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A 모형 기반의 에코효율성과 경제적 성과의 연관성

        김명종 ( Myoung Jong Kim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환경정책연구 Vol.13 No.4

        기업의 환경책임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의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환경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 기업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수준은 낙후된 편이며, 환경 관련 연구들도 환경성과와 경제적 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일관된 결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첫째, 경제적 성과는 평가범위가 상대적으로 협소하고 가격이라는 공통 단위로 측정될 수 있는 반면, 환경오염물질의 감소, 온실가스 및 탄소 배출의 감소, 에너지 효율 등과 같은 환경성과는 평가범위가 다양하고 측정단위가 상이하기 때문에 선정되는 성과지표에 따라 서로 다른 연구결과가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반화되고 표준화된 성과지표의 개발이 모색되어야 하며, 특히 환경경영의 의미가 ``지속성장``이란 개념으로 확장됨에 따라 이러한 정의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개발된 성과지표는 환경성과와 경제적 성과의 의미를 동시에 포괄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현재 대부분의 연구는 환경경영의 실행주체인 기업의 환경투자 동기 및 환경성과에만 주목하고 있을 뿐, 환경경영의 효과적인 실천전략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경쟁업체들과의 상대적인 환경경쟁력을 비교함으로써 프로세스 개선전략 또는 시장차별화 전략을 도출하고 이를 경제적 성과와 연계하기 위한 환경전략의 선택적 대안을 제안함으로써 환경성과와 경제적 성과의 선순환적인 관계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첫째, 다수 투입과 다수 산출요인으로 구성된 에코효율성을 자료포획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모형을 통하여 산출하고자 한다. 에코효율성을 기초로 국내 기업들의 환경경쟁력을 비교분석하고 에코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환경전략의 선택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패널분석을 이용하여 에코효율성과 경제적 성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합동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에코효율성과 경제적 성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국내 23개 기업의 4개년 자료를 대상으로 DEA에서 산출된 에코효율성을 이용하여 표본기업들의 기간별 에코효율성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에코효율성을 기초로 23개 기업의 연도별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및 규모효율성을 비교하였으며 비효율적인 기업들의 에코효율성 개선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에코효율성과 경제적 성과로의 인과성이 존재하고 있으며, 수익성(ROA 및 ROS) 및 기업가치(토빈 Q, 주가 및 주가수익률)와 같은 경제적 성과와 에코효율성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에코효율성이 기업의 수익성 및 기업가치와 매우 유의적인 양(+)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의 결과는 다양한 환경변수와 경제적 성과변수를 통합한 에코효율성을 이용함으로써 환경 관련 연구들의 일반성이나 보편성을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관리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보다 깊은 통찰력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DEA 모형에서 제공하는 연도별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및 규모효율성의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에코효율성에 대한 변화의 원인을 탐색하고 환경경영에 대한 선택적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환경경영의 실행방향과 구체화된 실천목표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분석된 일관된 연구 결과는 기업의 환경투자가 경제적 성과로 연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선순환적인 환경경영의 동기부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Growing interest of stakeholders on corporate responsibilities for environment and tighten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more than ever. However, companie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is still falling behind, and related academic works have not shown consistent conclu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One of the reasons is different ways of measuring these two performances. The evaluation scope of economic performance is relatively narrow and the performance can be measured by a unified unit such as price, while the scope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is diverse and a wide range of units are used for measuring environmental performances instead of using a single unified unit. Therefore, the results of work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indicators selected.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generalized and standardized performance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indicators should be able to cover the concepts of both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because the recent idea of environmental management has expanded to encompass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Another reason is that most of the current researches tend to focus on the motive of environmental investment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do not offer a guideline for an effective implementation strategy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example, a process improvement strategy or a market discrimination strategy can be deployed through comparing the environment competitiveness among the companies in the same or similar industries, so that a virtuous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can be secured.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eco-efficiency by utiliz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hich is able to combine multipl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is proposed in this report. Based on the eco-efficiencies, the environmental competitiveness is analyzed and the optimal combination of inputs and outputs are recommended for improving the eco-efficiencies of inefficient firms. Furthermore, the panel analysis is applied t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co-efficiency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the pooled regression model i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efficiency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four-year eco-efficiencies between 2010 and 2013 of 23 companies are obtained from the DEA analysis; a comparison of efficiencies among 23 companies is carried out in terms of technical efficiency(TE), pure technical efficiency(PTE) and scale efficiency(SE), and then a set of recommendations for optimal combination of inputs and outputs are suggested for the inefficient companies.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panel analysis have demonstrated the causality from eco-efficiency to economic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pooled regression have shown that eco-efficiency positively affect financial perform ances(ROA and ROS) of the companies, as well as firm values(Tobin Q, stock price, and stock returns). This report proposes a novel approach for generating standardized performance indicators obtained from multipl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s, so that it is able to enhance the generality of relevant researches and provide a deep insight into the sustainability of environmental management. Furthermore, using efficiency indicators obtained from the DEA model, the cause of change in eco-efficiency can be investigated and an effective strategy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can be suggested. Finally, this report can be a motive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that environmental investments can improve economic performance.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이 사회·경제적 성과에미치는 영향 -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

