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단부중절(四端不中節) 논변으로 본 퇴계(退溪) 리발설(理發說)의 의미

        강보승 ( Kang Bo Se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1

        고봉은 리가 발하여 기의 방해를 받으면 사단도 중절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함으로써 리발이 반드시 순선한 감정과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퇴계는 리가 발한 사단의 순선함을 강조하면서 기질에 좌우되는 일반감정을 천리에서 유래한 도덕감정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고봉은 다시 성인이 아닌 이상 사단의 중절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주자도 사단부중절을 언급하였다고 반박한다. 퇴계는 `부중절은 기질 때문이지 순선한 사단이 왜곡되거나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는 취지의 반론을 작성했으나 고봉에게 전달하지 않았고 고봉도 이 문제를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았다. 퇴계는 만년에 『성학십도』 등에서 사단의 순선함을 여전히 자신의 기본 입장으로 천명하면서도 기의 엄폐로 인한 사단부중절 현상도 인정함으로써 절충적 의견을 내놓았다. 그러나 사단이 기의 간섭으로 부중절할수 있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형이하의 영역에 한해서이다. 퇴계가 고봉의 주장을 일부 수용한 것처럼 보이나 본원의 측면에서는 여전히 리가 발한사단의 순선함을 견지하였다. 퇴계는 현실적 차원에서 리가 발하여 부중절할 가능성을 인정하였고 그 부중절을 막을 방안을 강구하였다. 곧 본성의 순선함을 인식함으로써 자신이 도덕적 주체라는 강한 믿음을 확보하고, 아울러 부단한 공부를 통해 그 리를 도덕행위로 완성하는 능력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이것은 주체성과 실천성 부족이라는 주자학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고, 나아가기의 간섭에 주목하기보다는 리를 공부 대상으로 삼아 완전히 장악하고자 하는 양명학에 대응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런데 퇴계가 리발을 `리의 능동성`으로 주목하고 이를 통해 본성의 온전한 발현이 가능함을 강조하였다는 연구들이 있다. 그러나 퇴계의 `리발`은 도덕행위의 동기를 뜻하는 것이지 리발만으로 도덕행위가 완성된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리의 능동성`에 주목하여 리발을 도덕행위 성립의 충분조건으로 간주하는 견해들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퇴계가 리발이라는 테제를 통해 강조한 것은 본성의 적극적 인식을 통한 도덕 주체의 확립과 기의 간섭을 극복하여 리가 발한 순선한 감정을 온전히 실현하는 것이었다. Kobong Ki Daeseung asserted that if Ki is interrupted after Li was revealed, Four Beginnings could not be equilibrium, and the revelation of Li is not necessarily manifested into good deeds. For this argument, T`oegye Yi Hwang said that general emotion governed by Ki should not be confused with ethical emotion originated from law of nature, emphasizing good of Four Beginnings. Kobong disputed that unless as a saint again, it is difficult equilibrium of Four Beginnings to maintain, and Chu Hsi also argued like this. T`oegye made a counterargument `Anti-equilibrium is due to Ki, and Four Beginnings are not distorted or disappeared,` but he did not send it to Kobong, and Kobong did not mention it any more. In his later years, T`oegye came up with a compromised opinion that Four Beginnings could be Anti-equilibrium due to interruption of Ki, at 『Four Beginnings』, etc. However, it is limited that Four Beginnings might be Anti-equilibrium due to interruption of Ki only into range of physical and material. Even though it looks T`oegye accommodated the assertion of Kobong, it holds firmly the goodness of Four Beginnings which Li was still revealed, in terms of the origin. T`oegye made people realize the goodness of nature and have strong faith, `oneself is moral agent. In addition, he developed the ability to complete good nature in moral deeds, via endless efforts. This complements the drawback of Learning of Master Zhu, lack of self-direction and practice, and it reacts the Yang-ming Studies, targeting only Li as target of cultivating. The revelation of Li, T`oegye said, means the motive of moral deeds, not that if Li is manifested, moral deeds are complete. Therefore, it needs to review opinions for Li has already inherent to ability of moral deeds, based on concept of `activity of Li`. T`oegye mentioned the `revelation of Li` in order to establish moral agent, in realizing good nature. Based on this, he consistently oriented the `securing power of ethical practice for fulfillment of nature`.

