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합건물의 하자담보책임

        손명지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20 집합건물법학 Vol.36 No.-

        The people’s typical way of residence is condominium like an apartment today. The apartment houses have meanings as the valuable goods as well as the basic living place for residents. Accordingly,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apartment houses are very important matters, and disputes over the defects in the apartment houses increase gradually.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s and the Housing Act respectively prescribe the warranty liability in order to deal with the defect issues in condominium. As a result, there have been confusions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relevant laws on the warranty liability of condominium. In the case of a contractual provision, the Vendor provides liability for the Vendor’s liability in the absence of the obligation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Article 580 of the Civil Code). In the case of the housing complex, it is also stipulated in the “Law for the Protec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Housing Management Law”, and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Law”. In the following, the nature of the warranty liability and the concept of defects will be reviewed as a prerequisite for the discussion on the liability for defects in condominium. In addition, based on this, this article examines the details of the security liability stipulated in various special laws and civil laws.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주거 유형의 대다수를 이루는 집합건물의 하자담보책임에 대해 법령 간의 관계와 주요 쟁점 및 판례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집합건물법에서는 완성된 목적물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민법상의 수급인의 담보책임규정을 준용하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집합건물법에 우선하여 주택법이 적용됨으로써 주택법과 공동주택관리법의 적용 또한 받고 있다. 일반 유상계약에 적용되는 매도인의 담보책임 규정 또한 보충적으로 집합건물의 하자에 적용될 수 있다. 집합건물의 하자담보책임을 검토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우선 하자담보책임의 법적 성질을 기반으로 하자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객관적 하자론은 법정책임설을 기초로 한 것으로 당사자의 계약목적으로 고려하기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채무불이행설의 입장에서는 하자의 개념을 주관적으로 파악하여, ‘물건의 계약부적합성’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집합건물의 하자는 건축과정이 매우 전문적이고 복잡하다는 점과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며 하자발생이 서서히 나타난다는 점 등의 특징이 있다. 이러한 집합건물의 하자 역시 주관적 하자 개념을 기초로 하여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택법과 집합건물법, 공동주택관리법 그리고 일반법인 민법에 따른 집합건물하자의 구체적인 담보책임의 내용으로 하자보수, 손해배상청, 계약해제, 대금감액청구 등의 권리구제방법을 행사할 수 있음도 살폈다. 하자보수청구권과 손해배상청구권과는 달리 집합건물법과 주택법에서는 계약해제권에 관한 명시 규정이 없다. 하자 있는 건물을 보수하여 본래 목적대로 원상회복하는 것이 사회경제적으로 손실을 줄일 수 있지만, 그것이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정도라면 이를 방치하는 것이 오히려 사회경제적인 문제를 더욱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대법원 역시 이와 관련하여 목적달성이 불가능한 정도의 하자에 대해서는 계약의 해제를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판례와 사회경제적 형평성에 비추어 담보책임으로서 해제의 문제는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독일 제정민법 성립과정에서의 해제제도

