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나무임분에서 산림경영활동이 고사목 연료량에 미치는 영향

        Sun Joo Lee,Sung Yong Kim,Chun Geun Kwon,Byung Doo Lee,Young Jin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6

        본 연구는 산불에 취약한 대표 침엽수종인 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산림시업이 고사율과 고사목 연료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 6차 국가산림자원조사 고사목 자료 중 시업지 소나무림 40plots, 비시업지 소나무림 14plots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시업지 임분의 고사율은 약 1.6%, 비시업지 임분의 고사율은 5.3%으로 나타났으며, 산불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고사목의 산불연료량은 비시업지 임분이 2.2TOE ha-1으로 시업지 임분 1.6TOE ha-1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부후등급별로 비교한 결과, 산불에 가장 취약한 고사Ⅰ등급이 차지하는 비율은 시업지 22%, 비시업지 29%으로 비시업지 임분에서 더 높은 고사목 분포를 보이고 있었으며, 부후도가 높아질수록 비시업지 임분이 시업지 임분에 비해 차지하는 연료량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비시업지임분에서 지표화에서 수관화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사목이 차지하는 연료량이 더 높게 추정됨에 따라 산불확산위험성이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s of forest management activities on mortality rates and fuel characteristics of coarse woody debris for Pinus densiflora stands in South Korea. This study used 40 managed plots and 14 unmanaged plots from the 6th National Forest Inventory plo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rtality rates of the managed stands were about 1.6% while those of the unmanaged stands were about 5.3%. The amount of coarse woody debris affecting forest fire spread was 2.2TOE ha⁻¹ for the unmanaged stands, while 1.6TOE ha⁻¹ for the managed stan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ecay class analysis, the ratio of decay class I, the most vulnerable to forest fires, was 22% for the managed stands while 29% for the unmanaged stands. Therefore, the unmanaged pine stands had higher fuel loads for forest fire in terms of coarse woody debris and higher decay rates than the managed Pinus densiflora stands. This information could be very useful to understand forest fire fuels in coarse woody debris for Pinus densiflora stands in South Korea.

      • KCI등재

        무주지역 리기다소나무 임분에 대한 탄소저장량 평가

        서연옥,정성철,이영진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전라북도 무주 지역의 36년생 리기다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임목(지상부와 지하부), 고사목, 유기물층, 토양에 대한 탄소저장량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총 3개의 표준지 내에서 11 그루의 표준목을 선정하였고 고사목, 유기물 층, 토양에 대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리기다소나무 임분에 대한 지상부 및 지하부 탄소저장량은 각각 51.0 ton C/ha, 29.6 ton C/ha로 나타났다. 부위별 구성비는 줄기 목질부 41.0% > 뿌리 36.8% > 가지 12.8% > 줄기 수피 6.0% > 잎 3.4% 순으로 나타났다. 고사목의 탄소저장량은 0.65 ton C/ha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층 탄소저장량은 6.40 ton C/ha로 나타났다. 토양의 총 탄소저장량은 51.62 ton C/ha로 나타났으며 층위별 탄소저장량은 0∼10㎝에서 20.27 ton C/ha, 10∼20㎝에서 12.83 ton C/ha, 20∼30㎝에서 12.27 ton C/ha, 30∼50㎝ 에서 6.24 ton C/ha로 나타났다. 토양 탄소저장량은 층위가 깊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탄소농도와 용적밀도에 의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산림생태계 탄소저장량은 총 139.27 ton C/ha로 나타났고 탄소저장량 구성비는 토양에서 37.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지상부에서 36.6%로 나타났고 지하부(21.3%), 유기물층(4.6%), 고사목(0.5%)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생태계 탄소저장량 산출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of carbon stored in the aboveground, belowground tree biomass, dead trees, and organic matter in the forest floor and soil of the 36-year-old Pinus rigida stands in Muju. A total of three plots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carbon stored in live trees, dead trees, forest floor, and soil. Results showed that the carbon stocks of P. rigida stands amounted to 51.0 ton C/ha in aboveground biomass and 29.6 ton C/ha in belowground biomass. The distribution ratios of carbon stocks were as follows: 41.0% in stem wood, 36.8% in roots, 12.8% in branches, 6.0% in stem bark and 3.4% in foliage. The carbon stocks in dead tree amounted to 0.65 ton C/ha while it was 6.40 ton C/ha in organic matter in forest floor. The total amount of carbon stocks found in soil was 51.62 ton C/ha: 20.27 ton C/ha at 0∼10 ㎝depth, 12.83 ton C/ha at 10∼20 ㎝depth, 12.27 ton C/ha at 20∼30 ㎝depth, and 6.24 ton C/ha at 30∼50 ㎝depth. It was also observed that, as the soil depth increased, the soil carbon stocks tended to decreas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amount of carbon stocks of P. rigida stands in Muju was 139.27 ton C/ha; the highest portion of the cumulative carbon stocks was found to be in soil at 37.1%, followed by the aboveground biomass with 36.6%, belowground biomass with 21.3%, forest floor with 4.6 % and dead trees with 0.5 %.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orest managers accurate estimates of carbon stored in the habitat of P. rigida stands in Muju.

