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신계몽주의자의 “五四” 기억

        김승욱(金承郁, Kim, Seung-wook)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7 No.-

        이 논문은 근대 이래 중국 지식인사회를 규정해온 환경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구망의 위기”가 “오사” 기억을 구성하는 데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에 관해, 1930녀대 신계몽운동을 중심으로 검토해본 것이다. 신계몽운동은 1936년 9월부터 1937년 말까지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북경, 상해 등지의 좌파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문화운동이다. 이 운동은 그 참여 지식인의 폭이나 기간 또한 계몽운동으로의 내용 면에서 오사신문화운동의 그것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구망을 위한 사상적 동원구조 하에서 개별성보다 집체성이 우선시되면서, 계몽이 구망에 종속된 것은 이 운동의 분명한 한계였다. 그렇지만 이를 통한 구망과 계몽의 연결은 중국 지식인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었으며, 이는 중국 지식인사회의 ‘유전자’로서 자리잡게 했던 측면이 있었다. 오늘날 중국사회가 진정한 계몽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구망의 위기의식과의 연결성을 떨쳐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와 관련해서 앞으로 “오사” 기억이 어떻게 활용될 것인지 관심을 갖게 한다. This paper reviewed how the salvation crisis, the defining circumstance of the Chinese elite since the modern China, affected the constitution of the memories of the May Fourth, in particular in reference to the New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1930s. The Movement was a cultural movement that spanned September 1936 through the end of 1937, spreading among left-wing intellectuals in Beiping(Beijing) and Shanghai. At that time China was in danger of being conquer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and needed salvation from despair by invoking the legacy of the May Fourth spirits. The New Enlightenment Movement culminated an effort to bring to bear the experiences and insights from a cultural movement, but not comparable to the May Fourth Movement in size and length, it was incomplete in content and inconsistent in form. Its main limitation was that it was more in line with the requirements of nationalist mobilization by putting more emphasis to collective ideological participation rather than individual enlightened rationality. However, it is seen that the then rallying cries appealed to and had considerable impact on the Chinese public in urgent need of national salvation. Li Shenzhi, a pro-democracy scholar who was then in his youth, reflected on the movement, “it spread extensively soon with the myriad intellectuals gravitating to the new wave.” Also,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Enlightenment Movement” published by He Ganzhi in Shanghai in December 1937 was so popular that the third edition was reprinted only three months after the first one. Like this, there was evidence of the strong appeal made by the movement’s agenda, which appeared to signify a loose but important connection between the cause of salvation and the cause of enlightenment. This is also reminiscent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revived during the 1980s. As is well known, the voices for enlightenment from the intellectual and thought leaders since the reform opening of China have echoed with the feelings of the salvation crisis. The feelings of crisis of being deleted from the list of countries on the globe, which were reflected in the famous TV drama “River Elegy” was a good example. Such calls for cultural changes sparked by crises from the outside have been typical responses among Chinese intellectuals during modern Chinese history, which is thought to be more like a genetic legacy inherited. However, for China to promote societal enlightenment in its true sense, it seems desirable to throw away the obsession with salvation and patriotic nationalism, among others. In this context, it is quite interesting that how to leverage the historic memories of May 4 for the future. It is also intriguing that different attitudes of participants between the political section and cultural section were observed in the New Enlightenment Movement, that is, bold and decisive actions were called for in the political section, while attitudes towards the old traditions were demanded with more prudence. This more open position to the traditional culture is distinguished from the radical inclination shown in the May 4 cultural movement. This has a strong parallel with the different lines of behaviors that today’s China has taken in political and cultural settings, so to speak, a possibility of a simultaneous presence of political radicalism and cultural conservatism. This can be construed as another legacy from the New Enlightenment Movement, which still tended to advocate the old culture.

