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 담론에 대한 해석학적 성찰의 필요성: 가다머,리쾨르 담론을 중심으로

        박상현 ( Sang Huyn Park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1

        이 글의 목적은 현재의 거대 수업 담론을 해석학적 관점으로 성찰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작금의 수업 담론은 근대의 도구적 이성의 지배하에 기획되고 운영되며 평가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즉, 수업의 본질을 이미 정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교사와 학생이 가장 합리적으로 정해진 목표를 향해 치닫는 과학주의적 수업 담론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이때 하나의 텍스트로서의 수업 담론에 대한 실존성과 역사성은 망각되거나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 해석학적으로 말하는 진정한 해석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텍스트와 해석자 사이의 지평융합을 전제로 한다. 가다머나 리쾨르와 같은 현대 해석학자들 역시 각자 말하는 방식이 다를 뿐 결국 텍스트에서 실존의 문제를 이야기 하고 있다. 따라서 수업이라는 텍스트 역시 해석학적으로 실존의 문제가 사실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때 비로소 수업 담론이 갖고 있는 정전화된 모습에서 벗어나 수업 담론의 스펙트럼이 더욱 더 풍부하게 열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의 수업 담론은 누군가에 의해서 정해진 방식 혹은 틀에서 벗어나야 하며, 현재의 생활세계 그리고 수업 담론의 주체와 별개로 해석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결국 작금의 수업 담론은 이미 해석된 닫혀 있는 의미가 아닌, 해석되어야 할 열려 있는 의미를 갖는 담론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해석학이 현재의 수업 담론에 주는 강력한 메시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need to reflect on the current major discourses on teaching from hermeneutic viewpoints. The current discourses on teaching have been planned, managed and evaluated under the rule of the instrumental reason of modern times, that is, through scientism-based discourses on teaching that assume that the nature of teaching is predetermined. However, that assumption may cause the existentiality and historicity of discourses on teaching as a text to disappear into oblivion or vanish. According to hermeneutics, the true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fusion of horizon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and between texts and those who interpret. After all, contemporary hermeneutic philosophers like Gadamer and Ricoeur also talk about existence in texts - although the ways in which they talk are different. Thus, existence is very critical also for teaching, which is a text, when it comes to hermeneutics; it allows discourses on teaching to discard their established rules and then have wider spectrums. Thus, the current discourses on teaching must strive to have open meanings that require interpretation rather than being defined by closed meanings that have already been interpreted. This is hermeneutics` strong message to the current discourses on teaching.

