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시경제상태가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은 ( Soo Eun Kim ),신민식 ( Min Shik Shin ) 한국금융공학회 2011 금융공학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거시경제상태가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기간 스프레드, 신용 스프레드, GDP 성장률과 같은 거시경제변수를 사용하여, 거시경제상태가 좋은 기간과 나쁜 기간으로 구분한다. 거시경제상태가 좋은 기간은 기간 스프레드가 크거나, 신용 스프레드가 작거나, GDP 성장률이 높은 기간을 말하고, 나쁜 기간은 그 반대의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를 사용하여 표본기업을 재무적 비제약기업과 제약기업으로 구분한다.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부분조정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 더 빠르다. 즉, 기간 스프레드가 클수록, 신용 스프레드가 작을수록, 그리고 GDP 성장률이 높을수록 거시경제상태는 좋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간 동안에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더 빨라진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재무적 제약 여부와 관계 없이 성립한다. 즉,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와 관계 없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 더 빠르다. 따라서 전통적인 자본구조이론에서 제시된 기업특성변수뿐만 아니라 기간 스프레드, 신용 스프레드, GDP 성장률과 같은 거시경제변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는 거시경제상태도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거시경제상태는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와 관계 없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업 경영자들은 기업특성변수뿐만 아니라 거시경제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본구조를 신속하게 조정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se empirically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of firms listed on Korea Exchange. Macroeconomic conditions are classified into good states and bad ones on the basis of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erm spread, credit spread, and GDP growth rate. Good states are defined as higher term spread, lower credit spread, and higher GDP growth rate, and bad states are defined as the opposite sides of those macroeconomic variables. Moreover, firms are classified into the financially unconstrained firms and the financially constrained ones on the basis of financial constraints variables such as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credit rating score lev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sing the partial adjustment capital structure models to estimate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toward target leverage, we find evidence that firms adjust their leverage faster toward target leverage in good macroeconomic states than in bad ones. This holds whether or not firms are subject to financial constraints. So to speak, regardless of firms`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credit rating score level, they exhibit a faster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in good macroeconomic states compared to bad ones.

      • 거시경제상태가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

        신민식 ( Min Shik Shin ),김수은 ( Soo Eun Kim ) 한국금융공학회 2011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11 No.1

        본 연구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거시경제상태가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기간 스프레드, 신용 스프레드, GDP 성장률과 같은 거시경제변수를 사용하여, 거시경제상태가 좋은 기간과 나쁜 기간으로 구분한다. 거시경제상태가 좋은 기간은 기간스프레드가 크거나, 신용 스프레드가 작거나, GDP 성장률이 높은 기간을 말하고, 나쁜 기간은 그 반대의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를 사용하여 표본기업을 재무적 비제약기업과 제약기업으로 구분한다.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부분조정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 더 빠르다. 즉, 기간 스프레드가 클수록, 신용 스프레드가 작을수록, 그리고 GDP 성장률이 높을수록 거시경제상태는 좋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간 동안에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더 빨라진다. 이러한 결과 는 기업의 재무적 제약 여부와 관계 없이 성립한다. 즉, 기업의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 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와 관계 없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 더 빠르다. 따라서 전통적인 자본구조이론에서 제시된 기업특성변수뿐만 아니라 기간 스프레드, 신용스프레드, GDP 성장률과 같은 거시경제변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는 거시경제상태도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거시경제상태는 자본시장 접근성이나 신용평점수준과 같은 재무적 제약변수와 관계 없이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자본구조의 조정속도는 재무적 제약 여부와 관계 없이 거시경제상태가 좋을 때가 나쁠 때보다더 빠르다. 따라서 기업 경영자들은 기업특성변수뿐만 아니라 거시경제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본구조를 신속하게 조정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se empirically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of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and Kosdaq Market of Korea Exchange. Macroeconomic conditions are classified into good states and bad ones on the basis of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erm spread, credit spread, and GDP growth rate. Good states are defined as higher term spread, lower credit spread, and higher GDP growth rate, and bad states are defined as the opposite sides of those macroeconomic variables. Moreover, firms are classified into the financially unconstrained firms and the financially constrained ones on the basis of financial constraints variables such as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credit rating score lev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sing the partial adjustment capital structure models to estimate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toward target leverage, we find evidence that firms adjust their leverage faster toward target leverage in good macroeconomic states than in bad ones. This holds whether or not firms are subject to financial constraints. So to speak, regardless of firms` capital market accessibility and credit rating score level, they exhibit a faster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in good macroeconomic states compared to bad ones. This results are also consistent with the evidence in the literature that the financially unconstrained firms tend to adjust faster than the financially constrained ones. This paper may have a few limitations because it may be only early study about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the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of Korean firms. Therefore, w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sample firms and control variables, and use more elaborate analysis methods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거시-금융 이자율 기간구조 모형을 통한 한국의 통화정책 분석