        손명지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5 No.2

        Diese Arbeit behandelt den historischen Prozess der Annahme eines rechtlichen Rücktritts im deutschen Zivilrecht. Das deutsche Gemeine Recht, das dem römischen Recht treu war, kannte die Idee eines gegenseitige Vertrages nicht. Das Rücktrittsrecht im Gemeinen Recht war jedoch kein eigenständiges Rechtsinstitut, sondern wurzelte vielmehr im Schadensersatzanspruch und war ganz auf den Interessenwegfall des Gläubigers aufgebaut. Der Widerstand des Gemeinen Rechts gegen ein allgemeinen Rücktrittsrecht wird vornehmlich mit dem noch fehlenden Synallagmagedanken begründet. Die Auflösung des Vertrages musste von außen erfolgen und konnte konstruktiv nur durch eine zasätzliche Bestimmung des Vertrages mittels einer auflösenden Bedingung erreicht werden. Auch die bedeutung des ALR für das Rücktrittsrecht beschänkt sich vorwiegend darauf, dass erstmals der Rücktrittsgedanke in Gesetzesform gegossen wurde. Der preußenische Entwurf hatte in einem ersten Schritt die Übernahme der eher weitgehend französischen Regelungen zum Rüchtritt des code civile empfohlen. Jedoch das ADHGB hat die resolutionsbedingung des Gemeinrechts akzeptiert. Der Rücktritt von des ADHGB wurde als eine Option auf Schadenersatz gewährt, und die Anzeige war erforderlich, um die Transaktion zu beschleunigen. In der Grundarbeit des BGB erkannte der Rücktritt des ersten Entwurfs die Unbrauchbarkeit der Leistung als eine Voraussetzung an und der Rücktritt und der Schadenersatz als alternative betrachtet wurden. Im zweiten Entwurf wurde jedoch die Nachfrist anstelle der Unbrauchbarkeit der Leistungen eingeführt, und in diesem Zusammenhang wurde der Verschuden des Schuldners berücksichtigt. 로마법에 충실했던 독일보통법에서는 중세교회법학자들에 의해 인정된 해제제도를 받아들이려는 시도는 없었으며, 상거래상의 필요성 때문에 개별적인 미봉책을 인정했을 뿐이었다. 그러나 근세에 이르러 자연법론자들의 영향으로 보통법상의 엄격한 금지가 어느 정도 완화되기 시작했다. 독일 제정민법의 해제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은 프로이센법초안을 채택했던 ADHGB이다. 그런데 근세자연법론과 프랑스법의 영향을 받았던 프로이센법초안과 로마법에 충실했던 보통법학자들의 견해가 많이 반영된 ADHGB의 해제는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프로이센초안단계에서는 ALR과 프랑스민법전의 영향으로 해제의 요건인 불이행의 형태가 포괄적이고, 재판상 행사할 수 있었다. 그런데 보통법학자들의 반대로 실권약관과 유사한 보통법상의 해제조건이 ADHGB에 수용되었다. ADHGB에서의 해제는 손해배상과 양자택일적으로 부여되었으며, 거래의 신속화를 위해 유예기간의 통지를 요건으로 하였다. 독일제정민법전의 기초 작업에서 제1초안의 해제제도는 급부의 무익성에 따라 해제권의 행사를 인정하였는데, 해제와 손해배상을 택일적 관계로 보고, 해제는 손해를 전보하는 수단으로부터는 멀어지게 되었다. 그런데 제2초안에서는 급부의 무익성 대신 좀 더 간이하고 신속한 ADHGB상의 최고를 통한 유예기간설정이 도입되었고, 이와 관련하여 채무자의 과책을 전제로 하는 이행지체를 고려하였다. 해제의 효과에 관하여 제1초안은 간접효과설을 따랐으나, 제2차위원회에서 해제에도 불구하고 계약이 존속한다는 이론구성은 자연적인 해석이나 당사자의 의사에 반한다는 비판이 있었고, 그에 따라 제2초안에서는 해제의 효과를 직접효과로 보았으나, 계약의 소급적 소멸이라고 명시적으로 규정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제2차위원회의 제2초안이 독일 민법으로 제정되면서 직접효과설은 일반적으로 승인되었다. 그런데 독일민법에서 계약해제와 손해배상청구의 양립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1차적 급부의무(Primare Leistungspflicht)위반의 손해배상청구는 못하더라도 2차적 급부의무(Sekundare Leistungspflicht)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독일민법 제정 이후 독일 특유의 학설인 청산관계설이 생겨났다.

