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성함양 매체로서의 개념과 상징: 함양(涵養)과 궁리(窮理)

        신춘호 한국도덕교육학회 2012 道德敎育硏究 Vol.24 No.3

        How can self-cultivation occur? by which means can self-cultivation occur? Is there anything that can, or should be 'necessary media' for self-cultivation? These ar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in which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Mind-Cultivation'(MC, 涵養)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IP, 窮理) is to elucidate. MC and IP are two essential components of the theory of Chu Hsi(朱熹)‘s Self-Cultivation(心性涵養), and according to him, these two are necessary, inseparable channel for the realization of the Sagehood. But his statements on the these two do not sufficiently present the logical analysis of these necessity and inseparability. According to Langer's analysis on the symbolism, Language is by nature the medium of discursive symbolism which has different nature from presentational symbolism. Her discursive symbolism can be possible on the condition of conceptual thinking('Concept'). Chu Hsi's IP can be regarded "'study by means of 'abstraction'", IP has 'Concept' as its proper medium. Meanwhile MC of Chu Hsi can be regarded "Study by means of 'Intuition'". MC has 'Symbol' as its proper medium. Intuition is the immediate, aesthetic perception of principle by means of 'Symbol' of it. These two media can explicate the necessity and inseparability of MC and IP. Concept is the medium of our abstractive cognition which is human understanding per se, symbol is the medium of our intuitive perception, it comprehends all kinds of non-conceptual media of 'the Transcendental'(Principle). Without concept, human understanding itself can not occur. It is constitutive element of human understanding. Without symbol, human understanding cannot get its direction and its motive power. 이 글은 함양과 궁리를 두 축으로 하는 주희 공부론을 검토함으로써, 심성함양의 매체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 역할은 무엇인가 하는 점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희의 공부론은 孔孟으로 대표되는 선진유학의 수양론을 체계적 이론으로 발전시킨 것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그 이론적 해명을 위해서는 함양과 궁리의 차이와 관련이 무엇인가 하는 점을 명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상징작용에 관한 수잔 랑거의 견해를 참조할 때, 함양과 궁리는 ‘분리불가능한’ 심성함양의 두 경로를 가리키며, 함양은 ‘상징’을 매개로 하는 정신작용으로서의 직관을 경로로 하는 심성함양을 가리키며, 궁리는 ‘개념’을 매개로 하는 정신작용으로서의 추상을 경로로 하는 심성함양을 가리킨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주희의 공부론은 심성함양의 매체는 두 가지, 즉 개념과 상징으로 구분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이 두 매체는 필수불가결하게 서로를 요청하는 긴밀한 관련을 가진다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후보

        농업가뭄대응을 위한 인공함양 시스템의 함양능력 평가

        이재영(Jae Young Lee),김규범(Gyoo Bum Kim) 한국방재안전학회 2021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4 No.1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발생으로 국지적인 물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안정적인 지하수를 활용한 물공급 방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지하수 인공함양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조건 및 목표취수량, 함양정의 주입량, 주입기간 등을 고려한 함양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수치모델링을 통해 인공함양-취수 시스템의 함양능력 평가와 최적 운영조건을 도출하여 가뭄발생에 대비한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공급과 안정적인 용수확보를 위한 정량적인 평가기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함양정의 함양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물수지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목표취수량을 고려한 총 주입량 10,000 ton의 조건하에서 주입 시나리오별(Case 1~4)로 주입정 및 관측정별 지하수위 변화를 모사한 결과 주입 후 유역 내 지하수위는 약 25~42일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Case 3의 경우 지표하 1 m 미만으로 지하수위가 상승하여 적정 주입량은 50 ㎥/day가 적절한 것으로 모사되었으며 함양수 주입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영향범위는 113.5 m로 예측되었다. 또한 함양 시나리오에 따른 하류부 저투수성 벽체(LPB) 설치 전후의 유역내 함양능력 변화는 설치 전 대비 지하수 저류량은 약 6배가량 증가하였고 지하수 체류시간은 약 4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모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가뭄대응을 위한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및 지속적인 수자원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water supply plan using sustainable groundwater to resolve water shortage problem caused by drought due to climate change and artificial aquifer recharge has recently emerged as an alternative. This study deals with recharge potential assessment for artificial recharge system and quantitative assessment for securing stable water and efficient agricultural water supply adapt to drought finding optimal operating condition by numerical modeling to reflect recharge scenarios considering climate condition, target water intake, injection rate, and injection duration. In order to assess recharge potential of injection well,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to predict groundwater level changes in injection and observation well respect to injection scenarios (Case 1~4) for a given total injection rate (10,000 ㎥). The results indicate that groundwater levels for each case are maintained for 25~42 days and optimal injection rate is 50 ㎥/day for Case 3 resulted in groundwater level rise less than 1 m below surface. The results also show that influential area of groundwater level rise due to injection was estimated at 113.5 m and groundwater storage and elapsed time were respectively increased by 6 times and 4 times after installation of low permeable barrier. The proposed assessment method can be contributed to sustainable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stable water security for drought adaptation.

