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角五郞)와 갑신정변(甲申政變)

        김종학(Kim Jong-Ha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3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일본 게이오대학 후쿠자와 연구센터에 소장된 미간사료 『井上角五郞自記年譜』의 기록에 근거해서 갑신정변 전후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角五郞)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갑신정변의 계획수립, 한성조약(漢城條約) 체결과정,『갑신일록』 저술의 세 국면으로 나누어『연보』를 분석했다. 첫째, 갑신정변의 계획수립 단계에서부터 가쿠고로와 고토 쇼지로가 공모한 사실을 규명했다. 『연보』에 따르면, 갑신정변의 계획은 다케조에 공사가 조선에 귀임하기 전인 10월초에 이미 수립되어 있었다. 따라서 다케조에의 선동이 갑신정변의 주된 동기가 되었다고 하는 『갑신일록??의 주장은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다케조에가 조선에 귀임한 목적은 청불전쟁을 기회로 조선의 친청당(親淸黨)을 억압해서 조약상의 이권을 균점하려는 데 있었으며, 처음부터 청국과의 일전을 각오하고 조선에 개화당 정권을 수립하려는 의지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다케조에가 개화당을 선동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개화당이 다케조에를 이용한 정황이 간취된다. 둘째, 가쿠고로는 갑신정변의 선후조약(善後條約)인 한성조약의 체결과정에서 암약했다. 그는 김윤식과의 막후교섭을 통해 청일전쟁의 가능성을 역설하면서 조선은 그 안위를 위해 양국 사이의 문제에 개입하지 말라고 충고했다. 결과적으로 이것이 주효해서 다케조에 공사의 교지(敎旨) 위조 문제 등 중대한 현안이 의제화 되지 않고 한성조약이 조속히 체결될 수 있었다. 셋째, 가쿠고로는 『갑신일록』의 저술에도 깊이 간여했다. 이 논문의 논지에 따르면,『갑신일록』은 김옥균의 순수한 저술도 아니며, 완전한 위작(僞作)도 아니다. 이는 ??갑신일록』의 단순한 진위 논쟁을 넘어서, 당시 일본의 국내정치적 상황과 관련하여 김옥균이 어쩔 수 없이 그렇게 쓸 수밖에 없었던 부분과 여러 가지 제약 속에서도 진실로 남기고 싶었던 메시지를 분석하고, 그 숨겨진 의미를 해석해야 하는 과제를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oll of Inoue Kakugor? in the Gapsin Coup of 1884, based on the unpublished historical records, Autobiographical Chronology of Inoue Kakugor?(井上角五郞自記年譜). This paper"s argument is as follows: First, the specific plan of Gabsin Coup is established in early October, not after November as known so far. And the record of Chronology testifies Inoue Kakugor? and Koto Sh?jir? was the chief conspirators of the coup, the fact which did not receive due attention in previous studie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narrative of Kabsinilok(甲申日錄, the daily records of Kabsin Coup) which asserts that the deliberate instigation of Japanese Minister Takezoye Shinichir? was the chief motive of the coup needs to be critically examined. Second, Inoue Kakugor? played an hidden role in the process of negotiating the Hansung Treaty. By an informal negotiation with Kim Yun-Sik, he could much contribute to the early signing of that treaty. In this process, he leaked the rumor of Sino-Japanese war, which stirred extreme anxiety among Chosun nobles. Third, He was also engaged deeply in the writing of Kabsinilok. When Kim Ok-Kyun was writing Kabsinilok in Sept. of 1885 in Tokyo, living in very close distance with Kim, Inoue Kakugor? discussed with him how the events of Gabsin Coup should be recorded. Even some parts of Kabsinilok are assumed as Inoue"s own writing. According to the argument of this paper, Kabsinilok is not a wholly complete writing of Kim Ok-Kyun himself, nor a counterfeit. This means, beyond the authenticity debate of Kabsinilok, we should make an effort to distinguish the hidden messages of Kim Ok-Kyun from the part he could not but write the way it is in his adverse circumstances.