        장운옥 ( Woon Wook Jang ),한재훈 ( Jae Hoon Hahn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4 선물연구 Vol.22 No.2

        본고는 거시-금융 이자율 기간구조 모형을 이용해 거시경제 요인들이 통화정책을 비롯한 이자율 기간구조의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통화정책의 충격이 거시경제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 구체적으로 통화정책의 파급경로 중 기간 프리미엄 경로(term premium channel)를 분석한다. Joslin, Priebsch, and Singleton(2012)의 비생성 거시-금융 기간구조 모형(macro-finance term structure model with unspanned macro risks)을 분석모형으로 사용하였으며 모형의 추정에 필요한 거시경제 요인은 통화정책을 수행하는 한국은행이 여러 거시경제변수들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많은 수의 거시경제변수들을 대상으로 칼만필터를 적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경제생산활동(output), 물가상승(inflation) 및 시장 스트레스(market stress)의 거시경제 요인과 더불어 콜금리의 충격을 통화정책 충격으로 식별하여 모형에 적용하였다. 아울러 2년 및 10년 만기 국고채 현물이자율로 이자율 기간구조의 기울기(slope) 및 곡도(curvature) 요인을 구성하여 모형 추정에 사용하였다. 또한 통화정책의 기간 프리미엄(term premium)을 통한 파급경로를 분석하기 위해 이자율 기간구조를 기대가설 하에서의 기간구조와 기간 프리미엄의 기간구조로 분해하였다. 본고의 모형추정 결과 거시경제 요인들이 통화정책 변동에 대한 위험 프리미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통화정책의 충격은 채권수익률의 기간 프리미엄을 상승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통화정책 충격에 따른 기간 프리미엄의 변화는 이자율 기간구조의 가격결정요인(pricing factor)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이자율 기간구조 요인과 거시경제 요인간의 피드백 효과에 의해 거시경제에 전반적으로 파급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통화정책의 기간 프리미엄 파급경로(term premium channel)에 대한 실증적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action between monetary policy and the macroeconomy using a macro-finance term structure model of Joslin, Priebsch, and Singleton (2012), in which macroeconomic risks are not assumed to be spanned by information about the shape of the yield curve. For model estimation, we apply the Kalman filter to a large number of macroeconomic time series data grouped into output, inflation, and market stress categories and extract three common factors. For the factors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yield curve, we use the call rate, the spread between 10-year government bond yield and the call rate, and a combination of the call rate, 2- and 10-year government bond yields as proxies for the level, slope, and curvature factors. We interpret the call rate as a proxy for both the short rate and the instrument of monetary policy.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macroeconomic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isk premium associated with monetary policy shocks. Furthermore, we find that monetary policy shocks increase the term premium, which in turn affects the factors determining the yield curve, and such effects on the shape of the yield curve feeds back into the macroeconomic factors. Taken together, empirical findings in this paper can be interpreted as evidence supporting the term premium channel (Ferman, 2011)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mechanism.