      • KCI등재

        박정희정권의 제2경제운동의 전개와 성격

        조유재 숭실사학회 2017 숭실사학 Vol.0 No.38

        본 논문은 1968년 박정희 정권이 제창한 제2경제의 배경과 그 논의의 전개 과정, 구체적인 활동 내용과 그것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도세력의 논리 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2경제가 가지는 역사적 위치를 재조명하였다. 박정희 정권은 이전 정권부터 지속되어온 계몽논리의 연장선상에서 지속적으로 국민운동을 통한 계몽과 생활개선을 추구하였다. 이는 물질적 근대화와 병행하는 정신적 근대화로 설명되었다. 제2경제 역시 유사한 목적의식의 결과물이었다. 이러한 제2경제의 목표는 ‘제2경제운동’이라는 국민운동의 형태로 나타났다. 제2경제의 논리는 앞선 국민운동 및 교화사업의 세부사항을 반복함으로서 근대화와 계몽의 담론이 가지는 지속성을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운동의 세부사항은 근대화에 따른 국민계몽담론의 확대 및 세분화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확장된 국민계몽의 논리는 지방행정과 가정의례준칙, 국민교육헌장과 같은 정부 정책의 이론적 기조로 기능하였다. 이같은 제2경제의 논의를 주도한 것은 정부와 공화당이었다. ‘제2경제운동 추진위원회’와 ‘제2경제실천계획’으로 대표되는 정부의 기획은 운동의 방향성을 엘리트에 의해 주도되는 하향식 운동으로 설정하였다. 정부의 방향 제시에 대해 상당수 엘리트들이 참여와 지지를 보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국민운동에 대한 당시의 긍정적 인식과 점증하는 사회적 갈등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국민운동으로서 제2경제는 앞선 운동들이 안고 있던 문제를 극복하지 못했다. 운동은 엘리트들을 행동의 주체로 삼아 대중으로의 파급을 목표로 하였으나 여전히 정부는 그 과정에 깊게 개입하였다. 자발적인 운동의 역량 역시 좌담회나 소규모 집회가 주를 이루는 미약한 수준에 머물렀다. 이러한 실질적 역량의 부재는 제2경제운동이 관념적 측면을 탈피하는 데 실패한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운동의 또다른 문제는 그 주도세력에 있었다. 당시 제2경제운동에 가해진 비판의 가장 많은 수는 그것의 실천 여부와 관련된 것이었다. 이는 당시 엘리트들이 솔선수범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음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담론의 형성과정에서 참여 엘리트들은 빠르게 이익집단화 하였다. 특정 인물들이 제2경제운동과 이후 국민계몽담론을 주도한 각종 사회단체에서 중복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들에 의한 계몽담론의 사유화와 생산구조의 독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제2경제운동에 대한 비판은 진보적 지식인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들 중 많은 수는 정부주도의 국민계몽이라는 방식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반대자들은 정부에 의한 계몽의 규범화를 비판하였고, 국민계몽담론의 제시를 당시 정책 실패의 무마책으로 판단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and develop process of “Second Economy” in 1968. Moreover, by examining the leading group and their logical structure, we tried to reinvent historical position of Second Economy. Park Chung-Hee’s regime pursued enlightenment and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 by a popular campaign. Second Economy was also extension of enlightenment campaign in the past time. Its goal was appeared by ‘Second Economy movement’ in line with popular campaign. The code of Second Economy repeated contents of earlier popular campaign and educational movement. It is not only 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enlightenment discourse i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but also showing the expansion of it. The enlightenment discourse expanded by the Second Economy was formed the foundation of government’s policy such as some contents of local administration, Family Rite Standards, the Charter of National Education. The government and the Democratic Republican Party led a process of the Second Economy. They set movement direction as a ‘top-down movement’ led by social elite. Considerable number of elite took part in movement. A positive awareness about popular campaign and social conflict caused by modernization provided a background for its justification. However, the Second Economy movement could not overcome chronic problems of popular campaign. Although the movement aimed to self-motion by the social elite, government still intervened into the movement. Furthermore, practical activities of movement was limited to public speaking or small assembly. As a result, the Second Economy movement remained indefinite form. Leading groups of movement was blame to its lame. The most of criticism to the Second Economy included practical problem. It proved disappointment against the elite at that time. Moreover, social elite became a kind of interest group in formation process of movement. Some of specific person led multiple social organization. It shows privatization and monopolization of enlightenment discourse. Progressive intellectual criticized the Second Economy. Many of them had a doubt about the process of mass-education led by government. The opponent resisted against the standardization of enlightenment discourse. The attempt of government was suspected of covering-up the complex of policy failure.