        나선영,이성근 대한지방자치학회 201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이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 사회·경제적 성과, 사회·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고 실증분석을 통해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이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의 예비사회적 기업을 포함한 사회적 기업이고 이를 대상으로 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과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10월21일부터 26일까지 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164부를 배포하였으며 유효조사부수는 130부이다. 조사된 설문지는 SPSS 18.0을 이용하여 t-test, 빈도분석,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을 시부에 입지한 사회적 기업과 군부에 입지한 사회적 기업으로 구분하여 경영특성을 살펴본 결과 적절한 업종선정, 창업시의 충분한 시장조사, 고객입장의 아이디어 검토, 신규시장 확보노력, 위험을 감수한 신규사업 도전, 구성원간 비전공유, 경영활동 결과의 구성원 공유, 창의적 사고와 아이디어의 존중, 사회적 종사의 자부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경영특성은 적절한 업종선정, 풍부한 기술력과 경험, 신규시장 확보노력, 투자 및성장전략의 수립과 실천, 구성원 간 원활한 인간관계, 사회보험료 지원제도 이용 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기업의 경영특성이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결과, 조직문화, 정부정책, 경영역량이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경영전략과 정부정책이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of the social enterprise on the social and economic achievements. To accomplis thispurpos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economic and socialachievement of the social enterprise were surveyed through consideration of relatedtheories and precedent studies and the effect of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social enterprise on the social and economic achievements was analyzed. The studyobjects are the social enterprises including the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inGyeongsangbukdo and the effect on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and social andeconomic achievements were analyzed using these study objects. The main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survey result of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 social enterprises intothe social enterprises located in the city sector and the social enterprises located inmilita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ropriate business type selection,sufficient market survey during business foundation, idea review from the customer'spoint of view, new market securing efforts, challenge into the new business bearingdanger, vision sharing among the members, sharing of the management activity resultsamong the members, respect of creative thoughts and ideas and pride in socialemployment etc. Second, as for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 of the social enterprise,the appropriate business type selection, affluent technological power and experience,new market securing efforts, establishment of and efforts for the investment andgrowth strategy, smooth relationship among members and use of social insurance feesupport system etc were shown to be high.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survey on the effect of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nterprise on thesocial and economic achievements, the organizational culture, government policy andmanagement capability affected the social achievements and the management strategyand the government policy affected the economic achievements.