      • KCI등재

        인성함양의 관점에서 고찰한 퇴계의 리발설과 율곡의 기질변화론

        강보승 영남퇴계학연구원 2018 퇴계학논집 Vol.- No.22

        Previous studies which relate education for humanity to philosophy of Toegye and Yulgok have a common problem that connec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re loos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firstly tried to show the relation between Toegye's self-expression of principle and education for humanity as well as practices based on that relation. Secondly, this study strives to examine Yulgok's transforming the temperament and self cultivation methods. Thirdly, this study listed the current messages from two great philosophers to modern education for humanity. Toegye, by the theory of self-expression of principle, asserted that good human nature is the driving force of morality and ethical behavior. He also said that establishment of morality should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human nature. When it comes to the practice of education for humanity, however, he focused on the issue of temperament. And he suggested reserving Reverence(居 敬) based on his own theory. Yulgok tried to cultivate himself by transforming the temperament. He argued that in his theory of behavior, temperament expresses itself and the principle follows. The result is emotion, and it leads to the will and behavior in sequence. He focused on the junction between emotion and will, trying to making the will sincere. Although there seems to be a contradiction between the theory of Toegye and that of Yulgok, they have common belief that education for humanity should be pursued in the perspective of temperament in practice. Reserving Reverence(居敬) and making the will sincere(誠\意) both seek to transform the temperament in good way. In conclusion, to these philosophers, the ground of education for humanity is concerned with principle whereas methodology of that education is in relation with temperament. 퇴계․율곡의 철학과 인성교육을 접목한 기존의 연구는 대개 이론이나 구체적 방법론 탐구의 한 측면에 치중함으로써 이론과 실제의 연결 고리 가 느슨하다는 공통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퇴계 ‘理發說’의 함의와 인성함양의 관 계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퇴계가 제시한 인성함양의 방법과 실제를 살펴 보았다. 다음으로 율곡의 ‘기질변화론’과 이를 중심으로 하는 인성함양 방법을 살피고 퇴계․율곡의 철학이 현대 인성함양에 있어 어떤 점에서 유의미한지 고찰하였다. 퇴계는 리발설을 통해 순선한 본성이 우리에게 내재해 있고 그 본성 이 心의 핵심이자 도덕적 의식과 행동을 발생시키는 원동력임을 제시한 다. 그러면서 도덕 주체 확립을 인성함양의 토대로 삼고 ‘리’와 ‘사단’에 기반을 둔 도덕 행위의 완성을 추구한다. 하지만 인성 함양의 실제에 있 어서 퇴계는 기질의 문제에 집중한다. 이에 따라 퇴계는 인성함양의 체 계를 ‘거경’을 중심으로 제시하면서 動時와 靜時를 포괄하는 인성함양 방법을 수립하였다. 또한 거경에 입각한 구체적 인성함양의 실천 방법으 로 ‘灑掃應對’와 ‘靜坐’를 제시하고 있다. 율곡은 본성 회복의 역할을 氣에 부여하고 기질의 변화를 통해 인성 을 함양하고자 하였다. 율곡은 도덕 행위 발출 機制를 ‘氣發理乘→情→ 意→행위’의 단일 경로로 제시하는 한 편, 기질변화에 있어 情에서 意로 이어지는 부분에 집중하여 意의 참됨을 추구하였다. 이에 따라 인성함양 의 핵심을 ‘리의 지각과 誠意’에 두고 理를 근거로 변화된 순선한 心意 를 도덕 행위의 동기로 삼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인성 함양의 실제에 있어 立志와 讀書를 강조하였다. 