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제상사계약에 있어 계약불이행의 요건과 그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심종석,서민교 한국무역학회 2008 무역학자 전국대회 발표논문집 Vol.2008 No.8

        계약불이행은 그 유형ㆍ효과에 관한 법리구성에 있어 국제사법상 또는 법계간 일정한 시각차가 존재하는데, 그 주안점은 고의ㆍ과실에 기한 불이행 당사자의 귀책사유를 당해 계약불이행의 성립요건으로 두고 있는지의 여부가 그 핵심이다. 본 고는 국제상사계약에 있어 기축 법규범이 되고 있는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 협약」 (CISG)과 「국제상사계약에 관한 일반원칙」 (PICC) 및 「유럽계약법원칙」 (PECL)을 중심으로 계약불이행의 요건과 그 적용사례를 고찰한 논문으로서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곧 PICC는 CISG상의 계약위반을 불이행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그 구성요건은 묵시적 의무에 한하여 계약의 성질과 목적ㆍ당사자간 확립된 관행과 관습ㆍ신의칙과 공정거래ㆍ합리성 등의 고려에 두고 있다. PICC는 이행에 대한 권리에 하자있는 이행의 보수와 대체 또는 기타 보완에 대한 권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불가항력에 기한 의무불이행의 경우 당사자로 하여금 그 책임을 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품의 계약부적합에 대한 매수인의 구제수단은 순차적으로 불완전이행치유청구권, 손해배상청구권 및 계약 해제권의 행사가 인정되는데, CISG와는 달리 대체불급부청구의 경우 중대한 계약위반의 요건은 적용되지 않는다. PECL은 PICC와 마찬가지로 계약위반을 불이행으로 통합하여 규정하고 있는데, CISG 및 PICC와 구별되는 차이점은 합리성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는 점과 통지의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요건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계약위반의 효과 및 법적 구제수단과 관련하여 PICC는 CISG에 비하여 중대한 불이행의 판단기준이 상세하고, 면책의 주장이 보다 명료하며, 손해배상범위에 관해 예견가능성을 포함하여 손해의 확실성을 기준으로 한 명시적 규정을 두고 있는 특징이 있다. 계약불이행의 책임체계와 관련하여 PICC와 PECL은 유사한 법적 시각을 보이고 있으나, PICC의 경 우 불이행 당사자의 추완권을 PECL에 비하여 보다 광범위하게 인정하고 있으며, 그 방법에 있어서도 보다 상세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계약해제의 효과에 있어 PICC 및 PECL에서는 편무계약에 대해서도 법정해제를 인정하고 있다. 계약해제의 요건에 관해 CISG의 경우 중대한 계약위반의 내용은 일부 단서를 두어, 상대방이 기대할 권리가 있는 바를 실질적으로 박탈할 정도의 손해를 야기한 경우로 특정하고 있다. 한편 PECL에 있어 사정변경에 의한 계약해제의 내용은 PICC에 비하여 보다 구체적이다. 예컨대 급부의 이행비용 증가시 급부의 부담이 현저히 과중된 경우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과, 신의칙 및 공정거래에 반하여 교섭을 거부하거나 또는 교섭을 파기하는 경우 그 결과 야기된 손실에 대하여 법원이 배상을 명할 수 있게 한 것 등이 그것이다. The CISG uses the term fundamental breach, in various setting. The concept of fundamental breach is a milestone in its remedial provisions. Its most important role is that it constitutes the usual precondition for the contract to be avoided(Art. 49, 51, 64, 72, 73). In addition, where the goods do not conform with the contract, a fundamental breach can give rise to a requirement to deliver substitute goods. Furthermore, a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 by the seller leaves the buyer with all of his remedies intact, despite the risk having passed to him(Art. 70). Basically, PECL, PICC generally follows CISG. it was similar to all the regulation's platform though the terms and content sometimes differ .. For example regarding to the non-performance and remedies, in the case of non-performance, that is the PECL, PICC term analogous to breach of contract as used in the clsa. Furthermore the PECL, PICC used fundamental non-performance refered to in PECL Art. 8: 103, PICC Art. 7.1.1 correspond generally to the concept of fundamental breach referred to in CISG Art. 25. The main significance of the fundamental non-performance, in any systems, is to empower the aggrieved party to terminate the contract. The need for uniformity and harmony in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can be expected to lead to growth of international commerce subject to the CISG, PICC, and PECL. It is hoped that the present editorial remarks will provide guidance to improve understanding between the contractual party of different countries in this respect. In the case of CISG, main articles for terminate of contract, Art. 25, 49, 51, 72, 64, 79 and so forth. To sum up these article, breach of contract committed by one of the parties is fundamental if it results in such detriment to the other party as substantially to deprive him of what he is entitled to expect under the contract, unless the party in breach did not foresee and a reasonable person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circumstances would not have foreseen such a result. In the other hand PICC, are Art. 6.2.1, 6.2.2, 7.1.1, 7.1.3, 7.3.1, 7.3.3 and so on. Not only there is hardship where the occurrence of events fundamentally alters the equilibrium of the contract either because the cost of a party's performance has increased or because the value of the performance a party receives has diminished but in the case of hardship the disadvantaged party is entitled to request renegotiations. the request shall be made without undue delay and shall indicate the grounds on which it is based. Finally PECL are regulatory articles, that is to say, Art. 6:111, 8:103, 8:106, 9:301 to summarize of these issues, a non-performance of an obligation is fundamental to the contract if strict compliance with the obligation is of the essence of the contract or the non-performance substantially deprives the aggrieved party of what it was entitled to expect under the contract, unless the other party did not foresee and could not reasonably have foreseen that result or the non-performance is intentional and gives the aggrieved party reason to believe that it cannot rely on the other party's future performance.