      • KCI등재

        전환기 국정개혁의 환경요인 및 관리전략 분석: 구한말 갑신정변(甲申政變)의 경우

        김순양(Kim, Soon-Yang)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구한말의 급박한 시대상황 하에서 총체적인 국정개혁을 시도하였던 갑신정변의 외부환경을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으로 구분하여, 외부환경의 특성, 정변세력들의 외부환경 관리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외부환경 관리가 갑신정변의 성패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늘날의 국정개혁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도 모색해 본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갑신정변 자체를 외부환경에 초점을 두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갑신정변을 구한말의 전환기에 젊은 관료들이 주도한 총체적 국정개혁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외부환경 관리전략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의 국정개혁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분석이론은 환경분석을 위해 개발된 SWOT분석의 외부환경 분석변수(기회요인, 위협요인)와 PEST분석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요인을 결합한 것이다. 분석자료는 관련 학술서적과 논문은 물론, 고종실록, 매천야록, 갑신일기 등 다양한 역사적 자료들을 활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external environments of the Gapsin Coup, actual conditions and underlying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external environments by the leaders of the Gapsin Coup, and the impact of the management of external environment on producing the results of the Gapsin Coup. External environments are categorized into opportunities and threats.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governmental reforms are also derived. Accordingly, the significances of this article are following two: One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Gapsin Coup itself, focusing on its external environments, while the other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governmental reform of the present time by analyzing the management strategies regarding external environments in the process of Gapsin Coup. Theoretical and analytical frameworks are established by integrating opportunities factor and threats factor in the SWOT analysis and the four environmental contexts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ical factors in PEST analysis.

