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작활동과 연계한 감상·비평 활동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 예술 고등학교 미술전시회를 중심으로

        최다혜(Dahye CHOI),박소영(Soyoung PARK)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69

        본 논문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실행 가능한 감상·비평 교육으로서 예술 고등학교에서 매년 열리는 미술전시회를 활용한 프로 젝트 형식의 수업을 제시하고, 기존 감상·비평 수업의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프로젝트는 예술 고등학교 학생 78명이 참여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모형을 기반으로 미술교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 및 적용되었다. 전시기 획, 작품제작, 감상·비평 활동, 비평집 제작이 함께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수집된 결과물을 분석하여 창작 활동과 연계된 감상·비평 교육의 효과를 살펴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학생들은 창작과정 중의 감상·비평 활동으 로 자신의 작품제작 과정을 객관화하였고, 학습자간의 상호 감상·비평 활동을 통해 타인의 작품을 다양한 관점으로 내면화하 여 감상하게 되었다. 또한 미술 전시회를 기획하는 활동으로 작품을 맥락적으로 파악하고 이해와 탐구를 추구하게 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의 시각적 인지능력 향상과 유연한 마인드를 길러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미술 작품을 창작하고 감상하는 활동을 함께 수행할 때 더욱 효과 적인 감상 및 비평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학교 미술 감상·비평 수업의 단점과 한계점을 보완한 프로그램 을 제시하고 적용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project-style class using an art exhibition held every year in arts high school as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that can be carried out in the school field and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class. The project is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nvolving 78 arts high school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to be applied to classes. As a result, the students made their work production process objective and appreciated the works of others by internalizing them from various perspectives by mutual appreciation and criticism activities among learners.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works in a contextual way through the activities of planning an art exhibi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rough this project, students can improve their creativity by cultivating visual cognitive ability and mindfulnes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recognized that more effective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can be achieved when students also perform the activities to create and appreciate works of art and suggested and applied a program that complemented the shortcomings and limitations of school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es

      • KCI등재

        연구논문 : 대학 교양 댄스스포츠 창작 및 감상 수업 사례 -식과 평가 능력을 중심으로-

        조미혜 ( Mi Hye Cho ),홍희정 ( Hee Jung Hong ),김도윤 ( Do Youn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교수학습 방법의 일환으로 대학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창작 및 감상활동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창작활동에 대한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 감상학습의 일환인 동료평가 활용과 학생들의 창작-감상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에 소재한 대학교 교양 댄스스포츠를 수강하는 남녀 대학생 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09년 9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학생들의 수업일지와 평가 이해도 동료평가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창작과제를 적용한 결과 대학생들은 수업의 흥미, 성취감, 협동심, 창의성 발현 기회와 같은 긍정적인 교육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동료평가 점수와 교수의 평가점수 비교에서 학생들의 동료 평가 점수가 교수자의 평가점수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셋째, 학생들의 창작능력과 감상능력간의 관계에서는 감상능력이 우수할수록 창작에서의 표현력과 기술력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대학교 교양댄스스포츠 수업 중 창작활동이 대학생들로 하여금 학습의 흥미, 성취감, 친밀감과 협동 심등을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적으로 매우 긍정적 활동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학생의 감상능력은 창작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학생들의 동료평가를 활용한 감상영역 평가방법은 차후 학생들의 감상능력을 평가하기에 보다 객관화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ducational meaning of creative activity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eciative ability and creative ability by Peer Evaluation in cultural dance sport exercise. For the purpose, 65 students who registered for the dance sport class were participated during 4 months. During this semester, we gathered the data on the recognition about creative activity by questionnaire and also we measured the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evaluation criteria. From data,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eciative and creative ability by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followed as below : First, students had positively educational experience such as interesting in creative class, accomplishment, cooperation and the showing the creativity by the class. Second, on the comparison between assessment by professor and by peer, peer assessment score was lower than professor assessment score on the harmony between partners and on the total sum significantly (p<.05), while professor assessment score had higher tendency than peer assessment on creativity, presentation, skill. Third, students who had high expression score of appreciation by professor showed the higher score on the expression and skill in creation. With these results leaded the conclusions that creative and appreciation activity in cultural dance sport class might be positive experience to inspire the interesting, accomplishment, closeness during the cultural dance sport class. Even though we didn`t get the significant results because we didn`t set the control group, we could suggest that there be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appreciation ability. Additionally for the assessment of students appreciation ability, the evaluation method by applying the peer assessment might be possible in future.