      • KCI등재

        20세기 초 한국 천도교의 계몽운동과 중국 신문화운동의 특성 비교

        김정호 동학학회 2011 동학학보 Vol.22 No.-

        Chondogyo’s enlightenment movement in Korea and Chinese New Culture Movement have some similar backgrounds: (1)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and Japan since the mid-19th century, (2) governments’ inability to respond to such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3) the limits of the capacity of response of domestic forces, and (4) strong Confucian tradition. Changes in awareness of these issues caused the need of public awareness and practical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Korea had some specific backgrounds such as lack of ethnic conflict, the absence of political alternatives according to long-term maintenance of the dynasty system, and Chondogyo’s unique religious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China had ethnic conflict, and it caused massive popular power. Chondogyo’s enlightenment movement in Korea and Chinese New Culture Movement have some similar contents in terms of strong critique to Confucianism and modern practical method for mass enlightenment. It was because they had the same goal of achievement of national independence and development through improvement of the people’s self-awareness. At the same time, they have common significant step such as 3‧1 Movement of Korea and 5‧4 Movement of China. The two movements acted as stimuli for activation of mass enlightenment movement in both countries. However, unlike the case of China, Korea experienced Japan’s colony in 1910. It was the fact that the nature of Korean mass movement tended to be focused on independence rather than enlightenment since 1910. And Chondogyo’s enlightenment movement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consciousness in 1920s. 한국 천도교의 계몽운동과 중국 신문화운동은 배경적 측면에서 19세기 중반 이후 진행된 일본 및 서구열강의 침투와 이에 대한 정부차원의 대응능력 부족, 대내외적 위기상황에 대한 제 세력들의 대응방식의 한계 노출, 그 원인으로서 전통적인 유학적 질서관의 견고함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양국에서의 대중계몽의 필요성과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게 하는 보편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한국은 민족모순의 결여, 장기간에 걸친 왕조체제의 유지에 따른 정치적 대안 부재, 그리고 천도교 대중운동이 지닌 종교성과 역사성이라는 배경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중국은 대내적 민족모순의 존재와 그것의 극복과정에 나타난 대중적 동력확보의 가능성이라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중국에서의 민족모순의 해결은 과거와의 완전한 단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천도교와 같은 연속성은 갖지 못한 것이다. 천도교의 계몽운동과 중국의 신문화운동은 유교비판론과 근대적 대중계몽운동의 실천론이라는 측면에서 내용적 보편성을 지니고 있었다. 천도교 계몽운동의 경우 인내천사상을 종지로 하는 종교적 대중운동의 성격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었으나, 대중적 자각능력 향상을 통한 독립과 국가발전의 성취라는 점에서는 중국의 신문화운동과 동일한 목표를 지니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통적 가치관과 생활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를열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계몽활동이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전개되었던 것이다. 전개과정에 있어서는 한국의 3‧1운동과 중국의 5‧4운동이 각기 양국 대중계몽운동 활성화에 중요한 계기로 작용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국가적 독립성을 끝까지 유지했던 중국과는 달리 한국의 경우 1905년의 외교권 박탈과 1910년의 한일강제병합을 경험했다. 이러한 환경적 요소에 의해 대중운동의 방향이 독립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경향이 있었고, 특히 천도교의 대중계몽운동이 역사의식과 민족의식의 발전에도 많은 부분을 할애하게 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나병은 낫는다”: “당신은 (이 사실을) 아십니까?” -잡지 『새빛』 수록 나병 계몽운동 자료 검토(1964∼1970)