      • KCI등재

        계약채무불이행책임과 유책사유의 관계에 대한 재고찰- 계약채무불이행책임에서 유책사유의 의의, 기능, 적용범위를 중심으로 -

        김태훈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the reason for liability as the justification for attributing the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the contractual obligation distinct from tort liablility, and to individually identify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reason for liability, which has been understood as a general condition for the occurrence of liability, according to the remedies. Through this, it lays groundwork for realizing the unification of the default liability system in terms of general default liability so that the modernization of contract liability in our civil code can be achieved in light of the International contract law and other revisions to the civil code from major foreign countries. And it will help to simplify the system of requirements to accept various remedies constituting the content of default liability without contradiction. The Article 390 regarding the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states a general provision specifying the requirement without particular reference to the reason for liability, whereas it only stipulates the substance on damages requiring the reason for liability. While the provisions of the main text of Article 390, which is the basis for justifying the attribution of contract liability, followed the French Civil Code, the provisions of the proviso followed the rules of the German Civil Code, and it cannot be said that only one code was followed.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wording of the proviso to Article 390, the meaning of the reason for responsbility is not so clear that it can be determined unanimously. However, in order to avoid conflicts within the system with other civil code provisions enacted based on the principle of liability with fault, it is reasonable to view it as a functional reason for exemption in the Evidence Act. Article 390 constitutes the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contract obligations only by the comprehensive fact of non-performance of contract obligation. As such, in addition to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specified in Article 390, the right to rescind the contract is recognized under the express provisions. The right to claim for compulsory performance of obligation constitutes the content of liability, which is the effect of non-performance, as a unique requirement for the debtor's delay in performance, the right to completion of performance and to reduce price for defective performance, and the right to claim of vicarious compensation for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Furthermore, 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remedy other than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it is necessary to individually analyze whether the reason for responsbility is necessary or not. The right to rescind the contract is recognized as a remedy for the creditor for obstacles in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 of the contract, regardless of the reason for responsbility. The right to claim for compulsory performance, the right to claim of vicarious compensation, and the right to completion of performance of a paid contract are extensions of the right to claim performance due to the contractual binding are recognized regardless of the reason for responsbility. The right to claim for the completion of performance of the free contract other than certain liability for warranty requires the reason for responsbility, because it can be an unreasonable and severe burden on the debtor. 이 글은 불법행위책임과 다른 계약채무불이행책임 귀속의 정당화 근거로서 유책사유의 의의, 기능을 재검토하고 종래 책임발생의 일반요건으로 이해되어 온 유책사유의 적용범위를 책임내용에 따라 개별화해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국제거래규범 및 주요 외국의 개정 채권법에 비추어 우리 민법상 계약책임의 현대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채무불이행책임체계의 통일화를 일반 채무불이행책임의 차원에서 실현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채무불이행책임의 내용을 이루는 다양한 구제수단들을 모순없이 수용하기 위한 요건체계의 단순화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제390조는 계약채무불이행책임의 일반요건으로서 유책사유와 상관없는 계약채무불이행만을 규정하고 있으며, 계약채무불이행책임의 내용으로서 유책사유를 개별요건으로 하는 손해배상청구권만을 규정하고 있다. 계약책임 귀속의 정당화 근거인 제390조 본문의 규정내용이 프랑스민법전을 따른 것과 달리 단서의 규정내용은 독일민법전의 규율을 따른 것으로 어느 한 법전만을 추종했다고 볼 수 없으며, 나아가 제390조 단서의 문언에 의하면 유책사유의 의미를 일의적으로 확정할 수 있을 정도로 명백한 것은 아니지만 과실책임주의를 바탕으로 입법된 다른 민법규정들과의 체계내적 모순저촉을 피하기 위해서 증거법상 기능적 면책사유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제390조에 따라 계약채무불이행의 포괄적 사실만으로 계약채무불이행책임을 구성하며, 그 내용으로 제390조가 명시한 손해배상청구권 외에 계약해제권은 명문의 규정에 의해서 인정되고, 강제이행청구권은 채무자의 이행지체를, 추완청구권과 대금감액권은 불완전이행을, 대상청구권은 이행불능을 고유한 요건으로 계약불이행의 효과로서 책임내용을 구성한다. 나아가 손해배상청구권 외에 각 구제수단들이 겸유하는 고유한 특성들을 고려하여 유책사유의 필요여부에 대한 개별적인 판단이 필요한데, 계약해제권은 계약의 목적달성 장애에 대한 채권자의 구제수단으로, 강제이행청구권, 대상청구권, 유상계약의 추완청구권은 계약의 구속력에 기인한 이행청구권의 연장으로서 유책사유와 상관없이 인정된다. 무상계약의 추완청구권은 악의의 채무자가 부담하는 담보책임의 일정한 경우 이외 채무자에게 부당하고 가혹한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유책사유를 요한다고 하여야 한다.

