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성장지원센터의 중소기업 경영컨설팅 성과분석

        이건우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20 로고스경영연구 Vol.18 No.2

        Recently, sustainable management, which is in line with God's creative order by "to act justly, to love mercy, and to walk with God humbly" (Micah 6:8), has emerged as a key issue in corporate management. Some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search models or determinants on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s. The study, began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s of consulting services,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nagement performances of enterprises that received the management consulting of the Corporate Growth Support Center(CGSC) and general enterprises. The comparative analysis targets were 174 enterprises that were fostered by the CGSC’s for eight years from 2011, and 2,033 general SMEs' to analyze differences in manage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sales volume of enterprises and period of consulting support.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consulting supported enterprise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enterprises,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sales volume differed from the sales growth rate and the operating profit ratio.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differed from the educational and training level, and the sales growth rate differed from the employee size. Depending on the period of consulting support, the level of acquisition of industrial property rights, which is a non-financial achievement, was different. In summary, this analysis support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consulting has a positive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s. Also, this partly supports differences in management performance based on socio-statis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ize of received consulting service enterprises and the consulting period, so customized consulting seems necessary with consulting methodologies suitable for the growth stage or scale of an enterprise and differentiated support tasks. These findings are believe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consulting industry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upport policies for management consulting enterprises, consulting firms, consultants and government agencies. 최근, 하나님의 창조질서와 함께 “공의를 행하며 이웃을 사랑하며 하나님과 동행하는”(미 6:8) 지속가능경영이 기업경영의 핵심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일부 선행연구들은 지속가능한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모형이나 결정요인들을 주제로 많이 다루어 왔다. 경영컨설팅 서비스가 지속가능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점에서 시작하게 된 본 연구는 2011년부터 8년간 정부지원 전국 7개 센터의 육성기업 174개사와 일반 중소기업 2,033개사를 대상으로 매출액, 기업 규모 및 컨설팅 지원 기간에 따른 경영성과의 차이 분석을 하였다. 또한, 기업의 특성에 따른 성과 차이를 기업성장지원센터의 경영컨설팅 수진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컨설팅 지원을 받은 육성기업의 재무적 성과는 일반기업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의 규모에 따라 재무적 성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컨설팅 지원기간에 따라서는 비재무적 성과인 산업재산권취득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컨설팅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본 연구에서도 지지하고 있으며, 수진기업의 규모나 컨설팅 기간 특성에 따른 경영성과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로 인해 경영컨설팅의 경영성과 왜곡과 부정확한 데이터의 영향으로 업종별, 지역 특성별 분석과 같은 종단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하지 못한 점이다. 진술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향후 연구를 통해 컨설팅 수진기업의 특성에 따른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우리나라 중소제조업의 특성에 맞는 중소제조업 경영컨설팅 도구와 방법론을 체계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경영컨설팅 수진기업, 컨설팅사, 컨설턴트 및 정부기관의 지원정책 수립과 운영 그리고 컨설팅산업의 발전에 미력이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컨설턴트역량과 기업참여도가 혁신형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흡수역량을 조절변수로