      • KCI등재

        이야기꾼 ‘거시기 담론’의 미학, 구조, 가치에 관한 구비문학적 시론

        허정주(Heo, Jeong-Joo)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살아 있는 모든 언어는 그 언어 나름의 역사-사회적 특성을 형성해 나아가며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방언권을 형성해간다. 이러한 특성들은 그것을 활용하는 그 방언권 내부의 이야기꾼 담론에도 영향을 미쳐, 이야기의 방법·구조·미학·철학에까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한 사례 중에 전라도 지역의 ‘거시기’란 말이 있다. 이 말은 어떤 말을 대신하는 ‘대용어’ 로서 대명사·형용사·동사·부사·접속사 등으로 다양하게 변용될 뿐만 아니라, 이 말이 서사 담론의 지평으로 나아가게 되면, 품사적 혹은 문장 성분적 변화를 자유롭게 기하는 가운데 이야기꾼 담론 내부에 여러 ‘틈’을 만들기도 한다. 그리고 이런 틈들을 통해서 그 담론을 청관중들에게 ‘개방’하여 공연자-청관중 간의 상호소통적인 ‘이야기의 판(장)’을 구축하고, 그 장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독특한 상호작용적 공동체 담론구조를 이룩해내기도 한다. 또한, 이 ‘거시기 담론’ 그 자체가 그러한 개방적·역동적·상호적 소통관계 속에서, 이야기꾼의 담론을 전승하는 집단 공동체의 ‘사회적-반성적 거울’이 되게 하고, 이를 통해 그 공동체 구성원들의 능동적인 ‘집단적 사고’를 자극·작동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그 공동체의 ‘공동의 선(善)’을 지향?추구하는 합의의 지평에 도달하게 한다. 전통적으로 전라도 지방의 이야기꾼은 설화 현장에서 이 ‘거시기’라는 말과 그 계열에 속해 있는 말들의 지대한 영향 하에서 이야기를 구성해 나아가게 되며, 그렇기 때문에 이 지역이야기꾼들의 설화들은 일종의 독특한 이야기문화인 ‘거시기 담론’의 전통을 형성해 왔다. ‘거시기 담론’은 담론의 구조를 ‘닫힌구조’에서 ‘열린구조’로 전환시켜주며, 미학적으로 일종의 ‘비움-채움의 미학’, ‘여백의 미학’, ‘흐름 형성의 미학’, ‘몰입의 미학’ 등을 구현하기도 하고, 철학적인 차원에서는 ‘집단적 사유’와 ‘이심전심’ 미학을 추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담론 방식은 일종의 ‘치유담론’으로서의 가치도 무시할 수 없다. All of the live language are specialized with socio-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areas of dialects. These characteristics of areas of dialects have important effects on storyteller’s discourses in these areas of dialects and method, structure, aesthetics, and thoughts of these stories. There is an example, Gusigi in these examples in the area of Jeollado. This word is used as substitute; pronoun, adjective, verb, adverb, conjunction, etc., And this word makes diverse cracks in discourses of storyteller under horizon of narrative discourses by changes in word class or constituent of sentence. In addition to this, Gusigi discourses open these discourses to audiences and compose interactive field of stories and interactive structure of discourse. Gusigi discourse itself becomes ‘socio-reflective mirror’ of community of Gusigi discourse, arouse ‘collective thinking’ of that community, and make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rrive to horizon of ‘communal goodness’. Storyteller in Jeollado province composes stories under influence of Gusigi discourse, traditionally. Gusigi discourse converts ‘close structure’ of story into ‘open structure’, realizes ‘emptying-filling aesthetics’, ‘blank-space aesthetics’, ‘flow-formation aesthetics’, ‘aesthetics of immersion’, and seeks philosopher of ‘thought transference’, philosophically. This method of discourse can be used as curing discourse, too.