      • 갑신정변 전후 "개화" 개념의 내포와 표상

        김윤희 ( Yun Hee Kim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1 No.2

        서양사상의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진행된 기왕의 연구는, 번역어로서 개화가 수용되기 이전에 사용된 개화 용어는 유교적 관념을 반영하는 것으로 근대 개념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문명화(civilization)의 번역어가 수용되는 단계에서 비로소 개화는 서양 문명화를 의미하는 근대 개념으로 정립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으로 인해 기존 개화 개념에 대한 연구는 개화 개념의 내포와 표상에 대한 고찰을 상대적으로 간과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1876년 개항에서 1884년 갑신정변직후까지 개화 개념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1876년 개항 이후 통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물성무 화민성속(開物成務 化民成俗)`이란 수사를 통해 왕에게 건의되고 있었다는 점은, 이 말이 유교 문명뿐만 아니라 서양 문명의 수용을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서양의 기술과 제도를 도입하여 인지를 발달시키는 진취적인 기상이라는 의미, 풍속의 진보를 뜻하는 『한성순보』의 개화 개념에는 인민이 국가의 독립주권의 소중함을 깨닫는 의식상의 변화가 내포되어 있었으며, 통치자의 입장에서 수용 가능한 문명의 장점을 통해 국가의 진보와 독립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 개화 개념이 정치운동 과정에 등장했던 것은 개화당의 성립이었다. 개화당이었지만 갑신정변에 참여하지 않았던 윤치호는 대민통치방식을 서양 근대 국가의 통치시스템의 변화라는 의미로 개화를 사용했다. 그러나 개화의 실행 주체인 왕의 존재를 탈각하지 못한 윤치호의 개화 개념은 통치자의 선택과 정치적 변수에 의해 그 실행의 기회를 엿보아야 하는, 권력구조의 틀 속에서 개념 지어진 것이었다. 개화 개념에 내포된 실행 주체로서 왕의 존재가 사라진 것은 갑신정변이었다. 주체적으로 권력구조의 변동을 추구했던 김옥균의 개혁은 갑신정변 직후 진행된 추국(推鞫) 과정에서 개화 개념으로 등치되었다. 『한성순보』의 풍속의 진보와 윤치호의 통치방식의 변화라는 의미가 갑신정변의 개화 개념에 그대로 내포되어 있었다. 다른 점은 실행 주체로서 왕의 존재가 그 의미를 상실한 것이었다. 따라서 갑신정변의 개화 개념은 통치자의 입장에서는 `화심(禍心)` `사죄(死罪)` `흉패(凶悖)`로 통치자에 대한 도전으로 표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나라를 위한 것이 아닌 개인의 사욕을 위한 것으로 표상되었다. 또한 일본의 군사력에 의지한 김옥균 등의 개혁이 개화 개념으로 등치되는 순간 반일 정서를 가진 민중에게 개화 개념은 `매국배종(賣國背宗)`의 이미지로 표상되었다. Existing studies dealing with the adoption of western thought do not consider that the term Gaehwa was us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Gaehwa as a modern concept, reflecting the Confucian notion, so that,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translation of civilization, the term Gaehwa was regarded as the modern concept, meaning western civilization. Owing to this notion, prior study of the Gaehwa concept largely overlooks the intention and presentation of the Gaehwa concept. Given that the various ways of maintaining the governing system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were proposed to the King via the words `Gaemulseungmu Hwaminseungsok(開物成務化民成俗),` the words indicate the possibility of their including the admission of western civilization as well as the Confucian one. The quest to develop the culture by introducing western skills and systems, and the concept of Gaehwa, meaning the improvement of customs within Hanseongsunbo, the conscious efforts by the people to understand the independent sovereignty of the nation illustrated that the improvement and independence of the nation was contained through the strength of civilization and accepted by the ruler. The concept of Gaehwa manifested itself in the political arena through the foundation of the Gaehwa Party. To Yun Chi-ho, who was a member of the Gaehwa Party but did not participate in the Kapshin Coup, the concept of Gaehwa meant to change the ruling system, to conform with those of modern western nations. But, his concept of Gaehwa functioned within the traditional boundary of the ruling system, conducted through the ruler`s selection and political variables, without excluding the existence of the king, the practical subject. The existence of the king, a practical subject contained within the concept of Gaehwa, however, disappeared with the Kapshin Coup. The reformation of Kim Ok-kyun, who pursued the reform of the power structure, was also defined by the concept of Gaehwa, in the process carried out soon after the Coup. The improvement of customs within Hanseongsunbo, and Yun Chi-ho`s reform of the system of government were contained equally by the concept of Gaehwa within the Coup. The difference was that the existence of king as a practical subject lost its meaning. Accordingly, in the ruler`s place, the concept of Gaehwa within the Coup was presented as a big challenge against the ruler, and as something not for the nation but for individual ambition. In addition, the reforms of Kim Ok-kyun and so on, dependent on Japan`s military power, were described equally by the concept of Gaehwa, and were presented as the image of `Maegukbaejong(賣國背宗)` to people who had anti-Japanese sentiments.