        이상봉,이철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최근 국내 경영컨설팅 생태계의 변화에 대응하여 수요자 입장에서 컨설팅특성과 컨설팅활용도 및 경영성과 간 영향 관계와 흡수역 량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경영컨설팅 성과 관련 선행연구들의 논의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 검토와 연구가설을 수립 하고 혁신형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각 구성개념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후 구조방정식모형분석으로 직접 및 간접효과 와 조절효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컨설턴트역량과 기업참여도가 컨설팅활용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기업참여도와 컨설 팅활용도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컨설턴트역량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컨설턴트역량과 기업참여도가 컨설팅활용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넷째, 기업참여도와 컨설팅활용도 간 그리고 기업참여도와 경영성과 간 영향 관계에서 흡 수역량 수준이 원인변수의 영향력을 강화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혁신형 중소기업은 경영컨설팅 성과 향상을 위하여 적격성 있는 컨 설턴트와 기업 수행팀 간 협업 및 목표의 공동 달성 노력과 컨설팅 수행단계별 성과 간 시너지효과의 최대화 그리고 컨설팅 결과의 적용 및 활용 여건 조성을 위한 조직 내 변화관리 전략을 병행하여야 한다. 혁신형 중소기업은 이와 같은 한시적 및 일상적 경영활동 과정에서 자체 보유 흡수 역량을 이용하여 경영컨설팅 성과를 제고하고 내부화 및 안정화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업 가치 제고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recent changes in the domestic management consulting ecosystem, this study aims to supplement the discussion of previous studies on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lting characteristics, consulting utiliz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absorptive capacity fromthe service consumer's point of view. To this en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ere reviewed,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innovative SMEs. After secur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construct, the direct & indirect effect hypotheses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mode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sultant competency and corporate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lting utilization. Second, corporate participation and consulting uti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but consultant competency was found to be non-significant. Third, consultant competency and corporate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directly through consulting utiliza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participation and consulting utilization, and between corporate particip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level of absorptive capacity was found to positively control the influence of causal variables. Therefore, themain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of innovation type SMEs are as follows: First, the joint achievement of goals through the collaboration between qualified consultants and corporate execution team, Second, maximizing synergies between the outcomes of each stage of consulting execution processes, Third,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and its maturity should be increased in order to create conditions for the high utilization of consulting results.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innovative SMEs will be able to achieve the goals of stabilizing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and enhancing corporate value.

      • KCI등재후보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컨설턴트 역량과 컨설팅 성과에 관한 연구

        김문준 ( Moon-jun Kim ) KNU기업경영연구소 2017 기업경영리뷰 Vol.8 No.2

        본 연구는 컨설턴트 역량과 컨설팅 성과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직급, 컨설팅경험 유무)에 따른 조직구성원의 인식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기업을 대상으로 SPSS 18.0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독립변수인 컨설턴트 역량의 하위변인은 공통역량, 관리역량, 직무역량이며, 컨설팅 성과의 하위 변인은 컨설팅 완성도, 컨설팅 활용도, 업무효율성 향상, 경영관리성과로 구분하여 종속변수인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설설정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가설 1인 컨설턴트 역량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한편, 컨설턴트 역량 중 관리역량의 경영성과에 가장 높은 영향관계를 나타냄에 따라 컨설팅사 및 고객사와 컨설턴트는 관리역량에 대한 내재화와 고도화 방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었다, 컨설턴트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칠 것이라는 가설 H2의 경우, 세부가설 H2-1인 컨설팅 완성도, H2-2의 컨설팅 완성도만이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2는 부분 채택되었다. 즉, 컨설팅 성과 요인 중 컨설팅 완성도와 컨설팅 활용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로 나타남에 따라 의뢰고객사은 컨설팅사와 컨설팅을 수행하는 컨설턴트에게 보다 명확한 컨설팅 수행 완성도와 현실성 있는 활용방안을 위해 컨설팅 실행 목적의 명확성과 활용목적에 적합한 제언정도를 점검하는 프로세스가 요구되었다. 한편,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에서 컨설턴트 역량, 컨설팅 성과, 경영성과는 성별과 연령 및 직급에 따라 다소 상이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컨설팅을 실행함에 있어 경영성과에 미치는 컨설턴트 역량과 컨설팅 성과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확인할 수 있어 학술적 및 실무적 의미는 높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mplemented an empirical analysis by using a statistical program of SPSS 18.0 for compan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consultant capacity and consulting performance on business performance and degree of recognition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position, presence of consulting experience). The sub-variables of consultant compet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re common competence, management competence, and job competence, and the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management performance was verified by dividing the sub-variables of consulting performance into consulting completeness, consulting utilization, work efficiency improvement, business management performance. Per the empirical results of hypothesis sett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hypothesis that consultant competence will affect business performance was all adopted. Meanwhile, as the management competence among consultant competencies has the highest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consulting companies, client companies and consultants were constantly required to internalize and update their management competencies. In the case of hypothesis H2 that consultant competency will affect business performance, only detailed hypothesis H2-1 consulting completeness and H2-2 consulting completeness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so that hypothesis H2 was partially adopted. In other words, as consulting completeness and consulting utilization a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relationship on business performance among consulting performance factors, client companies are required to have a process of checking the degree of recommendation in terms of clarify of consulting implementation purpose and suitability in the purpose of use for clearer consulting comple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plan from consulting companies and consultants performing consulting. On the other hand,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alysis, consultant competence, consulting perform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are found to be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and grade.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ortance of consultant capacity and consulting performa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consulting firm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 KCI등재