      • KCI등재

        이야기꾼 ‘거시기 담론’의 미학, 구조, 가치에관한 구비문학적 시론 -전라도 이야기꾼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정주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All of the live language are specialized with socio-historical characteristicsand areas of dialects. These characteristics of areas of dialects have importanteffects on storyteller’s discourses in these areas of dialects and method,structure, aesthetics, and thoughts of these stories. There is an example, Gusigiin these examples in the area of Jeollado. This word is used as substitute;pronoun, adjective, verb, adverb, conjunction, etc., And this word makesdiverse cracks in discourses of storyteller under horizon of narrative discoursesby changes in word class or constituent of sentence. In addition to this, Gusigidiscourses open these discourses to audiences and compose interactive fieldof stories and interactive structure of discourse. Gusigi discourse itself becomes‘socio-reflective mirror’ of community of Gusigi discourse, arouse ‘collectivethinking’ of that community, and make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rriveto horizon of ‘communal goodness’. Storyteller in Jeollado province composes stories under influence of Gusigidiscourse, traditionally. Gusigi discourse converts ‘close structure’ of story into‘open structure’, realizes ‘emptying-filling aesthetics’, ‘blank-space aesthetics’,‘flow-formation aesthetics’, ‘aesthetics of immersion’, and seeks philosopherof ‘thought transference’, philosophically. This method of discourse can be used as curing discourse, too. 살아 있는 모든 언어는 그 언어 나름의 역사-사회적 특성을 형성해 나아가며 지역에 따라각기 다른 방언권을 형성해간다. 이러한 특성들은 그것을 활용하는 그 방언권 내부의 이야기꾼 담론에도 영향을 미쳐, 이야기의 방법․구조․미학․철학에까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한 사례 중에 전라도 지역의 ‘거시기’란 말이 있다. 이 말은 어떤 말을 대신하는 ‘대용어’로서 대명사․형용사․동사․부사․접속사 등으로 다양하게 변용될 뿐만 아니라, 이 말이서사 담론의 지평으로 나아가게 되면, 품사적 혹은 문장 성분적 변화를 자유롭게 기하는 가운데 이야기꾼 담론 내부에 여러 ‘틈’을 만들기도 한다.그리고 이런 틈들을 통해서 그 담론을 청관중들에게 ‘개방’하여 공연자-청관중 간의 상호소통적인 ‘이야기의 판(장)’을 구축하고, 그 장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독특한 상호작용적 공동체 담론구조를 이룩해내기도 한다. 또한, 이 ‘거시기 담론’ 그 자체가 그러한 개방적․역동적․상호적 소통관계 속에서, 이야기꾼의 담론을 전승하는 집단 공동체의 ‘사회적-반성적거울’이 되게 하고, 이를 통해 그 공동체 구성원들의 능동적인 ‘집단적 사고’를 자극․작동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그 공동체의 ‘공동의 선(善)’을 지향․추구하는 합의의 지평에 도달하게 한다. 전통적으로 전라도 지방의 이야기꾼은 설화 현장에서 이 ‘거시기’라는 말과 그 계열에 속해 있는 말들의 지대한 영향 하에서 이야기를 구성해 나아가게 되며, 그렇기 때문에 이 지역이야기꾼들의 설화들은 일종의 독특한 이야기문화인 ‘거시기 담론’의 전통을 형성해 왔다. ‘거시기 담론’은 담론의 구조를 ‘닫힌구조’에서 ‘열린구조’로 전환시켜주며, 미학적으로 일종의 ‘비움-채움의 미학’, ‘여백의 미학’, ‘흐름 형성의 미학’, ‘몰입의 미학’ 등을 구현하기도하고, 철학적인 차원에서는 ‘집단적 사유’와 ‘이심전심’ 미학을 추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담론 방식은 일종의 ‘치유담론’으로서의 가치도 무시할 수 없다.

      • KCI등재

        한국 개신교 보수 진영의 정치 담론 분석

        장형철(Hyung Chull Jang) 한국사회이론학회 2018 사회이론 Vol.- No.53

        이 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와서 개신교 보수 진영의 정치 담론은 어떻게 변화 하였는지 그리고 정치 담론을 통해 권력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 하였는지 알아보려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국가조찬기도회와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 생산한 정치 담론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텍스트들에서 다섯 가지의 장르들이 사용되었다. 텍스트에 나타나는 담론은 ‘국가 담론’과 ‘대통령 담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국가 담론은 발전, 위기, 대응의 순서로 진행이 된다. 이러한 국가 담론과 연결된 대통령 담론은 진보 정권의 대통령들에게는 ‘비판과 도전’이었으나 보수 정권의 대통령들에게는 ‘지지와 축복’으로 바뀐다. 스타일도 인식양태의 ‘질문’ 유형과 의무 양태의 ‘요구’ 유형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국가조찬기도회와 한국기독교총연합회의 정치 담론의 텍스트들은 개별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은 개신교 보수로의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고 유지하고 재생산 할 뿐만 아니라 ‘거대 주체’를 형성 한다. 이 과정에서 국가조찬기도회와 한국기독교총연맹의 정치담론은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갖게 된다. 또한 이들의 정치 담론은 기득권 사수와 유지 그리고 실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느냐에 따라 달라졌다. 특히 이 명박과 박 근혜 대통령 시기에는 매우 정권 친화적인 담론이 생산되었다. 이는 국가조찬기도회와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 한국 사회 안에서 이데올로기적 상부구조로서 또한 이데올로기의 기구로서 기존의 헤게모니와 지배이데올로기를 재생산 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그리고 국가조찬 기도회와 한국기독교총연맹의 정치 담론은 근본주의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성격은 변화하는 사회의 불확실성으로부터 벗어나 자기 정체성을 확보하고 자부심과 자긍심을 제공하지만 결국 폭력을 수반하고 사회 갈등을 야기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how the political discourse of Korean Protestant conservatives has been changed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has been built between the regime and Korean Protestant conservatives since 2000.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political discourse of two famous conservative Protestant organizations, Korea National Prayer Breakfast(KNPB) and the Christian Council of Korea(CCK). Texts produced by them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different genres. These texts represent two correlated discourses: ‘state discourse’ and ‘president discourse’. The state discourse was proceeded in the sequence of development, crisis, and response. Depending on the political character of presidents, conservative or liberal, president discourses imply either ‘critique and challenge’ or ‘support and blessing’. In accordance with genres and discourses, main styles in texts were ‘question of epidemic modality’ and ‘demand’ of deontic modality’. The intertextuality among texts produced by KNPB and CCK does not only bring about confirming, sustaining, and reproducing their identity. But they also formulate a ‘mega-subject’ for their own. On this procedure, the political discourse of KNPB and CCK becomes an ideology. And they change their modes of political discourse in order to retain their vested rights and to obtain privileges from government administration. In the presidency of Myung Bak Lee and Keun Hye Park, they particularly produced political discourses which were loyal to the government and regime. Therefore, it is arguable to say that KNPB and CCK belong to superstructure of Korean society and function as institutes of ideology to reproduce hegemony. And their political discourses are relevant to fundamentalism. Despite of that this characteristic may provide identity and self esteem in the time of uncertainty and social changes, it can result in social conflicts and violence.

