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왕실발기의 형태와 제작목적 -장서각본을 중심으로-

        박부자(Pakh, Bu-ja)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장서각 Vol.- No.46

        본고는 장서각본을 중심으로 왕실발기의 형태를 낱장본과 두루마리본, 절첩본, 선장본, 가철본으로 나누고 그 형태별 특징과 제작목적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장서각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을 검토하여 기존에 왕실발기로 분류되지 않은 17건을 찾아내고 이를 기반으로 장서각 소장 왕실발기를 915건으로 확인하였다. 915건을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왕실발기의 형태를 낱장본과 두루마리본, 절첩본, 선장본, 가철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낱장본과 두루마리본, 절첩본, 가철본은 모두 현장에서 해당 내용을 실제와 비교하여 확인하는 용도로 내인이나 내관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절첩본이나 가철본은 사후에 여러 사례의 내용을 취합하여 수록한 경우가 많은데 이 또한 사용자는 내인이나 내관이었을 것이다. 선장본도 사후에 관련 발기를 취합하여 수록한 것이기는 하나 공격지가 있는 왕실자료로, 최종적인 사후 복명서의 성격이면서 왕실 참조용으로 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낱장본과 두루마리본은 기본적으로는 내용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였을 것이나 낱장본이 통합되어 두루마리본으로 작성되기도 하고 두루마리본에서 일부 내용을 떼어 수정 사항이 반영된 정서본을 이전과는 다른 두루마리로 제작한 사례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낱장본과 두루마리본을 바탕으로, 완성된 물품의 이동에 따라 그 실제를 확인하기 위해 작성되는 왕실발기는 절첩본으로 제작되는 경향이 높고 봉투를 겸하는 경우도 많았다. 가철본은 여러 사례와 관련하여 작성된 개별 왕실발기의 내용을 실제와 비교하여 확인하기 위한 필요에 따라 관련 왕실발기를 한 곳에 모아 제작했던 것이 아닌가 한다. 즉 사후에 작성, 열람, 실무의 편의를 위해 책 형태의 가철본으로 제작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실제 의례에서 쓰인 물품의 최종 내역이 사후에 왕실을 위해 최종적으로 선장본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forms of the Royal Archives (王室 발기[件記]) and their purposes by focusing on the Jangseogak version.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the Royal Archives archived at the Jangseogak to analyze the various forms, as well a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the purpose of production of each form. Through the search, this study found 17 folded and stitched books that have not been classified as Royal Archives and included them in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This study also found differences in the folding methods of the loose-leaf and scrolled versions,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Royal Archives. The folding books generally used baekjeo paper, and while some books used colored paper, multi-colored papers were not glued together like the scrolls, and a single color was used for each book. In the case of Darye balgi (list of food), many were found with their envelopes. Royal Archives that was sent outside the palace was more likely to be folded. The stitched versions of the Royal Archives were only found in the Jangseogak archive. This study classified the Royal Archives into balgi that was temporarily bound and used for practical purposes and the stitched versions collected and archived after the Royal Ceremonies was over. The temporary bindings were bound for convenience since they were used at the workplace, whereas the formally bound stitched versions most likely functioned as final reports and references for the royal court.