      • KCI등재

        국제건설계약에서 계약채무불이행책임과 면책의 법리 - FIDIC 계약조건의 불가항력(Force Majeure) 조항을 중심으로 -

        김승현,김성호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4

        본 논문은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국제건설표준계약조건인 FIDIC 계약조건의 불가항력(Force Majeure) 조항을 중심으로, 국제건설계약에서 발생하는 계약채무불이행에 대한 책임과 이 책임을 면제해 주는 법리에 관하여 다룬다. 이를 위해 먼저 계약채무불이행책임과 면책법리에 관한 영미법계와 대륙법계의 異同을 불이행의 유형별로, 즉 이행지체와 불완전이행의 경우로 나누어 비교법적 관점에서 고찰한 다음, FIDIC 계약조건의 Force Majeure(또는 예외적 사건) 조항이 계약의 준거법 하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에 관하여 살펴본다. 계약채무불이행책임에 대해서 영미법계와 대륙법계는 매우 다른 접근 방법을 택하고 있다. 특히, 국제건설도급계약(work contract)과 관련하여 영미법계는 무과실책임주의를 취하고 있음에 비해 대륙법계는 과실책임주의를 취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영미법계가 계약채무불이행책임과 관련하여 무과실책임주의를 택하고 있지만 이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영미법계에서 계약채무불이행책임과 관련하여 무과실책임주의를 채택한 결과, 종종 채무자에 대해 가혹한 결과가 초래되었으므로,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면책의 법리가 생겨났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Frustration 법리이다. 하지만 과실책임주의를 택하고 있는 대륙법계에서는 영미법계처럼 채무자에 대한 가혹함을 굳이 완화시킬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륙법계에서도 프랑스법의 force majeure, 독일법의 höhere Gewalt, 한국이나 일본법의 不可抗力 등의 면책의 법리가 존재한다. 여기서 대륙법계에서는 이들 면책 법리와 과실책임주의와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의 문제가 대두된다. 특히, 같은 대륙법계라 하더라도 독일법과 프랑스법은 그 태도가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이 문제는 매우 난해하다. 이와 같이 영미법계와 대륙법계의 계약채무불이행책임의 성격은 양 법계의 면책의 법리와 함께 검토해야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계약채무불이행책임을 이행지체와 불완전이행이라는 계약채무불이행 유형별로 구분해서 살펴보는 것은 공기지연과 하자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국제건설계약에서 더욱 유용하다. 계약채무불이행의 유형 중 이행지체에 대한 책임을 면제해 주는 법리를 둘러싸고 영미법과 대륙법계가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 불완전이행 즉 하자에 대해서는 양 법계가 공히 무과실책임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일견 같은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세부 내용에 들어가면 여러 가지 차이점이 존재한다. 영미법계 내에서 영국은 계약채무불이행책임에 대한 면책의 법리와 관련하여 엄격한 Frustration 법리를 고수하고 있는 것에 비해, 미국은 Frustration of Purpose, Impracticability, Commercial Impossibility 등 Frustration 법리를 확장시키는 법리를 영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인정하는 차이점이 있다. 특히, 대륙법계에서 독일법과 프랑스법상 계약채무불이행책임과 면책의 법리는 사뭇 다르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프랑스법계의 계약채무불이행책임을 과실책임주의로 분류하지만 실질은 무과실책임주의를 취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다. 하지만 프랑스법의 무과실책임주의는 영미법만큼 엄격하지 않다는 점도 마찬가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ddresses the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under an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ntract and a rule of law for exemption from such liability with reference to the Force Majeure clause of FIDIC Conditions of Contract. To this end, first the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between common law and civil law in terms of the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and a rule of law for exemption will be reviewed from the comparative law perspective by classifying the types of non-default into delay in performance and incomplete performance, in other words, defects and then the Force Majeure clause of FIDIC Conditions of Contract will be in detail reviewed under both some common and civil governing laws. There is a huge gap in respect of the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between the common and civil law jurisdictions. In particular, in regards to an international construction work contract, it is widely known that a strict liability principle is commonly applied in common law jurisdictions, whereas a fault-based liability principle has been adopted in civil law jurisdictions. However, although the common law jurisdictions have opted for the strict liability doctrine in respect of the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under a contract, it is not absolute. The application of the strict liability principle in respect of the liability for the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under a contract in the common law jurisdictions often inflicted a harsh consequence on the obligor. It was a rule of law for exemption from such liability that came into being in order to alleviate such harshness called frustration doctrine. However, in the civil law jurisdictions where the principle of fault-based liability is applied, there is no specific need to mitigate such harshness on the obligor unlike in the common law jurisdictions. Nonetheless, however, there are various kinds of rules of law for exemption in civil law jurisdictions, such as force majeure under French law, höhere Gewalt under German law and 불가항력 under Korean or Japanese law. Here, there arises a question of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rules of law for exemption and the fault-based liability principle should be defined and understood in civil law jurisdictions. Above all, this issue is far more complicated because both German and French laws take different approaches even when they belong to the same civil law system. Hence, the nature of the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under a contract in both the civil and common law jurisdictions can be properly identified by examining their respective rules of law for exemption. It is more useful,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ntracts where people often encounter the issues of the delay in performance and defects, to examine the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contractual obligations by classifying them into delay in performance and incomplete performance, which are two major types of non-performance of contractual obligations. Whil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iews between the common and civil law jurisdictions in connection with the rule of law for exemption for the delay in performance, both jurisdictions take similarly a strict liability principle in respect of incomplete performance, i.e., defect, which may lead one to conclude that they are on the same page in that regard.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views between these two jurisdictions in terms of details. In common law jurisdictions, the English courts have quite strictly adhered to the frustration doctrine in connection with the rule of law for exemption from the liability of non-performance of contractual obligations, whereas, in the U.S., the doctrine of frustration has been expanded to doctrines of frustration of purpose, impracticability and commercial impossibility. The U.S. courts applied the principle of frustration in a more broad scope than the English ...

