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연기념물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 생육 및 관리 현황 연구

        신진호,김한,이나라,손지원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3

        파초일엽 자생지는 1949년 제주도 삼도에서 최초 발견된 이후 학술적 가치가 인정되어 1962년 12월 천연기념물 제18호 지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삼도에서만 자생하며, 해방이후 땔감, 도취 등으로 자생지가 크게 훼손되어 거의 멸실에 이르렀으나 이식, 복원을 통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대상지는 2011년부터 공개제한구역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2000년대 자생지 복원 이후 약 20년이 지난 시점에서 파초일엽 생육실태 변화상에 대한 모니터링과 자생지 관리를 위해 이식, 복원의 기원 등 주요 관리이력에 대한 공식적인 기록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 결과 지정초기 부터 현재까지 자생종 판별, 이식・복원 기록 등 문화재 관리이력을 확보하였고, 복원 이후 약 20년이 지난시점에서 파초일엽 생육변화상을 살펴보았다. 파초일엽 자생지 복원 이력을 살펴보면 1970-80년대에 이식된 개체들은 공식문서 가 없었으며 1974년 복원・이식한 개체는 당시 일본 개체로 판단되어 자생종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파초일엽 자생종 판별 연구를 통해 유전적으로 자생종으로 판명된 개체를 증식하여 2000년 156본, 2001년 150본을 이식하고 육묘장을 2004년 조성하여 파초일엽을 증식하였다. 자생지 내 파초일엽 생육지는 2곳으로 지점 1은 석축 위에 65개체가 3단에 나누어 밀식하여 자라고 지점 2는 29개체가 2열로 자라는 형태로 조사되었다. 파초일엽이 생육하고 있는 지역의 식생은 참식나무가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림지대이며, 조사지점 외 자생 파초일엽 개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특기할 만한 사항은 복원 후 최초로 자연 발생한 파초일엽 치수의 분포현황을 확인한 점이다. 치수 개체는 약 300개체 이상이었 으며, 이 중 밀도가 높은 지점을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위한 고정조사구 3개소를 선정하였다. 모니터링 1지점의 파초일엽 치수는 23개체로 개체당 잎수는 4~17장, 길이는 0.5~20 ㎝이었으며, 2지점은 88개체로 개체당 잎수는 5~6장 길이는 1.3~10.4 ㎝이었으며, 지점 3은 22개체로 잎 수 5~9장, 잎 길이 4.5~12.1 ㎝로 나타났다. 파초일엽 자생지는 2011년 공개제한 지역으로 설정되었으나 낚시, 스쿠버행위 등 일부 행위가 허가됨에 따라 자생지의 훼손 발생가능성이 크므로 법의 엄격한 적용과 함께 문화재 보존을 위해 충분한 교육과 문화재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 antiquum, first observed in Jeju Samdo Island in 1949, was designated as the Natural Monument No. 18 in December 1962 in recognition of its academic value. In Korea, it grows in nature only in Samdo in Jeju Island. Although its natural habitat was greatly damaged and almost destroyed due to firewood, stealing, etc. After the emancipation, it has been maintained by the transplantation and restoration. The site observed by this study has been managed as a restricted area since 2011. Since it has been about 20 years since the restoration of the native site in the 2000s,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official management history records, such as the origin of transplantation and restoration to monitor the changes in the growth status and to control the habita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ve secured the records of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history, such as the identification of native species and the transplantation and restoration records. We also examined the change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antiquum 20 years after the restoration. There are no official records of the individuals transplanted to the restored natural habitat of A. antiquum in the 1970s and 1980s, and there was a controversy about the nativeness of those individuals that were restored and transplanted in 1974 since they were Japanese individuals. The studies of identifying nativ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ve secured the records of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history, such as the identification of native species and the transplantation and restoration records. We also examined the change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antiquum 20 years after the restoration. There are two sites in natural habitat in Samdo Island. A total of 65 individuals grow in three layers on three stone walls in a site while 29 individuals grow in two columns in the other site. A. antiquum grows in a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dominated by Neolitsea sericea, and we did not find any other individuals of naturally growing A. antiquum outside the investigated site. This study checked the distribution of A. antiquum seedlings observed initially after the restoration. There were more than 300 seedling individuals, and we selected three densely populated sites for monitoring. There were 23 A. antiquum seedlings with 4 - 17 leaves per individual and the leaf length of 0.5 - 20 ㎝ in monitoring site 1. There were 88 individuals with 5 - 6 leaves per individual and the leaf length of 1.3 - 10.4 ㎝ in monitoring site 2 while there were 22 individuals with 5 - 9 leaves per individual and the leaf length of 4.5 - 12.1 ㎝ in monitoring site 3. Although the natural habitat of A. antiquum was designated as a restricted public area in 2011,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habitat can be damaged because some activities, such as fishing and scuba diving are allow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force the law strictly, to provide sufficient education for the preservation of natural treasures, and to present accurate information about cultural assets.