        경영컨설팅과 기업성과의 관계 및 컨설팅활용도의 매개효과

        박춘래,황서진,이충섭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6

        본 연구에서는 경영컨설팅성과가 컨설팅 의뢰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컨설팅활용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영컨설팅성과는 경영관리성과와 업무효율성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영관리성과와 업무효율성과는 모두 컨설팅 의뢰기업의 궁극적인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설팅활용도는 경영관리성과와 경영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내며, 업무효율성과와 경영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경영컨설팅에 의한 경영관리성과는 컨설팅결과를 활용함으로써 경영성과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치며 업무효율성과는 컨설팅결과를 활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경영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경영컨설팅을 의뢰하는 기업의 입장에서 실질적인 컨설팅성과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영컨설팅에 의한 기업성과의 향상을 위하여 컨설팅결과의 전략적 활용방안을 강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 of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on business performance of client firm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lting application index.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is classified as managerial improvement and operating efficiency.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both management improvement and operating efficiency are analyzed to gi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of client firms. Consulting application index partially give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managerial improve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gives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operating efficiency and business performance of consulting client firms.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managerial improvement by consulting gives additional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via consulting outcomes and operating efficiency increases performance only in case of utilizing by consulting outcome application. On the whol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imate practical usefulness of business consulting in viewpoints of client firms and also to devise strategic utilization of consulting outcomes and subsequent business performance increase of client firms.

      • KCI등재

        중소벤처기업 컨설팅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컨설팅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상봉(Lee, Sang-Bong),이철규(Lee, Cheol-Gyu),서철승(Seo, Cheol-Seung)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1

        [연구목적]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컨설팅특성과 컨설팅성과의 경영성과에 대한 직접효과와 컨설팅성과의 매개효과를 실증연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중소벤처기업의 경영컨설팅 성과 향상을 위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외 문헌을 검토한 후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최근 3년 간 경영컨설팅을 경험한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한 후 구조방정식모형분석으로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컨설팅역량과 기업참여도 및 컨설팅활용도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컨설팅완성도는 컨설팅활용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컨설팅역량은 컨설팅성과를 통해 경영성과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컨설팅역량과 기업참여도는 컨설팅완성도를 통해 컨설팅활용도에, 컨설팅완성도는 컨설팅활용도를 통해 경영성과에 각각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중소벤처기업은 경영컨설팅에서 컨설팅특성과 컨설팅성과의 경영성과에 대한 직접효과는 물론 컨설팅성과의 매개효과를 활용하여 당초 설정한 경영 목표를 효율적․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을 실증함으로써 새로운 경영환경에서 중소벤처기업 경영컨설팅의 유효성을 재확인하였다. [Purpose] This paper empirically studied the direct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onsulting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lting performance to suggest effective ways to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VBs. [Methodology] After reviewing related papers,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SMVBs that had recently experienced management consult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tested by SPSS 22.0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tested by AMOS 22.0 for SEM analysis. [Findings] First, consulting competency, company participation and consulting utiliz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consulting comple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lting utilization and an indirec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consulting utilization. Third, consulting competency had an indirec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consulting performance. [Implications] SMVBs can improve the targeted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through mediation effect of consulting performance as well as the direct effects of consulting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 KCI등재