      • KCI등재

        契約解除制度의 發展과 CISG의 解除制度모델에 관한 小考 -有責事由要否에 대한 민법개정작업에의 示唆를 덧붙여-

        성승현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1

        최근 계약법에서는 계약책임에 대한 일원적 법리구성의 필요성과 계약해제권의 발생요건으로서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에 대한 유책사유여부의 필요성여부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CISG(유엔물품매매협약)에서 처음 논의가 시작하여 입법론적으로 채택된 이래, 후속 모델계약법인 PECL, PICC 및 CFR에서 그 입장이 수용되었고, 최근 독일 등의 민법개정작업에서 개정안으로 채택되었다. 본고는 CISG의 해제제도가 영미계약법에서 발전된 ‘중대한 계약위반’법리를 채택하였고, 독일 등의 대륙법계 국가에서 발전된 추후이행을 위한 유예기간제도를 함께 수용한 결과,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해제제도의 모델, 즉 일종의 ‘혼합모델’을 제시하였기에 그 발전과정을 검토하기 위해 프랑스, 독일, 영미계약법을 비교법사학적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본고는 이상의 비교법사학적 연구결과 중, 특히 장래 해제제도에 대한 연구에서 종래와는 다르게, 해제의 효과에 주목하기보다 그 기능을 중심으로 해제제도를 고찰할 필요가 있음에 주목하여 현재 진행 중인 민법개정작업에서 시사하는 점들에 대해 검토하였고,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1. 해제제도에 대한 접근 : 《효과》보다 그 《기능》을 중심으로 서구에서의 계약해제제도의 발전과 CISG의 해제제도모델에 관한 고찰을 통해 계약해제제도의 본연의 기능은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해 채권자가 채무자의 급부제공으로부터 기대했던 이익실현이 위태로운 경우에 채권자를 계약관계의 구속으로부터 해방시켜줌으로써 채권자에게 다시금 처분의 자유를 보장해 주는데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해제의 기능과 효과를 논함에 있어서 해제의 주된 기능과 그에 부속하는 효과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즉, 채무불이행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배상의 문제는 계약해제의 효과가 아닌, 채무불이행의 효과이고, 이와 마찬가지로 계약해제도 또한 채무불이행의 효과이다.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법적구제책으로서 계약해제권을 인정하기 위한 요건으로서 채무불이행에 대한 채무자의 유책사유를 요구하는가에 대해 CISG는 유책사유를 요하지 않는다. 반면, 종래 우리 민법에서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법정해제권의 발생요건으로서 유책사유를 요구하고 있기에 CISG의 입장은 우리 민법의 법정해제권에 관한 입법론을 논함에 있어 검토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무엇보다도 해제제도 본연의 기능을 재고하는 경우에 해제권발생의 요건으로서 채무자의 유책사유를 반드시 요구할 필요가 있는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2. 유책사유 필요여부 : 이행청구권-손해배상청구권-계약해제권의 관계-《손해배상청구권-계약해제권》에서 《이행청구권-계약해제권》으로- 계약으로부터 발생하는 이행청구권의 행사 및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그 불이행한 채무의 이행을 訴求하는 경우에 채무자의 유책사유는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당사자가 계약에서 그 이행을 약속하였기 때문이다. 당사자는 계약을 통해 상대방의 채무이행에 대한 신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채무자의 불이행으로 인해 채권자가 그 계약관계 및 상대방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되어, 더 이상 그 신뢰관계에 채권자를 구속하는 것이 기대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구속으로부터 채권자를 자유롭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불이행의 경우에 당사자가 이행청구권을 행사하고자 하는 ... Dieser Beitrag ist eine verbesserte Fassung des Referats über das Rücktrittsrecht in CISG und Korean Civil Code gehalten im “GWANGJU International Sympsoisum”anlässlich des Dreizigjährigen Bestehens des CISG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1980)) am 26. - 27. Oktober 2010 in Korea. Die Regelung des koreanischen BGB über das Rücktrittsrecht übernahm das Model des deutschen BGB zum Vorbild in der Gesetzgebung und rezipiert die deutsche Rechtslehre nach dem Inkrafttreten des KBGB. Diese wissenschaftliche Beziehung des KBGB mit der deutschen Zivilrechtswissenschaft bezeichnen wir heute als eine Art der Theorienrezeption. Für die rechtsvergleichende Untersuchung zum Entwicklungsvorgang des Rücktrittsrechts hat diese Arbeit das französische Code civil bezüglich condicio tacita, das ADHGB und das alte BGB in Deutschland bezüglich der Funktion des Rücktirttsrecht als des Self-help und eines Gestaltungsrechts mit dem Institut “Nachfrist” und das anglo-amerikanische Vertragsrecht bezüglich “imply terms” und “intermediate terms” in dem England und bezüglich “strict performance” und “substantial performance” in USA zum Hauptgegenstand. In Bezug auf die Rechtsbehelfe wegen der Nichterfüllung hat das deutsche BGB in der Modernisierungsarbeit im Jahre 2002 einen neuen Weg zur Aufnahme des Begriffs “Pflichtverletzung” für den neuen Aufbau des Leistungsstörungsrechts ausgewählt. Bei der Rechtsvergleichung zur Reformarbeit des deutschen BGB hatte der Gesetzgeber die internationale Entwicklung, besonders das Regelungsmodel des CISG vor Augen. Das Koreanische BGB regelt den Schadensersatz für die Nichterfüllung unter dem einheitlichen Begriff “Nichterfüllung”, aber das Rücktrittsrecht nicht unter dem einheitlichen Begriff wie Nichterfüllung, sondern nach dem jeweiligen Tatbestand der Nichterfüllung, z. B. wegen der Unmöglichkeit oder wegen des Verzuges. Das Ministerium der Justiz unternahm die Reformarbeit im Jahre 1999 und dann legte einen Regierungsentwurf auf Hand des Parlaments im Jahre 2004 vor. Dieser Vorgang hatte wegen begrenzter Arbeitszeit keinen Erfolg. Im letzten Jahre hat das Ministerium der Justiz wieder mit der Reformarbeit begonnen. Das Leistungsstörungsrecht bildet ein der Kernbereiche der Reform. Der Entwurf 2004 revidierte den Tatbestand für den Rücktritt wegen der Nichterfüllung als allegmeines und einheitliches Tatbestandes,aber verzichtete auf die Behandlung der Frage, ob der Schuldner für die Nichterfüllung kein Verschulden zu vertreten hat oder nicht, wenn der Gläubiger das Rücktrittsrecht wegen der Nichterfüllung des Schuldners ausübt. Das CISG regelt den Rücktritt und Schadensersatz nicht alternativ. Und es regelt das verschuldensunabhängige Rücktrittsrecht anders als das alte deutsche und das koreanische BGB. Es stellt sich die Frage, ob das Koreanische BGB das Model des CISG bei der Reform berücksichtigen sollte, -wenn ja-, inwieweit. Dieser Beitrag geht davon aus, dass wir die Voraussetzung für die Gewährung der Rechtsbehelfe “Schdensersatz” von der Rechtsbehelfe “Rücktritt”unterschiedlich regeln und die eigene Fuktion des Rücktrittsrechts wegen Nichterfüllung bevorzugt berücktichtigen sollten. Aus der Untersuchung ergibt sich, dass das KBGB die Änderung der Regelung über das Rücktrittsrecht braucht unabhängig von der weltweiten Rechtsentwicklung, wenn man die Funktion des Rücktrittsrechts vor Augen hat, und das neue BGB kein Verschuldnen des Schuldners mehr für den Rücktritt wegen Nichterfüllung erfordern sollte. Ausser des Rücktrittsrechts werden die Fragen nach dem Regelungsmodel der Haftung für die Nichterfüllung einschliesslich des Gewährleistungsrechts und nach dem Gläubigerverzug und der Erfüllungsverweigerung zur Reformdiskussion kommen. Dieser Beitrag geht davon aus, dass wir schon ein eigenes Gesetz und eigene Rechtsentwicklung in der Rechtspraxis und der Rechts...