      • KCI등재

        高峰 奇大升의 四七論에서 中節의 의미

        홍성민(Hong Seong Min) 한국동양철학회 2017 동양철학 Vol.0 No.47

        This paper illustrates the significance of appropriateness in Gi Daesueng’s emotion theory, that is, Four-Seven debate. This paper, first, analyzed his concept of Seven Emotions differentiated with Yi Hwang. According to this paper, Gi Daeseung’s concept of Seven Emotions was based on the structure of Zhongyong, all kinds of emotions are basically the manifestation of moral innate nature, and then essentially good. This is very foundation of Gi Daeseung’s philosophy distinguished from Yi Hwang. In advance, This paper, second, elucidated the philosophical meanings of the appropriateness. According to him, the difference between Four and Seven was determined on whether to be appropriate or not. Therefore This paper illuminated the meaning of appropriateness and regulated it as universality and publicity of emotions. This paper, finally, examined the fact that Gi Daeseung argued about “Four moral emotions can be in appropriate”(四端不中節) and the reason why he accepted Yi hwang’s statement that Seven Emotions were derived from material force(氣). 이 논문은 中節 개념을 중심으로 고봉 기대승의 사단칠정론에 내포된 철학적 의의를 조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퇴계와 다른 고봉의 칠정 개념을 분석하였다. 논문에 따르면 퇴계와 고봉의 논쟁은 칠정 개념에 대한 이해 차이에서 비롯되었는데, 고봉은 『중용』의 ‘性發爲情’ 논리에 입각하여 칠정도 사단과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는 선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사단과 칠정, 즉 순선한 감정과 유선유악한 감정의 차이는 오직 중절에 있을 뿐이라고 강조하였다. 이 논문에 따르면, 중절이란 감정이 현실에서 도덕적 적절성을 성취한 것으로, 고봉에게 있어 사단은 현실에서 도덕적 적절성을 획득한 감정이라고 규정된다. 이러한 고봉 사칠론의 함의를 조명하기 위해 이 논문은 중절의 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있다. 아울러 고봉이 四端不中節의 문제를 제기하여 퇴계를 비판하면서도 퇴계의 호발설을 수용한 이유에 대해 설명하면서, 중절 문제를 중심으로 고봉의 사단칠정론을 종합적으로 해명하고 있다.

      • KCI등재

        퇴계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의 수양론적 고찰-정심공부(正心工夫)를 중심으로-