        사회적기업 경영컨설팅 지원사업의 효과성 분석

        빈창현 ( Chang Hyun Vin ),전병준 ( Byung June Chun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0 기업경영리뷰 Vol.11 No.4

        최근 급속한 자본주의 사회의 발전은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였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사회적경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며,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유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기업이 대두하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과거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직접적인 자금 지원에 한정되었으며, 지원 종료 후에는 여러 기업이 존속에 어려움을 겪었다. 사회적기업 경영컨설팅 지원사업은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서, 기업 경영에 경영컨설팅을 지원함으로 기업의 역량을 확대하여, 경제적 및 사회적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도록 하는 간접적 지원방안으로 그 역할과 효과성의 확인은 매우 중요하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책적으로 수행되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경영컨설팅 지원사업의 성과를 살펴본다. 경영컨설팅의 수행형태는 단독지원과 공동지원으로 구분하며, 경영컨설팅은 세 가지 특성인 의사소통정도, 전문성, 서비스품질로 구분하여, 경영컨설팅의 효과를 수진기업의 경영컨설팅 만족도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경영컨설팅 특성 중 전문성과 서비스품질과 경영컨설팅 만족도에 정(+)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사회적기업 경영컨설팅 지원사업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기업의 성장을 위한 간접 지원의 방안으로서 경영컨설팅 지원사업의 정당성과 성과를 확인하고, 경영컨설팅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기 기대한다. Recent rapid development of capitalist society has caused a variety of problems, and as one of the measures to address them, calls for social economy have been raised, social enterprises seeking both social values and economic benefits have emerged,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mote them. In the past, however, policy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was limited to direct funding, and after the end of the support, many companies had difficulty in surviving. The social enterprise management consulting support project i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 and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its role and effectiveness as an indirect support measure to expand the enterprise’s capacity by supporting management consulting to the company’s management and thus continuously generating economic and social values. This study looks at the performance of support projects for management consulting to social enterprises that are carried out in a policy manner. The form of management consulting is divided into single support and joint support, and management consulting is divid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professionalism and service qua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consulting is verified through the management consulting satisfaction level of the company.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check the legitimacy and performance of the management consulting support project as a means of indirect support for the growth of social enterprises and to identify the role of management consulting.

      • KCI등재

        정부지원 경영컨설팅이 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원사업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컨설팅 지원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해일,이상열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2

        정부지원 경영컨설팅 사업이 컨설팅 수혜기업의 실질적인 경영성과 증대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컨설팅 수행업체의 역량뿐만 아니라 컨설팅 수혜기업의 컨설팅에 대한 수용의지도 매우 중요하다. 아무리 뛰어난 컨설턴트가 투입되더라고 컨설팅 수혜기업의 수용의지가 낮다면 정부지원 컨설팅에 대한 수혜기업의 만족도가 낮을 것이고, 이는 결과적으로 수혜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컨설팅 수혜기업의 컨설팅 수용의지가 높다 하더라도 컨설팅 수행업체의 컨설팅 역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수혜기업의 만족도가 낮을 것이고, 성공적인 컨설팅 결과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정부지원 컨설팅 사업에 대한 수혜기업의 의지를 나타내는 컨설팅 필요성 및 컨설팅 수행업체의 역량을 통해 사후적으로 나타나는 컨설팅 효과성과 기업의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컨설팅 수혜기업의 지원사업만족도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서 컨설팅 지원형태(장기 혹은 단기)에 따라 컨설팅 수혜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정부지원 경영컨설팅 사업은 지원형태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는 컨설팅 수혜기업에 대해 장기간(3년 이내)에 걸쳐 다수의 과제를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형태이며, 둘째는 단순 코칭 개념으로서 컨설팅 수혜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이고 시급한 문제를 단기간에 해결하기 위해 지원하는 형태(1년 이내, 2개 과제 미만)이다. 장기와 단기의 구분은 단순히 과제 수행기간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수행된 컨설팅 내용의 질적인 차이를 포함하고 있다. 분석결과, 정부지원 컨설팅 지원사업에 대한 컨설팅 수혜기업의 만족도는 경영컨설팅의 필요성 및 효과성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지원이 단기지원보다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컨설팅 지원형태(장기 혹은 단기)에 따른 조절효과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역량이 지식재산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식재산 활동의 매개효과