      • KCI등재후보

        債務不履行法의 體系에 관한 硏究

        夫東鎬(Pu, Dong-Ho)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3

        최근의 해외입법례를 보면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국제연합협약」의 입법태도를 수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등 계약법의 세계적 통일화 경향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국내총생산 대비 무역의존도가 매우 큰 국가이기 때문에 국제거래에 적용되는 규범과 국내거래에 적용되는 규범 사이의 괴리를 줄이는 방향으로 입법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이 규범에 대한 혼란과 거래비용을 줄인다는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CISG의 입법태도를 중심으로 살펴본 채무불이행법체계에 대한 주요한 국제적 입법경향은 원시적 불능의 계약책임편입,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성립요건에서 귀책사유(歸責事由)를 배제하는 태도,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계약의 해제에서 歸責事由를 배제하는 태도, 擔保責任과 債務不履行責任을 一元的으로 構成하는 태도 등이다. 이 글에서는 위와 같은 국제적 입법경향의 수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첫째, 원시적 불능을 계약책임에 편입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CISG에서는 계약의 목적이 원시적 불능인 경우에도 계약이 유효함을 전제로 원시적 불능과 후발적 불능을 구별하지 않고, 이 두 가지 불능의 문제를 모두 채무불이행, 즉 계약위반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고, 독일민법 제311조의 a조 제1항도 급부가 채무자 기타 모든 자들에 대하여 이미 계약 체결 시에 객관적으로 불능이 되었더라도 계약의 유효성은 방해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국제적인 흐름을 반영하여, 우리 민법도 원시적‧객관적 불능의 경우를 계약의 무효사유에서 배제함이 타당하고, 이에 따라 민법 제535조도 폐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계약의 해제에서 과실책임주의를 극복하여야 한다. 국제적 규범이면서 국내 실정법화된 CISG에서 계약의 해제는 ‘계약위반이 중대한 경우’에만 인정되며 과실이 요건으로 되어 있지 않다{CISG 제49조 제1항(a)(b)). 이러한 국제적인 경향을 반영하여 우리 채무불이행법상 계약해제의 경우 과실책임주의를 원칙으로 삼는 태도를 지양할 필요가 있다. 한편, CISG 등 국제규범에서 택하고 있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성립요건에서 歸責事由를 배제하는 태도’와 ‘擔保責任과 債務不履行責任을 一元的으로 構成하는 태도’는 계수적상(繼受適狀)에 있지 아니하여 우리 민법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좀더 많은 시간이 흐른 후 법률문화적 사회환경의 변화를 지켜보면서 추후에 검토할 과제로 넘겨야 할 것이다. In today’s society, by contrast to the past,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international transactions are increasing, and the importance of contract increases to a large extent and role of contract grows significantly. Thereby, to cope with these situations, the necessity of common rules applicable to international transactions was emphasized, and there were some attempts to make uniform law. And Several results were already obtained, such as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and Principles of European Contract Law, etc. On the other hand, many countries in the world make active progress in revising civil law for the modernization of the civil law. In these situations, how to revise Korean Civil Code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article intends to observe the recent international trends of the law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which is an important subject in the field of civil law or contract law. For these purposes, at firs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which are important rule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contract law, and German Civil Code and the revision of the Japanese Civil Code, which have close relations with Korean Civil Law. Koreas trade dependency in gross domestic product(GDP) is very large. So Korea should create national wealth by international trade. Therefore reducing gaps between norms which are applied in international trades and norms which are applied in domestic transactions is desirable. For the purpose of aforesaid goal, this article suggests the two requirements. First, The initial impossibility must be incorporated into contract liability. Then the contract for the purpose of payment of the initial impossibility is valid. and The Korean Civil Code article 535 must be deleted. Because it is founded on the premise that impossibility has no obligation. Second, Principle of fault liability should be abrogated in rescission of contract.

      • KCI등재

        PICC상 계약해제의 요건과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심종석 ( Chong-seok Shim ),오현석 ( Hyon-sok Oh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40 No.2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 협약’(CISG)의 경우 계약해제는 계약내용에 따라 일방의 손실정도와 타방의 주관적 인식의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사정변경에 의한 계약해제의 효과는 명정하고 있지 않으나, 그 효과에 있어 타방이 지배할 수 없는 장애였거나, 예견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경우 면책된다. ‘국제상사계약에 관한 일반원칙’(PICC)상 불이행은하자 또는 이행지체를 포함하여 타방이 그 어떠한 의무이행을 행하지 않은 것으로, 그 결정기준은 불이행에 관한 중요성, 성격, 형평성, 발생가능성, 보장등의 고려를 요건에 두고 있다. 사정변경에 의한 계약해제는 계약의 형평성이 중대하게 변경된 경우 법원에 의한 재교섭청구권, 조정청구권, 계약해제 및 계약내용의 변경조정권 등을 효과에 두고 있다. ‘유럽계약법원칙’(PECL)은 계약내용에 따른 의무이행의 중요성, 불이행에 관한 정도, 성격, 예견가능성 등에 두고 있고, 사정변경에 의한 계약해제는 당해 급부가 현저히 부담스럽게 된 경우에 한하여, 사정변경이 계약체결 이후에 발생하고, 우연한 것이었으며, 당해 위험을 일방이 부담하여야 할 것이 아닌 경우를 조건으로, 법원으로 하여금 계약의 변경 또는 해제에 관한 교섭개시를 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CISG상 계약위반의 효과는 계약해제 및 손해배상청구와 대금감액권을 포함하여 하자보수청구, 대체물급부청구 등의 권리행사가 인정된다. 다만 위자료에 대한 배상은 인정되지 않는다. PICC에서는 불이행의 면책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모든 법적 구제수단의 행사가 용인되나, 불가항력, 상대방의 방해, 동시이행 또는 선이행의 항변에 의한 이행유보 등에 의한 면책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행청구권 및 손해배상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한편 불이행과 관련하여 이행에 대한 하자보수와 대체물급부청구권 그리고 금전채무의 경우 현실적 이행에 관한 대금지급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비금전채무의 경우 이행이 법률상 또는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 불합리한 부담이나 비용을 요하는 경우, 그 밖의 방법으로 합리적인 이행을 수용할 수 있는 경우, 개인적인 성격이있을 경우, 일방이 불이행을 알았거나 알았어야 할 때로부터 상당한 기간 내에 이행을 요구하지 아니한 경우 등을 제한요건으로 그 행사를 용인하고 있다. PECL상 원용할 수 있는 구제수단은 타방의 불이행이 장애에 기한 면책사유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 모든 구제수단이 인정된다. 불이행이 면책되는 경우일방은 이행청구와 손해배상청구를 제외하고 개별적 구제수단 일체를 원용할수 있다. 다만 당해 일련의 행위가 불이행을 야기하였다면 그 한도 내에서 이를 원용할 수 없고, 양립할 수 없는 것이 아닌 구제수단은 병존한다. Under the PICC, the right to termination is ensured by Section 3 of Chapter 7. When performance are so late or so defective that the aggrieved party cannot use it for its intended purpose or the behaviour of the non-performing party may in other respects be such that the aggrieved party should be permitted to terminate the contract. In this section, Arts. 7.3.1 and 7.3.2 state generally the issues of right to terminate the contract and notice of termination. Arts. 7.3.3 and 7.3.4 then deal with anticipatory non-performance and adequate assurance of due performance in case of anticipatory non-performance. And Arts. 7.3.5 and 7.3.6 finally clear the effects of termination. the right to termination is the most drastic remedy in case of non-performance, which reflects the gravity of the negative effects of non-performance or performance not complying with the terms of contract. Whether in a case of non-performance by one party the other party should have the right to terminate the contract depends upon the weighing of a number of considerations. A crucial challenge is therefore to identify the grounds on which the aggrieved party may be entitled to terminate the contract where the other party has failed to perform his oblig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act terms. In this respect, Chapter 7 carries on a general discussion on the major grounds for a party’s right to terminate the contract as contained in the CISG, PICC and PECL. As to be demonstrated through these examinations, the grounds for termination focus on the fundamentality of the non-performance, actual or anticipatory. An aggrieved party may terminate the contract only if the non-performance of he other party is fundamental, material and not merely of minor importance.