      • KCI등재

        이야기꾼 ‘거시기 담론’의 미학, 구조, 가치에 관한 구비문학적 시론

        허정주(Heo, Jeong-Joo)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살아 있는 모든 언어는 그 언어 나름의 역사-사회적 특성을 형성해 나아가며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방언권을 형성해간다. 이러한 특성들은 그것을 활용하는 그 방언권 내부의 이야기꾼 담론에도 영향을 미쳐, 이야기의 방법·구조·미학·철학에까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한 사례 중에 전라도 지역의 ‘거시기’란 말이 있다. 이 말은 어떤 말을 대신하는 ‘대용어’ 로서 대명사·형용사·동사·부사·접속사 등으로 다양하게 변용될 뿐만 아니라, 이 말이 서사 담론의 지평으로 나아가게 되면, 품사적 혹은 문장 성분적 변화를 자유롭게 기하는 가운데 이야기꾼 담론 내부에 여러 ‘틈’을 만들기도 한다. 그리고 이런 틈들을 통해서 그 담론을 청관중들에게 ‘개방’하여 공연자-청관중 간의 상호소통적인 ‘이야기의 판(장)’을 구축하고, 그 장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독특한 상호작용적 공동체 담론구조를 이룩해내기도 한다. 또한, 이 ‘거시기 담론’ 그 자체가 그러한 개방적·역동적·상호적 소통관계 속에서, 이야기꾼의 담론을 전승하는 집단 공동체의 ‘사회적-반성적 거울’이 되게 하고, 이를 통해 그 공동체 구성원들의 능동적인 ‘집단적 사고’를 자극·작동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그 공동체의 ‘공동의 선(善)’을 지향?추구하는 합의의 지평에 도달하게 한다. 전통적으로 전라도 지방의 이야기꾼은 설화 현장에서 이 ‘거시기’라는 말과 그 계열에 속해 있는 말들의 지대한 영향 하에서 이야기를 구성해 나아가게 되며, 그렇기 때문에 이 지역이야기꾼들의 설화들은 일종의 독특한 이야기문화인 ‘거시기 담론’의 전통을 형성해 왔다. ‘거시기 담론’은 담론의 구조를 ‘닫힌구조’에서 ‘열린구조’로 전환시켜주며, 미학적으로 일종의 ‘비움-채움의 미학’, ‘여백의 미학’, ‘흐름 형성의 미학’, ‘몰입의 미학’ 등을 구현하기도 하고, 철학적인 차원에서는 ‘집단적 사유’와 ‘이심전심’ 미학을 추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담론 방식은 일종의 ‘치유담론’으로서의 가치도 무시할 수 없다. All of the live language are specialized with socio-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areas of dialects. These characteristics of areas of dialects have important effects on storyteller’s discourses in these areas of dialects and method, structure, aesthetics, and thoughts of these stories. There is an example, Gusigi in these examples in the area of Jeollado. This word is used as substitute; pronoun, adjective, verb, adverb, conjunction, etc., And this word makes diverse cracks in discourses of storyteller under horizon of narrative discourses by changes in word class or constituent of sentence. In addition to this, Gusigi discourses open these discourses to audiences and compose interactive field of stories and interactive structure of discourse. Gusigi discourse itself becomes ‘socio-reflective mirror’ of community of Gusigi discourse, arouse ‘collective thinking’ of that community, and make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rrive to horizon of ‘communal goodness’. Storyteller in Jeollado province composes stories under influence of Gusigi discourse, traditionally. Gusigi discourse converts ‘close structure’ of story into ‘open structure’, realizes ‘emptying-filling aesthetics’, ‘blank-space aesthetics’, ‘flow-formation aesthetics’, ‘aesthetics of immersion’, and seeks philosopher of ‘thought transference’, philosophically. This method of discourse can be used as curing discourse, too.

      • KCI등재

        한국의 월별 거시-금융 모형 추정

        조성훈 한국은행 2009 經濟分析 Vol.15 No.2

        This paper derives a monthly macro-finance model under No-arbitrage condition in a general equilibrium setup for the Korean Economy since 2001. What differentiates this paper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is that (1) the model is designed suitable for monthly data within a compact macro-finance framework and (2) it utilizes the overall term structure information not relying on yields of particular maturities.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wedge between the actual term structure and the model-implied counterpart, utilizing the frictional factors not embedded in the model. Our estimatio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en under the Expectations-Hypothesis, the implied term structure matches the actual term structure remarkably well. Second, The average movement in the term structure is mostly accounted for by the expected long term inflation or inflation target. Third, the slope and the curvature of the term structure are influenced by the monetary policy, but not as important as the inflation target, which is in contrast to the empirical evidences observed in U.S. Forth,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implied term structure is small and it is partly correlated with transactions of individuals in the bond market and changes in foreign exchange swap rate. Finally, the weight of the monetary policy authority on inflation stabilization relative to output stabilization is smaller than that observed in U.S. or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potentially reflecting that the Korean economy experienced sizable business fluctuation but quite stable inflation rates since 2001. 본 연구는 새케인즈 이론과 No-arbitrage 조건하에서의 이자율 기간구조를 접목시켜 월별 거시-금융(macro-finance) 모형을 도출하고 2001년 이후 한국 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을 추정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적인 것은 모형을 월별 자료에 맞게 구성하고 이자율 기간구조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추정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실제 이자율 기간구조와 모형에 의해 추정된 이자율 기간구조의 차이를 금융시장의 마찰적 요인과 해외 변수들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추정 결과, 첫째, 모형이 기대가설 (Expectations Hypothesis)을 가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자율 기간구조를 매우 잘 설명한다는 것이다. 둘째, 이자율 기간구조의 평균적인 움직임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장기적 예측치, 또는 시장이 인식하는 인플레이션 목표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이다. 셋째, 장단기 이자율 스프레드는 주로 인플레이션 목표의 변화와 통화정책 충격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이다. 넷째, 실제 이자율 기간구조와 모형에 의해 도출된 이자율 기간구조의 차이는 채권시장의 개인의 순매수, 그리고 환율 swap rate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한편 한국의 통화정책은 외환위기 이후 인플레이션 경기 안정화에 기여해 온 것으로 판단되지만 안정화의 정도는 선진국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성장형 중소기업 발전을 위한 “사적 자본시장” 도입 가능성