        한순미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1

        As we know, the Korean Hansen’s disease literature requires differentiated approaches from other types of literature due to the different historical, social, and political specialities that the lepers and Hansen’s disease experienced. Especially, literary works that emerged during the period of the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should be reviewed in the flow of leprosy enlightenment policy and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ficity of leprosy literature by reviewing the enlightenment materials in the magazine THE VISION published between 1964 and 1970, of course there needs more discussions in details. The full-scale study on the magazine THE VISION has not yet been made. it is not an easy task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such as discussion, lecture, and advertisement. This was written in the process of thinking about how to approach the Korean Hansen's disease literature through the data of the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period. The magazine, THE VISION was published with the enlightening purpose to give a ‘new vision’ to ‘lepers’ in ‘the dark’. As the English title ‘Vision’ shows, the magazine began with the will to find hope in a desperate reality and to set a vision in the vision-less society. However, even under such a slogan of the enlightening movement, the social atmosphere did not change easily. It emphasized ‘enlightenment education’ to eliminate discriminative language and emotions, such as the term ‘Migama’[未感兒]. The social rehabilitation of lepers was still controversial. In this situation,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could go forward to the direction which was set originally? One thing to remember here is that the state of ‘ignorance’ about leprosy has become a standard for the boundary between Oriental medicine[韓醫學] and modern medicine, or traditional superstition and modern knowledge. Leprosy focused as the object of conquest and pioneering was not limited only to the problem of physical disease, and expanded to the problem of mental and cognitive dimension. Facing with the series of events caused by ignorance, the Enlightenment Movement presented medical common sense as an indispensable requirement to maintain a healthy life of daily life. The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has been made through mass media such as advertising, broadcasting, theater, movies, and public lectures such as medical classes and medical consultations since mid-1960s. The advertising included the ads such as “Do You Know (The Fact)?”, “Leprosy Heals”, and “Danger and Safety of Leprosy”. What we need to pay attention is that not only the leprosy but also disease were pointed as the ‘common sense of health’ that the public should learn. As the common sense of disease was regarded as the ‘knowledge’ to keep health, ignorance of disease was the object to ‘enlighten’.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Hansen's disease literature were decided according to the expert symposiums on leprosy, common sense lectures on leprosy, and ads of leprosy healing. ‘Leprosy Enlightenment Literary Works’[癩病啓蒙文藝作品], which the general readers participated in shows not only recognition change, but also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followed further detailed discussions in the future. 알다시피 한국 한센병문학은 한센인과 한센병이 겪어온 역사적, 사회적, 정치적인 특수성으로 인해 다른 유형의 문학과 차별화된 접근을 요구한다. 계몽운동 시기에 나온 한센병문학은 당시 나병 계몽정책과 운동의 흐름 속에서 살펴야 한다. 앞으로 자세한 논의가 이루어져야겠지만 이 글의 목적은 우선 1964년부터 1970년 사이에 출간된 잡지 『새빛』에 수록된 계몽운동 자료들을 검토하면서 한센병문학의 특수성을 헤아려보는 것이다. 잡지 『새빛』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좌담회, 강좌, 광고 등을 통해 계몽운동의 실상을 살피는 작업은 결코 가볍지 않은 과제들을 안겨 준다. 이 글은 부족하게나마 나병 계몽운동 시기의 자료들을 통해 앞으로 ‘한국’ 한센병문학을 어떤 각도에서 다가갈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쓴 것이다. 잡지 『새빛』은 ‘어둠’ 속에 있는 ‘문둥이’들에게 ‘새빛’을 주기 위한 계몽적 성격을 표방하면서 출간되었다. 잡지의 영문 제목인 ‘비전(Vision)’이 지시하는 것처럼 절망적 현실에서 희망을 찾고 비전 없는 사회에서 비전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안고 출발했다. 그러나 계몽운동의 구호 아래에서도 사회의 분위기는 쉽게 달라지지 않았다. ‘미감아’를 비롯해 차별적인 언어와 감정을 없애기 위한 ‘계몽교육’을 강조했으나 나환자의 사회복귀는 여전히 논란거리였다. 나병 계몽운동은 애초에 설정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었을까. 여기에서 한 가지 기억해둘 것은 한센병에 대한 ‘무지’의 상태가 한방의학과 현대의학, 전통적 미신과 근대적 지식의 경계를 나누는 기준이 되고 있는 점이다. 한센병은 단지 신체적인 질병의 문제로만 한정되지 않고 정신적, 인식적인 차원의 문제로 확장되었다. 무지로 인해 생긴 일련의 사태들 앞에서 계몽운동은 일상의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의학적인 상식을 필수불가결한 요건으로 제시했다. 광고, 방송, 연극, 영화 등 대중매체, 그리고 의학교실, 의학상담 등 대중강좌들이 1960년대 중반 이후 나병 계몽운동의 한 축을 형성했다. 대중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중강연’과 ‘광고’가 활용되었다. 광고 「당신은 (이 사실을) 아십니까」, 「나병은 낫는다」, 「나병의 危險과 安全」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이 광고들에서 주의 깊게 보아야 할 것은 나병만이 아니라 질병을 대중들이 습득해야 할 ‘건강 상식’으로 초점화하고 있는 점이다. 질병에 대한 상식은 건강을 지키기 위한 ‘지식’으로 부상하면서 질병에 대한 무지함은 우선 ‘계몽’해야 할 대상이 된다. 나병 계몽운동 시기 전문가들의 좌담회, ‘나병 상식 강좌’, ‘한센병 치료 광고’ 등은 당시 한센병문학의 성격과 방향을 결정했다. 일반 독자들이 참여한 ‘나병 계몽 문예작품’은 일반인들의 인식 변화와 그 한계를 보여준다. 이에 관한 자세한 논의는 다음을 기약한다.

      • KCI등재

        1910년대 계몽운동계열 비밀결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한규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7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issue and tasks of researches on the secret societies in the line of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nation in the 1910s and propose future tasks for such researches. It was first pointed out regarding the “line of Enlightenment Movement” that the criteria of distinguishing it from the line of Uibyeong Movement were ambiguous and that it was difficult to clearly tell them apart realistically. The scope of "secret societies" was restricted to the underground political organizations that aimed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in the 1910s. There were no constant criteria to tell the secret societies in the 1900s from those in the 1910s. The formation of secret societies in the line of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1910s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outbreak of World War I as it had been known. It must have also been influenced by the relaxed supervision and suppression of Japan for assemblies and group activities in 1913 and 1914. There is, however, a need for ongoing reviews since those findings derived from the estimations based only on fragmentary materials and the number of related articles in Maeil Shinbo. A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study mentioned Joseon Gukminhoi as a case that needed a critical review and Dancheon Jaripdan as a case that needed an investigation by the stage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secret societies that were difficult to categorize between the line of Uibyeong Movement and that of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1910s and also not a few secret societies that have not been researched. A review of those secret societies should be a task for future researches. 이 논문의 목적은 1910년대 국내 계몽운동계열 비밀결사에 대한 연구의 쟁점을 정리하고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계몽운동계열’의 개념에 대해서는 현재 의병운동계열과 계몽운동계열이라는 구분의 기준이 모호하며, 현실적으로는 명확한 구분이 어렵다는 점을 살펴봤다. 이어 ‘비밀결사’의 범주는 1910년대의 경우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한 정치적 지하조직으로 한정되며, 1900년대와 1910년대 비밀결사 구분의 기준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살펴봤다. 1910년대 계몽운동계열 비밀결사의 조직 배경으로는 종전에 알려진 대로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이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아울러 1913~1914년 집회의 개최 및 단체의 활동에 대한 일제의 감시ㆍ탄압이 다소 완화된 점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 짐작했다. 하지만 단편적인 자료와 『每日申報』의 관련기사 건수만으로 추정한 것이기에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향후연구의 방향으로는 비판적 검토가 필요한 사례로 조선국민회, 단계별 파악이 필요한 사례로 단천자립단의 사례를 꼽아봤다. 이밖에 1910년대에는 의병운동계열이나 계몽운동계열로 파악하기 어려운 비밀결사도 여럿이고 아직 연구가 되지 않은 비밀결사도 적지 않으나, 이에 대한 검토는 후일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미군정기 우익정치세력과 우익학생단체의 문해ㆍ계몽운동

