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성장애 아동의 관심 및 흥미를 활용한 중재연구 문헌분석

        이종희,김은경 한국자폐학회 2013 자폐성 장애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자폐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관심 및 흥미를 활용하여 중재를 실시한 국내외 중재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자폐성장애 아동의 동기 및 강점 기반 중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자 DB를 통해 문헌을 수집하였고, 문헌 포함 및 제외 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2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관심 및 흥미를 활용한 중재연구는 유아와 초등 및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분포되어 실시되었고, 특히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논문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자폐성장애 아동의 관심 및 흥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측정한 방법으로는 선호도 사정 및 면접과 직접 관찰의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학교, 가정, 치료실 등 다양한 곳에서 중재가 실시되었다. 자폐성장애 아동들을 위해 놀이상황, 중심축반응훈련, 언어중재, 음악, 미술, 체육활동 등 다양한 활동에 관심 및 흥미가 활용되었다. 또한 실험설계로는 단일대상연구 방법 중 반전설계 및 중다(간헐)기초선설계가 사용되었고, 이러한 설계방법을 사용하여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자폐성장애 아동에게 보이는 관심 및 흥미를 활용한 중재연구는 대부분 선행사건 중재로 특정 선호하는 활동 및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성장애 아동에게 보이는 관심과 흥미를 활용한 중재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findings of intervention studies incorporating the interes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 total of 28 articles were selected by criteria for this synthesis and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stly targeted subjects were preschoolers with autistic disorders; These studies examined the effect of interventions incorporating the interests in vary situations such as home, school, clinic so on: Single subject designs including withdrawal design and multiple baseline design were used to examine effects social communication; And these interests were incorporated in antecedent. Based on the result, implications for research incorporating the interes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discussed, and future study issues were recommended.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 위험 영아와 언어발달지체 영아의 의사소통적 제스처 사용 비교

        이윤경,전진아,이지영 한국자폐학회 2014 자폐성 장애연구 Vol.14 No.3

        Differences in using communicative gestures is one of the determining factor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in early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mmunicative gestures of toddlers who are at risk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ypical development toddlers. Participants were toddlers who were identified as a at-risk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n=13),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DLD, n=13), and typical development (TD, n=13). The participants’ age ranged from 18 to 30 months and did not differ across the groups. Behavior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CSBS DP procedure (4 sampling opportunities and free play for five minutes) and analyzed with a specific coding scheme consisted of deictic, representational, and conventional gestur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a) ASD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less frequency in the total number of gesture than TD and DLD groups. (b) In terms of gesture types, AS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frequencies in deictic and conventional gestures than TD group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representational gesture. (c) ASD and DL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ess showing and shaking heads gestures than TD group and only ASD group significantly less than TD group in pointing gesture. We discussed that implication of communicative gestures on early screening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영아기의 의사소통적 제스처 사용은 언어이전기는 물론 초기 언어습득기에 있는 영아들에게 주요 의사소통 수단이 될 뿐 아니라 자폐범주성장애에의 조기 선별 요인으로 강조된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적 제스처 사용에서 자폐범주성장애 위험군 영아들이 언어발달지체와 일반 영아와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16-30개월의 자폐범주성장애 위험군 영아 13명, 언어발달지체 영아 13명, 일반 영아 13명, 총 39명의 영아였다. 각 영아별로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 발달 척도(CSBS DP)의 의사소통행동 유도절차와 자유놀이를 통해 행동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행동표본에서 전체 제스처 사용 빈도, 유형별(지시적, 관습적, 표상적) 제스처 사용 빈도, 세부 제스처별 빈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1) 전체 제스처 사용 빈도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폐범주성장애 위험군이 일반 영아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제스처 사용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제스처 유형에 따라서는 지시적 제스처와 관습적 제스처에서만 자폐범주성성장애 위험군이 일반 집단에 비해서 유의하게 적은 빈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상적 제스처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세부 제스처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 위험군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이 일반 영아 집단에 비해 보여주기, 머리 가로젓기와 기타 제스처를 유의하게 적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리키기는 자폐범주성장애 위험군만 일반 영아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적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기초로 의사소통적 제스처 사용이 자폐범주성장애 조기 선별에 갖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조기선별 및 지원 체계 고찰