      • KCI등재후보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경제적 성과에 관한 연구

        홍효석,김예경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forms, authentication types,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s, and government and general funds on social and economic results. First, social enterprises with corporation type of organization have higher social result (employment rate for tier-employment) than cooperative associations, other(joint stock, partnership) over corporation type of organization, and non-profit organizations over cooperative associations. On economic performance, social enterprises with corporation type of organization had higher operating profits than non-profit organizations. There were no other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other type of organizations. Moreo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 type and net profit. Secondly, although job offer type of social enterprises have higher social result(employment rate for tier-employment) than mixed social enterprises and other social enterprises, job offer type of social enterprises provided no economic results. Thirdly,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social results between social enterprise with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labor union formation & employee involvement in operating/management committees) and those enterprises that did not. However, social enterprises with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 had rather lower net income. Forth, labor cost fund and social insurance support by the government have positive effect on social result(employment rate for tier-employment) that may bring larger impact on social enterprise role in employment rate for tier-employment However, economic performance of net income appeared to have no effect on both government and general funds. Labor cost subsidies by government and other government funds had negative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of operating profit. Moreover, corporate funding, government had negative effect on general funds. This study points out the internal problems within social enterprises and provides helpful steps to strength ability and select performance evaluations for social enterprises. Moreover, data based upon statistics provided by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delivers an objective analysi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research solely based upon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s statistics limited the study from providing accurate measurements in social and economic results and measuring other influential factors on social enterprises.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조직형태, 인증유형, 민주적 의사결정구조, 정부지원금 및 일반지원금 등이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첫째, 주식회사 조직형태의 사회적기업이 협동조합보다 사회적 성과(취업계층고용율)가 더 높으며, 주식회사 조직형태의 사회적기업보다는 기타(합자․합명회사)가, 협동조합보다는 비영리기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성과에 있어서는 주식회사 조직형태의 사회적기업이 비영리기관보다 영업이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조직형태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형태와 경제적 성과인 당기순이익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자리제공형 사회적기업이 혼합형 사회적기업과 기타형 사회적기업보다 사회적 성과(취약계층고용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성과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주적 의사결정 조직구조(노사협의체 구성 및 운영위원회의 직원참여)를 가진 사회적기업과 그렇지 않은 사회적기업간에는 사회적 성과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민주적 의사결정 조직구조를 갖는 사회적기업이 그렇지 않은 사회적기업보다 당기순이익이 오히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지원금 중 인건비지원과 사회보험료지원이 사회적 성과(취약계층고용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사회적기업의 취약계층 고용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하겠다. 경제적 성과인 영업이익에는 정부인건비지원금과 기타정부지원금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지원금에서는 기업지원금과 모기관지원금 그리고 일반지원금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 성과인 당기순이익에는 정부지원금과 일반지원금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내재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역량강화 및 성과평가 요인의 선정 등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공시된 자율경영공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한 분석결과라 하겠다. 그러나 자율경영공시 자료에 국한된 관계로 다양한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를 측정할 수 없었던 점과 영향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성과 및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장영란,홍정화,차진화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회계정보연구 Vol.30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looked into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research by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lso performed questionnaires method with 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 and reserve social enterprise. I distributed 700 questionnaires and 258 copi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ut of 260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factors effect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gets higher, as CEO capability goes higher, employees capability goes higher, accounting system level goes higher, and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score goes higher. However, ‘completion of academy for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 and ‘corporate governance of social enterprise’ did not present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factors effect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 gets higher value, if CEO capability is higher, employees capability is higher, curriculum for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 is well completed, corporate governance is more democratic, and social enterprise certification score is higher.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ocial enterprise’s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is negatively related to economic performance. This means that if the enterprise performs more social contribution such as employment of the weak and offering social service, the value for economic performance goes lower.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effect of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on sustainability, with the higher value of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 goes higher. This result means that sustainable management will be possible if the social enterprises achieve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simultaneously.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구성원 특성 요인(최고경영자의 역량, 종업원 역량, 사회적기업가 교육 이수)과 사회적기업의 기업 특성 요인(지배구조, 회계시스템, 사회적기업 인증성적 )이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과 사회적 성과 및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문헌적 연구방법에 의하여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이어서 설문지법을 통하여 사회적기업 및 예비사회적기업의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700부를 배부하여 260부를 회수하여 이 중 258부를 통계적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높을수록, 종업원 역량이 높을수록, 회계시스템의 운영이 좋을수록, 사회적기업 인증시 성적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성원 특성 요인 중 사회적기업가 교육과정 이수와 기업 특성 요인 중 사회적기업의 지배구조, 그리고 사회적기업의 인증여부는 경제적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높을수록, 종업원 역량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가 교육과정을 잘 이수할수록, 회계시스템의 운영이 좋을수록, 사회적기업의 지배구조가 민주적일수록, 사회적기업 인증시 성적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의 인증여부는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성과는 경제적 성과에 음(-)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시 경제적 성과도 사회적 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기업의 성과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가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적 성과가 높을수록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인증여부도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FTA 체결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세무대리 서비스업의 환경변화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현규,홍정화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와 회계저널 Vol.17 No.3