        임송자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9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enlightenment and literacy campaign by the right wing political force and right wing students’ organization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to understand how their activities worked on the foundation of separate government by South Korea only.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right wings, and right wing students’ organization developed the enlightenment and literacy campaign in close relationship. The literacy campaign by the USAMGIK was carried out to fulfill policy goals; the USAMGIK intended to strengthen the U.S. position, transplant of the U.S. education, increase anti-communist ideology, establish capitalist market economy in South Korea. The force of Syngman Rhee and Korean Democratic Party took advantage of the right wing students’ organization as the vanguard on the purpose of enlarging and strengthening their political base in the enlightenment and literacy campaign. They conducted those campaigns in earnest to increase their power against the left and to implant anti-communist ideology since the American-Soviet Joint Commission was suspended. After the September general strike and October struggle in 1946, the left wing in South Korea shrank and its power became weak. The rightists’ connected activities with foundation of the election law for the South Korean Interim Legislature in this situation. They conducted the campaigns in a bid to establish the separate government, with emphasizing enlightenment for the election, since the second American-Soviet Joint Commission was failed and the Korean question was transferred to the U.N. by the U.S. The right wing’s works can be reviewed that they had an important role to achieve foundation of the separate government by South Korea only. 미군정기 문해ㆍ계몽운동은 문맹 대중에게 국문을 깨우치는 데만 목적이 있었던 순수한 의미의 운동이 아니었으며,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으로 긴밀하게 결부되어 있었다. 이 논문은 미군정기 우익정치세력과 우익학생단체의 문해ㆍ계몽운동을 살펴보고, 그 활동이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 과정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였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미군정­우익세력­우익학생단체는 긴밀한 연관관계를 형성해 나가면서 문해ㆍ계몽활동을 전개하였다. 미군정이 성인교육으로 운영한 공장학교는 공장노동자들을 전평세력으로부터 견인하여 반공이데올로기를 주입시키고 우익세력에 순치하도록 기능하였다. 재소자학교도 좌우대립이 낳은 산물로써 좌익 수감자를 순치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운영되었다. 미군정의 문해정책은 미국의 입지 강화, 미국식 교육의 한국 이식, 반공이데올로기 확산과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 구축을 위한 기반 형성이라는 미군정 정책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우익세력 특히 이승만ㆍ한민당세력은 정치적인 기반을 넓히고 다지기 위한 목적으로 문해ㆍ계몽활동에 우익학생단체를 행동전위대로 활용하였다. 우익세력의 문해ㆍ계몽운동은 1946년 5월 제1차 미소공위 휴회 이후 좌익과 대결하여 세력을 확장하고 반공의식을 주입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9월 총파업, 10월 항쟁 이후에는 좌익세력이 위축되고 세력이 약화되는 가운데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선거법 제정과 연계시켜 나갔다. 그리고 제2차 미소공위가 결렬되고 한국문제가 유엔으로 이관된 시기 이후에는 단독정부 수립을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선거계몽에 치중하여 활동을 벌여나갔다. 이러한 우익세력의 활동은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성사시키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王三德의 생애와 민족운동