      • 갑신정변 전후 ‘개화’ 개념의 내포와 표상

        김윤희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0 No.2

        Existing studies dealing with the adoption of western thought do not considerthat the term Gaehwa was us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Gaehwa as a modernconcept, reflecting the Confucian notion, so that,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translation of civilization, the term Gaehwa was regarded as the modern concept,meaning western civilization. Owing to this notion, prior study of the Gaehwaconcept largely overlooks the intention and presentation of the Gaehwa concept. Given that the various ways of maintaining the governing system after theopening of the port in 1876 were proposed to the King via the words‘Gaemulseungmu Hwaminseungsok(開物成務化民成俗),’the words indicate thepossibility of their including the admission of western civilization as well as theConfucian one. The quest to develop the culture by introducing western skills and systems, andthe concept of Gaehwa, meaning the improvement of customs withinHanseongsunbo, the conscious efforts by the people to understand theindependent sovereignty of the nation illustrated that the improvement andindependence of the nation was contained through the strength of civilization andaccepted by the ruler. The concept of Gaehwa manifested itself in the politicalarena through the foundation of the Gaehwa Party. To Yun Chi-ho, who was amember of the Gaehwa Party but did not participate in the Kapshin Coup, theconcept of Gaehwa meant to change the ruling system, to conform with those ofmodern western nations. But, his concept of Gaehwa functioned within thetraditional boundary of the ruling system, conducted through the ruler’s selectionand political variables, without excluding the existence of the king, the practicalsubject. The existence of the king, a practical subject contained within the conceptof Gaehwa, however, disappeared with the Kapshin Coup. The reformation of KimOk-kyun, who pursued the reform of the power structure, was also defined by theconcept of Gaehwa, in the process carried out soon after the Coup. Theimprovement of customs within Hanseongsunbo, and Yun Chi-ho’s reform of thesystem of government were contained equally by the concept of Gaehwa withinthe Coup. The difference was that the existence of king as a practical subject lostits meaning. Accordingly, in the ruler’s place, the concept of Gaehwa within theCoup was presented as a big challenge against the ruler, and as something not forthe nation but for individual ambition. In addition, the reforms of Kim Ok-kyunand so on, dependent on Japan’s military power, were described equally by theconcept of Gaehwa, and were presented as the image of ‘Maegukbaejong(賣國背宗)’to people who had anti-Japanese sentiments. 서양사상의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진행된 기왕의 연구는, 번역어로서 개화가 수용되기 이전에 사용된 개화 용어는 유교적 관념을 반영하는 것으로 근대 개념으로보기 어렵기 때문에, 문명화(civilization)의 번역어가 수용되는 단계에서 비로소 개화는 서양 문명화를 의미하는 근대 개념으로 정립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으로인해 기존 개화 개념에 대한 연구는 개화 개념의 내포와 표상에 대한 고찰을 상대적으로 간과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1876년 개항에서 1884년 갑신정변직후까지 개화 개념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1876년 개항 이후 통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개물성무 화민성속(開物成務化民成俗)’이란 수사를 통해 왕에게 건의되고 있었다는 점은, 이 말이유교 문명뿐만 아니라 서양 문명의 수용을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 가능하다는것을 보여 준다. 서양의 기술과 제도를 도입하여 인지를 발달시키는 진취적인 기상이라는 의미, 풍속의 진보를 뜻하는『한성순보』의 개화 개념에는 인민이 국가의 독립주권의 소중함을 깨닫는 의식상의 변화가 내포되어 있었으며, 통치자의 입장에서 수용 가능한문명의 장점을 통해 국가의 진보와 독립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 개화 개념이정치운동 과정에 등장했던 것은 개화당의 성립이었다. 개화당이었지만 갑신정변에 참여하지 않았던 윤치호는 대민통치방식을 서양 근대 국가의 통치시스템의 변화라는 의미로 개화를 사용했다. 그러나 개화의 실행 주체인 왕의 존재를 탈각하지 못한 윤치호의 개화 개념은 통치자의 선택과 정치적 변수에 의해 그 실행의기회를 엿보아야 하는, 권력구조의 틀 속에서 개념 지어진 것이었다. 개화 개념에 내포된 실행 주체로서 왕의 존재가 사라진 것은 갑신정변이었다. 주체적으로 권력구조의 변동을 추구했던 김옥균의 개혁은 갑신정변 직후 진행된 추국(推鞫) 과정에서 개화 개념으로 등치되었다. 『한성순보』의 풍속의 진보와 윤치호의 통치방식의 변화라는 의미가 갑신정변의 개화 개념에 그대로 내포되어 있었다. 다른 점은 실행 주체로서 왕의 존재가 그 의미를 상실한 것이었다. 따라서 갑신정변의 개화 개념은 통치자의 입장에서는‘화심(禍心)’‘사죄(死罪)’‘흉패(凶悖)’로 통치자에 대한 도전으로 표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나라를 위한 것이 아닌개인의 사욕을 위한 것으로 표상되었다. 또한 일본의 군사력에 의지한 김옥균 등의 개혁이 개화 개념으로 등치되는 순간 반일 정서를 가진 민중에게 개화 개념은‘매국배종(賣國背宗)’의 이미지로 표상되었다.