      • KCI등재

        5종의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창작국악곡 분석 및 발전 방안 모색

        강선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2

        창작국악에 대한 교육은 학생들에게 국악이 옛 음악만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시키고, 우리 전통 음악을 바탕으로 새롭게 창작된 현대 국악곡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릴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중요하다. 이에 본고는 고등학교 5종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창작국악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작국악에 대해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는 창작국악 관련 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5종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소개된 창작국악 성악곡은 <난감하네>, <아름다운 나라>, <북천이 맑다커늘>, <어이 얼어자리> 총 4곡에 그쳐 창작국악 성악곡의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부족한 점이 있었다. 창작국악 기악곡은 관현악곡 <프런티어>, <제주의 왕자>, <신뱃놀이>, <락락팔음>, <남도 아리랑>, <방황>과 중주곡 <길놀이>, <소멸의 시간>, 그리고 독주곡 황병기의 <침향무>, 모두 9곡이 수록되었다. 편성이 대부분 관현악곡에 치중되고 실내악과 독주곡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또한 창작국악의 개념에 대해 전통 악기와 서양 악기가 함께 편성되면 국악이 현대화된 것이라는 단편적인 설명에 그치고 있어 문제점이 드러났다. 본고에서는 창작국악을 창의적․융합적으로 감상하고 이를 통해 공동체 의식과 예술적 심미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네 가지 면에서 모색해보았다. 첫째, 기존의 정가풍, 판소리풍의 성악곡뿐만 아니라 민요와 잡가 가창과 연관되는 창작국악 성악곡이 제시되기를 제안한다. 둘째, 창작국악의 개념 설명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가 요구되며, 관현악곡에 치중되지 않는 다양한 편성과 다양한 양식의 기악곡이 제시되기를 제안한다. 셋째, 국악은 예로부터 심신의 건강과 안정, 공동체의 화합과 유대를 추구해왔기에, 국악 명상음악, 국악 치유음악, 국악 태교음악 등 다양한 국악 생활음악의 소개를 제안한다. 학교 음악 학습 현장에서 전통 국악에 대한 강조와 이해 못지않게 창작국악에 대한 이해와 감상도 중요하다. 이에 창작국악에 대한 학습 비중을 높이고, 창작국악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인식과 공감대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편성과 양식, 다양한 장르와 융합된 현대적인 창작국악 작품들을 소개할 필요가 있다. Education on newly composed Korean music is educationally important in that it can help students understand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not just old music and inform that there exist modern Korean music pieces that have been newly composed based on traditional music.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to newly composed Korean music in the textbooks, focusing on the five types of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nd based on the analysis, suggested a learning method that could effectively teach students about newly composed Korean music. The vocal songs of newly composed Korean music introduced in the five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re only four songs, <Nangamhane>, <Beautiful Country>, <Bukchoni Malkdakeoneul>, and <Eoi Eoleojari>. They were insufficient in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vocal pieces of newly composed Korean music. The Instrumental works of newly composed Korean music are a total of nine, including the orchestral pieces <Frontier>, <The Prince of Jeju>, <Sinbaetnori>, <Rakrakpaleum>, <Namdo Arirang>, and <Wandering>, the ensemble pieces <Gilnori> and <Time of Extinction>, and the solo piece <Chimhyangmu> by Hwang Byung-gi. Most of the arrangement was focused on orchestral music, and it lacked an understanding of ensemble music and solo works. Also, regarding the concept of newly composed Korean music, a problem was revealed through a fragmentary explanation that Korean music is modernized when traditional instruments are arranged with Western instruments together. This study explored four ways to cultivate a sense of community and artistic aesthetics by appreciating newly composed Korean music in a creative and integrated manner. First, it is proposed to present not only existing jeongga-style and pansori-style vocal music, but also newly composed Korean music pieces related to folk songs and japga. Second, a fundamental re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newly composed Korean music is required, and various arrangements and styles of instrumental music which do not focus on orchestral music are suggested. Third, since Korean music has pursued health and stability of mind and body and harmony and unity of the community, it is proposed to introduce a variety of Korean music for life, such as meditation music, healing music, and prenatal music, etc.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newly composed Korean music are as important as emphasizing and understanding traditional music in the school music classroo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ortion of the newly composed Korean music learning and to introduce modern Korean music works in various arrangements and styles and fused with different genres that can induce students' positive perception and consensus on newly composed Korean music.