      • KCI등재

        동성혼에 대한 재고 ―현행법상 해석론을 중심으로―

        손명지 한국가족법학회 2019 가족법연구 Vol.33 No.3

        Unlike some countries, Korea is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same-sex marriage being included in the marital institution through law interpretation reflecting a concept of marriage that changes based on Korean civil law. By considering the consensus of marriage, the meaning of marriage in civil law was highlighted, the public and public moralities of the marriage were reconsidered, and whether same-sex union could be included was confirmed. Although the customs and institutions of marriage have changed in different cultures and times, the notion that marriage basically means the union of men and women has been maintained. However, modern families are becoming more personalized, equalized, and diversified, so the traditional view of marriage has changed. Since same-sex marriage is a representative discussion of this shift, this paper deals with the modification of the marriage concept as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ng same-sex marriage. Marriage has a stable and lasting personality, and is a partnership that establishes a family through childbirth and nurturing. Most modern civil codes, including the Korean Civil Code, presupposed specific marriage concepts at least at the time of enactment, but the transition to a nuclear family society, the increase of dual-earner couples, the increase in divorce rates, the decrease in the marriage rate and fertility rat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uples without children, the factual marriage or the concept of marriage, which is typical of changes in social reality, including the increase in non-marriage and domestic partnerships, and the expansion of adoptive families, have also been extended. The discussion of same-sex marriage is a controversial discourse in theological, philosophical,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terms, but ultimately leads to legal issues. Marriage is a legal system that defines its requirements and effects in civil law and is a legal act under family law. In this age, where 29 countries have legalized same-sex marriage, the age-old concept of marriage as the union between the opposite sexes is blurred, and same-sex marriage is included in the concept of marriage. The concept of marriage is not fixed, but variable, and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rational union as its conceptual sign. This paper likewise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intention in marriage in the process of approaching same-sex marriage, focusing on the meaning of marriage with both a private contract and public and private properties as a compulsory regulation. It was concluded that same-sex marriage can be recognized as marriage only by the current civil law interpretation. Whatever the social meaning of marriage, marriage is a legal relationship that defines the status of spouses and rights obligations in civil law. The legal meaning of marriage, then, cannot be considered apart from the rights obligations that civil law provides for the effect of marriage. Legal opinions reflect this view. If one views the intention of marriage as a willingness to enlist the legal effect of marriage, on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marriage more normally and include same-sex marriage in the marriage agreement. However, seeing the intention of marriage as a legal act, motivating the effect of marriage, does not replace the meaning of marriage simply with the obligation of individual rights. Same-sex couples, like many who wish to have a heterosexual marriage, want marriage for symbolic and realistic purposes.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intention of marriage is the duty to live as a spouse, the right to inherit as a spouse, and the right to inherit from that position. Indirectly, such couples desire social recognition and a sense of belonging. In terms of content, agreement to same-sex marriage can be judged more normally.

      • KCI등재

        부동산 거래에서 스마트계약 적용의 민사법적 쟁점

        손명지 한국부동산법학회 2022 不動産法學 Vol.26 No.4

        이 글에서는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계약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부동산거래에 적용할 때의 법적 쟁점에 관해 고찰한다. 스마트계약은 가상세계를 통해 법적 규율로부터 절연된 계약의 이행을 목적으로 탄생된 기술이지만, 그 이행의 대상이 가치의 귀속주체가 현실공간의 존재이므로 현실세계의 규율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고, 당사자의 인식이나 의사결정, 결과가치의 평가, 제3자에 대한 책임 등에서 계약법적 접점을 가지게 된다. 스마트계약과 관련된 쟁점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채무계약이 성립은 되지만 그것이 미리 입력된 코드로 혹은 약속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이행이 이루어지는 것일 뿐이라고 볼 것이다. 스마트계약의 특징은 계약의 이행이 자동화된다는 것에 있으므로, 계약법상 분쟁의 초점이 계약의 위반보다는 주로 계약의 성립에 있다. 전통적인 계약에서 청약과 승낙은 스마트계약의 성립에도 문제되지 않으며, 스마트계약을 계약으로 본다면 그것은 요물계약이자 의사실현계약의 한 종류로 이해할 수 있다. 스마트계약의 성립 과정상 무효 또는 취소사유가 있는 경우, 민법상의 무효, 취소에 관한 법리가 스마트계약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인지에 관한 문제된다. 스마트계약을 계약으로 보는 입장에서 계약의 성립에 관한 민법의 규정이 스마트계약에도 원칙적으로 당연히 적용된다. 일반적인 계약이 계약의 성립요건과 효력요건을 갖추어야 구속력을 갖는 것과 달리 스마트계약은 계약의 유・무효를 가리지 않고 기계적으로 급부가 실행된다. 따라서 심지어 강행법규에 위반되거나 의사표시에 하자가 있더라도 이행에 장애가 되지 않으므로 소비자 등 약자 보호에 매우 취약하다. 이에 관한 법적 대안이 필요하다. 현행 민법상 부동산소유권이전을 위해서는 매매계약과 등기를 그 요소로 하는데, 실체법상 매매 등의 법률행위를 요식계약으로 구성하여 국가가 관리하는 블록체인 자산의 이전과정을 등록하는 것을 법제도로 의무화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토지거래와 관련된 실체법상의 관계를 얼마나 블록체인상에 표현할 수 있는지가 문제되는데, 이 경우에는 블록체인에 의한 거래를 요식계약으로 의무화하는 것이 실체관계와 블록체인상의 기록을 가능한 한 일치시킬 수 있는 장치가 될 것이다. 부동산이 블록체인에서 거래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하나의 부동산에 관한 물리적 현황과 물권적 특성을 블록체인 토큰상에 표시하는 스마트자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등기제도는 공신력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부동산 거래의 위험은 당사자가 부담한다. 이러한 현행 부동산등기제도의 개선방안으로서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을 검토할 수 있다. 부동산의 부실등기 위험을 제거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제3자의 검증 프로세스를 대체하는 분산원장의 잠재적 이점을 부동산등기제도에 적용함으로써 부동산등기의 신뢰성이 부여될 수 있다.