        강형철(Hyung Cheol Kang),엄경식(Kyong Shik Eom),이지혜(Ji Hye Lee),이진호(Jinho Lee) 한국증권학회 2017 한국증권학회지 Vol.46 No.3

        본 논문은 국내 성장형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필요한 자본시장의 역할을 조명함에 있어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사적 자본시장”을 일국 내 시장 간 위계로 정의되는 시장거시구조 관점에서 고찰하고 그 도입 가능성을 논의한다. 미국에서 사적 자본시장이란 주로 비공개 신성장기업(중기 성장형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허용 투자자 특성상 투자자보호 필요성이 낮아 규제가 느슨한 시장이며, 유동성이 극히 낮은 제한적 공개주식도 사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시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자본시장 발전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에서조차 2012년 Jumpstart Our Business(JOBS) Act 제정 이후 본격 등장한 신개념의 시장이다. 이를 한국 자본시장의 거시구조 측면에서 살펴봐야 하는 이유는 기존의 장외주식 시장에 대한 논의를 전체 시장구조 차원에서 전개하면서 현재 국내의 제약적 상황에서는 개념화하기 힘든 측면을 지닌 사적 자본시장을 보다 폭넓게 서술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시장거시구조 측면에서 보면, 사적 자본시장은 ① 주시장에서 순차로 내려와 정규시장 바로 아래 단계를 구성하는 하위시장과 그 하위시장 이후의 첫 단계 시장, 혹은 거꾸로 ② 신생기업에 필요한 자본시장에서 상위시장으로 올라오는 구조상 정규시장 직전단계의 자본시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시장거시구조를 전제로 국내에 신개념의 사적 자본시장을 적용·육성하려면, KONEX와 K-OTC/K-OTCBB, 아직 출현하지 않은 비상장(공개·비공개 망라)주식 거래 ATS 등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이 경우 운영주체는 이들 기관을 모두 아우르는 하나의 시장으로서 하나의 운영주체가 해당 위계 범위의 시장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운영주체로서 적합한 기관은 비상장주식거래 ATS라 판단되며, 현재 국내 조직화된 장외주식시장을 매우 취약하게 하는 법제상의 여러 제약(예: 매출규제)도 함께 개선해야 한다. 만일 KRX의 하위 신시장으로 현재 운영 중인 KONEX의 존립을 재고할 수 없다면, 비상장주식 거래 ATS의 사적 자본시장 신규 진입을 통해 자본시장 거시구조의 가장 하위단계(즉 사적 자본시장)에서라도 시장 간 경쟁이 자유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줘야 한다. 이는 시장 간 경쟁을 추구하는 자본시장법의 법정신을 구현하는 의미 있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le creation of a Korean private capital market to promote the growth of SMEs. A private capital market usually targets stocks of emerging growth companies (EGC; growth SMEs) and is loosely regulated, due to the low need for protection of sophisticated investors. This paper examines the evolution of the US private capital markets, emerged only after the JOBS Act in 2012, from the market macrostructure point of view and suggests the applicability of the US experience to Korean capital markets. From a market macrostructure point of view, the functional position of the private capital market is the submarket consisting of stocks currently traded on either the organized OTC markets or the markets for mature EGCs. Therefore, the ideal form for a Korean private capital market should include stocks traded on the KONEX, K-OTC/K-OTCBB, the pure OTC markets, and newly formed ATSs for unlisted stocks. The ideal candidate would be ATSs for unlisted stocks, which should cover all of the above markets. Several existing legal limitations that have weakened the organized OTC markets in Korea should be revamped in the near future. If the KONEX cannot be closed nor transformed for the formation of a new private market in Korea, then ATSs for unlisted stocks should be introduced in Korea, creating a competitive environment in the submarket for unlisted mature EGCs. This introduction of ATSs for unlisted stocks is highly desirable since it can be a meaningful starting point for competition among the capital markets, as envisioned under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in Korea.