        김동숙 ( Kim Dong-so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6 No.-

        본 논문은 『大學』의 正心工夫에 대한 퇴계와 고봉의 논의를 중심으로, 퇴계의 소종래로서 정의된 사칠 개념으로는 해명이 어려워 보였던 四端不中節 · 七情中節 현상이 수양론적 측면에서 마음의 主宰문제와 연결되어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한 후 그의 사칠론을 새롭게 모색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고봉과의 논쟁 내용 및 기타 언급을 통하여 퇴계의 사칠 개념을 정리해볼 것이다. 사단과 칠정이 본래 性에서 발한 하나의 情이라는 점에 초점을 둔 고봉은 퇴계의 소종래로부터의 정의 방식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다. 그의 논리로 보면 퇴계의 사칠론은 사단의 기적 측면과 칠정의 리적 측면이 제외된 것이자, 아울러 사단부중절과 칠정중절을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퇴계에게 있어 사칠의 중절·부중절은 그의 소종래적 정의로부터 보장되는 것이 아닌, ``마음이 그들을 온전하게 주재하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문제이다. 퇴계의 사칠개념은 연원으로부터 정의됨과 동시에 마음이라는 수양론적 층위에서도 논의되고 있었다. 이러한 퇴고 양자의 입장과 그 대립양상은 『대학』·「정심장」해석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퇴계는 소종래로부터의 정의방식에 입각하여 악으로의 轉化가능성을 가진 칠정을 정심공부의 대상으로 두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고봉은 소종래적 사유로 정심공부의 대상을 결정할 수는 없다고 반론하고, 그 근거로 사단이 부중절할 가능성을 든다. 즉 사단 또한 하나의 의도로서 마음에 개입되어 잘못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퇴계는 칠정을 정심공부의 대상으로 보는 입장을 견지함과 동시에, 사단 또한 마음에 담아두어도 전혀 해가 되지 않는 순선무악한 감정임을 명시한다. 그는 맹자가 말한 사단의 본래적 함의에서는 부중절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들의 사칠 정의방식의 차이는 이와 같은 공부론 상의 해석에서도 보인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퇴계가 사단부중절을 전면 부인했다고 볼 수는 없다. 퇴계에게 있어 사단의 중절한 발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마음이 그를 온전히 주재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순선이라는 소종래적 정의가 그대로 실현되는 상황은 오직 성인의 경우에 한정된 것이다. 고봉과의 논의에서 사단부중절의 발생을 범인의 경우에 한했던 것 또한 이와 같은 맥락이다. 한편 칠정이 중절하여 선한 감정이 될 수 있는가 또한 ``악으로 흐를 수 있다``는 소종래적 정의가 아닌 리의 주재여부, 즉 마음의 수양문제로 귀결된다. 다시 말해 퇴계에게 있어 사단과 칠정의 중절 여부는 소종래로서의 정의가 아닌 마음의 주재라는 수양론적 차원에서 해명되는 문제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본 논문은 그의 사단칠정 개념을 마음의 주재문제와 연결지어 재검토하는 것으로 마무리될 것이다. 퇴계의 사단과 칠정 개념은 "마음이 감정을 주재하면 모두 중절한다."는 수양론적 해석을 통하여 더욱 완결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를 통해 보다 현실적이며 실천적인 개념으로 재고 가능하다. This paper, based on The Study of Rectifying the Mind from The Great Learning, pursues the confirmation of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and Perfectly-measured of Seven-Feelings whether could be interpret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ory of The Study on Rectifying the Mind and seeks the unique way of understanding of Toegye`s Four-Seven. For achieving these goal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gap between Toegye and Gobong about Four-Seven and will discuss Four-Seven of Toegye`s issues which could be questioned by Gobong who has the different point of view from. Toegye explains Four-Beginnings` manifestation connects with Purely-Good and Seven-Feelings` with qi. Per contra, Gobong focuses more on Feelings that Four-Beginnings and Seven-Feelings are revealed by Feelings originated from Nature. Gobong pointed out the limitation of Toegye`s opinion which deficient in explanation of qi from Four-Beginnings and li from Seven-Feelings and also lack of coherence of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and "Perfectly-measured of Seven-Feelings". However, for Toegye, the matter of whether Perfectly-measured or Not Perfectly-measured decided not by its Origin but the Supervision of the Mind itself that consists inside mind thoroughly. Then this paper will state Toegye`s reasoning why he introduced Seven-Feelings for studying in "The Chapter of Rectifying the Mind" of The book Great Learning, Gobong`s contention of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as a refutation from Toegye`s logic, and will figure the divergence of two opinions. Toegye emphasizes only Seven-Feelings as a study subject because Purely-Good nature of Four-Beginnings cannot harm inside mind yet there is a possibility of Seven-Feelings might turn into Evil. On the other hand, Gobong focuses both Four-Beginnings and Seven-Feelings for study subjects with his view which Four-Beginnings could involve inside mind with intention and eventually can cause the result of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In Toegye`s opinion,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is just the result of wrong manifestation interrupted by intention. Toegye insists that Four-Beginnings itself cannot be described as Perfectly-measured or Not Perfectly-measured. For him, the matter of Perfectly-measured or Not Perfectly-measured of Four-Beginnings is not defined as Origins but is on the level of the expansion of the Supervision of Mind. Throughout this paper, it will be concluded by reviewing Toegye`s Four-Seven with the Supervision of Mind. Whether Perfectly-measured of Seven-Feelings morally revealed or not depends on the Supervision of Mind, not the Origin which ``Seven-Feelings might turn into Evil``. For Toegye, Four-Beginning matter contains not its definition from the Origin but the Supervision of Mind portrayed in the perspective of the Self-Cultivation Theory. Thus, Toegye`s Four-Beginnings and Seven-Feelings could be interpreted thoroughly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Self-Cultivation Theory and considered as practical concept.

