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曹魏 전쟁과 韓 사회의 재편

        김남중(Kim, Nam-ju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1 한국고대사탐구 Vol.37 No.-

        이 글은 정시 연간(240~249) 조위와 전쟁의 배경과 결과, 전후 이루어진 한 사회의 재편을 다루었다. 기리영 전쟁은 진한 8국과 관련하여 조위와 한 사이에 말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이때 언쟁의 핵심은 한을 바라보는 조위의 입장과 한 자신들의 입장 차이에 있었다. 조위는 낙랑군과 교류했던 영남의 진한 즉 주변부 세력의 입장에서 한을 인식하였던 것이다. 이를 신분고국 등 목지국 진왕 측 세력은 진왕의 권위 무시와 한의 분열 획책으로 간주하고 분노하였다. 목지국 진왕은 낙랑군과 직접 교류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에 대한 이들의 인식이 중국 측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던 것이다. 결국 이를 직접 들은 신분고국이 전쟁을 일으켰고 목지국 진왕을 지지하는 세력이 여기에 참여하였다. 『삼국지』에는 한을 멸하였다고 표현하였지만 실제 조위는 한으로부터 어떠한 배상도 얻어내지 못하였다. 이는 전쟁 후에도 한이 조위에 위협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이에 조위는 고구려와 전쟁에서 큰 공을 세운 왕기를 대방태수로 임명하여 한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왕기와 대방군 관리들은 對韓 정책에서 특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에 한 지역은 조위에 위협이 되지도 않고 도움도 되지않음을 강조하는 보고서를 올려 상황을 마무리하려 했던 듯하다. 이런 점에서 『삼국지』 한전에 묘사된 마한 모습은 객관성이 약간 결여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방군에서 이러한 보고서를 올릴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 조위의 대한 정책이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전쟁으로 한 지역에서는 진왕 세력이 쇠퇴하고 백제가 성장하였다. 기리영 전쟁으로 목지국 진왕이 쇠퇴하면서 대방군에 가까운 지역에 있던 세력들이 조위의 침공을 두려워하여 백제를 선택한 것이다. 3세기 중엽 고이왕 무렵으로, 백제는 무력이 아닌 주변 세력의 지지를 통해 맹주가 된 것이다. 다만 중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던 세력들은 백제를 지지하지 않고 다른 선택을 하였다. 이로 인해 한은 백제, 신라, 가야 연맹, 마한 연맹 등 몇몇 세력이 대립하는 체제로 재편되었다. 호남의 일부 지역에 백제의 힘이 미치지 않았다는 점은 신미국 등의 활동,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벽골제 축조 기사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background and consequences of the war against caowei state in the zhengshi annual(240-249) and the reorganization of han society after the war. The battle of giriyeong took place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words between caowei and han regarding jinhan"s eight countries. At this time, the core of the argument was that the perspective of caowei on han was different from that of han themselves. Caowei recognized h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rrounding forces, namely jinhan in the yeongnam area, who had interacted with lelangjun. In response to this, shinbungo kingdom and other supporters of the jin king in mokgi were angry, considering it as a "disregard for the authority of the jin king and a plan for the division of han society." Jin king in mokgi did not interact directly with lelangjun, so their perception of han was not properly reflected in china. In the end, shinbungo kingdom, who heard this firsthand, started a war, and supporters of the jin king in mokgi participated in it. Although sanguozhi described han as "destroying", in reality caowei did not obtain any compensation from han. This shows that even after the war, han was a threat to caowei. In response, caowei appointed wangqi, who had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war against goguryeo, as the minister of daifang, to resolve the problems in han. However, wangqi and daifangjun officials did not achieve particular results in their countermeasures against han. So they seem to have tried to wrap things up by posting a report that emphasized that the han region was neither a threat nor a help to caowei. In this regard, the appearance of mahan society described in the sanguozhi han-zhuan is a little lacking in objectivity. It can also be inferred that the caowei policy on han has not been successful in that daifangjun had no choice but to publish such a report. The war led to the decline of the jin king forces in the han and the growth of baekje. As a result of the battle of giriyeong, jin king in mokgi declined, and forces near daifangjun chose baekje for fear of caowei invasion. In the mid-3rd century, during king goi"s reign, baekje became a lord through the support of neighboring forces, not by force. However, the forces that were far from china did not support baekje and made a different choices. As a result, han was reorganized into a system of confrontation between baekje, silla, gaya confederation, and mahan confederation. The fact that some parts of honam did not have the power of the baekje can be seen through a construction article on byeokgol reservoir in samguksagi sillabongi, and activities of shinmi kingdom.