      • KCI우수등재

        법정해제를 위한 ‘중대한’ 채무불이행에 관한 고찰

        손명지 한국민사법학회 2019 民事法學 Vol.89 No.-

        법정해제는 계약준수의 원칙에도 불구하고, 최후의 수단으로서 계약관계를 일방적으로 파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유효하게 성립한 계약관계를 당사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해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계약의 구속력을 사후적으로 부정할 수 있는 적극적인 근거가 필요하다. 그 근거는 채무불이행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각국의 법은 채권자와 채무자의 이해조정을 위해 채무불이행의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영미법계에서는 중대한 내지 본질적인 채무불이행의 경우 계약해제를 인정하는데, 2016년 개정된 프랑스 민법 제1224조는 “충분히 중대한 채무불이행(inexécution suffisamment grave)”의 경우에만 해제할 수 있도록 명시하였다. 또한 우리 민법과 같이 유형별로 해제를 규정했던 일본 민법은 2017년 개정을 통해 제541조(최고에 의한 해제)의 규정에 “다만, 그 기간을 경과한 때의 채무의 불이행이 그 계약 및 거래상의 사회통념에 비추어 경미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는 단서를 추가하여 상당기간 내에 이행하지 않더라도 불이행이 경미한 경우에는 해제할 수 없다는 이른바 중대성 요건을 소극적으로 규정한 바 있다. 해제권을 발생시키는 채무불이행의 범위에 대해 우리의 일반적인 학설인 채무분류론에 따르면, 법정해제가 인정되는 채무의 불이행은 주된 채무의 불이행을 말한다. 쌍무계약에서 원칙적으로 주된 의무만이 상대방의 의무와 견련관계에 서며, 그 위반만이 계약해제권을 발생시킨다. 대법원 또한 채무분류론에 따르며, 주된 채무의 판단에 과연 본래의 계약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의 결과적인 입장을 고려한다. 이른바 해제의 중대성 요건과 관련하여 이 글에서는 학설과 판례가 계약해제의 요건으로 제시하는 주된 채무의 견련성을 로마법상 원인에서부터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영미법상 약인과도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였다. 우선, 로마법은 실권약관이라는 부수적인 약정을 통해 계약해소를 인정하였다. 그런데 중세교회법은 쌍무계약상 쌍방채무의 견련성이라는 관념을 통해 법정해제제도를 정립했으며, 이는 프랑스 제정 민법에 수용되었다. 반면 로마법의 전통에 충실했던 독일 보통법에서는 쌍무계약상 견련성의 관념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실권약관이라는 부수적 약정을 통해 해제제도를 이해하려 했으며, 견련성이 아닌 채권자의 무익성을 중심으로 해제의 요건이 발달해 왔다. 또한 채권자의 무익성을 증명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행지체에서 유예기간 설정을 통한 최고요건도 생겨나게 되었다. 견련성을 가지는 주된 채무의 불이행에 따라 해제의 요건을 제한하는 우리 학설과 판례의 태도는 역사적으로 쌍무계약상 쌍방채무의 견련성을 바탕으로 중세교회법상 정립된 법정해제의 본질상 타당한 해석론이며, 이는 법체계를 떠나 해제제도의 본질과 취지에 따라 인정되는 요건임을 알 수 있었다. 채무분류론은 해제를 발생시키는 주된 의무와 그렇지 않은 부수적 의무를 구분한다는 점에서, 해제를 발생시키는 ‘조건’과 그렇지 않은 ‘보증’을 구분하는 영국법과 유사하며, 영국판례의 태도 또한 예측가능성을 중시하면서도 개별사례에서는 유연성이 있는 우리 판례의 태도와 유사함도 살펴보았다. 또한 미국법상 ‘조건(conditon)’의 개념은 대륙법상 쌍무계약의 견련성(Synallagma)이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난 개정안 제544조는 최고 후 해제 원칙을 규... Der Rücktritt ist die einseitige Auflösung eines meist kürzlich geschlossenen Vertrages. Grundsätzlich sind Verträge wie vereinbart zu erfüllen, doch gibt es zahlreiche Ausnahmeregelungen, unter welchen Umständen und wie ein Vertrag rückabwickelt werden kann. Das Rücktrittsrecht ist ein einseitiges Recht, das durch allgemeine gesetzliche Bestimmungen formuliert sein muss. Er muss also von der rücktrittsberechtigten Vertragspartei ausgeübt werden. Das römische Recht war streng im Formalismus. Deswegen gab es keinen allgemeinen Weg zu den Rücktritt vom Vertrag, aber es gab einige Bestimmungen von jeder Vertragsauflösung wie lex commissoria. Lex commissoria haben großen Einfluss auf den Rücktritt des deutschen Zivilrechtes. Erst stammt allgemeines Rücktrittsrecht aus der Abhängigkeit des gegenseitig Vertrag im kanonnischrecht. Das Kanonische Recht hat Synallagma gegenseitiger Verträge anerkannt und begründete den Rücktritt als Bestrafung bei Nichterfüllung. Synallagma des gegenseitigen Vertrages wurde in der Idee des Naturgesetzes festgelegt. In Frankreich, unter diesem Einfluss des mittelalterlichen Kanonischsrechts, wurde der Rücktritt vom Vertrag als stillschweigende Rücktrittbedingung erlassen. Nach der Ausarbeitung und Abstraktion von Domat und Pothier, gab wurde die Artikel 1184 des französischen Zivilgesetzbuches (Code civil des Français 1804). Das deutsche Gemein Recht, das dem römischen Recht treu war, kannte die Idee eines gegenseitige Vertrages nicht. Also hat sich der Rücktritt vom Vertrag in Deutschland in Form der Geschäftsbedingungen entwickelt. Dieses Rücktrittsrecht war jedoch kein eigenständiges Rechtsinstitut, sondern wurzelte vielmehr im Schadensersatzanspruch und war ganz auf den Interessenwegfall des Gläubigers aufgebaut. Zum Nachweis des Interessenwegfalls des Gläubigers wurde die höchste Anforderung durch die Festlegung der Nachfrist in der Verzögerung geschaffen. Der Inhalt des Rücktritts im koreanischen Zivilgesetzbuch entspricht dem französischen Zivilgesetzbuch und die Form des Rücktritts dem deutschen Zivilrecht. Die Haltung unserer Lehre und unseres Urteils beruht auf Synallagma des gegenseitigen Vertrages in der historischen Entwicklung des Rücktritts. Dies ist eine gültige Interpretationstheorie im Hinblick auf den Zweck des Rücktritts. Die Klassifizierung der Schulden ähnelt dem britischen Recht, das zwischen “condition” und “warranty”. Der Begriff von “conditon” in common law spielt eine Rolle im Synallagma des gegenseitigen Vertrags in civil law. Der Verschulden des Schulders sollte, wie bei den Schadensersatzanforderungen, eine Voraussetzung des Rücktrittsrechts, ebenso wie die ursprüngliche Bedeutung des Rücktritts. Darüber hinaus ist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 des UN- Kaufrechts und der internationalen Modellnormen der, dass der Verschulden des Schulders als ein Faktor von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 angegeben wird. Es wird mehr im Einklang mit internationalen Trends sein. Das japanische Zivilrecht im 2017 konzentrierte sich auf die Nachfrist als Voraussetzung für den Rücktritt. Diese Form des überarbeiteten japanischen Bürgerlichen Gesetzbuchs scheint von dem 2002 geänderten deutschen Bürgerlichen Gesetzbuch beeinflusst zu sein. Es ist unwahrscheinlich, dass diese Gesetzgebung im Hinblick darauf dass der Schwerpunkt nicht der Interessenwegfall des Gläubigers aber Synallagma des gegenseitigen Vertrages ist, wünschenswert ist.