      • KCI등재

        호굉(胡宏)의 성론재론(性論再論)

        김병환 ( Kim Byounghwon ),정경훈 ( Jung Gyeonghoon )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4 No.-

        본 논문의 목적은 호굉(胡宏, 1105-1161)의 성론(性論)의 본의를 고찰하는 데 있다. 호굉의 성에는 ‘우주 본체로서의 성’과 ‘개체에 구비된 본성’이라는 두 가지 함의가 있다. 성은 천지 수립의 근거이며, 만물에 내재되어 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또한 호굉에게 도는 성과 마찬가지로 본체의 의미를 지니며 본성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다. 호굉의 성은 상대적 선악 개념을 넘어선 것이며, 지선의 의미를 갖는다. 또한 호굉에게 현실의 선악 개념은 성의 실현 여부에 따른 중절 및 부중절과 관련된다. 성인은 성을 이룰 수 있으므로 다가오는 사물을 사물로 대응하여 그 상황에 중절한다. 반면 범인은 그렇지 못하므로 중절하지 못한다. 이러한 중절과 부중절을 호굉은 각각 선과 악으로 규정한다. 호굉은 성을 지선이라고 분명히 말하지 않고서 성은 선악으로 규정할 수 없는 것이라 언급한다. 이는 후대의 논란을 발생시켰으며, 불교에서 세간의 선악을 바라보는 시각과 유사한 주장으로 보일 수 있다. 불교를 배척하고자 하였던 주희에게 성의 지선함을 명시하지 않은 호굉의 성론은 비판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호굉에 대한 주희의 비판은 단지 그의 이론적 관심 때문만은 아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al intention of Hu Hong(胡宏, 1105-1161)'s xing theory(性論). There are two implications in the xing: 'the xing as benti(本體)' and 'the xing in the individual things'. Xing is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world, and it is inherent in all things and appears differently. In addition, to Hu Hong, tao(道) has the meaning of benti like xing and is not outside xing. Hu Hong’s xing goes beyond the concept of relative good and evil and has the meaning of zhishan[至善]. Also, the concept of good and evil in reality is related to zhongjie(中節) and bu-zhongjie(不中節) according to the realization of xing. Because sage people can realize xing, they cope with oncoming things with the things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any situation[中節]. On the other hand, ordinary people cannot respond properly to the situation[不中節], because they cannot do it. Hu Hong defines this zhongjie and bu-zhongjie as good and evil respectively. Hu Hong mentions that xing cannot be defined as good or evil, not clearly referring to xing as zhishan. This has caused controversy in later generations, and it can be seen as a similar argument to the view of the world's good and evil in Buddhism. His xing theory, which did not specify xing's zhishan, had to be criticized by Chu Hsi who tried to reject Buddhism. Chu Hsi's criticism of Hu Hong was not only due to his theoretical interest.