      • KCI등재

        조선 말기 興天寺와 王室 發願 불화

        유경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7 강좌미술사 Vol.49 No.-

        Heungcheon-sa Temple in Donam-dong, Seoul was originally a royal temple in Jeongneung, the tomb of Queen Sindeok (surnamed Gang). The temple was founded during King Taejo’s reign and later relocated from Hwanghwabang (present day Jeong-dong) to Donam-dong during King Taejong’s reign. As Yi Haeung(1820-1898), the biological father of King Gojong, encouraged donations and bestowed a plaque with the temple’s name in the 19th century, the temple has been established as a royal temple for the royal family to use to wish for their peace. Henceforth, close relatives of the royal family as well as court ladies supported the temple by launching various religious project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monk paintaer in charge, and the patrons of the paintings enshrined in Heungcheon-sa Temple. The common people occasionally participated in the donations; however, the royal family was the main patron of painting projects that arose in the temple. The Buddhist paintings enshrined in Heungcheon-sa Temple mainly consist of works created upon the donations of court ladie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including Hanging Painting of Sinheungsa Temple (Vairocana Buddha Triad) painted in 1832, and those produc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article classifies the paintings into three periods based on the prolificity and the main base of painter-monks in charge. Hence, the first period is 1800-1850, the second period is 1850-1870, and the last period is 1870-1910. The Buddhist paintings from the first period were created through the support of the close relatives of the royal family, including Kim Josun (1765-1832). Although not many works were created at that time, Hanging Painting of Sinheungsa Temple (Vairocana Buddha Triad) was the fruition of a grand project initiated by Kim, the princess and the son-in-law of Sunjo, and one of the daughters of King Jeongjo, The second period coincides with a number of projects being launched in the temple after Yi Haung bestowed the plaque. At that time, Euiwun Jawu, the monk painter who worked mainly in Gyeongsangbuk-do, moved to the Samgaksan region where Heungcheonsa was located to lead the creation of the paintings. It is noteworthy that paintings from this period were created upon the patronage of court ladies whose role was to support major royal family members. The statements on the paintings document their wishes for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King Gojong and Queen Myeongseong. This patronage continued into the third period, and the monk painters in charge at the time included Daeheo Jehun and the monks from the Gyeonggi region who worked in the areas closer to the capital. It is interesting that the patrons of the temple were court ladies with official court ranks. It is also distinctive that they continued to support the projects for their own use after completing those intended to wish for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The Buddhist paintings in Heungcheon-sa Temple are highly significant, as they were major Buddhist paintings created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royal family during King Gojong’s reign in the nineteenth century. 서울 돈암동에 위치하는 흥천사는 신덕왕후 강씨(?∼1396)의 무덤인 정릉의 願堂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태조대 창건된 흥천사는 태종대에 이르러 황화방이라고 불리는 현재의 정동 부근에서 돈암동 지역으로 위치를 옮겼다. 흥천사는 19 세기 중반에 이르러 고종의 私親인 흥선대원군 이하응 (1820∼1898)이 권선을 하고 ‘興天寺’라는 편액을 내린 이후 왕실의 안녕을 비는 원당으로 자리 잡았 다. 이후 흥천사는 왕실의 친인척 뿐 아니라 왕실, 그리고 상궁들의 시주로 불화를 비롯한 여러 佛事 가 이루어졌다. 본고는 조선 말기에 이르러 왕실의 원당으로서 흥천사에 봉안된 불화의 특징과 제작화승, 후원자 등을 살펴보는 것이 주목적이다. 흥천사의 불화는 왕실이 아닌 일반인이 시주를 하여조성되기도 했지만 주요 시주자는 왕실을 비롯한 친·인척, 상궁들이었다. 흥천사에 봉안된 불화는 1832 년에 제작된 <新興寺毘盧蔗那三身掛佛圖>를 비롯하여 19 세기 전반 조성 불화, 그리고 19 세기 중반 왕실 및 상궁들의 시주로 조성된 불화, 마지막으로 19 세기 후반에 상궁 및 일반 시주로 조성된 불화로 구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흥천사에서 조성된 불화를 다작의 불사가 이루어졌던 시점과 제작 화승의 활동지를 중심으로 1800 년~1850 년까지를 1 기, 1850 년~1870 년까지를 2 기, 1870 년~1910 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1 기에는 김조순(1765~1832)을 위시한 왕실 친인척들의 후원에 의해 이루어졌다. 많은 작품이 조성되지는 않았지만 이 시기에 조성된 <신흥사비로자나삼신괘불도>는 김조순과 정조의 딸, 순 조의 딸과 사위 등이 시주한 상징적인 불사였다. 2 기의 불화는 흥선대원군이 신흥사에 ‘興天寺’ 편 액을 내린 이후에 조성되었는데 흥천사에 활발하게 불사가 이루어졌던 시기와 일치한다. 이 시기에는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활약한 불화승인 의운 자우가 수화승으로서 삼각산 흥천사에서 불화의 조성을 이끌었다. 한편 이 시기에 제작된 불화의 화기에는 고종과 명성황후의 命을 받들어 행한다는 ‘奉爲’가 적혀 있다. 명을 받들어 불사를 행하는 상궁들은 왕실의 안녕을 위해 불사를 행하였다. 3 기 에는 2 기에 이어 상궁의 후원이 지속되었으며 이 시기에는 왕실 뿐 아니라 일반 시주로 이루어진 불화도 흥천사에 봉안되었다. 이 시기의 불사는 근기권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대허 체훈, 긍조 등 한성부와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화승들이다. 흥천사의 불화는 왕실의 친·인척 뿐 아니라 왕실, 그리고 상궁이 불사의 시주자가 된 19 세기 고종대를 대표하는 왕실발원 불화라는 점에서 의미 깊다.