      • KCI등재

        개정 일본민법에서의 채무불이행법체계

        김철수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2 江原法學 Vol.69 No.-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recently revised Japanese Civil Law in relation to the system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Thus, in this paper, the system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the rescission of contract, and the 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were reviewed. The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requires that the obligor fails to effect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obligation as a basic requirement in relation to the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n addition,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stipulates that the reason for obligor’s liability, which is one of the requirements of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s judged in light of the contract and common notion of society in the transaction, not by the intention or negligence of the obligor. And in relation to the extent of demand for damages caused by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changed the expression that the party had foresee or could have foreseen to more normative expression by modifying it to the expression that the party should have been foreseeable. Second, in relation to the rescission of contract,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redefined the provisions on the rescission of contract by dividing it into the rescission by notice and the rescission not by notice. Regulations on the rescission by notice are general regulations on the rescission due to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and not only the delay of performance but also the incomplete performance are handled under these regulations. And the rescission not by notice is done without notice in the case of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in case of periodic acts, and refusal to perform. And as a requirement for the rescission of contract, the reason for obligor’s liability is not required. Third, regarding the 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changed the 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against defect as the liability for contractual inconsistency of goods, and the general principle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s applied. In addition, in case of the contractual inconsistency of rights, the provisions on the contractual inconsistency of goods are applied mutatis mutandis. As a result, both of the 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has been changed to the liability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Fourth, the revision of the legal system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n the Japanese Civil Law suggests the following points. First, regarding the requirement of liability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stipulates that the reason for obligor’s liability is judged in light of the contract and common notion of society in the transaction. I think that the discussion surrounding this point is worth a sufficient reference in the revision of the Korean Civil Law. In addition,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stipulates that i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s minor in case of the rescission by notice, the right of rescission dose not generate. Although the revision of the Korean Civil Law in 2013 has similar regulations, it also requires additional requirements that the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will be insignificant and that the purpose of contract will not be hindered. I think that further review is necessary for this point. The Revised Japanese Civil Law restructured the seller’s liability for warranty as the liability for contractual inconsistency from the viewpoint of the liability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Civil Law will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본고는 개정 일본민법에서의 채무불이행법체계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제3장에서는 계약의 해제, 제4장에서는 매도인의 담보책임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결론을 맺었다. 본고에서의 검토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 일본민법은 “채무의 본지에 따른 이행이 없는 때”라고 하는 것을 채무불이행의 기본적 구성요건으로 하고 있다. 또한 채무불이행의 요건의 하나인 귀책사유에 대하여는, 이것을 채무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파악하지 않고, 계약과 사회통념에 비추어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범위와 관련하여 개정 일본민법은 “예견하거나 또는 예견할 수 있었던 때”의 문언을 “예견하였어야 했을 때”로 수정하여 보다 규범적인 표현으로 바꾸었다. 둘째, 개정 일본민법은 계약해제의 규정을 ‘최고에 의한 해제’와 ‘최고에 의하지 않은 해제’로 나누어 재구성하였다. 최고해제는 채무불이행 해제에 관한 일반적인 규정으로서 이행지체는 물론이고 불완전이행의 경우도 이 규정에 의하여 처리된다. 그리고 무최고해제는 최고해제의 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이행불능, 정기행위, 이행거절 등의 경우에는 최고 없이 해제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그리고 계약해제의 요건으로서 채무자의 귀책사유는 요구하지 않는다. 셋째, 매도인의 담보책임과 관련하여 개정 일본민법은, 하자담보책임을 물건의 계약부적합에 대한 책임으로 수정하여 원칙적으로 채무불이행에 관한 일반원칙이 적용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권리의 계약부적합의 경우에도 물건의 계약부적합에 관한 규정을 준용함으로써, 매도인의 계약부적합에 대한 책임은 모두 채무불이행책임인 것으로 변경되게 되었다. 넷째, 개정 일본민법상의 채무불이행법체계의 개정이 우리 민법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개정 일본민법은 채무불이행책임의 요건인 채무자의 귀책사유를 계약과 거래상의 사회통념에 비추어 판단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 점과 관련한 논의는 우리 민법에서도 충분히 참고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개정 일본민법은 최고해제의 경우에 채무불이행이 경미한 때에는 해제권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2013년의 법무부의 민법개정시안에서도 이와 유사한 규정을 두고 있지만, 우리 민법개정시안에서는 채무불이행이 경미한 것 외에, 계약의 목적달성에 지장이 없을 것이라는 요건도 추가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점에 대하여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개정 일본민법은 매도인의 담보책임을 채무불이행책임으로 파악하는 입장에서 매도인의 담보책임을 계약부적합에 대한 책임으로 재구성하였는데, 우리 민법개정시안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개정을 포함시키지 못하였다.