      • KCI등재

        高句麗 東川王代 對중국 외교의 변천과 목적

        김효진(金孝珍)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2 No.-

        동천왕 시기 고구려는 압록강 하구의 西安平을 영유하고 있었다. 고구려는 수도 국내성 방어체계 확립과 해양으로 진출하기 위해서 이곳을 활용할 필요가 있었으며 그것을 위해서는 수군 발전이 절실하였다. 한편 공손연과의 북방외교에 실패한 손오는 요동에서 도망친 자국 사신의 고구려 逃亡을 계기로 고구려와 외교를 개시한다. 이 부분에서 동천왕의 對중국 외교 발단은 필연적 요소와 우연적 요소가 결합된 양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고구려는 손오의 우수한 수군력 습득을 위해서 접촉하였으며 손오는 말을 수입하기 위해 고구려로 사신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교류는 234년 손오가 조위에게 패배하면서 균열이 발생하였다. 조위의 수군이 활약하여 孫吳軍을 막았다는 사실은 고구려로 하여금 새로운 고민을 던져주게 하였다. 즉 손오와의 외교를 재개할 근본적 명분이 사라진 셈이었다. 결국 236년 고구려-손오의 외교는 파국을 맞이하였으며 고구려-조위의 외교가 전개되었다. 남방의 안정을 찾은 조위는 238년 동북방의 공손연 정벌을 계획하였으며 고구려도 군대를 파병하였다. 두 국가는 원활한 정벌을 수행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내막은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결국 공손연 멸망 이후 고구려-조위의 대결 구도로 이어졌다. 조위는 238년 낙랑·대방을 점거하였고 이때와 가까운 시점에 고구려의 서안평도 함락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전격적으로 이루어지던 조위의 압박이 요동남부 주민의 연이은 이주로 잠시 주춤해지자 동천왕은 242년 서안평을 공격하였다. 이 공격은 서안평을 기점으로 한 수군 양성이라는 초기 기조를 재확립하기 위함인 동시에 손오와의 외교 재개를 시도하기 위한 복안이었다. 이처럼 고구려와 조위의 갈등은 점점 심화되었으며 조위 유주자사 관구검의 침공이라는 결과로 번지게 되었다.