      • KCI등재

        高麗末·朝鮮初 王室用 磁器의 제작 체계 연구

        김윤정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60 No.260

        조선시대 왕실용 자기를 제작하는 沙器所는 당시 御膳을 담당하는 사옹원에 설치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두 가지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다. 첫째, 磁器를 제작하는 일은 吏曹가 아니라 工曹에 분장된 업무였다는 점, 둘째 사옹원 이전에 御膳을 담당하던 司膳署에는 사기소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려말 원간섭기 이후부터 조선초 사옹원에 관요가 설치되기까지 왕실용 자기의 제작과 관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사옹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주력하였고, 고려말·조선초 왕실용 자기의 제작 체계에 대하여 몇 가지 새로운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고려말 원간섭기 이후부터 왕실재정의 고갈과 관제의 혼란 등 불안정한 정치 상황에서, 국왕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던 내시들이 왕실 의례나 왕실 재정 관사에서 사용되는 청자의 제작과 수취에 관여했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고려말기 이러한 내시의 역할이 성중애마의 하나였던 사옹으로 이어져서, 사옹은 국왕의 직속 내시 기구로 內用甆器를 監造하고 조달하는 직무를 수행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면서, 사옹은 사옹방으로 吏曹에 편제되었다. 사옹방은 내시가 주축이 된 품계가 없는 왕실 직속 기구로서, 왕실용 자기의 제작과 관리에 관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왕실용 자기 제작에서 사옹방의 監造 기능과 친왕실적인 성격은 결국 吏曹에 속한 사옹원에 왕실 자기의 제작을 전담하는 沙器所가 설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사기소의 설치는 사옹방이 왕실용 자기의 監造 뿐만 아니라 製作까지 담당한다는 의미이다. 즉 자기의 제작비용이 국가 재정으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정식 관리가 필요했을 것이다. 따라서 1467년에 사옹원이라는 정식 행정기구로 개편되고 녹관을 둔 이후에 국가재정으로 그릇을 만드는 관요로서의 사기소가 설치될 수 있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왕실용 자기의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은 監造인데, 즉 왕실용 자기의 제작을 감독할 수 있는 적임자는 왕실과 긴밀한 관계 속에 있는 內侍였다. 중국의 남송이나 명의 경우, 황실용 자기의 제작에서 내시는 그릇의 제작을 감독하는 監造官으로, 정식 행정처인 工部는 가마 설치·재료비·공장의 인건비 등 실제 제작 과정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조선은 중국과는 달리 吏曹에 속한 사옹원에서 監造와 製作을 모두 담당하는 특수한 상황이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상황은 고려말기 경부터 왕실용 자기 제작에 관여했던 내시의 역할이 고려말 司饔과 조선초 사옹방으로 이어진 것이며, 사옹방의 監造 기능과 친왕실적인 성격은 결국 吏曹에 속한 사옹원에 왕실 자기의 제작을 전담하는 沙器所가 설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Sagiso, which were responsible for producing royal wares during the Joseon period, were established at the Saongwon (Office of Royal Cuisines) under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In relation to this historical fact, however, two problems can be pointed out: first, the work of manufacturing ceramic wares was undertaken not by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but by the Ministry of Public Works; second, the Saseonseo (Office of Royal Cuisines), which undertook the job of preparing royal food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Saongwon, did not run the Sagiso.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and influence of the Saong (the palace attendants responsible for preparing the royal cuisine) who wielded considerable influence over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royal wares between the last days of Goryeo (subject at that time to Yuan intervention) and the early Joseon period when the gwanyo (official kilns) were established under the control of Saongwon. The study also identifies several new facts regarding the system of manufacturing royal wares during this period. First, the possibility was explored that - amid the political instability prevalent during Goryeo's last days under Yuan intervention, including the exhaustion of the state’s finances and the disorderly official regulations – the Naesi (palace attendants in Goryeo period) who worked in close proximity to the king probably got involved in the production and collection of the celadon that were used in royal ceremonies and royal administrative affairs. Secon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ole of the Naesi in this matter was transferred to the Saong, one of the Seongjungaema (groups of officials work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king). They, as the organization of Naesi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 undertook the job of inspecting and procuring royal wares. Third, with the collapse of Goryeo and the founding of Joseon, the Saong were incorporated into the Saongbang (organization of Royal Cuisines) under the control of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Research has indicated that the Saongbang, an organization with no court ranking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 was controlled by the eunuchs, undertook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royal wares. Fourth, the Saongbang's function of inspecting royal wares and attending to the king closely eventuall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agiso at the Saongwon under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Fifth, the establishment of the sagiso meant that the Saongbang undertook to not only inspect but also to manufacture royal wares. Likewise, given the fact that the state finances had to be properly managed in order to manufacture royal wares, an official management system was presumably essential. Thus, in 1467, the official agency known as the Saongwon was established and staffed with regular officials, while the sagiso were established as official kilns. In conclusion, inspection w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procedure of manufacturing royal wares, and this function was undertaken by eunuchs who work in close attendance to the king. During the Chinese Southern Song and Ming dynasties, eunuchs were employed to inspect the manufacture of imperial wares, and the relevant Ministry of Public Works was responsible for the installation of kilns, material costs, labor costs of potters, and other frontline jobs. Joseon, however, unlike China, used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to undertake the inspection and manufacture of royal wares through the offices of the Saongwon. Likewise, this particular situation came about because the Naesi' role in the manufacture of royal wares was transferred to the Saong and the Saongbang between the last days of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 The Saongbang's role in inspecting the manufacture of royal wares and its closeness to the king presumabl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agiso, an offic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manuf...

      • KCI등재

        조선시대 왕실여성 발원 불화

        유경희(Ryou, Kyunh-Hee)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21 馬韓, 百濟文化 Vol.37 No.-

        이 글에서는 정책적 억불과 완화가 공존했던 조선시대에 왕실 여성이 발원했던 불화와 그 안에 담긴 조 성배경을 다루고자 하였다. 조선시대는 억불(抑佛) 정책으로 일관되었지만, 불교는 왕실과 민간에서 막대 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지위가 높았던 왕실의 여성은 사찰의 불사(佛事)를 적극적으로 주도하는 등 불교 의 전폭적인 후원자 역할을 하였다. 왕실의 안녕과 선왕(先王) 선후(先后)의 추복(追福), 후사(後嗣)의 계승 을 명분으로 조성된 불사(佛事)는 유교적 입장에선 유신(儒臣)들에게도 어느 정도 용인되었고, 국왕의 입 장에서 드러내고 할 수 없던 불사 후원은 부인이자 어머니인 비빈(妃嬪)을 통해 대행(代行)되었다. 왕실 여성 발원 불화의 화기에는 공통적으로 왕실의 안녕과 먼저 돌아가신 왕과 왕비의 추복을 기원하 는 점이 보인다. 이러한 점은 서민발원 불화의 화기에서도 동일하다. 정치적 권력까지 소유했던 문정왕후 (文定王后, 1501~1565), 명성왕후(明成皇后, 1851~1895), 순헌황귀비(純獻皇貴妃, 1854~1911)와 같은 지배 계층의 여성들은 현실의 안녕과 사후 추복과 함께 왕실의 후계를 잇는 왕자의 탄생을 기원하며 많은 불화 를 발원하는데 적극적으로 동참하였다. 명성황후의 경우 불화 후원은 신앙적 성향에 의해 두 왕실 여성에 비해 적은 양상을 보이지만 불상, 무속 등을 포함하면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절대군주 시대에 여성이 권력의 핵심에 다다를 수 있는 길은 왕위를 잇는 아들을 낳는 것이었다. 정비 (正妃)를 통해 왕자의 계승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면 후궁의 소생을 통해 승계가 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해 후궁의 지위는 일거에 급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치력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비빈에게 왕자의 출생은 무엇보다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견고히 할 수 있는 장치가 되었다. 그러므로 왕실 여성들은 왕자 의 탄생을 적극적으로 기원하고 그 바람을 불사의 조성에 투영시켰다.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2) - 순종 대 이후와 연대 미상의 왕실발기를 중심으로 -