      • KCI등재

        유럽공통매매법(안)에서의 불이행과 본질적 불이행

        성준호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외법논집 Vol.42 No.2

        Part 4 of the CESL (P) contains Obligations and remedies of the parties to a sales contract or a contract for the supply of digital content. And Article 87 stipulates non-performance and fundamental non-performance. The first is the definition of the non-performance (paragraph 1), the second is the definition of the fundamental non-performance (paragraph 2). The definition of 'fundamental non-performance' in paragraph 2 is based on the definition as provided in art 25 CISG. However, the CISG applies only in B2B contracts wherea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CESL (P) is broader, particularly it is applicable also in B2C relationships. Therefore, the underlying needs may be different. This has to be considered carefully when transferring the narrow interpretation of'fundamental' in the sense of the CISG to the CESL (P). The Fundamental non-performance of an obligation is substantially deprives the other party of what that party was entitled to expect under the contract, unless at the time of conclusion of the contract the non-performing party did not foresee and could not be expected to have foreseen that result or is of such a nature as to make it clear that the non-performing party's future performance cannot be relied on. 유럽공통매매법(안)은 제4편(Part IV) 채무와 물품매매 또는 디지털콘텐츠 공급계약의 구제를 규율하고 있으며, 그러한 매도인의 구제수단과 매수인의 구제수단 모두 최후의 구제방법의 하나로 계약관계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해제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해제권의 발생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상대방당사자인 매수인 또는 매도인의 불이행이 제87조 제2항 따른 ‘본질적 불이행’인 경우를 발생의 근거로 규정하고 있다. 제87조는 일반적인 ‘불이행’의 개념과 ‘본질적 불이행’을 규정하고 있다. 채권자구제수단을 발생케하는 원인으로 불이행의 개념범위를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획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제수단중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해제권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그 불이행이 본질적인 경우에 당해 계약관계를 소멸시킬 수 있는 해제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불이행이 본질적이라고 하기 위해서는 당사자의 기대를 실질적으로 박탈할 수 있는 불이행이거나 위반당사자에 대한 신뢰를 상실케하는 불이행이어야 하며, 이로 인해 더 이상 당해 계약의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기에 이르는 것이다. 이러한 본질성에 관한 사례별 접근을 통해 계약을 유지하기 곤란한 정도의 본질적 불이행의 개념에대해 살펴본다.

      • KCI등재

        契約解消의 要件論 -유럽契約法原則과 日本債權法改正提案의 比較-

        정종휴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1

        This article is for the survey of Unification of European Contract Law,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requirement of termination of contract. The requirement of termination of contract in the Principles of European Contract Law (PECL) will be compared with the “Basic Policy for the Revision of Japanese Contract Law”(2009). Why is it necessary to compare the PECL and the Basic Policy for the Revision of Japanese Contract Law? Because both are the fruits of research by scholars and the “unauthorized” materials for legislative discussion made to introduce the future change of civil law rather than for urgent political request. What is the meaning of this attempt? First, we can study the rule of termination of contract by comparing the two big proposals for the revision of civil law in the Eastern and Western hemisphere. Second, we can survey the differences in the ways of managing the system of termination. Third, we can learn the meaning of “comparison” in comparative law. As far as the requirement of termination of contract is concerned, PECL and the Basic Policy for the Revision of Japanese Contract Law separate the right of termination from the claim for damages, showing the typical “effect-requirement”pattern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requirement-effect” pattern. The two principles are the same in that while both confirm the contract’s binding power,they both agree that the aggrieved party may terminate the contract should the other party’s non-perfomance be fundamental. They are also similar in that the termination of contract does not require any reasons attributable to the other party;accordingly,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is no more a special pattern of non-performance and ‘assumption of risk’ will disappear. Though expressional difference, if any, is not so big a problem, practical differences such as defense for anxiety, the way of assessment of specifying a reasonable period when demanding performance, special provision for the BtoB contract etc. can be confirmed. However, in this article, I have raised a question as to why the Basic Policy for the Revision of Japanese Contract Law does not have the provision of “right to withhold performance”. 본고는 계약 해소의 요건에 관한 연구이다. 유럽계약법의 원칙(Principles of European Contract Law = PECL)상의 해소(termination)의 요건 규정들을 “일본민법(채권법) 기본방침”(2009)상의 해제 요건 개정제안과 비교하려는 것이다. 왜 하필이면 유럽 계약법원칙을 일본 채권법 개정제안과 비교하려 하는가? 양자 모두 학자들의 연구성과이기 때문이요, 시급한 정책적인 요청에서라기보다는 앞으로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작성된 “無權的” 立法論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도에는 어떤 의의가 있을까? 첫째는 지구의 동반구와 서반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장 큰 민법개정 작업을 통하여 계약의 해소가 어떻게 규율되고 있는지를 살피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는, 계약의 해소 제도 운용 방식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살피는 것이다. 셋째로, 넓게는 비교법에서의 “비교”의 의미를 검토하는 데 의의를 두고 싶다. 계약 해소의 요건에 관한 한 유럽계약법원칙을 일본 채권법 개정제안은 채무불이행의 기본적인 효과로서의 손해배상청구권과 계약해제권을 분리하여, 전통적인 “요건-효과” 규율 방식이 아니라, “효과-요건” 규율방식의 전형을 보여준다. 계약의 구속력을 확인하면서, “중대한 불이행”이 있으면 피해당사자는 계약을 해소할 수 있다는 방식의 규율에 양자는 일치한다. 계약해소권의 발생에 불이행 당사자의 유책사유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도 일치하며, 따라서 이행불능과 다른 채무불이행유형의 구별 취급이 없어지고, 위험부담제도는 역사속으로 사라질 것이 예정되어 있다. 문언 표현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차이는 그렇게 크다 할 수 없다. 실질적 차이를 보이는 곳은 불안의 항변권, 최고기간의 도과에 대한 평가 방식, 사업자계약 특칙 등이라 할 수 있으나, 본고는 “이행기전의 이행거절”에 관한 규율이 일본 채권법원칙에 들어 있지 않음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