리발설을 중심으로 하는 퇴계의 인성함양론과 기질변화론을 중심으로 하는 율곡의 인성함양론은 매우 이질적인 것으로 비춰지기 쉬우나 양자 모두 인성함양의 실제를 氣상에서 추구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퇴계의 거경과 율곡의 誠意모두 체화된 자기 주재력을 의미하고 이를 통해 ‘기’ 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주희 ‘미발함양’의 교육과정적 함의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道德敎育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natur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light of Chu Hsi’s ‘immersive nourishing before the activation of mind’(未發涵養). As is generally known,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is composed of ‘investigation of Principle’(窮理) and ‘immersive nourishing’(涵養). When we consider the nature of two kinds of self-cultivation, ‘investigation of Principle’ is connected with school subjects, and ‘immersive nourishing’ wi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Immersive nourishing before the activation of mind’ appeared in the last period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continued to his death. The reason wh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immersive nourishing before the activation of mind’ is that it can be considered as a prototype of ‘immersive nourishing’ which is realized by way of ‘activities’. The ‘prototype’ in this context means that ‘mind­mastering’(敬) is prominent in ‘immersive nourishing before the activation of mind’, and therefore ‘immersive nourishing before the activation of mind’ can be regarded as a criterion of ‘immersive nourishing’. The suggestion of ‘immersive nourishing before the activation of mind’ to the natur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s almost evident. It is tha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different from school subjects in nature, and that to realize the intrinsic aim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mind­mastering’ concomitant with activity than ‘activity itself’. 본 연구의 목적은 주희의 미발함양 개념에 비추어 특별활동(‘교과 외 활동’)의 성격을 재검토하는 데에 있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주희의 공부론은 궁리와 함양의 두 축으로 요약될 수 있다. 궁리와 함양은, 공부의 성격상, 오늘날의 교육에서 ‘교과’와 ‘교과 외 활동’에 각각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다. 미발함양은 주희 공부론의 최종 시기에 제시된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 특히 이 개념에 주목하는 이유는, 미발함양은 ‘활동’을 통한 심성함양의 ‘원형’을 보여준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원형’이라고 말한 것은, ‘敬’은 모든 함양공부에 요구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미발함양에서 두드러지며, 따라서 미발함양은 함양공부의 기준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미발함양이 오늘날 ‘교과 외 활동’의 성격과 관련하여 주는 시사는 비교적 분명하다. ‘교과 외 활동’은 교과시간 이외에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이 아니라 ‘성격상’ 교과와 구분되는 교육활동이라는 것, 그리고 그 활동이 교육목적으로서의 심성의 확충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활동 그 자체’보다 활동에 수반되는 ‘경(敬)의 마음가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 KCI등재