      • KCI등재

        서술자-시점을 통한 소설 감상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

        정연희 민족어문학회 2006 어문논집 Vol.- No.53

        The Necessity and Method of Education in Novel-Literature competence through Narrator-focalization 소설문학 교육이 지식을 가르치는 기능교육이 아니라 문학능력을 기르는 교육이라면, 소설교육은 소설이론의 제공이 아니라 학습자가 감상을 통해 문학의 재미와 매력을 느끼고, 감상경험의 누적을 통해 문학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조직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감상교육에는 어떤 특별한 방법이 있겠는가. 그것은 결국 인물의 성격과 태도와 행동을 자세히 살펴보고 가늠하면서, 그 인물이 살고 있는 공간과 분위기를 여러 각도에서 머릿속에 떠올려보게 하는 것이 특별한 방법이라면 방법일 것이다. 그리고 이런 감상에 문체라고 할 수 있는 화법이 필수적이면서 암암리에 관여한다. 이러한 대전제 아래 본고는 서술자ㆍ시점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올바른 문학작품의 감상을 위해 요구되는 한 가지는 ‘말’의 기미를 잘 읽을 줄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지칭하는 ‘말’이란 학습자가 소설작품을 앞에 놓고 앉았을 때 만나게 되는 실질적인 텍스트 언어이다. 가령 인물의 내적 독백이나 발화대사이기도 하고, 인물의 성격과 행동을 말하는 서술자의 언어이기도 하며, 또한 서술자의 화법에 스며있는 작가의 태도이기도 하다. 서술자ㆍ시점을 활용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이런 세 겹의 언어정보와 언어태도와 언어감정은 인물의 행동이나 사건을 둘러싸고 있는 ‘말’의 기미들이다. 이런 ‘말’의 기미를 통해서 학습독자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간추려보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이런 필요성을 근거로 살펴본 것은 서술자ㆍ시점의 교육에 관한 방식의 문제이다. 서술자와 시점의 종류를 조합한 경우의 수는 우리가 흔히 유형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같은 유형의 서술자ㆍ시점일지라도 그것이 작품에 실현된 의미와 효과는 작품의 수만큼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작품의 감상을 제외하고 서술자ㆍ시점을 가르치는 것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소설교육의 시작이 소설작품을 앞에 놓고 학습독자가 감정을 나누고 재미를 느끼게 하는 데 있다면, 서술자ㆍ시점을 통한 소설 감상의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방법도 서술자ㆍ시점의 문제가 소설의 의미와 미적효과에 미친 성과를 음미하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할 것은 서술자ㆍ시점 단원에서 감상 작품의 편향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학습독자의 풍부한 감상의 유도는 균형 있는 작품의 선정에서 시작되어야 한다.소설문학 교육의 시작이 감상에 있다면, 제대로 된 감상의 끝에는 작문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서술자ㆍ시점 단원에서도 회고형식의 감상은 자연스럽게 경험서사나 일기와 같은 수준의 작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런 식의 활동이 내용상 창작과 일치함에도 불구하고 굳이 작문이라고 하는 이유는, 그것이 중등교육을 받은 교양인이 지니는 문학적 능력의 실천이며, 그런 수준의 창작임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고등학생이 학습한 문학능력과 문학언어를 활용하여 자신이 의도한 내용을 올바르게 표현하게 하는 작문이다. 제목(테마)을 제시한 후 그에 따른 경험을 조직하고 구성하는 경험서사나, 또는 작품 감상의 느낌과 생각을 간추리게 하는 감상문, 또는 ‘나’가 아닌 ‘그’가 등장하는 간단한 서사작품 등을, 허락되는 문학시간에 쓰게 하고 그 서술자ㆍ시점의 차이를 스스로 알아채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미술 전시에 참여한 창작자와 감상자의 상호작용 경험의 의미