      • KCI등재

        파초의 문화적 의미망들

        이인숙(Lee, In-suk)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2 No.-

        본고는 芭蕉의 문화적 의미를 파초와 연관되는 역사인물과 그 고사, 문학과 회화에서의 형상화, 원예문화와의 관련성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파초의 커다란 푸른 잎과 속이 빈 잎 줄기, 여름의 무성함과 가을의 조락, 새잎이 계속해서 펴져 나오는 생장 모습 등의 생태는 다양한 인문적 상징을 낳았다. 파초에는 維摩詰, 王維, 懷素, 張載 등 역사 인물들과 관련된 고사가 있 다. 유마힐의 “是身如芭蕉 中無有堅”이라는 비유는 육신의 덧없음이라는 생멸무상의 불교적 의미를 파초에서 연상하게 하였다. 왕유가 그린 雪中芭 蕉는 실제의 너머를 지향하는 超逸한 寫意의 정신을 파초에서 환기시키게 하였다. 초서의 대가인 회소가 파초를 심어 그 잎에 글씨를 연습한 種紙鍊字 고사로 인해 파초는 부단한 연찬을 상징하게도 되었다. 성리학자 장재는 파초를 통해 觀物察理한 <파초>시를 남겨 조선시대 지식인들에게 파초는 격물치지의 대상으로서도 인식되었다. 파초는 唐詩에서 파초 잎에 시를 쓰는 蕉葉題詩, 여름날 파초 잎에 부딪치는 빗소리를 듣는 芭蕉雨聲, 고향을 떠난 파초처럼 나그네로서 파초우성을 듣는 旅心 등의 시정으로 문학화 되었다. ‘高逸圖’ ‘十八學士圖’ ‘西園雅集圖’ 등의 故事圖에서 파초는 등장인물의 高逸한 인격과 우아한 주거환경 을 은유한다. 18∼19세기에는 지식인들이 화훼를 가꾸고 관련 문장을 저술하는 등 원예문화가 붐을 이루어 파초의 생활 속 향유 또한 파초의 문화적 의미를 형성한 요소가 되었다. 조선시대 문예 작품에서 사물은 물 자체로서 인식되기보다 그것의 역사적, 인문적 의미망 속에서 환기되었다. 산수화가 臥遊의 효용을 제공했듯 사군자화는 比德의 의미로 통용되었다. 파초는 유사한 외래종의 이국 식물인 종려나 소철, 화리 등에 비해 유난히 애호되었고 문학과 회화에 등장한다. 그것은 한자문화권의 文翰의 역사 속에서 구축되어온 파초의 이러한 문화적 상징성 때문일 것이다.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lantain made a frequent appearance in paintings. This is one of the reasons for this thesis to research the plantain's connection to historic figures and events, its expression in literary works, its meaning in painting and the effectiveness of plantains in the garden culture of the latt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In literary works,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plantain are abstracted in broad and wide leaves, coreless cladophyll, lush leaves in summer and its withering, and its growing looks with new leaves spreading out continuously. There are some old events related to some historic figures such as Yumahil(維 摩詰), Wangyu(王維), Hoeso(懷素), and Jangjae(張載). Yumahil compared the plantain to the transience of the physical body, and so the plantain got the Buddhist meaning of transience of birth and death. Wangyu painted a plantain piled up with snow, and from this, the plantain was considered to arouse a spiritual mood aiming to reach a world beyond reality. A master of cursive characters, Hoeso, didn't have paper to write on, and so he practiced writing on the plantain leaves. So the plantain is considered to symbolize continuous effort to study hard. A Neo-Confucianist, Jangjae, made poems on plantains, and that was about what he perceived by observing their ecology. And the poems reflect his philosophical introspection. And so, the plantains are cognized as an object ofgaining knowledge for the intellectuals in the Choseon dynasty. Literary expressions about the plantain, having roots in the poetry of Tang dynasty, appeared in various ways such as in Choyeopjaesi(蕉葉題詩)-writing on a leaf of plantain, Pachowooseong(芭蕉雨聲)-listening to the rain drops on the leaves of plantain in summer, Yeoshim(旅心)-listening to the rain drops on the leaves of plantain in a place away from home. In old paintings such as ‘Goildo(高逸圖)’ ‘Sippalhaksado(十八學士圖)’ ‘Sawonahjipdo(西園雅集圖)’, plantains were mostly painted as precious and beautiful scenery with oddly shaped stones, and they are a metaphor for the lofty personality and elegant hosing environment of main characters in the paintings.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gardening culture was created as a boom among the intellectuals, and they initiated some activities such as growing flowering plants and writing some sentences about the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planting plantains and their effectiveness in real life worked as factors in many paintings of plantain. Natural objects used as subject material in literary works of the Choseon dynasty have been called to attention here in their historic and literary nexus or 'nets' of meaning. That the plantain, although it was from abroad and not commonly seen, is frequently used as a subject in painting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an be regarded as the effect of old events related to historic figures and to traditional usage in literary works and paintings.