        주희 공부론의 구조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3 No.2

        'Mind-Cultivation'(涵養)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窮理) are the key concepts which consist of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When we consider Chu Hsi's way of thinking, which attaches importance to 'Investigation of Principle', it seems to be natural that 'Mind-Cultiv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other side of 'Investigation of Principle'. If this interpretation is accepted, it is inevitable that 'Mind-Cultivation' can not be considered as a separate activity from 'Investigation of Principle' and that self-cultivation doesn't have additional channel except 'Investigation of Principle'. But in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Mind-Cultivation' can be interpreted as 'activity' which is different from 'Investigation of Principle'. The possibility of this interpretation is already expected when we come into contact with Chu Hsi's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Honoring the moral nature'(尊德性) and 'Following the path of study and inquiry'(道問學), corresponding to the relation between 'Mind-Cultivation'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 'Mind-Cultivation' is a channel for self-cultivation in itself as well as the purpose of self-cultivation, so it works in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and incites students to come near a sage. Chu Hsi thinks that 'Investigation of Principle' is the core of self-cultivation, but he says that 'Mind-Cultivation' is important, none the less. After all Chu Hsi thinks that 'Mind-Cultivation' is the purpose of self-cultivation on which 'Investigation of Principle' and 'Mind-Cultivation' converge in the end. 함양(涵養)과 궁리(窮理)는 주희의 공부론을 이루는 핵심 개념이다. 궁리를 중시하는 주희의 체계에 주목할 때, 함양이 궁리의 이면이라는 해석은 일견 자연스럽다. 이 해석에 따르면, 함양은 궁리 이외의 별개의 활동으로 이해될 수 없으며, 나아가 함양은 궁리를 통하지 않으면 확보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주희의 공부론에서 함양은 활동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공부는 궁리와는 다른 경로, 즉 활동을 통한 함양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점은 함양과 궁리의 관련에 상응하는 존덕성(尊德性)과 도문학(道問學)의 관련 방식을 해석하는 데에서도 시사 받을 수 있다. 함양은 공부의 목적이자 그 자체가 공부로서, 그것은 공부의 과정에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공부에 임하는 사람을 공부의 최종상태에 다가갈 수 있게 한다. 주희가 공부에서 궁리의 중추적인 역할을 인정하면서도 함양을 부각시킨 것은, 활동으로서의 궁리와 함양은 공부의 최종목적으로서의 함양에 수렴되어야 할 것을 강조한 것이다.

      • KCI등재

        『소학』의 구성내용으로 본 주자의 소학론

        진원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7

        주자는 『小學』에서 세 가지 측면에서 자신의 소학론을 구현하였다. 첫째, 주자는 구체적인 일을 통해서 인륜을 수행하여 본원을 자연스럽게 함양시키는 방식으로 『小學』의 함양공부를 구성하였다. 곧 일용함양론을 중시하는 입장이었다. 둘째, 주자는 『小學』에 아동이 해야 할 일 뿐 아니라, 大人의 일을 편입하여 연령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평생 동안 수행해야 하는 함양공부의 지침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주자는 『小學』 안에 心性論의 일반적인 이론과 倫行의 綱常에 대한 義理를 수록함으로써, 함양공부가 궁리공부와 늘 병진되어야 한다는 학문론을 관철하였다. 『小學』이 大人의 일과 궁리의 내용, 그리고 「가언」과 「선행」에서 三代이후의 사례를 수록하는 점은 후대에 쟁론의 단서가 되며, 후대에 『小學』이 새로운 형태로 편정되는 주요한 이유가 되고 있다. 『小學』은 구성내용으로 볼 때, 동몽서이면서 어린이나 成人이나 평생 동안 궁리공부와 함께 수행해야 하는 함양서의 위상도 동시에 갖고 있다. 『小學』은 학습을 시작하는 시기로 보면 동몽서이지만, 함양과 궁리의 병행이라는 학문론에서 보면 궁리에 중점이 주어진 『근사록』과 더불어, 일용함양을 통한 修身의 大法을 담은 보편적인 수양서가 된다. 朱子在《小學》一書中從三個層面構建了其小學論。第一, 通過具體的事來實踐人倫, 以達到對人性本源的涵養。即, 表明了其重視日用涵養的立場。第二, 書中編入了成人之事, 這使得《小學》成為人一生都要踐行的涵養功夫指南。第三, 《小學》中編入了心性論的普遍理論及倫行綱常相關的義理, 這貫穿了朱子涵養與窮理並進的學問宗旨。從《小學》的構成內容來看, 它既是童蒙書, 又是人一生中與窮理功夫相行並進、共同修養的、關於涵養的用書。從開始學習的時期來看, 《小學》是一本童蒙書。但是從涵養與窮理並進的學術理論來看, 與《近思錄》一樣, 《小學》是包含了日用涵養之修身大法的一般性的修養書。

