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사고를 통해 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이경화(Kyunghwa Lee),태진미(Jin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실현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해 보고자 민족사관고등학교를 사례로 다음과 같은 측면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국내외 융합영재교육의 동향을 조사하였고 둘째, 설문조사와 현장방문 및 면담을 통해 민사고 교육과정에 대해 소개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실현을 위한 가능성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민사고는 민족적 주체성을 가진 국제적 지도자 육성을 위해 중요한 경험적 사례를 제공하며 한국적 정체성을 겸비한 국제적 인재양성의 긍정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만 ‘한국적 정신’ 및 ‘융합형 영재 교육’에 대한 개념을 더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전문적 실현을 위해 ‘한국형 융합영재교육 모형’에 기반한 체계적 교육과정의 수립‧운영이 요구된다. 한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숙고는 민사고라는 특정 학교만의 과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 에서 문화적 주체성을 가진 지도자 양성의 방향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 of domestic/overseas convergent gifted education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introduced the distinction of curriculum of KMLA through questionnaire, site visitation and interview to debate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een through KMLA. Then, the possibility and task of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was debated on the basis of collected data. In conclusion, KMLA provided the important empirical case to cultivate international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and showed the positive possibility of cultivating international elite with Korean identity. However, more obvious conceptual embodiment of ‘Korean spirit’ and ‘convergent gifted education’ is necessary and establishment‧ operation of systematic curriculum based on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model is required for specialized realization. Meanwhile, the speculation over Korean type convergent gifted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he dimension of cultivating leader with ethnic subjecthood in the national level instead of task of specific school called KMLA.

      • KCI등재

        영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2010-2014)’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최병연,이명숙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에 최근 5년 동안 발표된 논문 중 영재 혹은 영재교육에 관한 86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 영재성 영역, 연구주제, 연구 방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이들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한연구 대상은 초등학생(37%), 교원(22%), 중학생(18%), 고교생(7%), 전문가(7%), 그리고학부모(5%)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성 영역으로는 과학(54%), 수학(17%), 발명(10%), 언어(7%)의 순으로 한정되어 나타났다. 셋째, 이들 연구에 대한 연구 주제는10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영재성 및 특성(36%),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12%),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10%), 교수-학습 전략(9%), 선발 및 판별(8%), 영재교육동향 및 정책(7%), 교원의 전문성(6%), 진로 및 상담(5%), 부모 및 가족(5%), 특수영재(2%) 등의 순으로 연구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의 유형으로는 조사연구(44%), 문헌연구(20%), 혼합연구(15%), 질적연구(12%), 실험연구(9%)의 순으로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최근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의 결과에근거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Gagné의 DMGT모형을 통한 석주명의 영재성 발현 기제 연구

        김남훈(Kim Nam hoon),채동현(Chae Dong hyun),이정규(Chae Dong hy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3

        본 연구는 탁월한 학문적 성취를 이룬 과학자의 전기적ㆍ생애적 연구를 통해 나타난 영재성의 발현 기제를 살펴보기 위해, 그의 위인전, 역사기록, 학술지 등을 분석하는 '내용분석법'의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Gagné의 '영재성과 재능에 대한 차별화(DMGT) 모형의 틀에 기초하여 석주명의 영재성 발현 기제를 분석하고 영재교육에 미치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정리하면, 첫째, 영재성(G)에서는 석주명은 언어능력과 창의성(유창성, 독창성)이 뛰어났으며, 사회정서적으로 활달한 성격과 리더십으로 학술 탐험대에서 대장으로 팀을 이끌었다. 둘째, 개인내적촉매(IC)인 내적 동기, 가치, 노력, 철저한 자기관리 등은 영재성 발달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환경적 촉매(LC)로 주위 환경과 다양한 인간관계(어머니, 지도교수, 선교사 등)가 영재성 발현에 영향을 주었다. 넷째, 우연 혹은 기회의 촉매(CH)는 개인내적촉매(IC)와 함께 상호작용을 한 요인이 되었다. 다섯째, 발달과정(LP)에서 제도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이 영재성 발현에 좋은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석주명과 같은 탁월한 성취를 남긴 인물들의 재능 발달 요인은 향후 영재성의 발현 기제를 이해하고 영재학생을 위한 지도방안과 프로그램에 유용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research applied a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text analysis', which analyze one's biography, historical records and journals to find out manifestation mechanism of an academically outstanding scientist's giftedness through his biographical and lifetime researches. And this study was to analyze manifestation mechanism of giftedness of Seok Ju-myeong and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to gifted education. To sum up this research results, first, Seok Ju-myeong had a linguistic ability and creativity(fluency, originality) and leaded a academical expedition party as a commander with his social emotional outgoing personality and leadership. Second, inner motivation, value, effort and strict self-discipline of individual catalyst(IC) affected his giftedness development process. Third, he has a relation ship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and various people (a mother, an academic advisor and a missionary etc.) of environmental catalyst(EC). Fourth, chance (CH) was a factor interacted with intrapersonal catalyst(IC). Fifth an ,institutional and organized learning in informal/formal learning & practicing(LP) helped to reveal his giftedness. Likewise, the factors developing talents of excellent achiever such as Seok Ju-myeong help people understand manifestation mechanism of giftedness and give them useful materials and implications to teaching method and program for gifted students.