      • KCI등재

        해제요건론의 동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유책요건과 최고요건을 중심으로 -

        손명지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외법논집 Vol.46 No.3

        Der Rücktritt vom Vertrag ist eine wichtige Ausnahme vom Grundsatz der vertragsbindung. Daher sollte der Rücktritt ein rechtlichen Grund und ein geeignetes institutionelles System haben. Der Rücktritt stammt aus der Abhängigkeit des gegenseitigen Vertrages im kanonnischrecht. Das deutsche Gemein Recht konnte die Idee eines gegenseitigen Vertrages nicht. Also hat sich der Rücktritt vom Vertrag in Deutschland in Form wie Lex commissoria im römische Recht entwickelt und war nicht auf Synallagma des gegenseitigen Vertrages, sondern auf den Interessenwegfall des Gläubigers aufgebaut. Zum Nachweis des Interessenwegfalls des Gläubigers wurde die Nachfrist als Voraussetzung für den Rücktritt wegen des Verzuges geschaffen. Das Koreanische Zivilrecht regelt den Schadensersatz für die Nichterfüllung unter dem einheitlichen Begriff “Nichterfüllung”, aber das Rücktrittsrecht nicht unter dem einheitlichen Begriff wie Nichterfüllung, sondern nach dem jeweiligen Tatbestand der Nichterfüllung, z. B. wegen der Unmöglichkeit oder wegen des Verzuges. Der Verschulden des Schulders sollte, wie bei den Schadensersatzanforderungen, eine Voraussetzung des Rücktrittsrechts. Das Japanische Zivilrecht im 2017 wie BGB im 2002 konzentrierte sich auf die Nachfrist als Voraussetzung für den Rücktritt. Es ist unwahrscheinlich, dass diese Gesetzgebung im Hinblick darauf dass der Schwerpunkt nicht der Interessenwegfall des Glaubigers aber Synallagma des gegenseitigen Vertrages ist, wünschenswert ist. Dieser Beitrag geht davon aus, dass wir schon ein eigenes Gesetz und eigene Rechtsentwicklung in der Rechtspraxis und der Rechtslehre haben. Wir sollten daher bei der Reformarbeit nicht immer der Neuentwicklung im internationalen Vertragsrecht folgen. 최근 해제요건론은 국제적 동향에 부응해야 한다는 해석론과 입법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2017년 일본 민법 개정 이후로 우리 민법상 해제요건의 개정논의도 더욱 활발해졌는데, 2002년 독일 민법 개정 이후로 주된 논쟁이 되었던 유책사유 요건 논의뿐만 아니라, 일본 민법 개정의 논의과정에서도 중요한 쟁점이 되었던 催告를 통한 유예기간설정요건이 특히 부각되었다. 이 글에서는 독일과 일본의 민법 개정을 추종한 해석론 및 개정론,특히 유책요건 절연과 ‘최고 후 해제 원칙’에 대해 비판 적으로 검토하고, 법정해제의 취지와 우리 민법의 규정형식에 부합하는 해제요건을 고민한다. 계약해제에서 특히 이행지체로 인한 해제에서 채무자의 유책사유를 요건으로 하지 않는다는 해석론은 우리 민법상 과실책임주의와 일반채무불이행책임과 담보책임의 2원적 책임체계에 부합하지 않는다. 입법론적으로 채무불이행책임과 담보책임을 일원적으로 통합하는 것은 가능하나, 손해배상은 과실책임으로 하면서 해제만을 일반법정해제와 담보해제를 통합하는 독일 민법의 개정 방식은 체계적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더군다나 담보해제와 일반법정해제를 통합하지도 않으면서 법정해제의 유책요건을 제거하자는 개정론에는 결코 찬동할 수 없다. 쌍무계약의 이행상의 견련성을 고려할 때, 채무자의 유책사유로 인한 채무불이행의 경우에는 채권자 스스로 계약의 구속력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제도인 해제를 인정하는 것이 형평에도 부합한다. 법정해제요건에 대해서 일본의 민법개정과 우리의 민법 개정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독일의 개정 민법은 독일 민법 제정과정에서 탄생한 최고를 통한 유예기간설정을 해제요건의 중심에 놓고, 중대성 요건을 보충적으로 규정했는데, 이러한 유예기간 설정을 통한 최고는 독일 보통법상의 무익성 요건을 보다 쉽게 증명하기 위해 제2초안에서 채택된 것이다. 로마법에 충실 했던 독일 보통법은 교회법상 확립된 쌍무계약상 쌍방채무의 견련성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로마법상 실권약관과 같이 부수적 약관에 의해 계약해소를 인정했으며, 그 때에도 쌍방채무의 견련성이 아니라, 그 주관적 측면인 급부의 무익성을 기준으로 삼았다. 급부의 무익성이 아니라 쌍무계약상 쌍방채무의 견련성을 법정해제의 본질이자 요건으로 보는 입장에서 이러한 독일식의 입법방식은 주객이 전도된 것이다. 따라서 해제요건은 중대성 요건을 원칙으로 하는 일반규정을 두고, 최고요건은 이행지체유형 의 추가요건으로 하는 입법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법정해제를 위한 ‘중대한’ 채무불이행에 관한 고찰