      • KCI등재

        교수-학습 담론과 계량적 수업평가 담론의 해체

        서명석(Seo, Myoung-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3

        교육 현장의 거대담론을 파헤치자. 왜냐하면 교육 현장은 교육이론이 생존하는 구체적 생활 근거지이면서 동시에 교육이론의 실험장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그 실험장의 교육이론을 해체하는 작업은 교육 현장의 담론 구조와 필연적으로 만난다. 다시 말해두면 교육 현장을 해체하는 도정은 교육 현장을 지배하고 있는 거대담론을 문제의 근원지로 소환한 뒤 그것을 해체의 망치로 두들겨서 낱낱이 분해하고 그 분해 너머의 전언을 다시 밝혀 놓는 것이리라. 이 분해의 망치는 리오타르와 데리다가 제안하는 배리와 해체로 잡아둔다. 과연 그렇다면 ‘교육 현장을 감싸면서 굳건한 위용을 자랑하는 거대담론이란 무엇인가’라고 물을 일이다. 그것은 바로 학교 현장을 지배라는 수업이라는 골리앗이다. 이 수업의 착종으로 벌어지는 연대 부산물을 여기서 거대담론으로 포착한다. 이를테면, 그것들은 이런 것이다. 즉, 그것들은 현장의 교수-학습과 그 교수-학습을 엮어내는 수업 지도안/과정안 그리고 이 수업을 형량 하는 계량적 수업평가 방식이다. 이것들이 심각하게 문제 있음만을 이 글은 보여준다. The post-modern idea of grand narratives renders new thinking for change problematic. In this paper, grand narratives ar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and quantitative assessment about student’s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The very task we face is how to cope with, operate within and challenge the openness of the post-modern movement. A refusal of totalizing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s must necessarily involve a refusal of totalizing phenomenon in teaching set. Texts we have examined share a problematic characteristic of wanting to question some of the fundamental assumptions upon which the dominant modern view. The post-modern moment signifies a paradigm shift. To escape the modernist discourse is to deconstruct the modern project of education. The grand narratives may be far from dead but they have certainly lost much of justificatory power. We would want to argue that co-implicated with this is the de-centering of grand narratives.