      • KCI등재

        高句麗-曹魏 전쟁의 국제적 배경과 특징

        김효진 ( Kim Hyo Jin ) 호남사학회 2024 역사학연구 Vol.93 No.-

        고구려-조위 전쟁은 242년 고구려의 서안평 공격이 직접 원인으로 되었다. 다만 조금 더 시야를 넓히면, 오환ㆍ선비 등 ‘胡族 세력’의 동향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胡族 세력은 주로 단독으로 後漢의 北邊을 공략했지만, 때로는 고구려와 연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고구려 역시 對後漢 관계를 정립하는데, 이들 세력의 동향을 주요 변수로써 바라보고 있었을 것이다.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胡族 세력은 고구려를 공격한 曹魏 幽州刺史 毌丘儉 군대에 가담하는 존재로 바뀌었다. 100년대 후반부터 胡族 세력은 내분으로 점차 쇠퇴했으며, 분산된 세력은 후한ㆍ조위로 내부하기도 하였다. 반대로 중국 왕조는 지방 사령관을 중심으로 적절한 공작 활동을 전개하여 그 혼란을 부추기고 있었다. 또한 蹋頓과 같이, 철저히 격파됨으로써 세력 자체가 사라져버리는 사례도 있었다. 中原 일대를 통일한 曹魏는 이들을 수습한 뒤 군대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고구려 공격에도 이들을 從軍시킨 것이었다. 관구검이 동천왕의 공격을 물리치는 데 구축한 ‘方陣’은 胡族 세력의 역할도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이들의 군대가 騎兵으로 활약한 것이다. 胡族 세력의 군대가 高句麗軍 격퇴에 활약했고, 공로를 인정받아 毌丘儉紀功碑에 ‘烏丸單于’가 그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고구려는 관구검의 공격을 격퇴하고, 내부 정비에 주력한 듯하다. 한편 終戰이후, 조위ㆍ서진의 東方 정책이 특별히 확인되지 않는 점은 특이하다고 생각된다. 그 빈자리는 慕容鮮卑가 채우게 되었다. 遼西ㆍ遼東 일대에 모용선비의 영향력은 확대됐으며, 고구려에 위협으로 다가오기 시작하였다. 즉 고구려-조위 전쟁은 두 세력은 물론, 胡族 세력의 동향에도 영향을 끼친 것이었다. 그동안 고구려는 後漢ㆍ曹魏ㆍ西晉 등 중국 왕조를 상대했는데, 전쟁 이후 모용선비로 그 대상이 바뀌게 된 것이다. 주지하듯이, 美川王ㆍ故國原王 시기 고구려는 모용선비와의 밀접한 관계를 전개하였다. 그 관계의 시초를 고구려-조위 전쟁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The Goguryeo-Cao Wei war was directly caused by Goguryeo's attack on Xianping in 242. However, if the view is expanded a little m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trends of 'Barbarian Forces' such as Wuhuan and Xianbei. The Barbarian Forces mainly targeted the northern periphery of the Hou Han alone, but sometimes appeared to be linked to Goguryeo. Goguryeo also established relations with Hou Han, and the trend of these forces would have been viewed as a major variable. As time passed, the Barbarian Forces changed into participants in the Guangiu Jian army that attacked Goguryeo. Since the late 100s, Barbarian Forces have gradually declined due to internal strife, and dispersed forces have also been internalized by Hou Han and Cao Wei. On the contrary, the Chinese dynasty was encouraging the confusion by conducting appropriate maneuvers centered on local commanders. There were also cases in which the power itself disappeared by being thoroughly destroyed, such as Ta-Tu(蹋頓). The Cao Wei, who had united the Central Districts, used them as an army after they were recovered. They were also recruited in the attack on Goguryeo. The role of Barbarian Force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 a square(方陣)' that Guangiu Jian built to defeat the attack of King Dongcheon. Their army served as cavalry. The Barbarian Forces' army played an active role in defeating the Goguryeo army, and in recognition of its contribution, 'Wuhuan Chanyu(烏丸單于)' was able to leave its name on the monument for Guanqiu Jian(毌丘儉紀功碑). Goguryeo seems to have repelled Guangiu Jian's attacks and focused on internal maintenance. On the other hand, it is unusual that the Eastern policies of Cao Wei and Xi Jin have not been particularly confirmed since the end of the war. The vacancy was filled by the MurongXianbei. The influence of MurongXianbei in the Liao-Xi and Liao-dong areas expanded, and it began to come as a threat to Goguryeo. In other words, the Goguryeo and Cao Wei wars affected the trends of Barbarian Forces, including the two countries. Until now, Goguryeo had dealt with Chinese dynasties such as Hou Han, Cao Wei, and Xi Jin, but after the war, the target was changed to MurongXianbei. As is well known, during the period of King Micheon and King Gogukwon, Goguryeo develop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onument. The beginning of the relationship can be found in the Goguryeo-Cao Wei War.