        강석태 ( Kang Seok-ta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전시는 우리의 생활 속에서 문화예술향유와 미적경험, 평생학습과 같은 순기능을 하고 있다. 이 연구는 미술 전시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창작과 감상의 경험요소들을 이해하여 창작자의 내적성장과 창작의 질 향상, 감상자의 문화예술향유와 상호소통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경험들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술 전시에 나타난 일반적인 작품분석의 과정이 아닌 연구대상 전시의 창작경험과 감상경험 요소들을 기반으로 상호작용 경험들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전시과정의 경험분석과 4회의 대상전시를 감상한 관람자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창작적 경험에서 작가는 스스로 성장하고 발전해나갈 수 있는 내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전시주제를 표현하고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작가는 자기 성찰과 몰입, 치유의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감상적 경험에서는 작품과 관람자 사이의 상호작용이라는 소통방식을 통해 관람자는 자신의 경험을 작품에 개입시킴으로써, 새롭게 생성되는 감정과 경험으로 인해 예술에 대한 인식을 점차 변화시킬 수 있었다. 관람자는 전시를 통해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이해하고 감성적인 예술적 담론을 체험한다. 관람자는 주제에 대한 작가의 사고를 이해하고, 자신의 경험으로 받아들여 새로운 이미지생산 방식을 통한 미적 경험을 하는 계기가 된다. 미술 전시에 참여한 창작자와 감상자의 상호작용 경험은 창작자의 내적성장, 관람자와의 상호작용, 예술소비유통, 작품과의 소통, 미적 경험, 대중적 공감대 형성, 인식변화, 체험적 사고, 해석적 경험 등이 중요한 경험의 의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Exhibition serves positive functions such as cultural arts enjoyment, aesthetic experience and lifelong learning in our l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experience that can give positive influence on creator's inner growth, enhancement of quality of creation, enjoyment of cultural arts, and mutual interaction by understanding This study deals with interaction experience based on experience of creation and appreciation, not general process of analyzing works of art in art exhibition.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perience of the exhibition process and selected 10 participants who watched the exhibition, and analyzed the interview sour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reator can obtain inner result that can grow and develop on its own in creative experience.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and performing the theme of the exhibition, the creator can have the experience of self reflection, immersion, and healing. In the sentimental experience, the viewer were able to gradually change perception of the art due to newly generated emotion and experience by intervening their experience in the art through mutual interaction between creator and viewer. The viewer understands the meaning that the artist intends to convey through the exhibition and experiences sentimental artistic discourse. The viewer understands the artist's thoughts regarding the theme and accepts it as his own experience, thereby gaining opportunity of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new image production methods. It can be verified that in interaction experience between creator and viewer participating in art exhibition, the creator's inner growth, interaction with the viewer, distribution of art consumption, communication with the artwork, aesthetic experience, creating public relation, perceptual change, experiential thinking, and interpretive experience are the meaning of important experience.

      • KCI등재

        창작활동과 연계한 유아 명화감상 교수모형 개발 및 효과

        오현미,전홍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developing a teaching model for children's appreciation of masterpieces in connection with creative activities, and verifying the model's applicability to preschools by analyzing its effects on children's art appreciation ability, art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ity. The teaching model for children’s appreciation of masterpieces in connection with creative activities consists of purpose and goal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The learning phase consists of response formation, response clarification, response deepening, internalization, and evaluation. The teaching model was applied twice a week for 11 weeks, engaging 23 5-year-old participants in a total of 22 sessions. The reseach data collected through the children's art appreciation ability, art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ity tests was verified through the T-test.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ing model is effective in enhancing children's art appreciation ability, art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ity. Such results prove that this teaching model can be suitably applied and implemented in preschools. 본 연구는 창작활동과 연계한 유아 명화감상 교수모형을 개발하고, 개발한 교수모형이 유아의 미술감상능력, 미술표현능력,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적용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창작활동과 연계한 유아 명화감상 교수모형의 구성 체계는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로 구분하였으며 학습 단계는 반응의 형성, 반응의 명료화, 반응의 심화, 내면화 및 평가로 구분하였다. 개발된 교수모형은 어린이집 만 5세유아 23명(단일집단)을 대상으로 11주간 주 2회씩 총 22회 적용되었다. 실험처치 적용 전과 후에 실시한 유아의 미술감상능력, 미술표현능력, 창의성 검사를 통해 수집된 연구자료는 t-검증을 하였다. 실험 처치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창작활동과 연계한 유아 명화감상 교수모형은 유아의 미술감상능력, 미술표현능력, 창의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교수모형이 유아교육 기관에서 적용하여 실시하기에 적합함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있다.