      • KCI등재

        栗谷의 四端七情論에서 中節의 의미

        홍성민(Hong, Seong-mi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8 No.-

        이 논문은 中節 개념을 중심으로 栗谷의 四端七情論을 새롭게 분석하고 그 철학적 의미를 해명하고 있다. 中節은 율곡의 사단칠정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자 이후 조선 유학사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주제인데, 그간 율곡의 중절론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새로운 탐구를 시도한다. 이 논문은 먼저 ‘불완전한 四端`문제를 다루고 있다. 논문에 따르면, ‘사단이 不中節할 수 있다’는 명제는 주자가 처음 제출한 것으로, 퇴계의 사단 개념을 부정하고 율곡의 독특한 사단개념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철학적 단서가 된다. 다음으로 이 논문은 율곡의 중절 개념을 분석하고 그 철학적 함의를 해명한다. 논문에 따르면, 율곡에게 있어 중절은 善의 기준이 될 뿐 아니라 새로운 사단 개념을 구성하는 열쇠가 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도덕 감정과 자연 감정, 사실과 가치의 문제에 대한 율곡의 입장을 중절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논문에 따르면, 율곡은 이러한 이분법을 넘어서 새로운 차원의 도덕 가치를 지향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tries to analyze Yulgok Yi Yi(栗谷 李珥)"s theory of Four-Seven Emotions(四端七情, Sadan-Chiljeong) freshly and to elucidate its philosophical meaning. Especially, this paper primarily focuses on the concept of appropriateness.(中節, Joong jeol) First,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 about ‘imperfect Four Moral Emotion’(四端). According to this paper, the sentence "Sadan can be inappropriate" is so meaningful in terms that Yulgok established his own theory of moral emotion and criticised Toegye Yi Hwang(退溪 李滉)"s theory. In advance, this paper analyzes Yulgok"s concept of appropriateness and explains its philosophical meaning. In Yulgok"s idea, appropriateness was not only a criterion of morality but also was a golden key that can constitute new significance of Sadan. Finally, This paper examines the dichotomical issue between moral emotion and physiological emotion by being centered on appropriateness. According to this paper, it can be told that Yulgok"s aim was not the dichotomy like this but morality at different level.

      • KCI등재

        中節의 문제로 고찰한 고봉 기대승의 도덕 감정론

        홍성민(Hong, Seongmi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48 No.-

        이 논문은 高峯 奇大升의 四七論을 도덕 감정론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다. 이 논문에 따르면, 고봉은 退溪가 사단칠정을 소종래로 구분한 것에 반대하고 性發爲情의 원칙에 따라 감정의 도덕성 문제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高峯은 中節 개념을 중심으로 자신의 일관된 도덕감정론을 주장했다고 이 글은 밝힌다.이 논문은 세 가지 측면에서 고봉의 도덕감정론을 해명한다. 첫째 不中節한 四端의 문제이다. 고봉은 四端도 기질의 영향으로 인해 不中節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퇴계의 四端理發說에 대한 반대이면서 도덕 감정을 현실적 적절성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둘째 中節한 七情의 문제이다. 고봉은 칠정도 중절하면 사단과 똑 같으 선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퇴계의 七情 氣發說 에 대한 반대이면서, 현실적 적절성을 갖는 감정이 바로 도덕감정이라고 정의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 中節의 실천적 수양으로서 正心의 문제를 제기한다. 퇴계가 칠정을 경계하여 마음 본연의 도덕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正心이라고 주장했던 반면, 고봉은 주관적 왜곡 없이 사태를 명징하게 인지하고 사태의 인지와 부합하는 감정을 발현하도록 하는 것이 정심이라고 주장한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고봉 철학의 의의를 새롭게 조명하고 현대감정이론과의 비교 접목하여 고봉의 사칠론을 연구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Gi Daeseung’s philosophy from the view point of the moral emotion theory. According to this paper, Gi Daeseung reputed Yi Hwang’s view point on emotions which divides emotions by moral and appetitive origins, and elucidated moral emotions by principle which is called “nature manifests as emotions性發爲情”. Especially, this paper claims that Gi Daeseung announces his coherent moral emotion theory based on the concept of “appropriateness中節” In this regard, this paper illuminates his theory from three points. First, innate moral emotions四端 also can be non-appropriate. Second, General emotions七情 also can be moral if they are appropriate. Third, the “Rectifying one’s mind正心” is so important to achieve appropriateness of moral emotion, but it doesn’t mean protecting general emotions as Toegye announced. Finally,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Gi Daeseung’s theory with contemporary emotion theories.