      • KCI등재

        『갑신일록』의 진위에 대한 재고

        김흥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규장각 Vol.48 No.-

        『갑신일록』의 진위문제를 밝히기 위해 현존하는 국내외 『갑신일록』 필사본을 검토한 결과 대체로 다음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갑신일록』 필사본에는 김옥균의 저작임을 의심케 하는 일본식 용어나 제3자적 관점이 종종 등장하는데, 후대의 필사본에서 이 부분이 지속적으로 수정되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위작의 증거라기보다는 『갑신일록』 저술에 제3자가 개입한 흔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갑신일록』에는 김옥균의 저작임을 증명하는 용어와 사실이 반영되어 있다. 전자의 대표적 예로 ‘狼狽’를 ‘良貝’로 표기한 것을 들 수 있다. 김옥균은 서한에서 ‘狼狽’를 ‘良貝’로 사용한 사례가 있다. 후자의 대표적 예로 ‘12만 弗’ 기채를 들 수 있다. 임오군란 후 수신사 일행이 빌린 금액은 지폐로 17만 엔이지만 실제로 수령한 금액은 지폐를 은화로 환산한 12만 불이었고, 이는 김옥균이 아니면 모르는 내용이다. 끝으로 김옥균이 수나가 하지메(須永元)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紀略』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김옥균이 갑신정변의 전말을 기록한 『紀略』은 『갑신일록』인 것으로 보인다. 초기 필사본 제목인 ‘甲申日錄略抄’의 ‘略’에서 『기략』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서한은 『갑신일록』위서 논란에 종지부를 찍게 해준다. 나아가 김옥균이 『기략』으로 언급한 이상 앞으로는 『갑신일록』을 『갑신기략』으로 부를 것을 감히 제안한다.

      • KCI등재

        갑신정변 참여층의 개화사상과 정변 인식

        박은숙 한국역사연구회 2004 역사와 현실 Vol.- No.51

        The participating group in carrying out the Gahshin-year Coup d'etat was comprised of Sanghan(常漢) figures, and they were well aware of the Gaehwa/ 開化 philosophy thanks to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y had obtained through certain opportunities and visits to the outer world. They were very eager to implement such philosophies through events in the real world. During the early stages, practical knowledge and technology, such as military skills, silk raising, Cowpox vaccination and English language were subjects that they were primarily interested in. Then after 1883, they started to consider independence and Gaehwa modernization as important and also urgent National tasks. The participants of the Coup hoped that their action would turn the tides of the situation. They also thought that their actions were mirroring the conflict between Imperial Japan and the Chinese. They expected that the Coup itself would be labelled as a terrible one, and they would all be executed for their participation in such act. Yet they carried out the Coup nonetheless. And the leaders of the Coup included the requests and expectations of such participants in their subsequent personnel appointments and reformation program.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Gaehwa philosophy, the participants of the Coup hoped for significant social reformation which would replace the existing order. The Gabshin-year Coup was not made possible solely because of the leaders and their leadership, but was made possible because of the hope and active action of many people who were determined to see the dawn of a new society.