        이경숙,윤현숙,정희승,유희정 한국자폐학회 2015 자폐성 장애연구 Vol.15 No.2

        The effectiveness of early screening of and intervention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as been proved repeatedly at home and abroad. All people engaged in the area agree on the importance of leading them to adaptive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national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systematic approach and increase of effectiveness is to achieve convergence by understanding and integrating approache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the areas of psychiatry, psychology, special education, and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hich were discussed and conducted individually. With recognition of ASD among infants and toddlers increasing at home and abroad and intervention policies being activated at the government level,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state of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n ASD among young children. This will in turn lay the groundwork for development of screening tools for young children with ASD at the government level in the future. This paper is ultimately aimed at forg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develop reliable and valid screening tools to ease difficulties of young children with ASD, their familie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promoting best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ASD and happiness of their families, and easing social and economic burdens of the country.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조기 선별하여 조기 중재한 효과성은 국내외적으로 거듭 입증이 되고 있다. 학문적으로나 국가적으로나 이들을 적응적 발달로 이끄는 일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이 분야의 연구자나 임상가가 모두 공감하는 부분이다. 이와 관련해서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우선적인 방법은 그동안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정신의학, 심리학, 특수교육학, 감각통합영역의 평가를 통한 조기선별과 개입 및 지원체계 접근을 함께 이해하고 융합적으로 조직화하는 시도이다. 본 논고에서는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에 관한 최근 국내외 인식의 증가와 국가적 차원의 개입정책의 활성화에 발맞추어 영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접근의 학제 간 현주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진행되는 국가적 차원의 영유아자폐스펙트럼장애의 선별도구 제작의 기반을 다지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다 학제 간 융합 적 접근의 효과성을 극대화하여 우리 사회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와 가족과 지역기관의 접근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선별도구를 개발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최적 발달을 도모하고 가족의 안녕을 증진하고 국가적으로 효율적인 지원체계를 고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에 관한 상사의 경험 및 인식

        안의정,이소현,박혜성 한국자폐학회 2014 자폐성 장애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ecuted to find out any support needs or points to be improved by reviewing the lives at work in detail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hrough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5 workplace managers were interviewed, who have experiences to work with individuals with ASD, and the interviewed contents are analysed by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ive themes emerged as follows: (1) the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of workplace managers during the recruiting procedure of individuals with ASD, (2) the experiences and recognitions of workplace managers on the life at work of individuals with ASD, (3) the strength and difficulty regarding on the life at work of individuals with ASD, (4) the support needs of workplace managers, (5) the support needs for professional life of individuals with ASD, and also fourteen themes were emerged according to each theme. The argument for the life at work of individuals with ASD i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successful life at work of individuals with ASD. 본 연구는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에 관한 상사의 경험 및 인식을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인들의 직장 생활의 구체적인 모습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직장 생활을 위해 필요한 지원 요구 또는 개선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폐 범주성 장애인과 6개월 이상 함께 일 한 경험이 있는 상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였고,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자폐 범주성 장애인 채용 과정에서의 상사의 경험과 인식, (2)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에 관한 상사의 경험과 인식, (3) 자폐 범주성 장애인과의 직장 생활에서 생기는 장점과 어려움, (4) 상사의 지원 요구, (5)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을 위한 지원 요구의 총 5가지 상위 주제와 각 주제에 따른 14가지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직장 생활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장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