      • 한국 연안 조석의 예측 정확도와 극치 천문조위 산출

        김양오(Yaugoh Kim),김종규(Jongkyu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에서는 국립해양조사원 조위관측소 인천, 군산, 목포, 여수, 부산, 울산, 묵호 지역을 선정하여 최저천문조위(Lowest Astronomical Tide, LAT)와 최조전문조위(Highest Astronomical Tide, HAT)를 산출할 때 예측조위는 19년간(2001~2019) 자료를 1분 간격으로 예측하여 최저천문조위와 최조전문조위를 산출한다. 예측조위는 조화상수를 활용하여 예측하는데 이때 1년 조화분해를 실시한 조화상수와 19년 조화분해를 실시한 조화상수의 예측조위를 2020년 실측자료와 비교하여 각 년도 별 조화상수와 19년 조화상수의 상관관계와 배율을 비교하여 정확도를 산정한다. 자료는 19년배율(1년배율)로 표기하면 인천 1.00(0.98 ~ 1.01), 군산 1.00(0.97 ~ 1.01), 목포 1.02(1.01 ~ 1.06), 여수 1.00(0.98 ~ 1.03), 부산 1.03(0.98 ~ 1.12), 울산 1.11(1.04 ~ 1.32), 묵호 1.43(1.34 ~ 2.44) 배율로 나타났다. 인천, 군산, 목포, 여수, 부산은 19년 조화분해와 1년 조화분해의 배율차이는 작게 나타나며, 울산과 묵호는 19년 조화분해와 1년 조화분해의 배율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1년 조화분해 자료보다 19년 조화분해 자료가 더 높은 정확도를 보여 19년 조화상수를 사용하여 최저·최고 천문조위를 산출하였다. In this study, when calculating the LAT(Lowest Astronomical Tide) and HAT(Highest Astronomical Tide, HAT) by selecting the Incheon, Gunsan, Mokpo, Yeosu, Busan, Ulsan, and Mukho regions of the National Maritime Survey tide station, the predicted tide is estimated at 1 minute intervals for 19 years (2001~2019). Calculate the lowest astronomical tide and the highest special tide. The predicted tide is predicted by using the harmonic constant. At this time, the predicted tide of the harmonic constant after 1 year harmonic decomposition and the harmonic constant after 19 year harmonic decomposition is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in 2020,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harmonic constant for each year and the 19 year harmonic constant is compared. The accuracy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correlation and magnification. Data is written in 19 year magnification (1 year magnification), Incheon 1.00 (0.98 ~ 1.01), Gunsan 1.00 (0.97 ~ 1.01), Mokpo 1.02 (1.01 ~ 1.06), Yeosu 1.00 (0.98 ~ 1.03), Busan 1.03 (0.98 ~ 1.12), Ulsan 1.11 (1.04 ~ 1.32), Mukho 1.43 (1.34 ~ 2.44) magnification. In Incheon, Gunsan, Mokpo, Yeosu, and Busan, the difference in magnification between 19 year and 1 year harmonic decomposition was small, and in Ulsan and Mukho, the difference between 19 year and 1 year harmonic decomposition was large. The 19 year harmonic decomposition data showed higher accuracy than the 1 year harmonic decomposition data, so the lowest and highest astronomical tides were calculated using the 19-year harmonic constant.