      • KCI등재

        탁영(濯纓) <속두류록(續頭流錄)>의 산수담론(山水談論)과 그 도학적(道學的) 성격(性格)

        신태수 ( Shin¸ Tae-soo ) 택민국학연구원 2020 국학연구론총 Vol.0 No.26

        濯纓의 賦와 記와 跋을 들여다보면, 山水에 대한 화자의 조망 방식과 일체화 방식을 발견할 수 있다. 화자의 조망 방식과 일체화 방식은 <續頭流錄>에서도 발견된다. 창작 연대로 보아, <속두류록>이 賦와 記와 跋에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遊頭流錄>으로부터는 화자의 조망 방식을 수용했고 <智異山日課>로부터는 화자의 일체화 방식을 수용했다고 보아야 옳다. 先行 山水遊記의 두 방식을 수용한 까닭은 새로운 산수담론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새로운 산수담론이란 ‘인간이 주체가 되어 산수 본성을 체인해야 하는가, 산수가 인간에게 본성을 체인하도록 해야 하는가?’라고 하는 문제제기이다. 이 산수담론은 그야말로 거대 담론이다. 후대 여러 선비들이 참여하여 각자의 견해를 피력할 정도로 넓고 깊은 문제의식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탁영의 산수담론은 도학적 측면이 강하다. 도학적 측면은 두 가지다. 人文地理탐색과 治人의 논리가 그 한 가지요, 인간과 산수의 우주적 성격 탐색이 그 다른 한 가지다. One can discover the ways that the speaker viewed Sansu (= literally mountains and water) and identified himself with it by looking into Takyeong's Bu, Gi, and Bal works. These ways of the speaker are also found in Sokduryurok, which was not influenced by Bu, Gi, and Bal, given the year of its creation. The author accepted the ways that the speaker viewed things from Yuduryurok and the ways that he identified with them from Jirisanilgwa. He accepted these two ways from old Sansuyugi in order to establish a new discourse about Sansu, which was to raise questions such as, "Should man be the subject and recognize the nature of Sansu profoundly or Should Sansu make man recognize its nature profoundly?" This discourse about Sansu was a meta-discourse itself, as it had problematic consciousness wide and deep enough for many different later generational classical scholars to join and express their individual opinions. There is a strong Dohak aspect to Takyeong's Sansu discourse. He took two approaches to the Dohak aspect: one was his logic for his inquiry into human geography and Chi-in, and the other was his exploration into the cosmic nature of man and Sansu.

      • KCI등재

        포스트담론 이후의 대안문화 모색: 주체(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변상출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7 No.1