        손명지 한국민사법학회 2019 民事法學 Vol.89 No.-

        법정해제는 계약준수의 원칙에도 불구하고, 최후의 수단으로서 계약관계를 일방적으로 파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유효하게 성립한 계약관계를 당사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해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계약의 구속력을 사후적으로 부정할 수 있는 적극적인 근거가 필요하다. 그 근거는 채무불이행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각국의 법은 채권자와 채무자의 이해조정을 위해 채무불이행의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영미법계에서는 중대한 내지 본질적인 채무불이행의 경우 계약해제를 인정하는데, 2016년 개정된 프랑스 민법 제1224조는 “충분히 중대한 채무불이행(inexécution suffisamment grave)”의 경우에만 해제할 수 있도록 명시하였다. 또한 우리 민법과 같이 유형별로 해제를 규정했던 일본 민법은 2017년 개정을 통해 제541조(최고에 의한 해제)의 규정에 “다만, 그 기간을 경과한 때의 채무의 불이행이 그 계약 및 거래상의 사회통념에 비추어 경미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는 단서를 추가하여 상당기간 내에 이행하지 않더라도 불이행이 경미한 경우에는 해제할 수 없다는 이른바 중대성 요건을 소극적으로 규정한 바 있다. 해제권을 발생시키는 채무불이행의 범위에 대해 우리의 일반적인 학설인 채무분류론에 따르면, 법정해제가 인정되는 채무의 불이행은 주된 채무의 불이행을 말한다. 쌍무계약에서 원칙적으로 주된 의무만이 상대방의 의무와 견련관계에 서며, 그 위반만이 계약해제권을 발생시킨다. 대법원 또한 채무분류론에 따르며, 주된 채무의 판단에 과연 본래의 계약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의 결과적인 입장을 고려한다. 이른바 해제의 중대성 요건과 관련하여 이 글에서는 학설과 판례가 계약해제의 요건으로 제시하는 주된 채무의 견련성을 로마법상 원인에서부터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영미법상 약인과도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였다. 우선, 로마법은 실권약관이라는 부수적인 약정을 통해 계약해소를 인정하였다. 그런데 중세교회법은 쌍무계약상 쌍방채무의 견련성이라는 관념을 통해 법정해제제도를 정립했으며, 이는 프랑스 제정 민법에 수용되었다. 반면 로마법의 전통에 충실했던 독일 보통법에서는 쌍무계약상 견련성의 관념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실권약관이라는 부수적 약정을 통해 해제제도를 이해하려 했으며, 견련성이 아닌 채권자의 무익성을 중심으로 해제의 요건이 발달해 왔다. 또한 채권자의 무익성을 증명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행지체에서 유예기간 설정을 통한 최고요건도 생겨나게 되었다. 견련성을 가지는 주된 채무의 불이행에 따라 해제의 요건을 제한하는 우리 학설과 판례의 태도는 역사적으로 쌍무계약상 쌍방채무의 견련성을 바탕으로 중세교회법상 정립된 법정해제의 본질상 타당한 해석론이며, 이는 법체계를 떠나 해제제도의 본질과 취지에 따라 인정되는 요건임을 알 수 있었다. 채무분류론은 해제를 발생시키는 주된 의무와 그렇지 않은 부수적 의무를 구분한다는 점에서, 해제를 발생시키는 ‘조건’과 그렇지 않은 ‘보증’을 구분하는 영국법과 유사하며, 영국판례의 태도 또한 예측가능성을 중시하면서도 개별사례에서는 유연성이 있는 우리 판례의 태도와 유사함도 살펴보았다. 또한 미국법상 ‘조건(conditon)’의 개념은 대륙법상 쌍무계약의 견련성(Synallagma)이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난 개정안 제544조는 최고 후 해제 원칙을 규... Der Rücktritt ist die einseitige Auflösung eines meist kürzlich geschlossenen Vertrages. Grundsätzlich sind Verträge wie vereinbart zu erfüllen, doch gibt es zahlreiche Ausnahmeregelungen, unter welchen Umständen und wie ein Vertrag rückabwickelt werden kann. Das Rücktrittsrecht ist ein einseitiges Recht, das durch allgemeine gesetzliche Bestimmungen formuliert sein muss. Er muss also von der rücktrittsberechtigten Vertragspartei ausgeübt werden. Das römische Recht war streng im Formalismus. Deswegen gab es keinen allgemeinen Weg zu den Rücktritt vom Vertrag, aber es gab einige Bestimmungen von jeder Vertragsauflösung wie lex commissoria. Lex