      • KCI등재

        甲申政變前後の福澤論吉の中國認識 : 『時事新報』中國關連論說を中心として 『시사신보』 중국관련 논설을 중심으로

        高城幸一 한국일어일문학회 2002 日語日文學硏究 Vol.43 No.1

        임오군란 이후 청국은 압도적인 군사력을 배경으로 조선의 실질적인 보호국화를 의미하는 내정간섭정책에 나선다. 이에 비해 일본은 청국과의 직접적인 대결을 피하기 위해서 청국과의 협조적인 노선을 채택하고 조선정략에서 크게 후퇴한다. 이런 명치정부의 소극적인 조선정략에 후쿠자와는 불만을 표시하고 청국을 가상의 적으로 생각하고 군사력의 확장을 명치정부와 국민에 호소한다. 安南사건을 계기로 淸佛戰爭이 일어나자 청국이 조선에 신경 쓸 여유가 없다고 판단하여, 명치정부는 이때까지의 조선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를 바꾸고, 朝鮮駐在 日本公使館은 김옥균등이 일으킨 쿠테다인 갑신정변에 적극적으로 협조했다. 그러나 압도적인 군사력을 배경으로 한 朝鮮駐在 淸國軍이 개입하자 일본군은 후퇴하고 갑신정변은 3일 천하로 끝났다. 명치정부는 朝鮮駐在 日本公使館이 갑신정변에 직접 介入했다는 국제 여론의 비판을 피하기 위해 朝鮮駐在 日本公使館의 개입을 숨기고 一方的으로 청국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국민에게 알리자, 일본 국민들의 청국에 대한 적대심이 높아졌다. 후쿠자와는 자신에 주재한 『時事新報』를 통해서 청국과 전쟁하여 조선의 독립을 도와야 한다는 내용의 사설을 연일 게재하고, 국민의 애국심에 호소하여 청국과의 전쟁을 대비하여 군사비용을 만들기 위해 헌금을 할 것을 전 국민에 호소한다. 그러나 井上??外務卿이 직접 全權大使로 나서 조선정부와 교섭에서 압도적인 군사력으로 협박하여 정변의 책임을 조선에 전가시켜 漢城條約을 채결하자 일본국민들은 전쟁의 위기가 떠났다고 기뻐하였다. 이런 상황을 보고 후쿠자와는 이번 정변의 주역은 청국이기 때문에 청국과의 교섭이 해결하지 않는 이상 기뻐하는 것은 시기 상조라고 국민들의 눈을 다시 청국으로 돌리게 하고 청국과의 전쟁을 계속 주장한다. 당시의 명치정부의 최고 실력자인 伊藤博文이 직접 全權大使로 청국에 가서 청국과의 교섭을 통해서 청일 양국이 조선에서 군대를 철수한다는 天津條約을 체결하여 양국간의 전쟁위기가 사라지자, 후쿠자와는 조선에 거류하는 일본인의 안전을 위하여 天津條約을 파기할 것을 명치정부에 요구한다. 후쿠자와는 天津條約이 갖는 외교적 의미의 중요성을 이해 못했던 것 같다. 갑신정변의 실패가 후쿠자와의 침략적인 중국·조선론인 「탈아론」을 등장시켰다. 「탈아론」의 등장배경과 성격에 대해서 종래의 연구들이 언급한 것과 달리 후쿠자와의 「탈아론」은 갑신정변 때문에 조선에서 일본의 기반이 사라지는 것에 대한 좌절감과 후쿠자와가 조선문명개화의 동지로 생각했던 독립당 멤버에 대한 가혹한 처형에 대한 분노 때문에 등장했다고 할 수 있다. 그 후에도 중국과 조선을 재평가하는 논설이 나온 것을 감안하면 「탈아론」은 일종의 패배선언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갑신정변 체험기 『遭難記事』 필사 원본의 발굴과 사료적 특징

        신동규(申東珪)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7 No.-

        본고는 갑신정변 당시 「漢城旬報」를 발간했던 이노우에 카쿠고로의 필사본 『遭難記事』의 발굴 경위와 그 사료적 특징 및 「時事新報」에 게재된 『遭難記事 와의 차이점을 고찰한 것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遭難記事』의 필사본은 지금까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역사학계에서는 처음으로 본고에서 원문의 탈초문과 번역문, 그리고 그 가치를 발굴하여 소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기록은 그 어떤 민간인의 기록보다도 당시 일본공사관 관원과 경성 재주 일본인들의 탈출을 생생하게 기록하고 있어 갑신정변과 일본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사료적 가치성이 내재되어 있다. 둘째, 이 필사본 『遭難記事』 는 갑신정변 당시 민간인이 직접 기록한 것으로는 가장 빠른 시기의 자료이며,더욱이 「時事新報」를 통해 갑신정변을 가장 먼저 일본 국내에 알린 정보 루트로서의 역할도 있었다는 점이다. 셋째, 필사본 『遭難記事』는 「時事新報」에 실린 『遭難記事』의 원 사료라는 점이다. 이것은 「時事新報」에 「井上角五郞氏歸京」의 기사가 실리면서 이노우에 카쿠고로가 경성을 탈출할 때 직접 쓴 ‘紀事’와 그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가 바로 「時事新報」의 『遭難記事』라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동시대 일본인이 바라본 김옥균의 위상