        박부자 국립고궁박물관 2023 古宮文化 Vol.- No.16

        본고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의 현황과 내용을 소개하는 두 번째 편이다. 첫 번째 편에서 다루지 못한 순종 대 이후의 왕실발기와 연대 미상의 왕실발기 20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긔미윤칠월십뉵 됴셕 샹식ᄇᆞᆯ긔【이십일디】(고궁2419-1)>와 <긔미십월 효덕뎐 망다례 단ᄌᆞ(고궁2419-2)> 2점은 1919년에서 고종高宗, 재위 1863~1907과 명성황후明成皇后, 1851~1895의 다례에 올려진 음식 목록을 적은 다례발기와 상식발기이다. 1919년 다례발기와 상식발기 중 기존에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던 자료들이다. 따라서 <고궁2419> 두 점의 존재는 고종과 명성황후의 다례 관련 왕실발기가 온전한 자료로써의 가치를 인정받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의ᄃᆡ목록(궁중346)>과 <반상목록(궁중347)>은 1932년에 진행되었던 영친왕英親王, 1897~1970의 둘째 아들 이구李玖, 1931~2008의 돌잔치 때 작성된 복식발기와 기명발기이다.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가장 후대에 작성된 것으로, 왕실발기가 1932년까지도 제작되었음을 실증해 주는 자료이다. 또 표지를 붉은색 바탕에 연꽃 무늬 비단으로 만들어 매우 화려한데, 현전하는 왕실발기 중 이와 같이 제작된 예가 없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다례단자(고궁2227-2)>와 <다례단자(고궁2227-3)>는 그간 ‘연대 미상’으로 알려져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례단자(고궁2227-2)>는 1896년(고종 33) 7월 27일 명성황후의 다례와 관련하여 진설된 음식을 기록한 것이며, <병신칠월이십칠일 셩빈 별다례 ᄇᆞᆯ긔(장서각1381)>과 내용이 동일한 자료임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다례단자(고궁2227-2)>이 <병신칠월이십칠일 셩빈 별다례 ᄇᆞᆯ긔(장서각1381)>의 수정사항을 모두 반영하여 정서한 최종본임이 확인되었다. <다례단자(고궁2227-3)>도 본 연구에서 1905년(광무 9) 8월 19일에 명성황후의 다례 때 제작된 <을팔월십구일 긔신 홍능 다례 ᄇᆞᆯ긔(1366)>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자료로 추정되었다. 이상에서 두 번에 걸쳐 살펴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왕실발기는 총 32점이 전한다. 32점 중 한글본이 28점, 한자본이 4점으로 한글본이 압도적으로 많고, 시기상으로는 고종 대의 왕실발기가 9점으로 가장 많은데 이는 모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보유하고 있는 왕실발기와 동일한 양상이다. 현재 전하는 왕실발기 중 가장 시기가 앞선 1732년(영조 8) 영조 때 왕실발기와 시기가 가장 늦은 1932년 왕실발기가 모두 국립고궁박물관에 전하고 있다. 이중 기명발기가 4점 전하는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왕실발기 950여건 중 기명발기는 40여 점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기명발기 4점은 기명발기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constitutes the second segment, providing an introduction to the present condition and contents of the Wangsil Balgi(王室 발기[件記], list of royal items) archive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 this second part, an examination has been conducted on the royal item lists following the reign of Emperor Sunjong (r. 1907-1910) and 20 undated lists that were not covered in the first installment. Amongst the royal item lists written during and after Emperor Sunjong’s reign, a list labelled as Gogung2419 records the food served at a tea ceremony conducted for Emperor Gojong and Empress Sunjong in 1919. In the lists pertaining to 1919, a noticeable absence is found specically in the entries of the month of October, and Gogung2419 corresponds to that missing section. Therefore, the presence of Gogung2419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the Wangsil Balgi related to the tea ceremony for Emperor Gojong and Empress Myeongseong, as it serves as a complete and integral source of information. Gungjung 346 and Gungjung 347 are Boksik Balgi(服飾件記,list of attire) and Gimyoeng Balgi (器皿件記, a list of tableware) made in 1932 for the rst birthday banquet for Yi Gu (1931-2005), the second son of Imperial Prince Yeong (1897-1970). As one of the most recently documented royal item lists, it serves as tangible evidence that such records were still being produced until 1932. Additionally, the cover, made of vivid red silk adorned with lotus ower patterns, is exceptionally ornate. Among the extant royal records, there is a notable absence of examples featuring such elaborate craftsmanship, making it particularly noteworthy. Gogung2227-2 and Gogung2227-3 have been known as “date unknown”. 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Gogung2227-2 records the food served at Empress Myeongseong's tea ceremony on July 27, 1896, and has the same content as Jangseogak1381.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gung2227-2 is the final version that reflected all the revisions of Jangseogak1381. Gogung2227-3 is also pre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Jangseogak1366, which was issued for the Empress Myeongseong's tea ceremony on August 19, 1905.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houses a total of thirty two pieces of Wangsil Balgi. Of all the pieces, twenty eight are in Korean and four in Chinese. e number of Korean versions is overwhelmingly large. In terms of its production timing, the largest number of Wangsil Balgi were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Emperor) Gojong, with a total of 9. Among the Wangsil Balgi stored in the Jangseogak Archive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re are also more Korean versions than Chinese ones, and the most numerous are those written during the reign of King (Emperor) Gojong. Currently, both the earliest of the Wangsil Balgi, written in 1732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r. 1724-1776) and the latest issued in 1932, are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Four out of thirty-two Wangsil Balgi stor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re Gimyeong Balgi. Considering that there are only forty Gimyeong Balgi out of nine hundred fifty Wangsil Balgi in the Jangseokgak Archive’s collection, the four Gimyeong Balgi in the NPMK’s collection are of important value for conducting overall research on Gimyeong Balgi.