      • KCI등재

        파초(芭蕉)와 한시(漢詩)

        이의강 ( Eui Gang Lee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6

        본고는 파초의 식재(植栽) 전통과 漢詩 제재(題材)로의 수용을 규명한 것이다. 본 연구는 화훼에 대한 심미안을 확대시켜줌과 아울러 우리의 문학 전통을 계승하는 데에 일정한 의의가 있다. 파초는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청량감을 제공해준다. 아울러 창가에 식재해놓으면 빗방울 소리를 음악처럼 들려주어 특별한 정취를 자아낸다. 이러한 심미적 효용을 가진 까닭에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파초의 식재가 고상한 취미의 하나로 전승되었다. 조선조의 문인들은 뿌리줄기에서 순차적으로 피어나는 파초 잎의 생육 특징을 관찰한 뒤 그 정서를 한시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파초 잎에서 울리는 빗방울 소리는 문인의 시심(詩心)을 자극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한여름을 견딜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녹색 파초의 청량감도 또한 詩心을 재촉하였다. 파초는 한시와 깊은 인연을 가진 대표적 화훼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시인이 파초에서 느끼는 정서는 이전에 시인이 체득하였던 문학적 전통의 바탕에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이에 파초를 표현한 한시를 감상할 때에는 작품의 어떠한 내용이 전통에 바탕한 정서이며, 어떠한 내용이 시인의 독특한 정서인지를 구분하는 일이 중요하다. This article identifies the planting tradition of plantains and the accommodation to the subjects of Chinese poet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akes us to succeed to literature tradition by expanding our eye for beauty for flowers. Plantains refresh us by providing cool shades. Additionally, if we plant them near windows, they give special feelings by playing music with raindrops. Because of its aesthetic efficacy, planting plantains has been a noble hobby from late Goryo to late Chosun. Writers in Chosun express their emotion in Chinese poetry after observing characteristics of plantain leaves which bloom consecutively from the root. Rain drop sounds on plantain leaves stimulate poetic mind of writers. Feeling of refreshment of green plantains that help people to overcome hot weather of mid -summer is caught by eyes of poets. And plantains stimulate the impulse of writers to write poems. Plantains can be one of representative flowers which have deep relationship with Chinese poems. In most cases, the emotion that poets feel is based on literature tradition that poets in previous times have experienced. Accordingly, it is very important to differentiate emotions when appreciating Chinese poems expressing plantains such as those based on tradition and those from unique emotions of the poet.