commissoria haben großen Einfluss auf den Rücktritt des deutschen Zivilrechtes. Erst stammt allgemeines Rücktrittsrecht aus der Abhängigkeit des gegenseitig Vertrag im kanonnischrecht. Das Kanonische Recht hat Synallagma gegenseitiger Verträge anerkannt und begründete den Rücktritt als Bestrafung bei Nichterfüllung. Synallagma des gegenseitigen Vertrages wurde in der Idee des Naturgesetzes festgelegt. In Frankreich, unter diesem Einfluss des mittelalterlichen Kanonischsrechts, wurde der Rücktritt vom Vertrag als stillschweigende Rücktrittbedingung erlassen. Nach der Ausarbeitung und Abstraktion von Domat und Pothier, gab wurde die Artikel 1184 des französischen Zivilgesetzbuches (Code civil des Français 1804). Das deutsche Gemein Recht, das dem römischen Recht treu war, kannte die Idee eines gegenseitige Vertrages nicht. Also hat sich der Rücktritt vom Vertrag in Deutschland in Form der Geschäftsbedingungen entwickelt. Dieses Rücktrittsrecht war jedoch kein eigenständiges Rechtsinstitut, sondern wurzelte vielmehr im Schadensersatzanspruch und war ganz auf den Interessenwegfall des Gläubigers aufgebaut. Zum Nachweis des Interessenwegfalls des Gläubigers wurde die höchste Anforderung durch die Festlegung der Nachfrist in der Verzögerung geschaffen. Der Inhalt des Rücktritts im koreanischen Zivilgesetzbuch entspricht dem französischen Zivilgesetzbuch und die Form des Rücktritts dem deutschen Zivilrecht. Die Haltung unserer Lehre und unseres Urteils beruht auf Synallagma des gegenseitigen Vertrages in der historischen Entwicklung des Rücktritts. Dies ist eine gültige Interpretationstheorie im Hinblick auf den Zweck des Rücktritts. Die Klassifizierung der Schulden ähnelt dem britischen Recht, das zwischen “condition” und “warranty”. Der Begriff von “conditon” in common law spielt eine Rolle im Synallagma des gegenseitigen Vertrags in civil law. Der Verschulden des Schulders sollte, wie bei den Schadensersatzanforderungen, eine Voraussetzung des Rücktrittsrechts, ebenso wie die ursprüngliche Bedeutung des Rücktritts. Darüber hinaus ist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 des UN- Kaufrechts und der internationalen Modellnormen der, dass der Verschulden des Schulders als ein Faktor von “fundamental breach of contract” angegeben wird. Es wird mehr im Einklang mit internationalen Trends sein. Das japanische Zivilrecht im 2017 konzentrierte sich auf die Nachfrist als Voraussetzung für den Rücktritt. Diese Form des überarbeiteten japanischen Bürgerlichen Gesetzbuchs scheint von dem 2002 geänderten deutschen Bürgerlichen Gesetzbuch beeinflusst zu sein. Es ist unwahrscheinlich, dass diese Gesetzgebung im Hinblick darauf dass der Schwerpunkt nicht der Interessenwegfall des Gläubigers aber Synallagma des gegenseitigen Vertrages ist, wünschenswert ist.