      • KCI등재후보

        조선 후기 선원보첩류의 편찬체제와 그 성격

        원창애(Won Chang-ae)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장서각 Vol.0 No.17

        조선시대 작성된 왕실보첩류는 매우 다양하다. 조선 전기에 작성된 왕실보첩류는 『선원록』 · 『돈녕보첩』 · 『어첩』 · 『팔고조도』 등이다. 특히 『선원록』 · 『돈녕보첩』 등은 왕실의 친족을 파악하여 이들에게 합당한 예후를 하기 위해서 매 식년마다 종부시와 돈녕부에서 단자를 받아 수정하였다. 조선 초기 왕실보첩류는 후기에 들어서면서 편찬체제가 달라지고, 기존의 보첩류와는 성격을 달리한 보첩류들이 간행되었다. 조선 후기에 새로 간행된 왕실보첩류는 『선원계보기략』 · 『왕비세보』 · 『선원속보』 등이다. 조선 후기 왕실보첩류의 편찬체제 변화나 새로운 보첩류가 등장하는 것은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반영한 것이다. 16세기 말 이후 예학의 심화와 종법적인 가족제도의 정착으로 양반가의 족보 간행이 활발해지고, 보학자들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가 왕실보첩류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면, 조선 전기 이래 계속 수정 간행된 『선원록』은 1681년(숙종 7)에 와서는 외형적인 편찬체제와 수록 대상 범위가 변화되었다. 즉 從으로 기재되던 『선원록』은 양반가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橫으로 선을 그어 횡간에 기재되게 되었다. 『선원록』의 수록 대상이 本孫 · 外孫 모두 왕의 6대손까지 기재되었던 것이 본손은 왕의 9대손, 외손은 왕의 6대손까지 기재되었다. 이와 같은 본손 · 외손의 차별을 두게 된 것은 '詳內略外'라는 조선 후기 성리학적 유교 윤리가 심화되면서 변화된 가족 의식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왕실보첩류는 기본적으로 왕실의 친족을 파악하여 예후하기 위한 공문서로서의 성격을 띠므로 조선 왕실을 구성하는 핵심 지배층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왕실보첩류가 기본적으로 어떠한 편찬체제를 가졌는지, 편찬체제가 왜 변화하는지, 새로운 왕실 보첩류들이 왜 등장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또한 여러 명칭의 왕실보첩류가 그 보첩만이 가지는 성격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없었다. 본고는 왕실보첩류에 대한 기초연구로, 왕실보첩류 가운데 왕의 친족을 수록한 선원보첩류(『선원록』 · 『어첩』 · 『팔고조도』 · 『선원계보기략』 · 『선원속보』)의 편찬 체제와 편찬 과정을 통해서 각 선원보첩의 성격과 선원보첩류에 반영된 조선후기 사회상을 알아보았다. There were various types of royal genealogical records documented in the whole period of Joseon dynasty. Early in the dynasty, such royal family records were found as 'Description for Royal Origins'(Sunwon-rok), 'Genealogy Tables of Royal Relatives'(Donnyung-pochup), 'Records for Royal Trees'(Eochup), 'Eight Nodes of Royal Ascendants'(Pal-kojo-do) and others. Every three years, 'Royal Clan Office'(Jongpu-si) and 'Office for Royal Relatives'(Donnyung-pu) gathered a candidate list from alleged royal family relatives in order to delineate the scope of royal families and treat them with privileges. In late time of the dynasty, there appeared a different styl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s. They were 'Representative Genealogy Document of Royal Families'(Sunwon-kyepo-kiryak), 'Genealogical Records of Queens' (Wangbi-sepo), 'Continued Records of Royal Families'(Sunwon-sokpo) and others. It seemed to reflect the social realities at that time that there appeared some changes in editing system of the royal genealogy and there occurred a new type of family documents. After 16th century in Joseon, especial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Rite Studies(Ye-hak) and the establishment of family system through the first son's lineage, documentation of family genealogies had been prevailed among noble class of people(Yangban) with assistance from many experts on genealogy. This trend had an impact on the royal family. We can observe some changes both in the stylistic layouts and in the scope of inclusion for relatives, for instance, in 'Description of Royal Origins'(Sunwon-rok) which was done in 1681 or in the 7th year of King Sukjong reign; following the normal style of noble class records, the original vertical tables in column shifted into row tables with horizontal lines: the original scope to include 6th node offsprings equally in the paternal and maternal lines, on one hand, had been expanded up to 9th node offsprings in the patrilineage, while the matrilineage, on the other, had been preserved the same original 6th node with no change. This phenomenon was explained by the late neo-confucian ideology(Sungri-hak) represented as 'Expansion of Inside Nodes but Reduction of Outside Nodes'(Sangnay-Ryakoy) in which they began to sharply discriminate mother nodes in favor of father nodes. Royal family records a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re dominating class constituting the royal family in Joseon dynasty, because the records were regarded a public document officially approved for honorable treatment. We do not have any kind of rudimentary understanding yet on which system various kinds of royal genealogies were adopted in documenting relatives, why the system changed, and why a new style of records came to be prevailed. In addition, among various names of royal family documents, wha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e records had is not known. This paper has revealed what characteristics each royal family record had, especially focusing on the systems and process how it was documented, with reference to the social realities at that time.