      • KCI등재

        채옹(蔡邕)의 서예창작이상

        오후규 대동철학회 2002 大同哲學 Vol.19 No.-

        전통적 서예의 궁극적 목표는 대자연의 모방을 통하여 그 아름다움을 재현함으로 해서 마음을 감화시키고 정화시키는 것으로 생각하였는데, 이것은 자연미를 중시한 한대() 채옹()의 서예 창작론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채옹의 자연미 창작 이상()으로 서예는 단순한 기예를 넘어 하나의 도와 같은 경지이며, 사회문화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순수 예술로 인식하게된 계기가 되었고, 나아가 실용 언어로서의 역할을 떠나 독립된 하나의 예술언어로서 감상의 대상으로 발전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 이러한 채옹의 서예 창작이상은 후대로 오면서 그 개념이 점차 확대 재생산되면서 서예의 시작과 궁극적 목표를 제시하는 것으로 되어 역대 서예가들은 모두 자연에서 서예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으며, 서예의 감상에 대해서도 자연과 결부시켜 감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까지, 채옹의 자연미 창작이상은 어느 누구도 실현하지 못했다고 보나 서예가 도달하여야할 궁극적 청사진을 제공한 영향은 막대하다. 뿐만 아니라, 서예가 신성한 문사예술로 유지되고 발전되어 온 것은 채옹에서 비롯된 서조자연관(觀)이라 보아야 할 것이며, 오늘날까지 서예에 대한 끝없는 열정과 탐색을 야기하고 탈속된 고아한 높은 예술적 경지를 확보하게 한 것도 그 의의를 두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채옹의 자연관 서예창작이상은 마치 카르노 사이클처럼 앞으로도 변함없이 서예 창작이상과 비평기준이 되어 북극성처럼 빛날 것으로 생각한다. Chae-Ong's() view that calligraphy comes from nature influenced many critics of calligraphy that succeeded him generation after generation. Jang Hoigwan(瓘) during Dang Dynasty reached a new height of the critiques for calligraphy, which cannot be easily matched. Subsequently, So-Sik() and Hwang Jeonggwyon(堅) of Song Dynasty once again went on from Chae-Ong and polished up the idealism of calligraphic arts, pushing the envelop of calligraphy. Chae-Ong's idealism for calligraphic creation based on the naturalism is to depict the universe in very simple and abstract manner. His idealism were expanded and interpreted in the way that calligraphy can revive the beauty of nature in the way to touch our hearts and refresh our minds. It is for this reason that a calligraphy that serves its purpose is considered a masterpiece. In retrospective, Chae-Ong's naturalistic idealism for calligraphy has not been materialized, yet. However, his contribution to calligraphy with regards to clarifying its ultimate objectives cannot be underestimated. It was thanks to Chae-Ong's naturalism that calligraphy has been sacred and regarded as an art of educated writers. Calligraphy has fueled passion among us to explore its world. Calligraphy has risen above the secular world and phased in the artistic world. Chae-Ong's naturalistic idealism for calligraphy will be the permanent objective of calligraphy and barometer for the critics like Carnot cycle in the thermodynamic process. It will be shining like Polaris in clear night sky.