        본 연구는 FTA 체결로 인한 경제적 효과가 세무대리서비스업의 환경변화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세무대리인 입장에서 검증하였다. 또한 FTA 체결로 인한 경제적 효과와 세무대리서비스업의성과간에 있어서 세무대리서비스업의 환경변화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FTA의 정태적 효과는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국내 환경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동태적 효과는 국내 환경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FTA의 정태적 효과는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국외 환경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에 동태적 효과는 국외 환경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태적 효과는 동태적 효과보다 국내외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FTA의 경제적 효과가 세무대리서비스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정태적 효과는고객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동태적 효과는 재무적 성과와 고객 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수인 FTA의 경제적 효과 중에서 정태적 효과는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국내 환경변화에 매개되어 세무대리서비스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동태적 효과는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국내 환경변화에 매개되어 세무대리서비스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독립변수인 FTA의 경제적 효과 중에서 정태적 효과는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국외 환경변화에 매개되어 세무대리서비스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동태적 효과는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국외환경변화에 매개되어 세무대리서비스업의재무적 성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FTA의 경제적 효과 중에서정태적 효과는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국내 환경변화에 매개되어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고객 성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며, 동태적 효과는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국내 환경변화에 매개되어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고객 성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수인 FTA의 경제적효과 중에서 정태적 효과는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국외 환경변화에 매개되어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고객 성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며, 동태적 효과는 세무대리서비스업의 국외 환경변화에 매개되어세무대리서비스업의 고객 성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verify the economic effect of FTA on changes to the business environment of tax service industry. And we will review the impact of the economic effect of FTA to the performance of tax service industry. Also, we will review whether the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due to the economic effect of FTA has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the economic effect of FTA and performance of tax service industry. The following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n the impact of the economic effect of FTA on the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while FTA’s static effect was non-significant, FTA’s dynamic effect was shown to have meaningful impact. In addition, while FTA’s static effect has no impact on domestic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FTA’s dynamic effect was shown to have positive impact on domestic business environment change. Also, while FTA’s static effect has no impact on foreign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FTA’s dynamic effect was shown to have positive impact on foreign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with conclusion of FTA. Second, in the impact of the economic effect of FTA on performance of tax service industry, while FTA’s static effect has no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of tax service industry with conclusion of FTA, it has meaningful impact on client performance, and FTA’s dynamic effect was shown to impact both financial and client performances. Third, while FTA’s static effect has non-significant impa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ax service industry mediated with domestic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FTA’s dynamic effect was shown to have meaningful impa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ax service industry mediated with domestic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Also, while FTA’s static effect has non-significant impa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ax service industry mediated with foreign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And FTA’s static effect has meaningful impact on the client performance of tax service industry mediated with domestic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and FTA’s dynamic effect was shown to have meaningful impact on the client performance of tax service industry mediated with domestic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Also, FTA’s static effect has meaningful impact on the client performance of tax service industry mediated with foreign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and FTA’s dynamic effect was shown to have meaningful impact on the client performance of tax service industry mediated with foreign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ax service industry.

      • KCI등재

        동태적 에코효율성과 에코생산성의 경제적 가치

        이지헌,김명종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6

        최근 환경훼손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정부, 환경단체 및 일반소비자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의 환경책임과 환경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국내 기업들은 환경경영을 기업의 생존과 관련된 전략적 문제로 인식하지 않고 있으며 학계에서도 환경투자와 경제적 성과 사이의 선순환적인 관계성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에코효율성과 에코생산성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된 환경성과지표로서 지속가능한 성장이란 개념 하에 경제적 성과지표 대비 환경성과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선행연구들은 단일 시점의 정태적 측면에서 에코효율성과 에코생산성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데 한정되었지만, 본 연구에서 여러 기간에 걸쳐 동태적 측면에서 DEA-WINODW와 MPI모형을 이용하여 에코효율성과 에코생산성을 측정하고 환경성과와 경제적 성과의 정태적 관계성 및 동태적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24개 기업의 120개 기업-연도별 자료를 대상으로 에코효율성과 에코생산성의 동태적 추이를 관찰한 결과 에코효율성이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에코효율성의 개선이 에코생산성의 증가로 연계되지 못하고 에코생산성이 오히려 하락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태적 관점과 동태적 관점에서 에코효율성과 에코생산성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한 결과, 기업의 환경투자가 기업의 수익성 개선 및 기업가치 제고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분석함으로 기업의 환경투자와 경제적 성과 사이에 선순환적인 관계성을 확인하였다. As an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exhaustion of fossil fuel, global warming, acid rain and destruction of ozone layer has increased, environmental management that aim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economy and environment has become important as new management paradigm. However, lots of domestic companies do not consider environmental management as strategic issue because correlation between investment in environment and economic performance has not been clarified. Similarly, academic works has still reported the inconsistent results between environment investment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erformance expressed in eco-efficiency and eco-productivity obtained from DEA-WINDOW model and MPI model, and economic value from static and dynamic viewpoints. 120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from 24 manufacturers listed on the KOSPI for 5 years (from 2010 to 2014) were collected. The number of employees (EM), Environment investment costs(IN), Energy use(EN), Water intake(WA)were set as input. Greenhouse emission(GH), Waste emission(WS), Economic value added(EVA) were set as output in developing DEA-WINDOW model and MPI model.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eco-efficiency has been improved as environmental management has been integrated into a new culture of enterprise. However, improvement in eco-efficiency does not lead to an increase in eco-productivity. Second, the investment in environment leads to improvement in profitability. Finally, environmental perform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a firm’s value by improving participation of employees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friendly image of an enterprise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introduced general and standardized performance index by introducing eco-efficiency and eco-productivity that reflected sustainable growth and found tha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presented guideline for environment related research model and provided managers with a result of analysis that investment in environment leads to economic performance.