      • SCOPUS

        구조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거시금융 기간구조 분석

        윤재호(Jaeho Yun) 한국계량경제학회 2012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23 No.4

        본 연구는 동태적 Nelson-Siegel 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거시금융 기간구조 모형을 추정 및 분석하였다. 특히 동태적 Nelson-Siegel 모형의 상태공간 모형을 구조VAR모형으로 전환하여 경제이론에 기반을 두어 해석할 수 있는 구조 충격에 대한 금리기간구조의 반응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증분석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보면, 표본 외 분석 결과 거시금융 기간구조 모형이 국고채수익률만을 고려한 기간구조 모형 혹은 임의보행 모형보다 우리나라 국고채 기간구조 데이터에 대한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 VAR 모형의 충격반응 분석 결과, 거시경 제가 수익률곡선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수익률곡선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보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익률곡선 팩터중 수익률곡선 기울기와 관련있는 팩터가 거시경제 구조 충격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국고채 수익률을 기대부분 및 기간프리미엄으로 분해하여 분석한 결과, 단기 국고채수익률 변동은 주로 기대부분의 영향을, 장기 수익률의 경우 대부분 기간프리미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간프리미엄의 경우에도 만기가 길어질수록 거시경제상황보다 채권시장 수급상황 등 수익률곡선 자체 충격의 영향을 더욱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s the macro-finance term structure model for the Korean government bonds by using the dynamic Nelson-Siegel model. We investigate the impulse responses of the term structure to structural shocks by converting the reduced-form VAR implied by the dynamic Nelson-Siegel model into the structural VAR representation. Our emprical analysis provides the following. First, from the in- and out-of-sample analysis, we find that the macro-finance term structure model provides a better fit than other models such as the random walk model and the yield-only model. Second,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from structural VAR model shows that the effect of macro economy on the yield curve is more statistically substantial than the effect of the yield curve on the macro economy. Among the yield curve factors, in particular, the “slope” factor of the yield curve sensitively responds to the macro shocks. Lastly, we decompose the bond yields with various maturities into the expectation and term premium components. We find that changes in the short rates are mainly driven by variations of the expectation component, while the long rates are mostly driven by variations of the term premium component. The longer the maturity of the term premium is, the bigger effect it receives from the shocks of yield curve factors rather than those of the macro economic factors.

      • KCI등재

        덩잇글 구조가 설명문 요약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허선익 ( Seon Ik Heo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7 No.-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조적 요인과 요약하기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가설을 설정하고 고등학생 93명이 산출한 요약글을 채점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이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거시구조와 미시구조에 따라 요약글의 품질이 달라지지 않았다. 따라서 애초에 내세운 가설 거시구조와 미시구조가 요약글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통계적인 분석과는 달리 조금 더 미시적인 차원에서 더 검증이 필요한 사실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미시구조는 경우에 따라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고, 부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거시구조가 잘 짜여 있지 않을 경우, 미시구조에서 결속은 오히려 전체적인 거시구조를 파악하는 데 방해를 주지만 거시구조가 잘 짜여 있을 때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렇지만 거시구조가 잘 짜여 있지 않을 때에도 미시구조가 잘 결속되지 않는 것이 요약주체의 인지 노력을 더 끌어내서 요약글 품질을 더 좋게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더 큰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검정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 In this article, it is proved that structural factors do not influence on summarizing in the case of highschool students. Subject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random assignment. These groups are given four kinds of texts which were discriminative from each other in the aspect of both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Aside from statistical analyses, it has been known that microstructure parameters have two fold function in the course of summarizing, that is, in the construction of situation model. In the case of good macro-structure, its function is trivial. But when given poor macro-structured text for students, poor micro-structure provoking subjects` cognitive struggling. These facts need to be proved in the large-sized groups.