        박경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7

        본 연구는 대한민국임시정부 특파원으로 서북간도에 산재한 독립운동단체를 규합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왕삼덕의 생애와 독립운동을 조망하였다. 왕삼덕은 임시정부 서간도 특파원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특파원 활동 이후에도 임시정부와 만주지역에서 독립을 위해 헌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갖지 못하였다. 더욱이 만주 망명 이전 그의 삶에 대해서는 어떠한 활동도 파악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그가 만주 망명 이전 본명 전병현으로 서북지방에서 애국계몽운동에 참여하고 1910년대 초 서간도로 망명하면서 왕삼덕이라는 가명을 쓰게 되었음을 확인함으로써 그의 연구가 진척될 수 있었다. 1878년 평안남도 은산에서 태어난 그는 개천군수를 지낸 아버지의 영향으로 전통유학을 공부하고 평안도 관찰부주사로 관직생활을 하였다. 하지만 관직생활도 잠시 기울어져가는 국운에 관직을 그만두고 을사조약을 반대하는 상소문 운동에 참여하게 된다. 관직에 오르기 전 김구에게 가르침을 받았던 그는 일제로부터 나라를 빼앗길 상황에 처하자 김구로부터 영향을 받아 독립운동가의 삶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후 왕삼덕은 애국계몽운동의 방편으로 국민사범학교에서 교사의 자격을 갖추고 황해도와 평안도에서 학교를 설립하고 교사로 활동하는 등 교육운동에 매진하고 서우학회에 가입하여 농촌개량과 신교육 보급의 중요성을 설파하였다. 1910년 안악사건과 105인사건으로 서북지방에서 활동하던 신민회원들이 다수 체포되면서 왕삼덕은 본명 전병현에서 왕삼덕으로 이름을 바꾸고 서간도로 망명하였다. 이때부터 그는 서간도에서 경학사ㆍ공리회ㆍ부민단 등에서 활동하며 독립전쟁과 독립기지 건설을 위해 노력하였다. 1919년 길림군정사에서 활동하던 그는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된다. 그의 의원 선출은 그가 일찍부터 서북지역에서 애국계몽운동에 참여하고 만주지역 여러 독립운동단체에서 활동한 것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이어서 그는 서북간도에 위치한 무장투쟁독립운동단체들의 실상을 파악하고 통합을 추진하는 적임자로 임시정부 특파원으로 선임되었다. 왕삼덕은 안정근과 함께 서북간도 여러 독립운동단체를 방문하고 상해임시정부 산하로 규합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그는 독립운동을 위해서는 러시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안정근ㆍ홍범도와 함께 중ㆍ러연합선전부에 가담하기도 하였다. 1921년 왕삼덕은 임시정부의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다른 독립운동가들과 함께 ‘아 동포의 고함’을 발표하고 임시정부의 개조를 주장하게 되었다. 그는 임시정부를 탈퇴하고 국민대표회의에 고려공산당 대표로서 참여하였다. 그러나 국민대표회의는 끝내 결렬되었고, 고려공산당의 행보에도 실망하여 탈퇴하고 다시 길림으로 떠났다. 길림으로 간 왕삼덕은 선전원으로 남만주 독립운동단체의 통합을 위해 여러 단체에 방문하여 통일을 설득ㆍ주장하였고 그의 이러한 노력은 정의부 조직에 일조하게 되었다. 정의부 조직 이후 왕삼덕은 남만주 지역을 근거로 정의부와 동우회 등에서 활동하나 1927년 이후 그의 활동상은 파악할 수 없는 실정이다. 왕삼덕은 1905년 을사늑약에 반대하여 상동회의에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애국계몽운동에 참여하고, 만주와 상해를 근거지로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그는 독립운동단... Wang Sam-duk is well-known as a correspondent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he couldn’t attract much attention until,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he had participated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n northwestern regions of Korea as Jeon Byung-hyun, his real name before his exile to Manchuria, and that had changed his name to Wang Sam-duk in the early 1910s as he was exiling to West-gando, which has helped to develop my research. He was born in 1878, Eunsan, Pyeongannamdo, and studied Confucianism, became a government official in Pyeongando, under the influence of his father, who was a country governor. Although, when the country was in danger of deprival, he quitted his job and started to be part of the movement against the Eulsa Treaty. It is interpreted that his decision of participating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was influenced by Kim Gu. As he had been taught by Kim Gu before his governor work, he had probably become interested in Kim Gu’s modern study and Christianity. Later, Wang Sam- duk devoted himself to education, becoming a teacher and establishing schools in Hwanghaedo and Pyeongando, and became a part of the Seowoo society to spread the importance of rural improvement and of diffusing new education. After An-ak incident and the Korean conspiracy case in 1910, Wang Sam-duk changed his name from Jeon Byung-hyun to Wang Sam-duk and exiled himself to West-gando. Since then, he made his endeavor in West-gando for the liberation war, building a base for the war. In 1919, he got elected as a council member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recognition of his early efforts such as participations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n northwestern regions of Korea and in many independence movements in Manchuria. In 1920, Wang Sam-duk was appointed as a Provisional Government correspondent of West-north gando, and, with Ahn Jeong-geun, visited many different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in West-north gando, trying to unite them und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lso, he joined a propaganda union for China and Russia, with his thought that support from Russia would be needed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1920, Wang Sam-duk pointed out several problem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with other activists, spoke out the need of reorganiz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He left the Provisional Government, joined Korean Communist Party and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vention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Communist Party. But,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vention was eventually failed to come to an agreement so he left again to Gilim. He pursued his idea to unify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in south Manchuria, becoming a negotiator and visiting those groups to persuade them, which led to help to organize Jungeuibu. After establishing Jungeuibu, Wang Sam-duk worked for Jungeuibu, Dongwoohoe and schools in south Manchuria, but there are very little information about his work after 1927. Wang Sam-duk was only known as the activis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during this research, it was found out that he had participated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many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in West-gando since the early 1900s, and that these activities had encouraged him to work as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rrespondent of West-north gando, the representative of Korean Communist Party for the National Representative Convention, and the negotiator of Jungeuibu. It was the trigger for his independence movement over his whole lifetime, the desire to retrieve the country after uniting all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 KCI등재