      • KCI등재

        高句麗 東川王代 對중국 외교의 변천과 목적

        김효진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2 No.-

        . 동천왕 시기 고구려는 압록강 하구의 西安平을 영유하고 있었다. 고구려는 수도 국내성 방어체계 확립과 해양으로 진출하기 위해서 이곳을 활용할 필요가 있었으며 그것을 위해서는 수군 발전이 절실하였다. 한편 공손연과의 북방외교에 실패한 손오는 요동에서 도망친 자국 사신의 고구려 逃亡을 계기로고구려와 외교를 개시한다. 이 부분에서 동천왕의 對중국 외교 발단은 필연적 요소와 우연적 요소가결합된 양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고구려는 손오의 우수한 수군력 습득을 위해서 접촉하였으며 손오는 말을 수입하기 위해 고구려로사신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교류는 234년 손오가 조위에게 패배하면서 균열이 발생하였다. 조위의 수군이 활약하여 孫吳軍을 막았다는 사실은 고구려로 하여금 새로운 고민을 던져주게 하였다. 즉 손오와의 외교를 재개할 근본적 명분이 사라진 셈이었다. 결국 236년 고구려-손오의 외교는 파국을 맞이하였으며 고구려-조위의 외교가 전개되었다. 남방의 안정을 찾은 조위는 238년 동북방의 공손연 정벌을계획하였으며 고구려도 군대를 파병하였다. 두 국가는 원활한 정벌을 수행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내막은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결국 공손연 멸망 이후 고구려-조위의 대결 구도로 이어졌다. 조위는238년 낙랑·대방을 점거하였고 이때와 가까운 시점에 고구려의 서안평도 함락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전격적으로 이루어지던 조위의 압박이 요동남부 주민의 연이은 이주로 잠시 주춤해지자 동천왕은 242년 서안평을 공격하였다. 이 공격은 서안평을 기점으로 한 수군 양성이라는 초기 기조를 재확립하기 위함인 동시에 손오와의 외교 재개를 시도하기 위한 복안이었다. 이처럼 고구려와 조위의 갈등은 점점 심화되었으며 조위 유주자사 관구검의 침공이라는 결과로 번지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The Interchanges between Koguryŏ and Sun-Wu and “Under the Fruit Horse