        백상운,박종복 한국창업학회 2023 한국창업학회지 Vol.18 No.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rect effects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business consulting competency and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mediating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business consulting competency and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targeting 236 venture enterprises which had received intellectual property business consulting services. The consulting company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and performance, but the consultant competency had no effect. In addition, in the mediating effect on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consulting company competency partially mediated creation and utilization activities, and fully mediated protection activity. However, the consultant competency had no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nagement implication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or the purpose of maximizing the consulting capabilities suitable for the venture busin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llectual property consulting methodology that meets the purposes of utilization by the company's growth stage, as well as securing and managing professional consultants with basic and job capabilities, such as converging customer requirements, performing consistent tasks, presenting alternatives through experience and expertise, and active business posture. In addition, complementary efforts are urgently needed, including building its own work process system, proposing alternatives based on experience and expertise, and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consulting firms, including driving forces, teamwork, and communication with companies when implementing their businesses. 글로벌 기술패권시대, 경쟁력을 갖춘 선진기업들은 지속적인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서 후발기업들은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서 총성 없는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재산경영의 자문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이 기업의 지식재산 활동을 증대시키는 촉매 역할임을 검증하였고, 벤처기업이 컨설팅 결과뿐만 아니라, 컨설팅사의 역량 요인을 적극 수용하고 지식재산 활동으로 내재화(內在化)할 때 지식재산 성과가 제고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크게 4개 가설을 수립하고 지식재산경영컨설팅을 받은 236개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컨설팅사 역량은 지식재산 활동과 지식재산 성과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컨설턴트 역량은 지식재산 활동과 지식재산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재산 활동에 대한 매개효과에서는 컨설팅사 역량은 창출활동과 활용활동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고, 보호활동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반면, 컨설턴트 역량은 아무런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을 이론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으로 나누어보면, 이론적 측면에서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 분야에서도 컨설팅사(특허법인, 민간기술거래기관, 기술사업화기관) 역량의 중요성을 실제 입증하였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문 컨설턴트의 확보 및 관리뿐만 아니라, 고객사의 요구사항 수렴, 일관성 있는 업무 수행, 분야별 경험과 노하우 축적을 통한 대안 제시가 필요할 것이며, 기업 성장단계별 활용 목적에 맞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 방법론을 확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컨설팅사는 자체적인 업무 프로세스 체계 구축, 경험과 지식을 기반으로 대안을 제시하고 프로젝트 추진 시 추진력, 협업, 팀워크, 기업과의 커뮤니케이션 구축 등의 컨설팅사 역량을 제고시키는 상호보완적인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경영컨설턴트의 역량이 컨설팅 수진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진기업 컨설팅 수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재훈,동학림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2