      • KCI등재

        금융발전과 경제적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 A Nonlinear ARDL Analysis

        박은엽,배근호 한국금융정보학회 2019 금융정보연구 Vol.8 No.1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mportant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inancial development for sustainable economic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changes in finance markets such as stock market, bond market, banking sector and exchange rate on economic performance in Korea. In order to derive the main results, this study applied the nonlinear ARDL(NARDL) model to analyze the long-run and short-run asymmetric effect. In terms of asymmetry, there are significant when dropping one unit of stock market, exchange rate, banking sector credit it is further reduce economic performance. The banking sector credit lead to economic performance rather than the stock market. This shows that the financial development stage in Korea is very low compared to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지속가능한 경제적성과를 위한 양적·질적 금융발전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의 경험적연구들은 금융발전과 경제적성과에 관한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금융시장 구성요소인주식시장, 채권시장, 은행 및 환율시장의 변동이 경제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금융발전의 관점으로 비교 분석한다. 금융의 글로벌화로 인하여 금융시장 구성요소의 양(+)과 음(-)의 변동과 균형환율과 실질실효환율의 차이인환율괴리가 비대칭적으로 경제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그 효과를 포착하기 위하여 NARDL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환율괴리는 경제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장기에 경제적성과는 은행부문 국내신용, 주가총액, 실질실효환율에 유의미하게 정(+)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변수의 한 단위 감소가경제적성과 하락에 비대칭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다. 직접금융시장인 주식시장보다 은행부문이 경제적성과를견인해 한국의 금융발전의 단계가 경제발전정도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회적가치와 정부지원금이 경제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최아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ocial values and the economic effects of government subsidi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4 social enterprises selected three times in a row from 2015 to 2017 were selected in the good social enterprise award of the Economic Justice Institut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thical value of social enterprises has been shown to affect their economic performance. Social enterprises have profitable and non-profitable nature and have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public value, ethical value and economic value. In particular, diversity of stakeholders to realize ethical value, democratic decision-making structure and ethical management practice are important factors, and efforts to create ethical values will also be important factors in securing social enterprise sustainability. Second, government subsidie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effect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s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support projects are shown to affect economic performa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clarify the criteria for government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and to develop practical support policies for economic and social achievement.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가치와 정부지원금이 경제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사)경제정의연구소의 좋은 사회적기업상에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번 연속 선정된 24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윤리적가치가 경제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기업은 영리와 비영리 두 가지 성격을 지니며 공익적가치와 윤리적가치, 경제적가치 실현에 대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윤리적가치 실현이 경제적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사회적기업의 윤리적가치 창출을 위한 윤리경영실천 노력, 이해관계자의 다양성과 민주적인 의사결정구조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은 향후 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차원에서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적으로 판단된다. 둘째, 정부보조금이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지원금 중 전문인력지원사업이 경제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지원금 기준을 명확히 하고 경제적ㆍ사회적성과 창출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Z-score를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시도별 사회경제적 성과지수: 일자리제공형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이찬영,최지혜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3