      • KCI등재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고사목의 나무좀의 다양성과 풍부도

        권태성,이봉우,박신영,변봉규,박상욱,이철민,Kwon, Tae-Sung,Lee, Bong-Woo,Park, Shin-Young,Byun, Bong-Kyu,Park, Sang-Wook,Lee, Cheol-Mi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분포확산이 예상되는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의 고사목에 서식하는 나무좀의 발생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경기도에 위치한 광릉 숲의 장기생태조사지에서 2007-2008년도에 이루어졌고,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의 고사목에 서식하는 나무좀은 우 화트랩과 유인트랩(깔때기트랩과 윈도우트랩)을 사용하여 채집되었다. 조사결과 2아과 12종 408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출현종 중 광릉긴나무좀이 가장 많았다. 광릉긴나무좀과 오리나무좀은 졸참나무에서 주로 채집된 데 비해 나머지 종(2종의 희귀종 제외)들은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에서 공통적으로 채집되었다. 나무좀의 종풍부도와 풍부도는 우화트랩 보다는 유인트랩에서 높았고, 서어나무 보다는 졸참나무에서 높았다. 부후등급별로는 고사목의 I-II 또는 I-III 단계가 III-IV 또는 IV 단계의 비해 높았다. 나무좀 군집은 연도에 따라 달랐으며, 수종에 관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patterns of occurrence of bark beetles on deadwoods of Quercus serrata Fisher and Carpinus laxiflora Blume which are expected to increase due to climate change. The survey was carried out at the LTER site in Gwangneung forest in Gyeonggi Province in 2007-2008. Bark beetles were collected using emergence traps and attraction traps (funnel trap and window trap). A total of 408 beetles belonging to 12 species in two subfamilies were collected.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P. koryoensis and Xylosandrus germanus (Blandford) occurred mainly in deadwoods of Q. serrata. All other species, except two rare species, occurred commonly in deadwood of both tree species.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bark beetles were higher in the attraction traps than in the emergence traps, and higher in Q. serrata than in C. laxiflora. These indexes were higher in classes I-II or I-III than in classes III-IV or IV of deadwood. Bark beetle communities differed according to years and showed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ree species.