      • KCI등재

        朱子 哲學에서 未發 涵養의 문제

        홍성민(Hong Seong-Mean)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4 No.-

        본 연구의 목적은 ‘未發涵養’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를 해명하고, 그를 통해 朱子의 末發涵養論을 올바르게 이해해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미발함양의 실천과 목적에 대해 제기되는 3가지 문제를 고찰하였다. 미발함양의 실천에 관해: (1) 미발함양은 일체의 의식 활동을 정지시키는 靜寂主義의 공부인가? (2) 미발 때에 어떻게 함양이라는 공부가 가능한가? 미발함양의 목적에 관해: (3) 미발함양은 마음의 절대적 평안이나 고도의 정신적 境地를 획득하기 위한 훈련인가? 아니면 도덕성을 길러내는 훈련인가? 본 연구의 해답은 다음과 같다. (1) 미발함양은 의식을 없애는 공부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도래하는 미발 때에 敬으로 본원을 함양하는 것이다. (2) 미발함양은 미발 때에 함양을 시작하는 게 아니라 평소에 莊敬하게 함양하는 자세로 이루어지는 일상의 공부이다. (3) 미발함양은 마음의 평안이나 정신적 경지를 획득하기 위한 공부가 아니다. 마음은 도덕 본성을 현실화하는 도덕적 기관이므로, 마음의 미발 때에는 도덕성으로 충만해 있다. 미발함양은 바로 미발 때에 보존된 그 도덕의 본원을 함양하는 것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ddress several currently ambiguous issues regarding the ‘WeiFaHanYang(未發涵養, Moral cultivation of the unaroused state)’, and in the process strive toward a more clear and proper understanding of Zhu-Xi’s theory of WeiFaHanYang. There are several three main points of discussion in the theory of cultivating the unaroused state. Regarding practice of WeiFaHanYang: (1) Is the WeiFaHanYang the quietism, which is a method of cultivation where all conscious activity is stopped? (2) How, when mind is not aroused yet, there can be moral cultivation?; and regarding its purpose: (3) Is the WeiFaHanYang a method to attain the state of absolute calmness, a higher state of consciousness, or is it a method to cultivate morality?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WeiFaHanYang is not a method to stop the activity of the mind. Rather, it is a method of cultivating moral fount by means of ling (敬) when mind is not aroused. (2) The WeiFaHanYang is not a method of cultivation which is to be begun at the point of WeiFa. It is, on the contrary, a moral cultivation of daily life which is to be done with solemn attitude. (3) The WeiFaHanYang is not a way to attain inner peace or a higher state of consciousness; the mind is an moral organ which actualizes the moral font that is originally inside us. Thus the mind is filled with morality awhen it is not aroused. The WeiFaHanYang is precisely this cultivation of the original moral foundation. It is, in a nutshell, moral training.