      • KCI등재

        高麗末ㆍ朝鮮初 王室用 磁器의 제작 체계 연구

        김윤정(Kim Yunjeong)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60 No.260

        조선시대 왕실용 자기를 제작하는 沙器所는 당시 御膳을 담당하는 사옹원에 설치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두 가지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다. 첫째, 磁器를 제작하는 일은 吏曹가 아니라 工曹에 분장된 업무였다는 점, 둘째 사옹원 이전에 御膳을 담당하던 司膳署에는 사기소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려말 원간섭기 이후부터 조선초 사옹원에 관요가 설치되기까지 왕실용 자기의 제작과 관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사옹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주력하였고, 고려말ㆍ조선초 왕실용 자기의 제작 체계에 대하여 몇 가지 새로운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고려말 원간섭기 이후부터 왕실 재정의 고갈과 관제의 혼란 등 불안정한 정치 상황에서, 국왕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던 내시들이 왕실 의례나 왕실 재정 관사에서 사용되는 청자의 제작과 수취에 관여했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고려 말기 이러한 내시의 역할이 성중애마의 하나였던 사옹으로 이어져서, 사옹은 국왕의 직속 내시 기구로 內用?器를 監造하고 조달하는 직무를 수행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면서, 사옹은 사옹방으로 吏曹에 편제되었다. 사옹방은 내시가 주축이 된 품계가 없는 왕실 직속기구로서, 왕실용 자기의 제작과 관리에 관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왕실용 자기 제작에서 사옹방의 監造 기능과 친왕실적인 성격은 결국 吏曹에 속한 사옹원에 왕실 자기의 제작을 전담하는 沙器所가 설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사기소의 설치는 사옹방이 왕실용 자기의 監造 뿐만 아니라 製作까지 담당한다는 의미이다. 즉 자기의 제작비용이 국가 재정으로 사용되어야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정식 관리가 필요했을 것이다. 따라서 1467년에 사옹원이라는 정식 행정기구로 개편되고 녹관을 둔 이후에 국가재정으로 그릇을 만드는 관요로서의 사기소가 설치될 수 있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왕실용 자기의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은 監造인데, 즉 왕실용 자기의 제작을 감독할 수 있는 적임자는 왕실과 긴밀한 관계 속에 있는 內侍였다. 중국의 남송이나 명의 경우, 황실용 자기의 제작에서 내시는 그릇의 제작을 감독하는 監造官으로, 정식 행정처인 工部는 가마 설치ㆍ재료비ㆍ공장의 인건비 등 실제 제작 과정을 당당하였다. 그러나 조선은 중국과는 달리 吏曹에 속한 사옹원에서 監造와 製作을 모두 담당하는 특수한 상황이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상황은 고려 말기경부터 왕실용 자기 제작에 관여했던 내시의 역할이 고려말 司饔과 조선초 사옹방으로 이어진 것이며, 사옹방의 監造 기능과 천왕실적인 성격은 결국 吏曹에 속한 사옹원에 왕실 자기의 제작을 전담하는 沙器所가 설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Sagiso, which were responsible for producing royal wares during the Joseon period, were established at the Saongwon (Office of Royal Cuisines) under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In relation to this historical fact, however, two problems can be pointed out : first, the work of manufacturing ceramic wares was undertaken not by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but by the Ministry of Public Works; second, the Saseonseo (Office of Royal Cuisines), which undertook the job of preparing royal food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Saongwon, did not run the Sagiso. To address these problems,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and influence of the Saong (the palace attendants responsible for preparing the royal cuisine) who wielded considerable influence over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royal wares between the last days of Goryeo (subject at that time to Yuan intervention) and the early Joseon period when the gwanyo (official kilns) were established under the control of Saongwon. The study also identifies several new facts regarding the system of manufacturing royal wares during this period. First, the possibility was explored that-amid the political instability prevalent during Goryeo's last days under Yuan intervention, including the exhaustion of the state s finances and the disorderly official regulations - the Naesi (palace attendants in Goryeo period) who worked in close proximity to the king probably got involved in the production and collection of the celadon that were used in royal ceremonies and royal administrative affairs. Secon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role of the Naesi in this matter was transferred to the Saong, one of the Seongjungaema (groups of officials work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king). They, as the organization of Naesi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 undertook the job of inspecting and procuring royal wares. Third, with the collapse of Goryeo and the founding of Joseon the Saong were incorporated into the Saongbang (organization of Royal Cuisines) under the control of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Research has indicated that the Saongbang, an organization with no court ranking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 was controlled by the eunuchs, undertook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royal wares. Fourth, the Saongbang's function of inspecting royal wares and attending to the king closely eventuall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agiso at the Saongwon under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Fifth, the establishment of the sagiso meant that the saongbang undertook to not only inspect but also to manufacture royal wares. Likewise, given the fact that the state finances had to be properly managed in order to manufacture royal wares, an official management system was presumably essential. Thus, in 1467, the official agency known as the Saongwon was established and staffed with regular officials, while the sagiso were established as official kilns. In conclusion, inspection w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procedure of manufacturing royal wares, and this function was undertaken by eunuchs who work in close attendance to the king. During the Chinese Southern Song and Ming dynasties, eunuchs were employed to inspect the manufacture of imperial wares, and the relevant Ministry of Public Works was responsible for the installation of kilns, material costs, labor costs of potters, and other frontline jobs. Joseon however, unlike China, used the Ministry of Personnel Affairs to undertake the inspection and manufacture of royal wares through the offices of the Saongwon, Likewise, this particular situation came about because the Naesi' role in the manufacture of royal wares was transferred to the Saong and the Saongbang between the last days of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 The Saongbang's role in inspecting the manufacture of royal wares and its closeness to the king presumably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agiso, an offic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manufacturing ro