      • KCI등재

        `PBL-체험`을 활용한 시 창작교육 방안

        이승이 ( Lee Seung-y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0

        본고는 학습자가 시 창작교육의 중심에 서지 못함으로써 개인적 지식을 습득하는데 실패하고, 그로 인해 시 교육과 시 생활이 분리되어 평생 독자로 성장할 수 없게 된 문제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리고 평생 독자로서 문학을 생활화하기 위해 학습자 체험중심의 실제 활동을 토대로 `述로서의 창작`을 넓혀 `作으로서의 창작`을 위해 어떻게 하면 지식을 잘 가르칠 수 있을지를 고민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PBL과 체험의 중층구조에 대한 아이디어를 꾀하여 이를 토대로 `PBL-체험` 교수·학습 모형을 시 창작교육에 적용할 수 있을지 검토한 결과, 학습자의 체험이 암묵적 지식의 내면화를 돕고 개인적 지식을 강화, 다시 암묵적 지식으로 차연되도록 하는 데서 그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시 창작교육에서 `PBL-체험`의 특성은 `활동의 활동`으로 요약된다. 전자의 활동은 지식의 발견으로 인한 암묵적 지식을, 후자의 활동은 암묵적 지식을 방법적 지식으로 적용하여 개인적 지식을 습득하도록 만든다. 학습자의 내면화를 통해서만 습득되는 이들 지식은 지식과 인식 주체의 통합을 통해 모든 지식이 개인의 인격적 측면에 의존 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줌으로써 인식 주체로서 학습자의 참여에 주목하도록 만든다. 또 `~으로부터 ~으로` 전이되는 이들 지식은 외부 세계의 지식과 인식 주체의 암묵적 지식의 결합을 보여줌으로써 학습자에게 내면화된 암묵적 지식이 새로운 상황 속에서 어떻게 재구성되어 확장되는지에 관심 갖도록 만든다. 즉 학습자는 PBL 활동을 통해 얻은 암묵적 지식을 시 창작 체험 활동에 적용함으로써 개인적 지식으로 강화하거나 재구성하여 확장하게 된다. 미래 사회는 다양한 지식을 단지 기억만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융·복합하여 새로운 문제적 상황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시 창작교육 또한 지식의 습득을 넘어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거나 구체적인 문제해결 과정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자원을 동원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는데 그 목표를 두어야 한다. 본고의 `PBL-체험`을 활용한 시 창작교육 방안은 학습과정이 창작과정이고 창작과정이 학습과정으로, 창작과정 자체가 지식을 구성하는 학습과정의 의미를 지님으로써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기획으로 충분히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s rooted from a problem of which learners fail to acquire personal knowledge because the creation of poetry education does not focus on them. As a result it separates the education of writing poems and learners` actual living and even prevents them from growing into lifetime readers. In order to make literature a way of life, as a lifetime reader, a consideration was made to deliver knowledge by `starting from writing poetry so as to creation of poetry` based on the learners` experience of actual activity. For such an objective, this paper took the idea of dual structure of PBL and experience as a basis for model of `PBL-experience` teaching·learning, and reviewed how it can be applied to creation of poetry education. After reviewing the model, the result indicated a possibility that leaners` experience could facilitate internalization of tacit knowledge, strengthening of personal knowledge and differentiation of tacit knowledge. In creation of poetry education, the characteristic of `PBL-experience` can be summarized as `activity of activity.` The former activity refers to the tacit knowledge formed through discovery of knowledge and the latter activity involves using the tacit knowledge as knowledge of means to make it into personal knowledge. Such knowledge which only can be obtained through learners` internalization focuses on learners` participation as a cognitive subject by showing that all knowledge relies on one`s personal sides through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cognitive subject. Also, such knowledge which are transferred from one type of knowledge to another brings learners` attention towards how the internalized tacit knowledge can be expanded through reorganization in a new situation by showing integration of knowledge of external world and cognitive subject`s tacit knowledge. Therefore, by applying the tacit knowledge obtained through PBL activity to creation of poetry activity, learners strengthen or reorganize such knowledge into their personal knowledge. Future society does not demand only ability to memorize various knowledge but also ability to fuse such knowledge to actively and creatively handle new problematic situation. Creation of poetry education should also make objective to understand and explain phenomenon, and to obtain ability to use and employ one`s resource in the process of specific problem solving beyond acquiring knowledge. The plan for creation of poetry education utilizing `PBL-experience` in this paper implies that learning process itself is a creating process and creating process itself is a learning process as well. Therefore, this paper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ce as a fostering plan for creative talented individuals in the future by including process of creating poems has a meaning of the learning process that composes knowledge.