      • KCI등재

        湖北 京山 芭蕉寺의 新羅 유적과 기록

        朴現圭 한중인문학회 2008 한중인문학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중국 속에 남아있는 신라 유적을 고찰한 것이다. 芭蕉寺는 호북 京山縣 宋河鎭 芭蕉寺村에 소재한 폐사찰이다. 이곳에는 일찍이 신라와 관련된 기록과 유적이 전해오고 있다. 당 태종 연간에 신라승은 칙명으로 파초사에 주석하면서 불법 수행을 하고, 신라천과 비목어 고사를 연출했다. 신라태자는 신라국승을 따라 파초사에 들어왔으며, 훗날 죽어 이곳에 묻혔다. 이 기록들은 남송 王象之의 輿地紀勝을 비롯한 각종 경산관련 문헌에 수록되어있다. 오늘날 이곳에는 신라 관련 유적으로 新羅泉과 新羅太子墓가 있고, 특히 신라태자묘는 경산현인민정부가 지방 중요유적으로 지정해놓았다. 경산현박물관에는 청 건륭 연간에 세워진 <中興芭蕉寺碑記> 원 비석이 있는데, 여기에도 신라승과 신라천에 관한 기록이 명기되어 있다. 당말 오대에 신라출신 慧淸禪師가 이곳에서 활동했다. Temple Bajiao(芭蕉寺) is a ruined one located in Jingshan-xian(京山縣), Hubei(湖北). Records and ruins related to Silla(新羅) have been handed down from the temple. A Silla monk(新羅僧) stayed by royal order, pursued the teaching of Buddha and presented dramatically the stories about Spring Silla(新羅泉) and the fish joined at the eye at Temple Bajiao in the reign period of Taizong(太宗) of Tang(唐). A Silla prince came to the temple along with a Silla monk and buried there later. The records are mentioned in documents related to Jingshan such as Yüdi jisheng(輿地紀勝) by Wang Xiangzhi(王象之) of Southern Song(南宋). Ruins related to Silla located in the temple are Spring Silla and the tomb of Silla prince. Especially, the tomb of Silla prince was designated as an important historic relics by local government. Jingshan-xian Museum holds a stone tablet "Zhongxing bajiaosi beiji(中興芭蕉寺碑記) established in the reign period of Qianlong(乾隆) of Qing(淸). The stone monument mentions records about a Silla monk and Spring Silla. The Reverend Hyecheng(慧淸) from Silla was active here in the end of Tang and the period of Five Dynasties(五代).

      • KCI등재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 명문을 통한 제작 하한 시기와 표기 배경 검토

        박정민 호서사학회 2022 역사와 담론 Vol.- No.104

        이 연구는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서울시 유형문화재)에 표기된 명문을 분석하여 명문의 표기 시점인 제작 하한 시기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는 저부에 ‘을ᄉᆞ ᄌᆞ궁이’이라는 명문이 점각(點刻)으로 표기되어 있다. 명문은 간지, 그릇이 속한 장소, 수량의 조합으로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가 을사년 이후 자궁에 속한 2쌍의 항아리 가운데 하나임을 명기하고 있다. 명문 가운데 ‘을사’라는 간지는 그릇이 해당 소속처의 재산이 된 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명문이 새겨진 그릇의 제작 하한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간지 명문은 매 60년마다 반복되는 특성 때문에 시기를 특정하는데 종종 이견과 논란의 여지를 남긴다. 간지와 함께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에 표기된 ‘자궁’은 그릇의 소속처로써 을사년을 특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조선 후기 왕실의 상황을 감안할 때 명문의 자궁은 정조(正祖)의 생모(生母) 혜경궁(惠慶宮)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을사년은 1785년(정조 9)으로 파악하는 것이 적절하다. 명문 내용 해석을 통해 해당 유물이 속했던 장소와 명문 표기 및 제작 하한 시기를 확보한 <백자청화파초국화문항아리>는 상대적으로 편년 자료가 부족한 18세기 후반 분원리 시기 관요 백자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파초(芭蕉)와 고산(孤山)의 자연관비교연구(自然觀比較硏究)

        박복원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7

        本硏究는 近世에 있어서 각각 韓·日兩國의 獨自的인 短詩文學의 形態를 定立한 芭蕉와 孤山의 俳句와 時調에 나타나는 自然觀을 比較한 것이다. 芭蕉는 深川草庵에서의 生活은 매우 簡潔하였으며, 또한 町人社會가 지나치게 功利主義인데 抵抗을 느끼고, 俳諧를 純粹한 詩精神위에 構築하려고 努力한다. 그리고 佛頂和尙에게 禪을 배우게 된다. 孤山은 典型的인 儒學者로서 王權强化의 政治를 固執하지만, 「丙辰疏」때문에 그 禍가 父母에게까지 미치게 되자, 忠孝가 一致하지 않는 儒敎思想의 矛盾을 克服하기 위하여 道의 對象으로서 自然에 歸一하려고 한다. 이렇게 芭蕉는 參禪을 통하여 自身이 自然의 一部임을 깨닫고 俳諧新風을 찾아서 自然속을 떠돌면서 無爲自然思想에 順應하여 새로운 槪念을 定立하게 된다. 孤山은 半平生의 流配와 隱遁生活을 통하여 접한 自然을 통해 自我를 찾기 위하여 努力하게 된다. 그는 出仕, 流配, 隱遁生活의 反復속에서 自然을 自我의 槪念으로 把握하게 되고, 結局그의 裏面에 內在해 있던 無爲自然思想을 體驗함으로 해서 得道하게 된다. This study compared a view of nature appearing in Sijo and line of Kosan and Basho that established unique short-poetry of both countries (Korea and Japan) in modern time. On life of a depth and hermitage, Basho is very concise. But, chonin society is on utilitarianism excessively. So, he is oppositional and make an effort to forge Haikai on the sheer soul of poetry. On this, Basho realize that he is a part of nature from worship. and then he wander in the nature to find new style of Haikai. He establish new concept adapting himself to idle nature on the several rove. Kosan tries to find ego on nature experience through exile and hermitry of half life. He think of nature as concept of ego in repetition of exile and hermitry. and then finally he achieve spiritual enlightenment by experiencing idle nature inherent in his hidden side.芭蕉(Basho), 孤山(Ko san), 自然詩人(a nature poet), 自然觀(View of Nature), 尹善道(Yun Seon-do`s)