      • KCI등재

        朱子의 도덕감정론에서 中節의 문제

        홍성민(Hong, Seong-Mi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이 논문은 朱子의 감정론에서 中節의 의미를 고찰한다. 中節은 조선 성리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개념일 뿐 아니라 현대 도덕 감정이론과도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테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주자의 중절 개념을 분석하고 그 윤리학적 의의를 해명함으로써, 조선 성리학 연구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성리학의 감정론과 현대 도덕 감정이론이 소통할 수 있는 場을 마련하고자 시도한다. 이 논문은 먼저 四端이 不中節한 상황에 대한 주자의 언급을 분석하고 그 철학적 의의를 탐색한다. 그 다음 감정의 中節이 윤리적으로 무슨 의미인지를 공동체의 가치 규범과의 상관성 안에서 해명하고, 이를 통해 주자의 도덕 감정론이 가지는 윤리학적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감정의 부중절이 발생하는 원인을 고찰하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正心 공부가 가지는 의미를 밝히고 있다. This paper illuminates the meaning of the appropriate moral emotion in Zhu Xi"s emotion theory. Despite the appropriateness of moral emotion is important concept in Joseon Neo-Confucianism and crucial theme in contemporary moral emotion theory, nobody research on this. For the sakes of providing useful datum to Joseon Neo-Confucianism researchers and communicating Neo-Confucianism with contemporary emotion theory, this paper researches this theme. First, this paper analyzes Zhu Xi"s comments on the inappropriateness of innate moral emotions, and finds their philosophical significance. Second, this paper elucidates the cause of inappro-priateness and illuminates "rectifying one"s mind" as the method to overcome inappropriateness. Finally, this paper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appropriateness of emotion with value norms of community, and suggests the meaning of Zhu Xi"s moral emotion theory.

      • KCI등재

        朱子 哲學에서 감정의 적절성과 도덕성

        홍성민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동방학 Vol.35 No.-

        이 논문은 ‘中節’의 의미에 대한 분석을 통해 朱子의 도덕감정론을 해명하고 있다. 中節은 성리학의 수양론에서 중요한 주제일 뿐 아니라 현대 도덕 감정이론과 소통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테마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듯하다. 그래서 이 논문은 주자의 중절 개념을 분석하여 성리학의 도덕 감정론을 해명하고 나아가 그것의 현대적 의의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먼저 이 논문은 주자의 도덕 감정 범주를 고찰하고 있다. 고찰에 따르면, 주자는 四端과 七情을 도덕 감정과 일반 감정으로 구분하지 않았으며, 오직 中節을 기준으로 감정의 도덕성 여부를 구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이 논문은 中節의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이 논문에 따르면, 중절이란 공평무사한 공감적 관찰자의 입장에 도달하는 것인데, 감정의 주체가 인륜의 관계망 안에서 보편타당한 감정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주자가 제시하는 中節의 공부, 즉 窮理와 持志에 대한 분석을 통해 주자 도덕 감정론이 다분히 이성적이고 의지적인 색채를 띠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This paper illuminates the meaning of Zhu Xi's Moral Emotion Theory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 of appropriateness(Zhongjie 中節). Despite the appropriateness is so important concept in Neo-Confucian Cultivation theory and crucial theme in contemporary moral emotion theory, there is hardly one who research about this. So this paper researches this theme. First, this paper analyzes Zhu Xi's thought about Four moral emotion(Siduan 四端) and Seven general emotion(Qiqing 七情), According to this research, Zhu Xi didn't discriminate between Four moral emotion and Seven general emotion, and He suggested appropriateness as criteria of morality. Second, this paper elucidates the meaning of appropriateness is to arrive at the position of impartial sympathetic spectator. And finally, this paper analyzes the cultivating ways of appropriateness, and illuminates that the concept of moral emotion in his idea strongly implies rational and volitional nuances.