      • KCI등재

        종교적 관심을 통해 본 동진시대 사대부의 불교 수용

        명지,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3 No.-

        Religious interests that caused the Han Dynasty Chinese to accept Buddhism include interest in transformation thoughts, rewards thoughts in good and bad acts, interest in nonaction (Wuwei 無爲), and ascetic practices for Wuwei. These elements were also inherited by the Buddhist Scholar-Officials’ religious interests in the Eastern Jin Dynasty. In other words, transformation thoughts and rewards thoughts were attributed to the Buddhist worldview. Meanwhile, interests in nonaction was attributed to interests in Xuanxue (玄學) on Wuwei Niepan (無爲涅槃). And the practice to reach Wuwei was attributed to the Buddhist practice. In this paper, I focused on how religious interests of Sun Chuo, a Buddhist scholar-official (奉佛士大夫) representing the Eastern Jin Era, motivated him to accept Buddhism. It was reviewed through his work, Youtiantaishanfu. Wit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popularity of Prajñā thought, as a result of Xuanxue’s exploration of Nirvana,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acceptance of Buddhism. Following this, it was possible to detect the religious interests of Buddhist scholar-officials during the Eastern Jin Dynasty on the Buddhist worldview.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composition of Youtiantaishanfu reflects the Buddhist worldview by comparing Tiantai Mountain to Vulture Peak and symbolically depicting the Buddha’s preaching on the mountain. 한대(漢代)의 중국인이 불교를 수용하는 요인이 되었던 종교적 관심으로 윤회사상과 선악보응사상에 대한 관심, 무위(無爲)에 대한 관심, 무위에 이르기 위한 수도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동진시대 봉불사대부들의 종교적 관심에도 각각계승하였다. 즉, 윤회사상과 보응사상은 불교적 세계관으로, 무위에 대한 관심은 무위열반에 대한 현학적 관심으로 그리고 무위에 이르기 위한 수도는 불교적 수행론으로 귀납된다. 본고에서는 동진시대를 대표하는 봉불사대부인 손작(孫綽)의 종교적 관심이 불교를 수용하는 데 어떠한 동기가 되었는지 그가 지은 유천태산부(遊 天台山賦)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열반의 현학적 탐구’로 반야사상이 유행하면서 불교 수용의 계기가 되었고, 이어서 ‘불교적 세계관’에 대한 동진시대봉불사대부의 종교적 관심을 볼 수 있었다. 즉, 유천태산부의 전체적인 구성에서는 천태산을 영취산에 비견하고, 산상에서 석존의 설법이 펼쳐지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묘사하는 등 불교적 세계관이 반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천태산을 오르는 방법에서도 안반(安般)과 십이문선(十二門禪) 등의 불교수행법이 반영되었을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승전』의 예언과 징조

        명지,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4

        In this paper, I endeavor to explore various methods of prophecy and precognition as recorded in Gaoseng Zhuan and to analyze their integration into this text. Prophetic techniques have held significant importance within the cultural framework of traditional society. Consequently, in Chinese Buddhism, the compiler of Buddhist hagiography needed to be proficient in both standard Buddhist scriptures, including texts translated or compiled based on Indian or Central Asian languages, and China's distinctive method of divination. The most prominent theme of prophecy within Gaoseng Zhuan pertains to the life of a monk. Specifically, it delves into the extraordinary occurrences preceding or coinciding with a monk's passing, illustrating the spiritual attainment of a high-ranking monastic as a resultant of their practice. This underscores the notion that the environment, encompassing nature, plays a pivotal role, thereby showcasing the concept of resonantal stimulus and response (感應). While rooted in traditional Chinese thought, it is also believed to reflect an engagement with Indian Buddhism. Consequently, it can be posited that the themes and prophecies delineated in Gaoseng Zhuan constitute a compelling amalgamation of Indian and Chinese Buddhist elements. In a broader sense, this analysis underscores the profound significance of prophecy, transcending mere supernatural power, within Gaoseng Zhuan. By the time Gaoseng Zhuan was compiled, these attributes were acknowledged as essential facets of monks possessing elevated virt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