        윤상현(Sang-hyun Youn) 바른역사학술원 2024 역사와융합 Vol.- No.18

        This study seeks to reexamine the reality of Joseon before and after the Gapsin Coup as shown in Nakarai Dosui's newspaper serial novel 『The Sand Wind Blowing in Joseon』 and the realization of Kim Ok-gyun's Three Harmony Doctrine through the main character of the work, although he is a fac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reexamination of how Kim Ok-gyun's status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three countries, reproduced through contemporary newspaper media in the late 1880s, were biased and conveyed to the Japanese public. It consists of fiction that plays a leading role in. Unlike existing works based on Kim Ok-gyun, which use the so-called death of Kim Ok-gyun or the historical fact of the Gapsin Coup as their main creative motif, this is a humanities study that focuses on the social and political aspec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three harmony doctrine and independence of Joseon that Kim Ok-gyun advocated. It can be said that it has a unique feature that sets it apart from other works in that it was reconstructed with scholarly imagination. Specifically, as Nakarai lived at the same time as enlightenment thinkers such as Kim Ok-gyun and Park Young-hyo, he not only criticized the failure of the Gapsin Coup more objectively and macroscopically, but also did not simply end it as a failure, but established the Triple Alliance between Joseon, Japan, and the Qing Dynasty through factions. In conclusion, it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cultural contents featuring Kim Ok-gyun in that it realizes the three harmony doctrine that resists Western imperialism. In this way, Nakarai's 『The Sand Wind Blowing in Joseon』 checks and criticizes Japan's large imperialistic vested interest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as an alternative, builds a system of independence and peace for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to jointly confront Western imperialist invasion. It must be said that it has counter-cultural characteristics. And Nakarai's view of Joseon is still valid even in the 21st century, as the Gapsin Coup that took place in 1884 was triggered by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the Qing Dynasty and domestically by resistance to pre-modernity and the large mainstream forces of the Min clan., This is also the reason why Kim Ok-gyun's status should be recalled again in our history. 본 연구는 나카라이 도스이(半井桃水)의 신문연재소설 『조선에 부는 모래바람(胡砂吹く風)』에 나타난 갑신정변 전후 조선의 실상과 비록 팩션(Faction)이기는 하나 작품 주인공을 통하여 김옥균의 삼화주의(三和主義) 실현하는 모습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것은 1880년대 후반 당시의 신문 미디어를 통해 재현된 김옥균의 위상과 삼국의 국제 정세가 일본 대중에게 어떻게 편향되어 전달되었는지 재검토하는 일이라 하겠다. 이는 기존의 김옥균을 소재로 한 작품들, 이른바 김옥균의 죽음이나 갑신정변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주요 창작 모티브로 삼는 것과는 달리, 조선 후기의 사회적, 정치적 모습이나 김옥균이 주장해 왔던 삼화주의 및 조선 자주독립을 인문학적 상상력으로 재구성했다는 점에서 여타 작품과 차별된 특이점이 있다고 하겠다. 구체적으로 나카라이는 개화 사상가 김옥균, 박영효 등과 동시대를 살았던 만큼, 갑신정변의 실패를 보다 객관적, 거시적으로 비판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단순히 실패로 끝내는 것이 아닌 팩션을 통해 조선과 일본 그리고 청국 상호간 삼국동맹을 맺으며 서구의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삼화주의 - 제 2의 갑신정변 -를 실현시킨다는 점에서 기존의 김옥균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와 차별성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나카라이의 『조선에 부는 모래바람』은 19세기 후반 일본의 제국주의적 거대 기득권 세력을 견제 및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 동아시아 삼국의 자주적 독립과 평화 체제를 구축하여 서구 제국주의 침략을 공동으로 맞서자는 대항문화(counter culture)적 성격을 갖고 있다고 말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나카라이의 조선관은 1884년에 일어난 갑신정변이 당시 국제적으로 청국과의 관계나 국내적으로 전근대성과 민씨 일족이란 거대 주류 세력에 저항으로 촉발된 만큼, 21세기 현대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하겠으며, 이것이야말로 우리 역사에 있어서 다시금 김옥균의 위상(位相)을 소환되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 KCI등재