      • KCI등재

        李瀷과 愼後聃의 四七論에서 中節의 의미

        홍성민(Hong, Seong-min)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1 No.-

        이 논문은 이익과 신후담의 사칠론에서 중절의 철학적 함의를 해명하고 있다. 논문에 따르면, 퇴계의 사단칠정론에서 사단과 중절한 칠정 사이의 관계 규정은 곤란한 문제로 남겨졌다. 이익은 중절한 칠정의 의미를 새롭게 분석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는 중절한 칠정의 도덕성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사단과 차별적이라는 점을 철학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공정무사한 공감자를 설정하여 이 문제를 풀고자 한 것이 그의 해법이었다. 이러한 이익의 생각은 중절의 윤리적 가치에 대해 참신한 재평가를 수행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신후담은 스승 이익의 생각에 반대하면서 중절의 도덕적 가치를 평가 절하하였다. 신후담에 따르면, 聖人의 公七情과 中節한 칠정은 다른 것이었다. 성인의 공칠정은 공적 도덕성이 실현된 감정 상태이지만 중절한 칠정은 자연적 욕구와 생리적 기호가 적절한 상태에 놓인 것에 불과한 것이었다. 전자가 理發이라면 후자는 氣發인 것이다. 그는 이익에게서 모호하게 표현되었던 聖人七情을 명백히 公과 私의 두 측면으로 차별화함으로써 퇴계학 전통의 理發을 한층 강화하였다. 여기에 이르러 사단과 칠정이라는 오래된 구분 선은 해체되고 公과 私가 도덕 감정의 기준으로 부각되었다. This paper illuminates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appropriateness(中節) in Yi Yik(李瀷) and Shin Hudam(愼後聃)’s theories of moral emotion. According to this paper,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in Toegye Yi Hwang(退溪李滉)’s philosophy. That is, How we could regulate the relation between Four Beginnings(四端) and appropriate Seven Feelings(七情). Yi Yik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elucidating philosophical significances of appropriate Seven Feelings. as it were, one hand, he approved the morality of appropriate Seven Feelings, and on the other hand, differentiated appropriate Seven Feelings from Four Beginnings. Thereby He achieved to explain this problem. His solution was dependent on the concept of ‘impartial sympathic spectator’ that he suggested. It is valuable that Yi Yik reexamined the ethical meaning of appropriateness. His pupil Shin Hudam, however, criticised Yi Yik’s opinion and identified Four Beginnings with appropriate Seven Feelings. Shin Hudam deconstructed the conceptual scheme of moral emotion suggested by Yi Yik and regarded appropriate Seven Feelings as Four Beginnings. According to Shin Hudam, the concept of appropriate Seven Feelings designed by Yi Yik was very ambiguous, actually there was no any dividing line between Four Beginnings and appropriate Seven Feelings. Both are equally moral principle manifestation(理發)and moral public(公). Now old concept category of moral emotion(Sadan and Chiljeong) was disappeared and new concept category of moral emotion was appeared, that is public and private.