        장정윤,선우현정,전주연,봉귀영,노남훈,정성준,노동현,유희정 한국자폐학회 2016 자폐성 장애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a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argeting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directors. After three group interviews, we analyzed interview contents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ive themes and eleven categories emerged: (1) perceptions of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 (2) understanding of diagnosis and symptom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3) difficulties in autism spectrum disorder at the child-care field, (4) coping plan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5) demand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hild-care teachers training in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demands for specialized and systematic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servic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어린이집 교사 및 원장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행하였다. 30명의 어린이집 교사 및 원장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인터뷰를 진행한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의해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인터뷰 내용을 질적 분석한 결과, 5개의 연구주제와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주제는 (1)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 및 개입에 대한 인식, (2)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명 및 증상에 대한 이해, (3)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관련한 보육현장에서의 어려움, (4)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관련한 대처방안, (5)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관련한 요구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현장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과 개입을 위한 교육,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조기 선별 및 개입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폐장애 학생의 자기결정기술 교수에 대한 중국 특수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오언,방명애 한국자폐학회 2011 자폐성 장애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nstruction of self-determin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autism. Two-hundred five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sent by mail.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implemen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eacher's age, total years of teaching, and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autism influ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of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2); Level of school influ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best time to begin to teach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3)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autism influ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instructional practices for improving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4) Teacher's age, total years of teaching, college major, and level of school influ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barriers of teaching of self-determination to students with autism; and (5) Teacher's age and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autism influ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support for teaching of self-determination to students with autism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장애 학생의 자기결정기술 교수에 대한 중국 특수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중국 특수교사 205명으로부터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상관계수와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교육경력, 연령 및 자폐장애 학생 교육경력이 자기결정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중국 특수교사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둘째, 학교급이 자기결정기술 교수의 시작 시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즉, 초등 특수교사가 중등 특수교사보다 자기결정기술을 더 이른 시기에 교수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자기결정기술 교수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폐장애 학생 교육경력이었다. 자폐장애 학생 교육경력이 많을수록 자기결정기술을 더 자주 교수한다고 보고하였으나, 정기적으로 자기결정기술을 집중적으로 가르치는 교사는 거의 없었다. 넷째, 자폐장애 학생에게 자기결정기술을 교수하는데 있어서의 방해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연령, 총 교직경력, 특수교육 전공 여부, 학교급이었다. 중국 특수교사는 장애학생 가족과의 협력부족을 가장 심각한 방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연령과 자폐장애 학생 교육경력이 자기결정기술 교수를 위한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중국 특수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자폐학생의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자폐장애 학생의 자기결정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 높고, 교사가 자기결정기술을 더 자주 교수하며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중국의 특수교사들에게 교육현장에서 자폐장애 학생을 교육할 기회를 최대한 제공하는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며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교사 연수 등을 통해 기술적 지원도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Seeing both Wood and Trees : A Theory-of-Mind Spectrum Emerges from the Conversations with Students Identifi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ntellectual Difficulties

        Hwang, Yoon-Suk(황윤숙) 한국자폐학회 2013 자폐성 장애연구 Vol.13 No.3

        마음이론이 자폐성 장애인들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 결함을 설명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던 것에 반해, 인지에 과도하게 집중한 점과 더불어 정서의 중요성 및 자폐성 장애인들의 개별성이 부각되지 못한 점이 조명되고 있다.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대화를 바탕으로 이인칭적 관점에서(second-person perspective) 연구 대상자들의 참여도를 높이거나, 오랜 기간에 걸쳐 교육현장에서 관찰하는 것 등의 연구방법 다양화가 요구된다(Reddy & Morris, 2009; Leudar & Costall, 2009). 이에 본 연구는 지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자폐성 장애학생들(n=20)의 경험을 장애의 사회적 관점과 자기 결정 원칙을 토대로 조성된 연구 환경에서 심층 면담(in-depth interviews)을 통해 조사했다.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분석된 자폐성 장애학생들의 경험은 마음이 두 가지 스펙트라(논리/연상, 유창/저지)를 형성하며 일련의 정신상태 안에서 움직이는 것을 보여준다. 논리성과 유창성을 가지고 마음이 생각 안에서 움직일 경우 자폐성 장애학생들은 본인의 생각과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지 않으나, 연상성과 유창성을 가질 경우, 또는 논리성과 저지성을 가질 경우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정신상태 종류(생각, 감정 등)에 따라 논리성과 유창성을 보이는 정도에 대한 개인차가 발견되었다. 자폐성 장애학생들의 마음이론 장점과 단점을 아우르는 마음이론 스펙트럼 모델을 제안하며, 본 모델의 교육적 함의를 논의한다. Despite its explanatory capacity for the impairments of social communication observed in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Theory-of-Mind (ToM) has been challenged for excessively focusing on cognition and overlooking th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mplexity of personal and social experiences that people with ASD encounter. Responding to a call for investigating ToM from the second-person perspective (Reddy & Morris, 2009), this study invited 20 Korean students identified with ASD and intellectual difficulties to engage in the conversational enquiry process to explore their ToM related experience. A Theory-of-Mind Spectrum Model is suggested to embrace the complexity of Theory-of-Mind for individuals with ASD and intellectual difficulties, including both strengths and difficultie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장애학생의 장애 유형에 따른 자기결정 능력 비교