        In order to accomplish a successful management consulting project, the client's receptivity to consulting as well as the management consultant's competency is very important. Even if a consultant with a high level of competence is put into a project, if the consulting receptivity of the company is low, a successful project can not be accomplished. On the other hand, even if consulting receptivity of the company is high,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can not be expected if management consultant competency is lacking. This study analyzes the affect of consultant competency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lient firm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lting receptivity of client company in terms of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consultant competency is measured by task-related competency, managerial competency and common competency, and management performance is measured by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parameters are measured by consulting receptivity and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anagement consultant's competency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both of consulting receptivity and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Consulting receptivity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both of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both of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is that the consulting receptivity mediates directly or indirectly between management consultant competency and financial performance via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management consulting in viewpoints of client firms and also contributing to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management consulting. 성공적인 경영컨설팅 프로젝트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경영컨설턴트의 역량뿐만 아니라 수진기업의 컨설팅 수용성도 매우 중요하다. 높은 역량을 가진 경영컨설턴트가 프로젝트에 투입된다 하더라도 수진기업의 컨설팅 수용성이 낮다면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수는 기대할 수 없다. 반대로 수진기업의 컨설팅 수용성이 높더라도 경영컨설턴트역량이 부족하면 경영컨설팅성과는 기대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컨설턴트역량이 컨설팅 수진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데 있어서 수진기업의 컨설팅 수용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영컨설턴트역량은 직무역량, 관리역량 및 공통역량으로 측정하였으며, 경영성과는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로 측정하였다. 또한, 매개변수로는 수진기업의 경영컨설팅 수용성과 경영컨설팅성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영컨설턴트역량은 수진기업 컨설팅 수용성과 경영컨설팅성과 모두에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진기업 컨설팅 수용성은 경영컨설팅성과와 비재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컨설팅성과는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는 수진기업의 컨설팅 수용성은 경영컨설팅성과와 비재무성과를 경유하여 경영컨설턴트역량과 재무성과의 사이를 직간접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경영컨설팅을 의뢰하는 수진기업의 입장에서 경영컨설팅을 통한 경영성과를 증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영컨설팅을 보다 효울적이고 효과적으로 경영컨설팅을 수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컨설턴트역량이 경영컨설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컨설팅 의뢰기업 조직특성의 조절효과 분석

        박춘래,황서진,이충섭 한국회계정보학회 2011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1 No.4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the effect of consultant competency on management consulting performance(MCP)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lient firm characteristics. Consultant competency is classified as common, task, and managerial competencies and MCP is sorted as managerial improvement and operating efficiency. Client firm characteristics are measured by management support and change receptive capacity. According to results, the task competency give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CP. Common competency gives significant effect on managerial improvement but no effect on operating efficiency. Managerial competency gives no effect on managerial improvement but significant effect on operating efficiency. The management support of a client firm shows no moderating effect on all relationships of consultant competencies and MCP excluding the relationship of common competency to operating efficiency. The organizational change receptive capacity give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s of task competency and MCP, no effect on those of common competency and MCP,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managerial competencies and managerial improvement but no effect on that of managerial competency and operating efficiency. On the whole, analysis results can contribute to build programs of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consulting firms and to improve consulting decision making and subsequent business performance increase of client firms. 본 연구에서는 컨설턴트역량이 경영컨설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컨설팅 의뢰기업 조직특성의 컨설턴트역량과 경영컨설팅성과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컨설턴트역량은 공통역량과 직무역량 및 관리역량으로 구분하였으며 컨설팅 의뢰기업의 조직특성은 경영자지원과 변화수용력으로, 경영컨설팅성과는 경영관리성과와 업무효율성과로 각각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컨설턴트의 직무역량은 경영관리성과와 업무효율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공통역량은 경영관리성과에 대해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관리역량은 업무효율성과에 대해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컨설턴트역량과 경영컨설팅성과의 관계에 대한 컨설팅 의뢰기업 경영자지원의 조절효과는 공통역량과 업무효율성과의 관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하지 않으며, 변화수용력의 조절효과는 직무역량과 경영컨설팅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모두 유의하지만 공통역량과 경영컨설팅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모두 유의하지 않으며, 관리역량에 대해서는 경영관리성과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유의한 반면 업무효율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전문 컨설턴트의 양성을 통한 컨설팅사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구축과 의뢰기업의 컨설팅 의사결정 및 이에 따른 경영성과의 개선 방안을 강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