      • KCI등재

        지역별 구상나무 생육현황 비교

        추갑철 한국환경생태학회 200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14 No.1

        구상나무림 보전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의 아고산지대에 9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 서식지의 입지인지를 조사하였다 구상나무는 흉고직경 10-30cm의 범위에 드는 나무들이 주로 고사목으로 나타났으며 고사목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총개체수의 11.51%였다 고사목의 비율또한 덕유산에서 18.18%로 가장높게나타났고 한라산 지역이 8.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 치수의 개체수 구상나무의 수고와 흉고직경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구상나무의 상대밀도 등은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생육중인 구상나무의 활력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으로 순으로 좋았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치수의 개체수는 한라산에서 6.0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덕유산에서는 치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상대밀도도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는 해발고와 정의 상관, 방위, 낙엽퇴의 두께, 조사구당 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구상나무 상대밀도는 해발고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방위 조사 구당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수관울폐도,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에 자생하는 구상나무는 해발고가 높으며 볕이 잘들고 낙엽퇴가 얕으며 종구성이 단순하고 활엽수가 적은 지역에 보다 많이 분포한다.

      • KCI등재후보

        강원도 삼척 산불 피해지의 조류 군집 특성

        이은재(Eun-Jae Lee),손승훈(Seung Hun Son),이우신(Woo-Shin Lee),임주훈(Ju-Hun Im),임신재(Shin-Jae Rhim) 한국조류학회II 2009 한국조류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시 검봉산 내 산불피해지역에서 2008년 2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되었다. 본 지역은 산불피해 후 8년 동안 자연복원되면서 참나무류를 중심으로 흉고직경이 10㎝ 미만이며, 수고가 5m 미만인 아교목들이 우점하는 양상을 보였다. 총 10회에 걸쳐 선조사법을 통해 조류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5종 248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영소 길드와 채이 길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영소 길드의 경우 수관과 지상 및 하층식생에서 둥지를 짓는 조류가 종수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개체수는 이차수동 조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채이 길드의 경우 지상 및 하층식생에서 먹이를 찾는 조류가 종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체수는 엽층을 탐색하며 먹이를 찾는 조류가 높게 나타났다. 자연복원에 의해 생육하고 있는 아교목은 1차 및 2차 수동 조류의 번식 둥지를 제공하지는 못하나 방치되어 있는 고사목이 번식 및 먹이자원 제공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산불 피해 후 조류의 종다양성 및 종풍부도를 유지하기 위한 일부 지역의 고사목 방치가 필수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February and December 2008 in the forest fired area of Gumbong Mt., Samcheok, Gangwon Province, Korea. The study site is naturally restored for eight years, and Quecus spp. (DBH< 10㎝, tree height< 5m) were dominant. We made 248 detections of 25 bird species through 10 times line transect surveys. In result of analyzing nesting and foraging guild, densities of secondary cavity nesters and foliage searchers were highest in the study site. Snags could be positive effects for birds such as supply of nests and food resources. Snag retention could be considered for bird inhabitation in burned forest areas.

      • 인천 옹진군 7개 특정도서 곤충 다양성

        박진영,이미진,신현철,최승세,한영섭,송세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본 연구는 2016년도 실시된 환경부 지정 7개 특정도서를 대상으로 춘․하․추계 3회 곤충 다양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출현 총 종수는 소초지도, 어평도, 항도, 서만도, 뭉퉁도, 신도, 할미염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특정도서 지정사유가 식생과 연관된 소초지도, 어평도, 항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섬의 크기와 출현 종수와의 상관관계는 높지 않았으며(r=0.3), 우점도지수(DI)는 할미염, 뭉퉁도, 서만도, 신도, 항도, 소초지도, 어평도, 다양도지수(H‵)는 어평도, 소초지도, 항도, 서만도, 신도, 뭉퉁도, 할미염, 종풍부도지수(RI)는 어평도, 소초지도, 항도, 서만도, 뭉퉁도, 신도, 할미염, 균등도지수(EI)는 어평도, 소초지도, 항도, 서만도, 신도, 할미염, 뭉퉁도 순으로 나타났다. 수목해충이나 고사목과 관련한 종이 가장 많이 출현한 도서는 항도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지대의 구상나무림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김갑태 한국환경생태학회 200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14 No.1

        지리산국립공원의 아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화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구사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42개의 방형구(20m×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지는 세 개의 군집인 신갈나무-당단풍군집 구상나무-신갈나무군집 구상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물들메나무와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와 층층나무 구상나무와 잣나무 거제수나무와 노각나무 물들메나무와 말발도리 거제수나무와 물들메나무 거제수나무와 물갬나무 거제수나무와 함박꽃나무 철쭉과 회나무 주목과 미역줄나무 물갬나무와 노각나무, 잣나무와 마가목, 진달래와 명자순 명자순과 시닥나무, 가문비나무와 마가목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당단풍과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야도는 1.2389-1.2552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활력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2.92%가 고사목이었다 생육현황표의 점수 평균은 13.88이었다.