      • KCI등재

        특집 : 율곡학의 확산과 심화2 ;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율곡(栗谷) 심성론(心性論) 이해

        유연석 ( Yon Seok Yoo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2 No.-

        尤庵 宋時烈은 17세기 栗谷학파의 지도자로서 退溪학파와의 대결 구도 속에서 栗谷 心性論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견지하였다. 心是氣說에 대해서는 性卽理說과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는 이론이라고 설명하면서 先儒들의 학설 가운데 관련된 내용들을 근거로 제시하여 그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性心情意一路說에 대해서는 純善한 本然之性인 五性으로부터 善惡이 혼재한 七情이 유발된다는 栗谷의 理일원적 性情論을 충실하게 계승하면서, 이를 ``모든 事物의 근본은 理이므로 天下에 理를 벗어난 사물[理外之事]이 없고 性을 벗어난 사물[性外之物]이 없다``는 언명으로 정식화함으로써 理일원적 관점을 강화하였다. 尤庵은 이러한 관점을 人心道心說에서 보다 철저하게 적용하여 人心과 道心을 모두 本然之理로 규정하였다. 즉 本然之性으로부터 ``直出``하여 人心이 中節한 것을 ``人心 本然의 體段``이라고 명명하고, 本然之性으로부터 ``傍出``하여 人心이 不中節한 경우를 人心이 왜곡 변질된 人欲으로 간주함으로써, 人心이 원칙적으로 善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와 같이 尤庵은 전반적으로 栗谷의 心性論을 지지하고 계승하는 태도를 취하지만, 유독 四端의 개념에 대해서 만큼은 이견을 보이고 있다. 氣發理乘一途說에 입각할 때, 七情에 中節과 不中節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四端에도 中節과 不中節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四端과 七情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四端七情論에서 특기할 만한 사항은 尤庵이 情의 포섭관계를 규명하는 부분이다. 즉 本然之性으로부터 유발되는 수만 가지의 情은 四端과 七情으로 통합되고, 四端과 七情은 惡(오)와 欲 두 가지로 통합되며, 惡(오)와 欲은 惻隱 한 가지로 통합된다는 것이다. 이를 역으로 재구성하면 仁의 발현인 惻隱 한 가지가 생명현상의 파괴를 부정하는 惡(오)와 생명현상의 고양을 긍정하는 欲의 두 가지로 분화되고, 惡(오)와 欲은 다시 四端과 七情으로 분화되며, 四端과 七情은 수만 가지의 情으로 분화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尤庵의 견해는 四端을 食色과 대비시키는 『孟子』의 문맥에서 벗어난 것으로, ``天下에 理를 벗어난 사물[理外之事]이 없고 性을 벗어난 사물[性外之物]이 없다``는 理일원적 性情論의 논리적인 전개가 도달한 궁극적인 결론이라고 생각된다. Song Siyeol as a leader of Yulgok School in the 17th century, supported Yulgok`s theory of mind-nature, in confrontation with Toegye School. The theory that ``human mind is the disposition(qi)`` and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the principle(li)``, he explained that h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 evidence presented to the opinion of previous wise confucian scholars. For the monistic theory of mind-nature, he faithfully succeeded Yulgok`s monistic theory of principle(li) and reinforced Yulgok`s perspective by saying that the root of all things is principle(li). Song Siyeol applied more thoroughly this point of view to the theory of bodily desire and altruistic feeling, by both bodily desire and altruistic feeling has defined as original principle(li). Thus proper bodily desire, which arise straightly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is called original state of bodily desire, but improper bodily desire, which arise diagonally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is called devil. It stressed that bodily desire is essentially good. As such, Song Siyeol inherited largely Yulgok`s theory of mind-nature, but presented differrent opinions about the concept of the four beginnings. On the basis of monistic theory of the principle(li) and disposition(qi), the four beginnings is divided into proper response and into improper response, as well as the seven feelings is divided into proper response and into improper response. Therefore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considered to be the same. It is a noteworthy feature in the theoy of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at Song Siyeol explained the subsumable relations of feelings. Many kinds of feelings, which arise from originally good human nature, are integrated into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en, both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integrated into dislike and desire. Then again, both dislike and desire are integrated into compassion. Reconstructing the opposite direction, compassion which arise from benevolence is divided into dislike and desire. Then, dislike and desire are divided into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en again,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re divided into many kinds of feelings. This view is based on the monistic theory of principle(li) that there are no things out of the principle(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