        이성봉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quantita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 of self-determination between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autistic disorder in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Total 171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87 participants from South Korea and 84 participants from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comparing the countries, the participants self-determination skills in the United States resulted to be higher than the participants in South Korea. Comparing the types of disability,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in order which they appeare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tic disorder. Second, comparing the self-determination's sub-domains, autonomy, self-regula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elf-re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utonomy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United States were resulted to be higher than they were in South Korea. In comparison of the types of disability, level of self-determination's sub domains was in order which they appeare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tic disorder. However, the result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on self-regulation of the countries and the types of disability. The resul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elf-realization of types of disability, but in comparison of these countries, self-rea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resulted to be higher than it wa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is study has provided discussions and suggestions relating to the previous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지적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한국에 거주하는 장애 학생 87명과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거주하는 장애 학생 84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 능력의 국가별 비교에서는 미국이 한국보다 높았으며, 장애 유형별 비교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학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 능력의 하위영역인 자율성, 자기조정, 심리적 역량, 자아실현 비교에서 자율성과 심리적 역량 영역의 국가별 비교에서는 미국이 한국보다 높았으며, 장애 유형별 비교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학생 순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정 영역의 국가별, 장애 유형별 비교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자아실현 영역의 국가별 비교에서는 미국이 한국보다 높았으나, 장애 유형별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추론능력 및 관련요인

        최숲,정부자,전희정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1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an inferential ability of High-Functioning Autistic disorders with adolescent(HFA)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C), and which are factors correlated an inferential ability of HFA. This study also qualitatively analyzed HFA's error responses to inferencing question to investigate of inferencing breakdown. HFA(n=10) and TC(n=10) who matched with langugae age(LA) conducted an inferential task, a syntax comprehension task, a Letter-Number Sequencing task. An inferential ability of HFA is lower than TC and a syntax comprehension task and a Letter-Number Sequencing task, as one of working memory are correlated with an inferential task. HFA showed ‘wrong inference’ and ‘odd response’ in an analysis of error responses and it suggest that HFA can perform inferential task but they can't integrate information to make right inference.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추론과제수행 능력을 비교하고 추론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또한 두 집단의 추론과제응답의 오류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추론오류특성을 살펴보았다. 10명의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10명의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추론과제, 구문의미이해력, 작업 기억과제를 실시한 결과, 일반아동보다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추론과제수행능력이 낮았으며 추론수행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과제는 구문의미이해력과제와 작업 기억과제 중 하나인 순차연결과제였다. 추론오류분석에서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이 보인 오류유형은 ‘추론오류’ 유형과 ‘엉뚱한 답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는 고기능자폐성장애 청소년에게 기본적인 추론능력은 존재하나 정보를 통합하여 올바른 추론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국내 자폐성 장애 아동 교육 현황 분석 : 만 3-5세 자폐성 장애 아동 담당 교사를 중심으로

        이제화(Lee, Jea-hwa),김민정(Kim, Min-joung),최성욱(Choi, Seong-uk),이수진(Lee, Su-jin),서석진(Seo, Seok-jin) 한국자폐학회 2008 자폐성 장애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만 3-5세 자폐성 장애아동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국내 자폐성 장애아동 교육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이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13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자폐성 장애아동의 교육진단 및 평가현황, 자폐성 장애아동의 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현황, 자폐성 장애아동의 통합교육현황 중심으로 설문 항목 순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자폐성 장애아동 교육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