        In this study, the socioeconomic performance index of 15 cities and provinces is derived using the 2019 Autonomous Management Disclosure Data(focused on 534 job-providing social enterprise) provided by the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Methods Z-score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primarily transforms the basic indicators of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generates a combined index of the two variables to give scores by region according to location and aggregate them to produce socioeconomic performance indices. In detail, economic performance is assessed using efficiency, labor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and social performance is measured through labor integration, working conditions for the vulnerable and diversity of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economic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wide gap across cities and provinces compared to social performance, followed by high economic performance in Jeonbuk,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ocial achievements were forming a third-place finish in Incheon and Ulsan, with Jeonbuk and Gyeonggi tied for first. Looking at economic and social achievements, Jeonbuk, Gyeonggi, Seoul, and Chungbuk were both found to be better than other cities and province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socio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by city and province for the first time. However, because of its strong exploratory nature, it leaves follow-up tasks such as expanding performance variables, reflecting expert groups' opinions on weighting by item, and analyzing interim support organizations for social enterprises.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제공하는 2019년 자율경영공시자료(534 개 일자리제공형 사회적기업 대상)를 이용하여 15개 시도의 사회경제적 성과지수 를 도출한다. 방법론으로는 Z-score(평균 0, 표준편차 1인 분포 전환)를 통해 사회 적, 경제적 성과에 관한 기본 지표를 일차적으로 변환하고 두 변수의 결합지표를 생성하여 위치에 따라 영역별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집계하여 사회경제적 성과지 수를 도출한다. 세부적으로는 효율성, 노동생산성, 수익성을 이용하여 경제적 성과 를 평가하고 노동통합, 취약계층의 근로여건, 의사결정의 다양성을 통해 사회적 성 과를 측정한다. 분석결과, 사회적 성과에 비해 경제적 성과는 시도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전북, 서울, 경기 순으로 경제적 성과가 높았다. 사회적 성과는 전북과 경기가 공동 1위를 기록한 가운데 인천과 울산이 3위권을 형성하고 있었 다.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를 종합해서 살펴보면 전북, 경기, 서울, 충북이 두 성과 모두 타 시도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시 도별 사회경제적 성과를 처음으로 비교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만 탐색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성과 변수 확충, 항목별 가중치에 대한 전문가집단 의견 반 영, 사회적기업 대상 중간 지원 조직에 관한 분석 등은 후속과제로 남겨둔다.

      • KCI등재

        장애인 고용중심 기업의 기업가 특성과 종업원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현미,홍정화 한국상업교육학회 2011 상업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고용중심 사회적기업의 기업가의 특성과 종업원 역량이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 장애인 고용중심 사회적기업의 기업성과로서 경제적 성과는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적 성과는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 표준사업장 및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대표자 및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직접방문 조사방법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입수한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와 타당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고용중심 기업에서 기업가(최고경영자) 특성 변수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기업가의 리더십 및 장애인에 대한 태도변수는 경제적 성과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나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은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장애인에 대한 태도변수만이 사회적 성과에 유의적 영향을 미칠 뿐 나머지 변수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고용중심 기업에서 종업원 특성변수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업무숙련, 근무경력 및 목표의식 등 모든 변수는 경제적 성과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종업원의 목표의식 변수만이 사회적 성과에 유의적 영향을 미칠 뿐 나머지 변수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고용중심 기업에서 당해 기업의 경제적 성과는 사회적 성과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기업구성원의 지위에 따라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 고용중심 기업의 사회적 성과는 경제적 성과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회적기업 인증여부 및 구성원 지위에 따라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researches how the characteristic of disabled employee dominant social enterprise’s manager and capability of employees effect the role and validity of economical and social output between certified social enterprise and uncertified social enterprise. This study performed empirical research based on data from questionnaire, and survey was conducted by method of visiting in person. Frequency analysis, significant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data from questionnair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es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from the test that if the characteristic of disabled employee dominant social enterprise’s manager effects the performance of enterprise or not, leadership and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variables show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al result, however innovational character and risk sensitivity variables show no significant effect. And the only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variable exhibits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sult. Second, from the test that if the characteristic of disabled employee dominant social enterprise’s employees effects the performance of enterprise or not, all the variables show significant effect on economical result including variables of employment history and consciousness to achieve the goal, and the variable for consciousness to achieve the goal only shows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sult. Third, it showed significant effect as a result of the test that if the economical result of disabled employee dominant social enterprise effects the social result or not, and it showed different degree of effec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nterprise member. Also, it showed significant effect as a result of the test that if the social result of disabled employee dominant social enterprise effects the economical result or not, and it showed different degree of effec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nterprise member and whether the enterprise is certified or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