        최용신의 농촌운동론 - 농촌계몽론자에서 브나로드운동론가로 -

        김인식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1

        최용신은 식민지시기 수원군 반월면 샘골과 인근의 마을에서 농촌운동에 헌신하다가 26세로 삶을 마감한 농촌운동가였다. 대한민국정부는 그를 “식민지 수탈에 의해 피 폐된 농촌사회의 부흥을 위해 농촌계몽운동으로 일생을 바친 독립운동가이다.”고 평가하며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식민지시기 그의 농촌운동이 독립운동으로 인정받은 까닭은, 동일 영역의 다른 운동자들과도 구별되는 일관성과 헌신성 때문이었다. 농촌운동가에서 독립운동가에 이르는 모든 범주를 포괄하여, 최용신을 한마디로 규정한 다면 ‘크리스천 브나로드운동가’가 가장 적절하다. 이 논문은 최용신이 크리스천 농촌계몽론자에서 출발하여 크리스천 브나로드운동가로 발전하였다는 시각에서 서술하였다. 여기서 ‘크리스천’은 그의 농촌운동의 의의와 한계를 그대로 드러내는 본질이다. 19세기 러시아의 브나로드운동은 농민운동․계급운동으로서 성격을 지니면서도 구호와 달리 민중과 괴리되었다. 최용신의 브나로드운 동은 농민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지만, 민중과 일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말과 그대로 일치한다. 그러나 최용신의 브나로드운동은 농민의 자각을 촉구하는 측면에 머물 렀을 뿐, 농민계급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농민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최용신의 농촌운동을 지탱한 토대는 기독교신앙이었고, 그의 농촌운동은 기독교신앙에 입각한 기독교복음화운동의 일환이었다. 그는 계급․민족․빈부․귀천 등 모든 대립과 차별을 동시에 넘어설 수 있는 길은 ‘그리스도 예수의 사랑’이라고 믿었다. 최용신의 농촌운동론은 농촌여성을 계몽하기 위하여 그들의 문맹부터 퇴치하자는 농촌계몽론 에서 출발하였다. 협성여자신학교에 입학한 뒤에 황애덕의 지도를 받으면서 그의 농촌운동은 실천단계에 들어갔다. 최용신은 농촌실습과 브나로드운동에 참여하면서, 또 조선YWCA 운동에 관계하면서 돋보이는 실천력을 인정받았고, 이것이 그가 샘골에 파견된 배경이었다. Choi Yong-shin, who died at the age of twenty-six, was an activist dedicated to the rural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warded her an Order of National Pride (Aejok Jang) posthumously citing “She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dedicated her life to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to revive rural communities impoverished by the colonial exploitation.” The reasons why her activities in the rural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occupation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were her consistency and dedication that differentiated her from other rural movement activists. Of all possible definitions for Korean activis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Choi Yong-shin can be most appropriately characterized as a Christian Narodnik. This paper takes a view that Choi Yong-shin started out as an activist in the Christian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nd developed into a Christian Narodnik. Here, being ‘Christian’ is the essence that reveals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 of her rural movement. Even though the Narodniks, or the ‘V narod’ movement, of the 19th century Russia were characteristically a peasant movement and a class movement, there was a large gap between the Narodniks and the people. But Choi Yong-shin’s V narod movement was true to its slogan by being with the people. Nevertheless, Choi Yong-shin’s V narod movement was limited to one of encouraging peasants to be self-aware without evolving into a peasant movement that represented the interests of the peasant class. The foundation that sustained Choi Yong-shin’s rural movement was her Christian faith, and her rural movement was part of a Christian evangelical movement. She believed that the way to overcome all conflict and discrimination in class, race, wealth, and social status was through ‘the love of Jesus Christ.’ Choi’s theory of rural movement wa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enlightenment of rural women began with enhanced literacy. Choi put her ideals into practice after enrolling in the Union Theological Seminary for Women under the tutelage of Hwang Ae-duck. She gained recognition for her power of execution while participating in practical farming works and the V narod movement, along with her activities in the Korean YWCA movement. It was YWCA that sent her to Saemgol village as a dispatched teacher, where she began her work as a rural activist.

