달리 자연스러운 국어 문장이 나타난다거나 일상 어휘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 등으로 인하여 국어사의 중요한 자료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고어로 된 난해한 어구나 구절이 많아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은 여전히 산적해 있다. 더욱이 기존의 고어사전은 기초적 정보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기존의 고어사전류가 언해 위주의 간본 자료를 중심으로 만들어졌고, 간략한 뜻풀이만으로는 언간에 사용된 어휘의 의미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고어사전의 장단점을 검토하고, 일상생활의 다양한 어휘를 담고 있는 언간 본연의 특징이 드러날 수 있는 어휘 사전 제작의 의의와 과제를 찾아야 한다. 그리고 현대 국어사전과 연계성을 높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도 찾아야 할 것이다. 기존의 고어사전류가 가지는 문제점, 즉 자료적 성격이 다른 사전이 편찰될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기존의 고어사전류처럼 현대 국어사전의 보충을 위한 사전 편찬이 아니라, 당시의 언어생활 전반에 걸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소위 '일반옛말사전'의 편찬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우리의 옛말로 작성된 문헌을 읽을 수 있는 도구서가 될 것이다. Letters written by pure Korean are treated to be an important data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since they explained honorific expressions systematically, used natural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differing from Eonhaebon (books in Korean translation) translating the original copy of Chinese characters for the most part, and reflected daily words. However, they still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ir contents in a proper way since they have difficult phrases and paragraphs written by archaic words. There are cases that the existing dictionaries of archaic words don't offer even basic information in a proper way. For, the existing dictionaries of archaic words were made on the basis of data of printed books based on Korean translation and it is not easy to find meanings of words in letters written by pure Korean with simple explanations about meaning. Therefore, we shall review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dictionaries of archaic words and find meaning and assignment to manufacture a dictionary to express the original features of letters written by pure Korean including diverse words in daily life in a proper way. And we shall find how to raise users' understanding by raising connectivity with modern Korean dictionary. The study examined problems with the existing dictionary of archaic words, namely the possibility that dictionaries with different features of data would be compiled. It is necessary to compile 'general dictionary of archaic words' to offer information throughout language life at that time, not to compile a dictionary to supplement modern Korean dictionary. At this time, it will be a dictionary to help general people, as well as experts, to read literature written by Korean archaic words.

      • KCI등재

        지방의 의견과 중앙의 정책 결정 -명대(明代) 대계고어(大計考語)를 중심으로-

        위진둥 중국사학회 2020 中國史硏究 Vol.0 No.128

        명대(明代)에는 3년마다 전국적인 범위에서 지방관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이를 대계(大計)라 칭한다. 매번 대계를 실시할 때에 이부(吏部)에서는 지방의 성(省), 부(府), 주(州), 현(縣)의 직제에 따라 상급 행정 부서로 올리는 보고에서의 관원들에 대한 평가와, 순무(巡撫)나 순안(巡按)이 관할하고 있는 휘하관원들에 대한 탄핵 등을 종합하여 지방관에 대한 승진이나 강등 조치를 시행하였다. 이들 평가와 탄핵을 통칭하여 고어(考語)라 칭한다. 고어(考語)는 각 행정 조직 단계 마다 각급 관원들에 대하여 협의를 하여 최종적인 결정이 이루어졌고, 이것은 중앙 정부에서 최종 결정하기까지의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었다. 지방 행정 장관, 순무, 순안 등이 기록한 고어로부터 중앙의 이부(吏部)에서의 고어까지의 다양한 연계 관계는 모두 명대(明代) 행정 관리과정에서의 조직 간 상호 작용과 권력 균형을 잘 반영하고 있다. 대계고어(大計考語)의 운용 체계에 대한 연구는 명대(明代)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 간의 정책 결정에서의 상호 작용을 잘 보여 주는 생생한 모델의 하나이다. 따라서 대계고어(大計考語)는 명대 정치제도사를 밝히는 중요한 주제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옛말 사전의 의의와 과제 - 언간 어휘 사전의 체재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2010 국어문학 Vol.48 No.-

        <P>언간은 경어법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거나 대부분 한문 원본을 번역한 언해본과는 달리 자연스러운 국어 문장이 나타난다거나 일상 어휘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 등으로 인하여 국어사의 중요한 자료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고어로 된 난해한 어구나 구절이 많아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은 여전히 산적해 있다.</P><P> 더욱이 기존의 고어사전은 기초적 정보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기존의 고어사전류가 언해 위주의 간본 자료를 중심으로 만들어졌고, 간략한 뜻풀이만으로는 언간에 사용된 어휘의 의미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고어사전의 장단점을 검토하고, 일상생활의 다양한 어휘를 담고 있는 언간 본연의 특징이 드러날 수 있는 어휘 사전 제작의 의의와 과제를 찾아야 한다. 그리고 현대 국어사전과 연계성을 높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도 찾아야 할 것이다.</P><P> 기존의 고어사전류가 가지는 문제점, 즉 자료적 성격이 다른 사전이 편찰될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기존의 고어사전류처럼 현대 국어사전의 보충을 위한 사전 편찬이 아니라, 당시의 언어생활 전반에 걸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소위 ‘일반옛말사전’의 편찬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우리의 옛말로 작성된 문헌을 읽을 수 있는 도구서가 될 것이다.</P>

      • KCI등재

        일본 황조(皇祖) 신화와 의례의 관계 - 『고어습유(古語拾遺)』를 중심으로 -

        이경화 일본어문학회 2020 일본어문학 Vol.90 No.-

        This paper examines how myths and rituals are influenced and transformed by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such as governmental ideology and institutional changes, based on Kogosyuui compiled by Inbeno Hironariga in 807 in the Heian perio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n ancient centralized state system and strengthening the kingship, the Japanese mythology reorganized around Amaterasu, the ancestral god of the emperor and the rituals and ceremonies for the gods of heaven and the gods of the earth are also established under the control of the imperial family. During the process, the Inbe clan, who was in charge of the Yamato court rites equally with the Nakatomi cla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criticized the monopoly of the national sacrifice by the Nakatomi clan, which had increased political influence after the Taika reform. In particular, raising the question that the role of making an offering to Ise Shrine (Isejingu) was originally in charge of the Inbe clan, based on the myth of Nihonsyoki, show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yths and rituals. In other words, Kogosyuui shows well that rituals give life to myths by acting as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myth and myths are often rewritten to explain and justify the present rit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