        본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담론 이후의 대안이론을 주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재정립해 보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우선 포스트모더니즘이 상륙하기 시작했던 1989년 이후의 여러 포스트담론들의 현상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 검토는 ‘반성’을 전제로 한다. 1989년 이전 한국의 이론 진영에서는 거대서사의 개념들이 논의의 중심을 이루었다. 그것은 예술 작품에서든 이론에서든 마찬가지였다. 거대서사의 중요한 아이콘들은 민족, 민중, 계급, 해방, 주체 등이었다. 그런데 이 아이콘들이 1989년 이후이론과 작품에서 사라지기 시작한다. 그리고는 까마득히 망각된다. 이 소멸과 망각의 바람을 일으킨 것은 포스트모더니즘과 그 다양한 담론들이었다. ‘망각’을 포스트모던의 주요 전략으로 이해하는 이론가도 있다. 거의 30여 년간진행된 한국의 포스트모던의 상황을 보면 그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특히망각된 개념과 실재의 하나는 주체 혹은 주체성이다. 1989년 이후, ‘4·19혁명’의 중고등학생 주체는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1987년 ‘6월 항쟁’의 중심이었던 대학생주체도 보이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영국의 저명한 문예비평가인 테리 이글턴은 이런 증상을 두고 ‘후기근대주의적 기억상실증’이라고 부른다. 사라진 주체가 모습을 드러냈다. 그 주체는 2011년 10월, 뉴욕의 주코디 공원에도나타났고, 2016년 10월 한국의 광화문 광장에도 모습을 보였다. 물론 이때의 주체는단일색의 ‘프롤레타리아’가 아니라 복수의 주체들이다. 21세기 변화의 주체가 어떤모습이고, 그 가능성이 무엇인지 읽게 한다. 거대한 글로벌 자본으로부터 진정한‘인간해방’을 위해 전통 역사유물론과 포스트담론이 ‘화해’의 장으로 만날 수 있는가능성을 ‘새로운 주체’에게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article looks for the alternative theory of post-discourse subjectivity. To achieve this aim, first of all it critically examines the phenomena of various post-discourses since 1989, when postmodernism arrived. Before 1989, conceptions about ‘grand discourse’ of Lyotard were the focus of the different theories of subjectivity in South Korea, and it was the same with art works. The great epic’s icons are an ethnic group race, the Minjung, the working class, human liberation and the subject. But these icons vanished from theories and works after 1989, and were forgotten. The responsibility for this oblivion lies with postmodernism and its various discourses. Burghart Schmidt understands this oblivion as the main strategy of the post-modern. Considering Korean post-modernism has lasted for over 30 years, this opinion is persuasive, especially the forgotten conception of subject or subjectivity. Since 1989, we have not been able to see the subject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e ‘4·19’-revolution anymore, 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the main power behind the June Struggle for Democracy in 1987. In Terry Eagleton’s opinion, this indicates ‘post modern amnesia’. Finally, the disappeared subject appeared, at Zucody Park in New York in December 2011, and in Gwanghwamun Plaza in December 2016. Of course, this subject is not a single color proletariat but a plurality of subjects. At this point, we can see what the subject of change should be like in the 21st century. This new subject provides room for reconciliation between traditional historical materialism and post-discourse, holding out the possibility that we can be liberated from global capitalism.

      • KCI등재

        훈민정음 창제를 배경으로 한 역사추리소설 연구

        김효진(Kim, Hyo-jin)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8 No.-

        본고는 역사추리소설 『뿌리 깊은 나무』와 『훈민정음의 비밀』의 추리서사를 분석하고 두 소설에 드러난 지배이데올로기와 숨겨진 대중의 욕망을 고찰하였다. 두 소설은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공백의 역사’를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복원하여 숨겨진 역사를 드러내고자 한 역사추리소설이다. 『뿌리 깊은 나무』는 훈민정음이 반포되기 전 7일 동안 벌어지는 집현전 학자들의 연쇄살인사건을 다룬다. 이 소설 전반부는 범죄의 서사가 생략되고 그 공백을 재현하기 위한 조사의 서사가 전경화된 미스터리 소설의 구조를 따르지만 중반부 이후에는 탐정이 범죄의 서사에 참여하고 희생자가 중심이 되는 서스펜스 소설로 변모한다. 이는 알려지지 않은 훈민정음 창제까지의 역사적 공백의 시간을 복원하여 창제 과정의 긴박함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리서사는 독자들이 긴장감을 갖고 더욱 사건에 몰입하게 한다. 『훈민정음의 비밀』은 미스터리 소설과 범죄소설의 특성을 잘 결합한 소설이다. 이 소설은 폐위된 세자빈 봉씨에 얽힌 역사적 비밀을 쫓으면서 훈민정음의 확산을 막으려는 기득권 세력과, 왕권을 노리는 정치적 음모를 밝혀 기록되지 않은 역사의 공백을 그리고자 했다. 독특한 서간체 소설 형식은 각 인물들의 내밀한 생각과 욕망을 드러나게 하여 독자들이 수많은 인물들의 생각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독자들이 탐정보다 더 우위에 있는 구조로 독자들이 더욱 능동적으로 각 사건에 참여하도록 하여 능동적 독서를 유도한다, 역사추리소설에서 탐정과 범인의 대립 구조는 선악의 대립 구조로 치환된다. 이는 탐정의 승리, 곧 선의 승리를 보여줌으로 지배 이데올로기에 순응한다. 두 소설은 모두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그것을 확산시키려는 세종이 선, 기득권을 지키고 권력을 빼앗길 원하는 반대 세력이 악이 되는 구조로 이는 모두 민족주의 거대담론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세종을 완벽한 영웅이 아닌 고난과 갈등 속에서 역사적 사명을 수행하는 인간적인 지도자로 그려냄으로 이전의 세종과는 변별성을 보인다. 또 이름 없는 민중들을 소설의 전면에 내세움으로 역사의 주변자가 아니라 역사를 이끌어가는 주체가 되고 싶은 대중의 욕망을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한편으로는 지배계층의 거대담론에 억눌려 있는 여인들의 삶에 관심과 연민을 드러낸다.