      • KCI등재

        담화 분석 사례 연구—즉흥적 말하기에 드러난 거시구조 산출을 중심으로—

        서종훈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8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macrostructures that are exhibited during extemporaneous speech according to the level of language learner performance and genre of discourse. Macrostructures are major conceptual units that build semantic connections that increase the consistency of discourse. These structures can be visualized as a linear, hierarchical structures. The formation of such macrostructures are an essential factor in the composition of meaning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formation of macrostructures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language learner performance and genre of discour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macrostructures were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language learner performance and gen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crostructures produced by learners with a high level of language performance in the discourse genre, but learners with a low level of language performance produced different quantities of macrostructures. This study examined the macrostructures that form the basis of the semantic connections in extemporaneous speaking, also known as oral practice, not in conventional texts or text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ignificant. However, this study was limited in that the participant sample was limited to university students. The discourse genre was also limited such that it failed to produce differentiated results between participant groups. 본고는 학습자의 언어 수행 수준과 담화 갈래에 따라 즉흥적 말하기에 상정될 수 있는 거시구조의 양상을 논의하였다. 거시구조는 담화의 의미 연결 일관성에 기여하는 주요한 개념 단위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담화에서 선형구조와 계층구조로 도식화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거시구조의 형성은 화자의 담화 의미 구성과 의사소통 능력에 필수적인 요인이 된다. 이런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고는 학습자의 언어 수행 수준과 담화 갈래에 따라서 이러한 거시구조의 형성이 차별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언어 수행 수준에 따라서는 거시구조 산출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담화 갈래의 경우는 언어 수행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고, 반면에 언어 수행 수준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는 거시구조 산출의 양적인 측면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즉, 본고는 의미 연결의 토대를 형성하는 거시구조의 산출을 종래의 글말이나 글말 수행에서나 아닌 즉흥적 말하기, 이른바 입말 수행에서 다루었고, 이런 과정을 통해 일정 부분 유의미한 교육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조사 대상 학습자가 일부 대학생 학습자들로 국한되었고, 담화 갈래 또한 다양성을 확보하지 못한 한계를 남겼다.

      • KCI등재

        자본구조 조정속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신민식,김수은 한국산업경영학회 2010 經營硏究 Vol.25 No.3

        In this paper, we analyse empirically the determinants of capital structure adjustment speed of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and Kosdaq Market of Korea Exchan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B ratio, firm size, and distance between real leverage and target leverage have the significant effects on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Faster growing firm and larger firms adjust more readily, and firms that are further away from target leverage adjust faster. Short-term interest rate, term spread, and credit spread have the significant effects on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If interest rates are low, and if term spread and credit spread are low, firms adjust capital structure faster. Capital structure adjustment of financial constrained firms is affected differently from both firm characteristic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Financial constrained firms are hit harder by bad states than financial unconstrained firms. That is, Adjustment speeds of financial unconstrained firm with high credit ratings are faster than those of financial constrained firm with low credit ratings. In conclusion, firm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conditions have the significant effects on adjustment speed of capital structure. Furthermore, Financial constrained firms are hit harder by unfavorable firm characteristic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and cannot take advantage of favorable conditions in the same manner than financial unconstrained firms. This paper may have a few limitations because it may be only early study about the determinants of capital structure adjustment speed of Korean firms. Therefore, w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sample firms and control variables, and use more elaborate analysis methods in the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1999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자본구조 조정속도의 결정요인에 관하여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특성변수 중에서 성장성를 나타내는 M/B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규모가 클수록, 그리고 실제 레버리지와 목표 레버리지간의 편차가 클수록 자본구조의 조정속도가 빨라진다. 이는 자본구조의 조정속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동하며, M/B 비율, 기업규모, 실제 레버리지와 목표 레버리지간의 편차와 같은 기업특성변수들이 조정속도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그리고 거시경제변수 중에서 단기금리, 기간 스프레드 및 신용 스프레드는 모두 감소할수록 자본구조의 조정속도가 빨라진다. 이는 선행연구와 대체로 상반되지만, 강준구, 박경서(2000)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즉, 국내 기업들은 IMF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기간 동안에 단기금리가 낮아지고, 기간 스프레드가 감소하고, 신용 스프레드가 감소하는 과정에서도, ‘부채비율 200%로 조정’이라는 정부의 규제정책에 따라 영업이익의 증가분을 부채비율의 감소로 연결시켜 내부적인 구조조정의 속도를 증가시켰다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재무적 제약에 따라 기업특성변수와 거시경제변수가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고신용평점기업에 속하는 재무적 비제약 기업은 저신용평점기업에 속하는 재무적 제약 기업보다 자본구조의 조정속도가 더 빠르고, 기업특성변수와 거시경제변수가 자본구조의 조정속도에 미치는 영향도 더 증가한다. 따라서 기업 경영자들은 기업특성변수와 거시경제변수뿐만 아니라, 재무적 제약 여부를 고려하여 자본구조를 신속하게 조정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