      • KCI등재

        U-Net 모델에 기반한 기간별 추출 소나무 고사목 데이터를 이용한 정사영상 탐지 정밀도 향상 연구

        김성훈,권기욱,김준현 한국측량학회 2022 한국측량학회지 Vol.40 No.4

        소나무 재선충 피해나무는 줄어들고 있으나, 피해 지역은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 딥러닝 기술이 발전하 면서 소나무재선충 고사목 탐지 연구에 적용이 빠르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딥러닝 학습데이터의 효과 적인 취득과 정확한 참값을 확보하고, 학습을 통해 U-Net 모델의 탐지능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 적달성을 위해 단계별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필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딥러닝 모델의 불명확한 분석 근거를 최 소화하고, 효율적인 분석 및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U-Net알고리즘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 고사목 탐지 및 성능향상에 있어 기간별로 분석한 참값을 이용한 U-Net 모델이 기존에 제공하였던 참값을 이용한 U-Net 모델보다 재현율(Recall)은 –0.5%p, 정밀도(Precision)은 7.6%p, F-1 score는 4.1%p로 분석되었다. 향후 다양한 필 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재선충 탐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드론 정사영상과 인공 지능을 이용한 드론 예찰방법이 소나무재선충 방제 사업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남강댐 선버들 군락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김기흥 한국수자원학회 202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5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xpansion and withering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on the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was 0.12 km2 in 2003 for the first time, but it was 3.58 km2 in 2019, which has increased rapidly by about 30 times in 16 years. However, in 2013, the distribution area has decreased by 0.17 km2 due to long-term immersion in high turbidity, and self-thinning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The lake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showed a combination of lake type and river type in terms of average water depth, watershed area/lake surface area ratio, water residence time, flushing rate, and stratification.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long-term changes in lake water quality, COD, TP, and chlorophyll-a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in the three point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reservoir.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value of chlorophyll-a showed the maximum value in winter rather than summer, unlike the trend of the three points in the Namgang Dam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is thought to have occurred internally rather than externally. It can be estimated that one cause of this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is the huge amount of nutrients generated in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by-products such as fallen leaves, branches and withered trees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본 연구는 남강댐에서 대규모 선버들 군락의 확장과 고사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버들 군락의 분포면적은 최초로 2003년에 0.12 km2였으나 2019년에는 3.58 km2 로서 16 년 사이에 약 30 배로 급격하게 확장되었다. 그러나, 2013년에는 일부가 고탁도 장기 침수와 선버들 군락 내에서의 자기 솎음질(self-thining)에 의하여 분포면적이 0.17 km2 감소했다. 남강댐 저수지의 호소특성은 평균수심, 유역면적/호수 수면적 비, 체류시간, 회전율 및 성층화 등의 측면에서 호소형과 하천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호소수질에 대한 장기변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대규모 선버들 군락지에서 COD, TP 및 엽록소 a 등이 남강댐 수역의 중앙부에 위치한 3 개 지점에 비하여 현저하게 크게 나타났다. 특히, 엽록소 a의 값이 남강댐 수질측정망 3 개 지점의 경향과 다르게 여름이 아닌 겨울에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은 외부의 유입보다는 내부에서 발생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남강댐 저수지에서 수질 악화의 한 가지 원인은 선버들 군락에서 낙엽, 가지 및 고사목 등 부산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영양염류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