      • KCI등재

        무용 교육 구성 영역의 미학적 개념에 관한 연구

        황인주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2 No.4

        본 연구는 학교 무용 교육의 전문성 및 체계성 제고를 위해 무용 교육의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각 영역별 개념 및 교육적 시사점을 분석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무용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 함양이라는 무용 교육 목표에 따라 무용 교육의 구성 역역을 감상, 창작, 그리고 공연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미학적 개념 및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무용 교육에서 감상, 창작 및 공연 활동이 무용 교육 목표를 원활하게 달성하기 위해서는 예술 형식으로서 무용이 갖는 특성이 정확히 이해되어야 한다. 감상은 상당한 무용 지식 및 경험 등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감상은 무용 작품에 학생들이 익숙해지는 초기 단계에서부터 출발하여 점차 관련 지식과 경험이 쌓이면서 미적 특성의 인식 능력, 해석 능력, 비평 능력이 단계별로 개발되는 단계별 학습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창작에서는 과정보다는 산물에 중점을 두고 학생들의 창작 역량 수준에 맞추어 무용 표현 및 작품 완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공연은 단순히 춤추기를 통한 무용 이해 제고를 위한 교육 활동만이 아니라는 점에서 완성된 무용 표현 및 작품이 설득력 있게 관객에게 전달되는 데 필요한 무용수의 역할, 기능과 관련해서 공연 활동이 개념적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학생의 자율성 및 창의성을 촉진하는 측면에서 보면 무용 교육 창작 활동은 무용 교사 인도 아래 학생 주도로 진행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무용 교육 환경의 현실적 어려움을 감안할 때, 무용교사의 지시 아래 창작 활동이 수행되는 접근법도 고려될 수 있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무용교사의 지시를 이해하고 이를 창의적 움직임 표현 및 작품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무용 교사가 장려한다면 교사 주도의 창작 활동도 무용 교육으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the aesthetic concepts of domains in dance education and discuss their implications in order to enhance expertise and organization of dance education. Based on the aim of dance eduction to cultivate the capacities of danc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domains in dance education are classified into appreciating, creating and performing. Considering that appreciating requires proper knowledg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in dance, it may be necessary that the ability to appreciate dance works needs to be cultivated through the learning stages, conditioned on the student level. In the creating activity, the emphasis should be on the created products rather than on the creating process. Performing in dance education does not intend only for better dance understanding. Performing need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a dancer’s roles and function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dance work to be convincingly delivered to the audience. Finally, to promote autonomy and creativity in student dance activities, an ideal approach is that the dance teacher guides students in the creating of a dance, and intervenes as little as possible. However the teacher-directed approach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in which the dance teacher gives the direction to make a dance. When students are encouraged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ose directions imaginatively, and translate their understanding into their movements, the teacher-directed approach may have education value as well.

      • KCI등재

        읽기 전 활동 ‘시 창작’을 통한 시 감상 교육

        정은아(Chung Eun ah)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2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사실에 기반하여 대상을 진실하게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은 세상을 바르게 통찰하기에 매우 중요한 능력이다. 한편, 시인은 사실에 기반하되 낯선 시각으로 대상을 관찰하고 형상화한다. 시는 익숙하고 관습적인 대상을 낯설게 인식하고 형상화하여 독자에게 신선한 인식을 일깨운다. 그러한 시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자주 접하는 것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시의 감상을 돕기 위해 본고는 시 감상 전 활동으로 학습자가 ‘시 창작’ 활동을 하도록 제안하였다. 대상에 대한 관찰과 형상화가 훌륭하게 이뤄진 시를 감상하기 위해 해당 대상을 스스로 관찰하고 형상화해 봄으로써 시인의 관찰과 형상화가 얼마나 새롭고 진실하게 완성되고 있는지 강하게 깨닫고 울림 있는 감상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시 창작을 통한 시 감상을 제안하여 시인의 대상 관찰과 형상화 과정의 체험을 강렬하도록 돕고 있을 뿐 아니라, 국어교육(혹은 문학교육)에서 시 창작이 자유롭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지평을 만드는데 일조하게 될 것이다. The ability to truly observe objects based on facts without being bound by custom is a very important ability to gain insight into the world. On the other hand, poets observe and objects based on facts but with an unfamiliar perspective. The poet gives readers a new appreciation of familiar things. This kind of poetry should be accessible and understandable in depth. Therefore, in order to help the impression of this poe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earner should do ‘poetry creation’ activity before ‘poetry reading’. In order to understand “a good poem that observes a subject”, let the student observe the subject and make a poem. This will allow the poet’s observation and formation to realize how new and true it is and gain sympathy. This work suggests poetry appreciation through poetry creation. In addition, it will help to create a horizon in which the creation of poetry can be applied freely and diverse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or litera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