        Park, Dae Jae(박대재)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8 No.1

        배송지(裵松之, 372-451)의 『삼국지주(三國志注)』에 인용된 『오서(吳書)』일문(逸文)에 의하면, 고구려(高句麗)와 손오(孫吳) 사이에 해상을 통한 교류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 기록은 다른 사서에서는 보이지 않은 것이다. 229년부터 손권(孫權)은 조위(曹魏)를 견제하기 위해 그 배후의 요동(遼東) 공손씨(公孫氏) 정권과의 정치적 연대를 모색하였다. 그러나 233년 공손씨 정권에 파견되었던 손오의 사신단은 공손씨 정권의 배신과 감금을 피해 달아나다가 우연히 고구려에 도착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고구려와 손오 사이의 정치적 교섭이 시작되게 된다. 손오는 조위에 맞서기 위해 고구려를 새로운 전략적 연합 상대로 선택하였으며, 두 나라의 정치적 관계는 236년까지 지속되었다. 양마(良馬)가 생산되지 않던 강남지역의 손오는 조위의 기마 군대에 맞서기 위해 군마(軍馬)가 필요했으며, 이것이 손오가 고구려에 전략적으로 접근한 중요한 목적 중에 하나였다. 고구려의 말은 그 복속지역인 동예(東濊)의 과하마(果下馬)와 같은 키가 작아 과일나무 밑을 지나갈 수 있는 말이었다. 그러나 과하마에 대한 역사 기록에 의하면, 이들은 작지만 강하고 빠른 말들로써 군마로서의 능력을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235년 손오의 사신인 사굉(謝宏)이 고구려로부터 가져간 80마리의 말들도 이와 같은 과하마였을 것이다. 고구려와 손오의 교류가 조위의 간섭에 의해 236년에 단절되었지만, 242년 고구려가 다시 압록강 하류의 서안평(西安平)을 차지하게 되면서 손오와 해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이러한 손오와 고구려 사이의 교류 재개 가능성 때문에 조위는 244년에 관구검(?丘儉)의 군대를 보내 고구려를 침공하였다. 즉 244-246년 조위가 고구려를 대규모로 침공했던 것은 조위의 주적이었던 손오와 고구려 사이의 연결을 끊고, 고구려의 군마가 강남지역의 손오에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하기 위한 전략적 군사행동이었다. According to the annotations of Sanguo zhizhu (三國志注) written by Pei Songzhi (372-451), there were exchanges between Kogury? and Sun-Wu through a sea route, a record originally from Wushu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historical documents. From 229 A.D., Sun Quan of Wu attempted a diplomatic approach to the Gongsun family faction in Liaodong to counterbalance Cao-Wei. Yet Sun-Wu’s diplomats sent to Liaodong, hearing the news of Gongsun faction’s betrayal, changed their course and accidently arrived at Kogury? in 233. This was a starting point from which Kogury? and Sun-Wu began political exchanges. Then Sun-Wu chose Kogury? as a diversionary power against Cao-Wei, and this strategic relation was maintained until 236. One of the reasons that Sun-Wu, which hardly had any satisfactory horses, actively implemented this exchange was to import war-horses from Kogury? and fight against Cao-Wei’s cavalry. “Under the Fruit Horses”-diminutive horses on which one could ride under the branches of a fruit tree-were one of regional products from Kogury? and its territories such as Dongye. However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 these horses were small but strong and fast, and seemed to have a practicality as war-horses. Assuredly, in 235 the eighty horses of Kogury? that Sun-Wu’s envoy, Xie Hong, took to Sun-Wu were these “Under the Fruit Horses.” Although Sun-Wu and Kogury?’ exchanges were severed by Cao-Wei’s interference in 236, in 242 Kogury? captured Xi’anping at the lower Yalu River and again opened up the possibility for an exchange with Sun-Wu through a sea route. This provoked Cao-Wei to launch a military expedition led by Guanqiu Jian (?丘儉) in 244. Thus, Cao-Wei’s full-scale invasion of Kogury? from 244 to 246 was closely linked to the strategic purpose to disconnect Kogury?’s ties with Sun-Wu, a mortal enemy of Cao-Wei, and halt their importation of war-horses into the southern region of the Yangzi River and to Sun-Wu.

      • KCI등재

        마루높이 設定 基準을 위한 기대월파확률 추정 Scenario

        권혁민(kweon Hyuck Min),김건오(Kim Gun Oh)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9 No.4B

        조위발생빈도분포가 상이한 우리나라 해역에 위치한 해안구조물의 마루높이를 설정하는 문제에 있어서 조위의 합리적인 취급이 중요하다. 권혁민 등(2005, 2006)은 해역별 기대월파확률 계산결과로서 조위발생빈도분포의 편차가 크면 클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명백함을 보였다. 이는 년 단위 조위의 발생빈도분포가 년 최대파고 급의 파 발생빈도분포와 년 중 언제든 조우할 수 있다는 가정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와 조위의 조우 가능성을 년 최대 파급의 파가 발생할 수 있는 여름철 또는 겨울철을 대상으로 계절별 일 최대 조위발생빈도분포를 불확정요소로 취급하여 계산했다. 계산결과, 우리나라 전 해역의 기대월파확률이 1%미만으로 수렴됨이 확인되어 이를 시나리오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시나리오에 의하면 기대월파확률이 동일하도록 마루높이의 설정이 우리나라 전 해역을 대상으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마루높이는 전 해역에 대하여 계절별 일 최대조위의 평균값으로부터 설정이 기능한 것으로 추정된다. The importance of resonable treatment of tide characteristics has been shown by Kweon, et al. (2005, 2006) for the crest elevation estimation because of a big difference of tidal elevation along Korean coast. For the procedure of crest elevation design, the expected overtopping probability (EOP) was estimated by Kweon, et al. (2006). The comparisons on each sea showed that EOP was lower east, south and west sea in order. The results involved the assumption that the tide and design level wave height meet any time in a year. However, big waves mainly occur in summer or winter in Korean coast, the study focuses on the encounter probability of big waves and seasonal tide level. A theory of the encounter probability is not derived by the present study but it shows reasonable acceptability of the proposed scenario in which the expected overtopping probability could be an index for the crest elevation estimation in Korean coast. The calculation based on the scenario gives the possibility range for the crest elevation estimation which has no tendency of each sea along Korean peninsular. The range is within the expected overtopping probability of 1% in the whole coast of Korea.