      • KCI등재

        조선왕실의 조기교육 기관 연구

        육수화 한국교육사학회 2007 한국교육사학 Vol.29 No.1

        본 연구는 조선왕실의 조기교육기관인 보양청(輔養廳)과 강학청(講學廳)의 설치경위와 교육과정에 대해 규명한 것이다. 조선왕실에서의 왕위계승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다. 보양청은 원자나 원손이 탄생하면, 대개 3세 이전에 설치하였는데, 다른 왕실자손들을 위해서는 설치하지 않았다. 이들이 글을 읽기 시작할 무렵이 되면 강학청을 설치하였는데, 초학교재로는 『孝經』·『小學』·『童蒙先習』 등이 주로 선정되었다. 여타 왕실자손들도 통상 6세가 되면, 대군과 왕자군의 경우에는 강학청(講學廳)을, 왕손의 경우에는 교학청(敎學廳)을 설치하여 조기교육이 이루어졌다. 왕위계승자들의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데 반해, 왕실자손들의 교육은 종친부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위상에 있어서도 왕위계승자들과는 현격한 차등을 두었다. 本論文對作爲朝鮮王室早期敎育機關的輔養廳和講學廳的設置經緯及敎育課程進行了闡述. 以朝鮮王室的王位繼承人爲對象的敎育, 是在國家的層面上系統性的進行的. 輔養廳是在元子, 元孫3歲以前設置的, 但幷不爲其他的王室子孫設置. 在他們能구開始讀書識字時設置講學廳, 初級的敎材主要選定爲『孝經』,『小學』,『童蒙先學』等. 其他的王室子孫一般在6歲的時候, 大君和王子君的情況設置講學廳, 王孫的情況設置敎學廳來實施早期敎育. 王位繼承人的敎育是在國家的層面上進行的, 相反其他王室子孫的敎育是在宗親府的層面上實現的, 這和王位繼承人之間存在著懸殊的差異.

      • KCI등재

        조선시대 왕실의 유아교육

        육수화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2 No.-

        조선시대 왕실문화는 유교문화의 정수였고, 왕실교육은 유교교육의 최고봉이었다. 修己治人을 실현하는 선비이자 內聖外王을 구현하는 치자로서, 유교의 이상적인 모델이자, 백성들의 모범이 되어야만 했던 것이 바로 조선의 왕이다. 때문에 왕위계승자들의 교육은 일반 사대부들보다 더욱 엄격하고 치열한 교육과정을 이수해야만 했고, 왕실구성원이었던 왕실자손들의 교육 또한 소홀히 할 수 없었다. 태교는 태아의 건강과 좋은 기질의 형성을 위해 산모가 갖추어야 할 마음가짐과 몸가짐이다. 이는 애초 산모가 보고 느낀 것을 태아도 태내에서 감응한다는 한의학적 학설에 바탕을 둔 것인데, 유교적 수양론과 결부되면서 교육의 시작이요, 성품형성의 근원으로 여겨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원자와 원손의 교육과정은 왕위계승교육의 일환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아주 체계적으로 구축되었다. 대개 3세 이전에는 輔養廳을 설치하여 보육을 담당하게 하였고, 이들이 글을 읽기 시작할 무렵이 되면 講學廳을 설치하여 조기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이들을 제외한 다른 왕실자손들의 경우, 보양청은 설치되지 않지만 통상 6세가 되면, 종친부 주관으로 대군과 왕자군의 경우에는 講學廳을, 왕손의 경우에는 敎學廳을 설치하여 조기교육을 담당하게 하였다. 조선왕실 유아교육은 왕위계승자와 왕실자손들 모두 {孝經}⋅{小學}과 같은 초학단계를 마치면, {大學}⋅{論語}⋅[孟子}⋅{中庸}의 단계적 학습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교육과정 자체는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원자의 사부는 정 2품, 원손의 사부는 종 2품이며, 대군과 왕자군의 사부는 종 9품, 왕손의 교부 또한 종 9품으로 규정함으로써 그 위상에 있어서는 현격히 차등을 두어 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make clear the education process, from antenatal training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Joseon Royal Family. Centered on the successors to the throne and reviewed also the education of other Royal Family members, this study carried out comparative analysis on them. Antenatal training is pregnant woman's essential physical and mental attitude. It is indispensable to the health and good nature of unborn baby. Antenatal training had been based on the theory of Oriental medical science that fetus can sympathize what mother see and feel. Such theory, combined with Confucian self-culture theory, had taken very important position in Confucianism. Not to speak of Royal Family, noble family regarded antenatal training very essential as beginning of education and root of nature formation. For firstborn son and firstborn grandson, Boyangcheong (輔養廳, special nursery agency) was set up before their age became three, but not for other sons and grandsons of Royal Family. When firstborn son or firstborn grandson grew up to read letters, Ganghakcheong (講學廳) was set up for their early education. Other sons of king also learned in their early ages at Ganghakcheong while other grandsons of king learned at Gyohakcheong (敎學廳). Education courses were almost same between successors and non-successors but there were wide difference in the ranks of their tutors; firstborn son's tutor marked 2nd Jeong(正) class, firstborn grandson's tutor marked 2nd Jong(從) class and other royal sons' tutors were just 9th Jong(從) class.