        근대 김옥균의 재현과 시대 저항

        윤상현(Youn SangHyun)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1930년대 전후로 해서 김옥균과 갑신정변에 관한 역사적 사실은 김옥균의 ≪갑신일록≫ 이후, 이에 근거로 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문화담론이 이미 1920년대에 형성되었으며, 1930, 40년대에 이르러서는 소설, 희곡, 유성기 음반, 영화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들의 소재로 생산되면서 하나의 문화적 표상을 형성해 왔다. 그 예로 1932년 나운규가 각본, 감독, 주연한 무성영화 <개화당이문(開化黨異聞)>에서 나타난 김옥균 및 갑신정변 재현 또한 당시 근대 시기를 살아가는 민중들의 시대적 요청 혹은 저항에 의해 재생산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 <개화당이문>은 당시 정부의 검열로 인한 무차별적 삭제와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로의 변화 속에 흥행에 실패하고 말았으나, 역사의 기억 속에 김옥균을 소환함으로써 과거에 조국의 위기 때 김옥균이 갑신정변을 일으켰던 것처럼, 1930년대를 살아가는 민중들에게 나라 잃은 민족의 설움과 분노를 저항하고 투쟁으로 이끌고자 하였다. 그러한 의미에서 나운규는 당시 김옥균과 개화당을 일진회라는 왜곡된 역사의 진실을 규명하고자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식민지 시기 민중 스스로 주체적으로 제2의 김옥균이 되어 과거 실패했던 혁명이 아닌 앞으로 성공할 제2의 갑신정변을 이루어길 <개화당이문>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김옥균을 재현하는 의의이자, 시대 저항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김옥균은 각 시대마다 현실에 투사됨으로써 시대적 요구, 혹은 대중의 문화적 소비 욕구에 의해 다양하게 굴절되면서 문화콘텐츠로 재생산되고 있으며, 이것은 오늘날까지도 변함없이 반복되어 오는 이유라고 해야 할 것이다. Around 1930s, the historical facts about Kim Ok-gyun and Gapsin Coup had been built as a cultural symbol through 1920s diverse and concrete cultural discussion depend on Kim Ok-gyun’s Gapsin Coup Diary and 1930s~1940s various cultural contents such as novel, play, gramophone album and movie. One example is a silent film <The Strange tales of Enlightenment Party> which was directed, written, leaded by Na Woon-gyu. Kim Ok-gyun and Gapsin Coup’s reemergence in that film can be shown as reproducing Kim Ok-gyun and Gapsin Coup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people’s needs or revolt in that era. Even though, <The Strange tales of Enlightenment Party> had been failed at the box office due to the indiscriminate erasure by government’s censorship and the trend change from a silent film to sound film, this film tried to recall Kim Ok-gyun from historical memory, Gapsin Coup that Kim Ok-gyun aroused when his country faced crisis, and lead anger and sorrow of people who lost their country into resistance and struggle. In that context, Na Woon-gyu made efforts to clarify the distorted truth of Kim Ok-gyun and Enlightenment party that they are ‘Iljinhoe’. And his movie <The Strange tales of Enlightenment Party> also expressed his hope that the people of the colonial era become second Kim Ok-gyun with their own volition and make their own, another, successful, second Gapsion Coup unlike the first, failed one. And that is the reason why reemerge Kim Ok-gyun and that is revolting against era. Like this Kim Ok-gyun keeps reproduce in a refracted way to meet the public’s cultural need or to meet the needs of the periods by projecting in that period. And this must be the reason why reemergence happens in present 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