      • 아동·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국제비교 및 지원체계 개발 연구(Ⅲ)

        오해섭,박정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국제비교 및 지원체계 개발’에 관하여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소속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과 한국교육개발원이 3개년 연속 협동연구 사업으로 추진하였다. 2011년 1차 년도에는 2009년 ICCS 조사결과에 관한 기술통계 분석 및 한국 청소년의 민주시민 역량에 대한 전국 단위의 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2012년 2차 년도에는 ICCS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변인 간 상관관계와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2차 결과분석 및 인지-행동영역의 변인 간 영향관계를 파악함과 동시에 2009년 조사결과와의 시계열적인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2013년 3차 년도에는 아시아지역 설문지(ICCS 2009)를 이용하여 전국 중?고등학생 6,05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민주시민역량 실태조사’를 통해 민주시민역량 수준 및 국제비교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민주시민역량 함양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방안을 정책분야와 교육 분야 지원체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 중 아동?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함양 지원체계 구축(정책분야)을 위한 연구 내용과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민주시민역량의 개념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민주시민역량 함양을 위한 실태 및 해결과제, 그리고 국내외 민주시민역량 교육 실태와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둘째, 아동?청소년 민주시민 역량수준과 지원체계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해 아동청소년 민주시민역량 함양을 위한 정책개발팀을 구성하여, 지속적인 연구진 회의와 세미나, 그리고 워크숍 등을 통해 영역별 지원체제 구축방안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개발 영역은 ①지원체계 구축의 시의성 논의 ②지원체계 모형 설계, ③아동?청소년활동과의 연계방안, ④사회적 지원네트워크 구축 방안, ⑤다문화시대 민주시민역량 함양의 방향과 과제, ⑥아동?청소년 시민역량 함양 교육프로그램 개발, ⑦시민역량 관련 법?제도 정비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정책 제언에서는 ‘아동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함양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과 핵심적인 해결과제 8개 분야,「(가칭)아동청소년 민주시민역량 지원센터」구축과 운영 방안, 지역단위「아동청소년민주시민양성센터」운영 모델, 아동청소년 정책결정 및 사회활동 참여기회 확대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three-year joint research project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under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bout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ivic Competency of Children and Youth and the Development of Support Systems. In the 1st year in 2011, technical statistics were analyzed and the actual conditions on civic competency of Korean youth were studied across the nation according to the ICCS research result in 2009. In the 2nd year in 2012, with the use of ICCS study data, the 2nd result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nd impact relation between factors and the impact relation between factors in the cognition - behavior area was identified. At the same time, time series comparison analysis with the research result in 2009 was mad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n the 3rd year in 2013, the result of the level of civic competency and its international comparison through the survey for Asian region (ICCS 2009), titled ‘The Actual Condition of Civic Competency of Youth, which was conducted targeting 6,05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ross the nation, was show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upport system for children and youth to build up their civic competency by dividing into political and educational fields. Among them, the research description and method for establishing the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the civic competency of children and youth (in political field)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ivic competency, the actual condition and resolutions for building civic competency in Korea, and the education status and program conditions of civic competency home and abroad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the status of the capacity of civic competency of children and youth and its support system were analyzed, and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above was proposed. To achieve the research target, this study developed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upport system for each area by organizing a policy development team to build up civic competency of children and youth and hold meetings, seminars, and workshop among researchers continuously. Detailed development areas such as ① the discussion of timeliness of constructing a support system, ② the design of a support system model, ③ the method of linking with activities of children and youth, ④ the method of building a social support network, ⑤ the direction and project of the capacity of civic competency in multicultural era, ⑥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youth to have civic competency, and ⑦ the method of organizing laws and systems for civic competency were suggested. Politically, the basic direction for building a support system for children and youth to improve their civic competency,’ the eight fields of key resolution projects, the construction of 「(tentative name) Support Center for Civic Competency of Children and Youth」 and its operation, the operation model of 「Center for Nurturing Civic Competency of Children and Youth」 on a regional basis, and the method of increasing an opportunity for children and youth to make a political decision and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were suggested.