      • KCI등재

        芭蕉의 無常觀 硏究

        朴馥遠 한국일본근대학회 2012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6

        이 世上에 存在하는 森羅萬象은 한 곳에 머무르지 아니하고, 流轉하므로 自然은 永遠한 存在, 歲月은 흘러가는 것, 人間은 덧없는 것, 人間営為는 一時的인 存在로 把握한 것이 芭蕉의 無常觀이다. 芭蕉는 漂泊을 통해 觀照한 自然에 대해 스스로 運行秩序를 갖고 있기 때문에 詩歌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거기에 造化로서의 意味가 있다고 規定한다. 또한 소나무․매화․제비꽃․풀 등 循環하는 自然을 永遠한 生命을 가진 것으로 把握하여, 人間의 덧없는 生命과 對比的으로 描寫하여 無常에 대해 吐露한다. 그리고 自然은 永遠한 存在, 人間은 有限한 것, 人間營爲는 一時的인 存在로 把握한다. 이와 같이 芭蕉는 無常을 感傷的 態度로써 恨歎하거나, 意志的, 主觀的으로 意味 變更을 시키는 것이 아니라 自然의 理法을 깨닫고, 現世的인 我執, 俗心, 虛妄, 動搖를 超越한 세계에서 藝術의 美와 사물의 眞理를 同時에 追求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Basho's view of life as something transient and empty was described as everything in the universe changes, and artificial as temporary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nature was described as a sort of infinite lives. This study was understood Basho's view of life as something transient and empty as not so much lamenting in sentimental attitude, or changing meaning in subjective as realizing the law of nature. In addition, something transient and empty can seen by simultaneous pursuing the beauty of art and the truth of things beyond the realistic egoism, a worldly mind, untruth and the shaking.

      • KCI등재

        元祿初期の加賀俳壇と芭蕉の交流關係 : 『卯辰集』の成立過程を通して 『卯辰集』 성립과정을 통하여

        李炫瑛 한국일어일문학회 2002 日語日文學硏究 Vol.43 No.1

        元祿4年5月26日, 加賀地方에서는 최초의 焦文俳諧撰集인 『卯辰集』가 간행된다. 「奧の細道」 여행당시 加賀地方을 방문해 蕉風俳諧를 널리 전파한 芭蕉는, 이후에도 加賀地方의 蕉門俳人들과 직접ㆍ간접적으로 교류관계를 유지하면서 『卯辰集』 편찬에 지대한 관심을 보인다. 하지만, 그러한 芭蕉의 태도는 조금씩 변해, 『卯辰集』 편찬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자세를 보이며, 加賀俳人들에게 『卯辰集』의 출판시기를 재촉하기에 이른다. 그래서 인지 현재까지도 『卯辰集』에 대한 평가는 매우 소극적이고, 연구 또한 찾아보기 힘들어 『卯辰集』의 俳諧史적인 위치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卯辰集』는 加賀地方의 俳諧, 특히 加賀蕉門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俳諧撰集을, 加賀俳壇을 논하는 데 있어서 看過할 수 없는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卯辰集』 성립과정을 통해서 元祿初期의 加賀俳壇과 芭蕉의 交流關係를 고찰하고, 元祿三年 前後의 芭蕉俳諧觀의 變化와 그 實像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卯辰集』의 俳諧史上의 위치와 그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