      • KCI등재

        조선시대 왕실불사(王室佛事)의 재원(財源)

        김정희 ( Junghee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조선시대는 왕조 내내 강력한 억불정책을 시행하였으나 일부 왕과 비빈ㆍ대군ㆍ군ㆍ공주ㆍ옹주ㆍ종친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왕실발원 불사가 이루어졌다. 궁궐 안에서는 文昭殿 佛堂이 祖宗의 원찰로서 왕실불교의 중심이 되었으며, 왕비와 대비, 후궁 등 왕실의 여성들은 왕실의 안녕과 망자의 추선공덕을 위해 불사를 하거나, 왕과 대군의 사후 淨業院과 慈壽宮 등 尼寺을 중심으로 선왕과 대군의 명복을 빌었다. 지속적인 불교탄압의 분위기 속에서 일부 왕실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초기의 불사는 조선 중기에 이르러 文定王后(1501~1565)와 普雨大師(1509~1565)를 중심으로 성행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많은 사찰들이 중창 또는 중수되었으며 이에 따라 불교미술이 새롭게 꽃을 피웠는데, 왕실에서의 불사는 현저히 줄어들었지만 왕실 원당[願刹]을 중심으로 불사 후원이 이루어졌다. 이어 조선 말기에는 서울 인근 사찰을 중심으로 왕실 불사가 성행하면서, 조선 말기 불교미술의 양적 성장 뿐 아니라 질적 성장을 가져오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조선 초기부터 말기까지 왕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佛事의 財源은 무엇이었는가에 대해 고찰한 결과, 조선시대 왕실 재정 중 왕실 구성원의 사유재산으로 이루어진 私財政, 즉 內帑金이라고 알려진 사재정이 왕실후원 불사의 재원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 초기~중기에는 왕실의 대표적인 私財政 기구였던 內需司를 중심으로 불사후원이 이루어졌으며, 아울러 왕실의 所用을 담당하였던 尙衣院에서도 불사를 후원했던 사실을 확인하였다. 문정왕후 때 가장 최고조에 달했던 내수사의 권력은 그 후 점차 약회되어 갔으며 이에 따라 17 세기 이후 내수사의 불사후원은 급격하게 줄어들었고, 대신 조선후기와 말기에는 왕실 구성원들에게 지급된 宮房田을 바탕으로 불사 후원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내수사, 상의원, 궁방 등을 중심으로 한 왕실의 불사 후원은 튼튼한 재정을 바탕으로 최고의 장인에 의한 높은 수준의 불교미술을 탄생시켰으며, 결과적으로 조선시대 불교미술의 ‘宮廷樣式’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The Joseon Dynasty maintained its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all the time, but various Buddhist projec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sponsorship of the royal family including some kings, queens, royal concubines, grand princes, princes, princesses, and royal clansmen. The Munso Buddhist Hall (文昭殿) inside the palace, as the prayer temple for the late kings, became the center of the royal family’s Buddhist faith, and the femal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such as queens, queen mothers, and concubines promoted Buddhist projects for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and meritorious supplication for the deceased or prayed for the repose of the souls of the late kings and grand princes centering on nuns’ monasteries (尼寺) such as Jeongeopwon (淨業 院) and Jasugung (慈壽宮).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Buddhist projects were executed by some royal family members in the atmosphere suppressive to Buddhism, and during the middle period, Queen Munjeong (文定王后) (1501~1565) and Priest Bowoo (普雨大師) (1509~1565) played leading rol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ny temples were reconstructed or extend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Qing’s invasion in 1636, and with this, Buddhist arts revived extensively. Although the number of Buddhist project sponsored by the royal family decreased markedly, many of Buddhist projects were supported by the prayer temple (願刹) of the royal family.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many Buddhist projects were carried out by the royal family mainly at temples around Seoul and they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Buddhist arts during this peri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financial resources of Buddhist projects sponsored by the royal famil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royal family’s private finance (私財政) called Naetanggeum (內帑金 - privy purse), which consisted of royal family members’ private properties, was the major financial resource of Buddhist projects. During the early and mid Joseon Dynasty, Buddhist projects were supported mainly through Naesusa (內需 司 - Palace Supply Office), which was the royal family’s representative private finance (私財政) organization, and Sanguiwon (尙衣院 - Royal Clothing Office), which was in charge of the royal family’s necessaries, was also found to have sponsored Buddhist projects. The power of Naesusa, which reached the peak under Queen Munjeong, grew weak afterward and, as a result, its support for Buddhist projects shrank radically from the 17th century. During the late and last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stead, Buddhist projects were supported with Gungbang-jeon (宮 房田 - royal family’s lands). The generous sponsorship of Buddhist projects by the royal family through Naesusa, Sanguiwon, and Gungbang gave birth to high-level Buddhist arts created by the best artisans, and consequently, played great roles in establishing the ‘court style’ of Buddhist arts in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