      • KCI등재

        근대 아랍문예운동과 계몽 : 유럽과 한국 비교연구

        장세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1 중동연구 Vol.29 No.3

        근대의 시점은 세계 문학권역 별로 서로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는 그것이 유럽이든 그렇지 않든 간에 대부분의 문학권역에서 계몽사상과 함께 출발하고 있다. 근대의 출발이 유럽이었으므로 계몽운동 또는 계몽사상 또한 유럽에서 제일 먼저 꽃을 피웠다. 계몽사상이란, 전통적 사고와 가치관의 틀을 과감하게 깨트리고자 했고, 이것은 인간의 자유와 평등, 중세사고로부터의 탈피 즉 구습타파와 신사고 운동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럽문인들은 당대 시대정신인 계몽사상을 문학이란 장치를 통해 전파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제 3 세계 문학에도 그대로 유입되었으며, 아랍과 한국의 문학계도 예외가 아니었다. 근대 초 아랍문학과 한국문학은 계몽사상으로 점철되어 있었다. 당대 아랍과 한국문인들은 계몽사상의 홍보 수단으로서 시보다 산문 더 정확히 말하면 소설을 이용하였다. 그 이유는 소설이 가진 독특한 장르적 특징에서 찾을 수 있다. 소설은 비정형성 장르로서 전통타파라는 계몽정신과 부합할 뿐만 아니라 대중들이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그야말로 친대중적인 장르였다. 여기에 소설은 시에 비해 분량이 많고 함축적 수사보다 단순한 서술에 치중할 수 있어서 사상의 대중 홍보에 유리하였다. 그러나 계몽의 내용과 방법 유럽의 그것과 상이했다. 오히려 계몽의 내용에 있어서는 제 3 세계문학 간의 유사점이 더 많다. 그것은 아마도 제 3 세계 계몽문인들이 유럽의 계몽정신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문명, 관습, 전통, 교육사상을 고려하여 계몽의 강도와 내용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아랍과 한국의 문예운동 발전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황애덕과 대한민국애국부인회

        윤정란 숭실사학회 2009 숭실사학 Vol.22 No.-

        황애덕이 민족운동가로서 활동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성장배경과 깊은 연관이 있었다. 당시 대표적인 민족운동가 안창호, 조만식 등이 거주하면서 민족운동적인 분위기를 만들었던 평양에서의 성장, 굳은 신념을 가지게 했던 기독교와의 만남, 평양 최초의 여학교인 정신학교와 이화학당에서의 근대교육, 새로운 근대학문에 개방적이었던 부모님 등이 황애덕을 민족운동가로서 성장 할 수 있게 한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성장한 그는 송죽결사대를 직접 조직하고, 동경 2ㆍ8독립선언식 참여, 3ㆍ1운동 참여, 그리고 대한민국애국부인회본부 활동 등에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황애덕은 이로 인해 대구형무소에서 3년간 옥살이를 하면서 많은 것을 배우고 경험했다. 결국 독립이 되려면 모든 일반 여성대중들도 문맹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었다. 즉 어떤 운동보다도 계몽운동이 앞서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대구형무소에서 출소한 이후 학업을 계속하는 한편, 여성계몽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1920년대에는 태화관에서 여성교육운동, 근우회 활동, 그리고 미 국 유학을 다녀온 후에는 여성농촌계몽운동에 몰두하였다. 당시 농민이 전민족의 80퍼센트에 해당되었기 때문에 농촌계몽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운동을 하는 한편, 여성소비운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였다. 그래서 여성소비조합운동 결성에도 많은 노력을 했다. 해방 후에는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정치운동에 나섰다. 황애덕은 초기에 독립을 위해 적극적인 항일운동에 나섰지만 대구형무소에서의 일반여성대중들과 만나면서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일은 여성계몽운동에 있다는 것을 자각하고 운동의 방법을 바꾸었던 것이다. Hwang Ae-Duck made a big footstep as a protagonist of national movement on account of her background. She was grown up in Pyongyang where famous nationalists like An Chang-Ho, Cho Man-shik worked together. And her personal encounter with Christian faith, modern education at Jungshin that is the first women’s high school, Ehwa Academic Institution, and special care of her parents who widely opened to state-of-art modern studies made her a national movement leader. On such a circumstances, she organized [Songjuk death-defying corps] by herself to take part in 2ㆍ8(8, Feb.) Independence Declaration ceremony and 3ㆍ1 Movement(1, Mar.). And she actively spearheaded in Korea matron’s Patriotic club activity. For this career, she spent three years in Daegu detention house learning many life lessons. She insisted that every women have to come out of illiteracy to make our nation independent. So strongly she stressed on enlightenment more than any other movements. Right after release from Daegu Detention house, she began to study and put it into practise with special reference to women’s enlightenment. She was deeply absorbed in women education at Taehwa-kwan (where Independence statement was declared), Geunwoo-Hoe activity, and especially contributed in movement to enlighten women in agricultural area since coming back from oversea’s study in USA. She thought that education for agricultural women is the utmost task, because farmers were more than 80% of all population back then. On the other side, she made an effort in parallel to teach women’s consumption behavior. As a fruit, she established an organization like consumption trade union. On this springboard, she finally jumped into political activity. In early stage, she took the lead in anti-Japan movement. But in the midst of it, while interviewing many women in Daegu detention house, she realized that women’s enlightenment is the most urgent burden to make our nation indepen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