      • KCI등재후보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적대적인 사회종교적 환경과 교회

        최승락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8 갱신과 부흥 Vol.22 No.-

        Is postmodernism enemy or friend of Christianity? It is a hard question to answer. It depends on how we define postmodernism. So we want to find out how J.F. Lyotard defines it. His idea of metanarrative or grand narrative is not related to the size of a narrative. Rather it is a narrative used to justify a story or stories. Christian narrative in itself is not to be identified with grand narrative as Lyotard defines it. Rather Christian narrative has its own status as a specific story among many stories. There arises, however, a different kind of hostile situation when we accept this postmodern condition as unavoidable. Many heretic groups could take a better advantage with this postmodern condition. We also confront with some new forms of chuch movement around us including non-church going Christians and so-called emerging church movement. We try to evaluate these movements and to check out what makes church a biblical and feformed church. We want to suggest that descipleship is basically important to meet this challenging and sometimes hostile postmodern situations in which the church is placed. 포스트모더니즘은 기독교의 적일까 친구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포스트모더니즘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우리는 먼저 리오타르가 포스트모더니즘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가 말하는 거대담론 또는 메타 내러티브는 기본적으로 어떤 이야기의 규모에 따라 정의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어떤 이야기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당화 담론을 가리킨다. 성경의 이야기는 그 자체가 리오타르가 말하는 거대담론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성경의 이야기는 그것의 정당성을 위해 다른 거대담론에 기댈 필요가 없이 그 자체의 고유한 지위를 가진다. 이런 면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가 서로 적대적 관계에 놓일 이유가 전혀 없다. 그러나 이 동일한 기준이 많은 이단적 집단들에도 꼭 같이 적용될 때에는 정통 기독교가 훨씬 불리한 입장에 설 가능성이 더 커진다. 뿐만 아니라 교회 내부에서도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류에 편승하는 새로운 교회 운동들이 일어나기도 한다. 오늘날 점증하는 ‘가나안 교인’ 현상이나 이머징 교회 운동 등이 그것이다. 우리는 이런 운동들이 왜 일어나며 그 사상적 기저에 놓인 것들이 무엇인지 평가해 보기를 바란다. 동시에 이런 도전들에 맞서서 오늘날의 교회가 성경적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기 위해 이 시대의 필요에 맞게 제자도의 길을 어떻게 구현해가야 할 지를 제안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포스트담론 이후 ‘청산’과 ‘지양’의 문제 : ‘총체성’과 ‘사물화’ 담론을 중심으로

        변상출 ( Byeun¸ Sang-chul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20 영어권문화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lternative theories after post-discourse. In the West, postmodernism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the Revolution of 1968. It was both an expression of new sensibility and a criticism of Logocentrism and rationalism. The postmodernism, which began with the revolution in 1968, opposes the universalism centered on reason, and expresses a variety of sensibilities and desires. These include sex, religion, race, culture, art, etc. In short, postmodernism put multiplicity and pluralism as its first value. But the global economy is also more polarized after the postdiscourse. After the grand discourse of Marxist materialism attacked by post-discourse disappeared, individuals are losing their freedom, not enjoying more freedom in the place. The governing methods of global capitalism in the 21st century are more subtle and thorough. Now it seems necessary to bring the concept of totality and objectification into people's memories. Of course, this evocation is based on the concept of dialectical Aufhebung.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bring back the concept of ‘Verdinglichung’ and ‘Totalität’ that has been forgotten from our consciousness into the field of the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