      • 강변여과방식 관정형 인공함양 최적 배치

        이병선 ( Byung Sun Lee ),명우호 ( Wooho Myoung ),송성호 ( Sung-ho Song ),이규상 ( Gyu-sang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강변여과수는 하천 둑 인접 지역에 지하수 관정을 설치하고 양수기를 가동하여, 하천주변 모래 여과층을 통과 후 부유물질이 제거된 지표수를 간접 취수하는 방법이다. 인공함양은 물 부족 지역에 함양지(함양설비)를 조성하여 강수의 대수층 유입을 최대화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강수량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강수의 인공함양을 통한 상시 지하수 수량 확보는 어려운 형편이기 때문에, 강변여과수를 물 부족 지역의 대수층에 인공함양 시키는 방법이 국내 대수층 환경에 유리한 기술로 분류된다. 강변여과수를 이용한 인공함양 기술 적용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점은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특성(투수성, 저류성 등 부존특성, 지하수 유동과 관련된 대수층 이방성) 분석으로, 이를 기반으로 주입수 저장과 대수층 조건 변화에 따른 최적의 주입방법과 함께 주입공 구경, 심도, 배열 등을 결정해야 한다. 이 연구는 OO지구 충적대수층에 강변여과수를 이용한 인공함양 실증시험 시설을 설치하고 최적 주입량(100 ㎥/day)으로 자연구배 주입시험을 실시하여 수리지질학적 특성(수리전도도 1.5×10<sup>-3</sup>-2.4×10<sup>-2</sup>cm/sec, 저류계수 0.07-0.10), 불균질성과 이방성(비율 1.25 : 1)을 분석하였다. 10일 이상 주입시험을 실시한 결과, 연구지역의 충적대수층은 우수한 완충능력(관측공의 지하수 수위 증가 약 35 cm 내외)을 보이며 주입된 강변여과수를 거의 동심원상으로 분산시키며 함양하였다. 향후 강변여과수를 이용한 인공함양 본 사업 시행 시에는, 주입효율 증대를 위해 패커를 이용한 압력식 주입방법의 적용, 주입 구경 확장, 주입공 주변 투수성 물질 채움 등을 추가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방성 비율 1.25 : 1은 면적이 적은 영역에서는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주입수의 분산이 유사할 것이나, 이러한 이방성이 시설농업단지 전반에 걸쳐 x-y축 방향으로 길게 확장된다면 이방성 비율 1.25 : 1은 주입수의 분산과 이를 기반으로 한 물 수급에 있어 차이를 유발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OO지구 인공함양 시설 실시설계 시에는, 기 조사된 시설재배 비닐하우스의 작물별·계절별 물수요량, 관정 밀도, 각종 물 관련 민원과 더불어, 대수층의 이방성에 대한 정보와 이방성 타원체의 축 방향(71°)을 고려하여 인공함양 시설 주입공의 위치, 간격, 배열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주자 함양론(涵養論) 초탐(初探)

        등경평 ( Qing-ping De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7

        함양(涵養)은 주자학(朱子學)의 중요한 수양공부이다. 함양의 구체적인과정은 감지(感知)와 언어 활동을 포함한 일상적 도덕실천 활동이며, 또‘일들 속의 함양[事上涵養]’이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이 주자 함양론의 중심이자 특색이다. 함양 공부를 잘 해내면 한편으로는 주경(主敬)의 심리상태를 구현해낼 수 있는데 이 상태를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 또 성현의 인격적 특징을 성취해낼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천리(天理)로부터 기원한 내재적인 덕성을 성취할 수 있다. 개체의 도덕생명의 성장과 유학의 사회적 존립에 대해 주자의 함양론은 근본을 바로잡고 근원을 맑게 하는 가치를 가진다. self-cultivation theory is the important part of Zhuzi’s theory.The concrete way of Self.cultivation is the daily moral practice, including perception, language activities, and it can be referred to as Self.cultivation in practice, which is the focus and characteristics of Zhu Xi``s Self.cultivation theory. If self.cultivation’s efforts do s good job, one psychological state of respect which will become the sai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an be achieved,; on the other hand, the inherent virtue which come from heaven principles can be achieved. whether it is for the growth of individual moral life or for the maintain the Confucian social existence, Zhuzi’s self.cultivation theory has the fundamental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