      • KCI등재

        황해연안의 2013년 11월 이상조위편차 발생 원인

        김호균,김영택,이동환,Kim, Ho-Kyun,Kim, Young Taeg,Lee, Dong Hwa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2 No.4

        황해연안 조위관측소 10 개 지점에서 2013년 11월 24일 밤부터 25일 오전까지 관측한 해수면, 해면기압, 바람, 유동 자료뿐만 아니라 일기도를 분석하여 이상조위편차의 발생 원인과 관측자료들 간의 상호상관성을 알아보았다. 이상조위편차란 최대조위편차와 최소조위편차가 나타나는 시간동안 두 편차간의 차를 의미한다. 영종도의 최대조위편차는 111 cm, 최소조위편차는 -65 cm로, 4시간 1분 동안 176 cm의 이상조위편차를 보여 10개 조위관측소 가운데 가장 크다. 반면 모슬포의 이상조위편차는 8시간 52분 동안 약 68 cm로 가장 작다. 이 같은 이상조위편차는 기압점프에 의한 기상해일이 아니라 저기압에 의한 기압배치의 영향으로 바람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지점에서 이상조위편차에 의한 흐름은 연평균 낙조류 세기의 16 ~ 41 %로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다. 조위편차, 바람, 조류잔차의 상호상관관계로부터 저기압의 중심이 한반도 서쪽에 가까이 위치해 있을 때 인천에서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북향류가 해수면을 상승시켰고, 한반도 통과 후 북풍계열의 바람에 의해 남향류가 해수면을 하강시켰다. The cause of abnormal tidal residuals was examined by analyzing sea levels, sea surface atmospheric pressures, winds at ten tide stations, and current, measured at the coast of the Yellow Sea from the night of November $24^{th}$ to the morning of the $25^{th}$ in 2013, along with weather chart. Additionally, the cross-correlations among the measured data were also examined. The 'abnormal tidal residuals' mentioned in this study refer to differences between maximum and minium tidal residuals. The largest abnormal tidal residual was identified to be a difference of 176 cm occurring over 4 hours and 1 minute at YeongJongDo (YJD) with a maximum tidal residual of 111 cm and minimum of -65 cm. The smallest abnormal tidal residual was 68 cm at MoSeulPo (MSP) during 8 hours 52 minutes. The cause of these abnormal tidal residuals was not a meteo-tsunami generated by an atmospheric pressure jump but wind generated by the pressure patterns. The flow speed due to these abnormal tidal residuals as measured at ten tide stations was not negligible, representing 16 ~ 41 % of the annual average ebb current speed. From the cross correlation among the tidal residuals, winds, and tidal residual currents, we learned the northern flow, due to southerly winds, raised the sea level at Incheon when a low pressure center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passing the Korean Peninsula, a southern flow due to northerly winds decreased the sea level.

      • KCI등재

        관측치를 이용한 적응적 조위 예측 방법

        박상현(Sang Hyun Park)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5

        기후변화 등으로 해안 침수 등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해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수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조위 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조위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조위 예측 모델은 장기적인 예보를 위한 것으로 많은 데이터와 복잡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반면,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조위 센서에 탑재되어 동작할 수 있는 간단하지만 정확한 알고리즘으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시간 또는 두 시간의 비교적 짧은 시간 후의 조위를 예측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간단하지만 정확하게 조위를 예측하는 것을 보여준다. Climate changes consistently cause coastal accidents such as coastal flooding, so the studies on monitoring the marine environments are progressing to prevent and reduce the damage from coastal accid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o estimate the sea level which can be applied to the tidal sensors to monitor the variation of sea level. Existing sea level models are very complicated and need a lot of tidal data, so they are not proper for tidal sensors. On the other hand,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y simple but precise since we use the measured data from the sensor to estimate the sea level value in short period such as one or two hours. It is shown by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imple but predicts the sea level accurately.

      • KCI등재

        매계 조위의 피화ㆍ복권과 역사적 평가

        이남옥 ( Yi¸ Nam-o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8

        본고는 사화에 희생된 조위의 피화와 복권 과정 그리고 그에 대한 역사적 평가에 대해서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어려서부터 매부인 김종직과 당백부인 조계문에게 수학한 조위는 1472년에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입격하고, 1472년에 문과에 급제했다. 이후 사헌부 지평ㆍ홍문관 교리ㆍ충청도 관찰사ㆍ도승지 등을 역임하였고, 시문에 능해 성종의 총애를 받았다. 연산군 즉위 후에도 한성부 우윤ㆍ성균관 대사성ㆍ오위도 총부 부총관 등에 제수되고, 1498년에는 성절사로 명나라를 다녀오기도 했다. 하지만 조위가 명나라에 성절사로 간 그때 조선에서는 무오사화가 일어났고, 그는 귀국과 함께 잡혀와 국문을 받고 유배가게 되었다. 그가 김종직의 처남이자 문인이며 김종직의 문집을 편집했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리고 1503년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그는 성종 대를 대표하는 문장가로 인정받았으며, 어버이를 봉양하기 위해 외직을 청한 일로 忠孝兼全의 인물로 평가 받았다. 또한 연산군 대폭정에 항거한 명현으로 추앙받았다. 이러한 평가로 인하여 김천의 경렴서원과 황간의 송계서원에 배향되었으며, 文莊이란 시호를 받게 되었다. 그리고 그의 5세손 조유, 6세손 조세붕, 8세손 조문검은 명현의 후손이란 이유로 증직되거나 관직을 제수받았다. 이는 조위를 충효겸전한 인물로 조정에서 현창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explore historical evaluation of Jo Wi(曺偉) who was victimized by the massacres of Confucian scholars. From an early age, Jo Wi took lectures from Kim Jongjik and Jo Gyemun. He passed the entrance exam in 1472 and the bureaucratic exam in 1472. After that, he served as the Saheonbu Jipyeong, Hongmungwan Gyori, Chungcheong Province, and the chief of the king’s secretary. He was also good at writing and was favored by Seongjong(成宗). Even after the enthronement of Yeonsangun(燕山君), he served as Hanseongbu Wooyun, Sungkyunkwan Daesaseong, and Owidochongbu Buchonggwan. In 1498, he also visited the Ming Dynasty as a representative of the envoys. But then, the massacres of Confucian scholars happened. Upon returning Josoen(朝鮮), he was arrested, interrogated, and sent to exile. It was because he was Kim Jongjik's brother-in-law and disciple, and he edited the collection of Kim Jongjik's works. And then He died in exile in 1503. He was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Seongjong's generation, and was evaluated as A person who was good at both loyalty and filial piety for requesting to work as a local official to provide for his parents. He was also revered as a great person who resisted the tyranny of Yeonsangun. Due to these evaluations, after his death, he held ancestral rites at the Gyeongryeom Seowon in Gimcheon and Songgye Seowon in Hwanggan, and was given the title of Munjang(文莊) by the Dynasty. And Jo wi’s 5th-generation grandson Jo Yu(曺逾), 6th-generation grandson Jo Syebung(曺世鵬), and 8th-generation grandson Jo Mungeom(曺文檢) became officials or promoted because they were descendants of great person. This was possible because Jo wi was highly regarded by the dynasty as A person who was good at both loyalty and filial p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