      • KCI등재후보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소연(Kim, So Yeon),이신동(Lee, Sin Do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3

        국가적 차원의 영재교육 도입기에서 발전기로 향하는 과도기적인 시점에서 영재관련 연구기관과 학회에서는 국가수준의 영재기관 평가연구와 효과성 분석 연구,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효과분석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의 영재교육은 양적증가와 하드웨어적 체제의 기틀은 마련되었으나, 질적 향상을 위한 모범적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사례와 연구가 요구되었다. 같은 맥락에서 ‘국가수준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과 기준 설정’에 대한 요구가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의 선행사례인 ‘NAGC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Gifted Program Standards)’을 소개하고,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기준 개발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그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첫째, ‘NAGC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을 분석하고, 국내 영재교육 평가기준과 비교하였다. 둘째, 국내 영재교육 평가연구를 바탕으로 영재교육 프로그램 현황, 문제점․전망을 분석하였다. 셋째, NAGC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과 국내의 영재교육 평가연구에서 요구되는 강조점을 바탕으로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전망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넷째, 이에 따른 후속연구로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에 대한 영역범주, 수행수준, 기준원칙, 적용방법에 대한 질적⋅양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status of national gifted education is on a transitional period passing by introduction of gifted education toward developmental stages. Recently researches evaluating effectiveness of national gifted education and reporting practical management of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been increasing at the national level by KEDI and gifted education institutes. Needs of establishing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national gifted education program have been suggested through these researches. This study is to introduce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of NAGC' as a preceding example of national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 development and suggest directions and considerations for the standards. First, this study analyzed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of NAGC' and compared to the standards of evaluating Korean national gifted education. Second, this study inquired national gifted education status, issues and prospects based on gifted education researches. Third,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s and considerations of national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son NAGC standards to Korean national evaluation standards. Fourth, study propos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ost researches of categories, performance levels, standards principles and application methods related to national gifted education program standards.

      • KCI등재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박기문,이규녀,이병욱,나영민,이경표,손다미,이상현 韓國英才學會 2012 영재교육연구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영재교육의 문제점 개선과 확대 발전하기 위하여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명영재교육 체제와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발명영재학급 또는 영재교육원 소속의 발명영재 교원과 발명영재 관련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발전방안 등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보통(M=3.0)이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교육 자료’, ‘교원대상 연수프로그램’, ‘지원기관의 인·물적 지원체제’ 분야에서는 다소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는 발명영재교육의 발전과 효율성을 위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구심점 역할의 연구 전문기관을 지정 또는 설립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 결과, 발명영재교육 전문 연구기관에 대한 필요성과 기대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특히 전문 연구기관의 중점 요구분야는 ‘영재교육 방법 및 자료의 연구·개발’, ‘교원 연수 자료의 연구·개발 및 연수 실시’이다. 셋째,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은 현재 발명영재교육을 수혜하는 학생들이 9개의 발명영재의 특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느냐 하는 질문에 대하여 발명 지식과 사고 영역의 ‘발명 지식’과 발명 태도 영역의 ‘기업가 정신’ 은 다소 낮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발명영재 선발 모형에 대한 검토뿐만 아니라 낮게 나타난 특성을 배양할 수 있는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 for invention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rofessionals who related to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for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invention gifted education through improvement of relevant problems. To this end, invention gifted education system and its operational status were analyzed, an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development plan and satisfaction level was conducted, targeting professionals related to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and teachers in charge of invention gifted education classes or gifted education cent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was greater than normal (M=3.0) in general, but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aterials',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human and material support system of support agencies',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 which requires expansion of the support. Second, it is necessary for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nd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to designate and establish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ion to play a key role in enhancing development and efficiency of invention gifted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t turned out that expectation and necessity of the specialized research agency was highly recognized. In particular, deman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method and material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materials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 training' was high among the key areas of the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ion. Third, teachers and professionals related to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responded that 'invention knowledge' in the areas of invention knowledge and thinking and 'entrepreneurship' in the area of invention attitude was somewhat low toward the question on the level of the 9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with invention talents which current beneficiaries of invention gifted education have, which leads to conclusion that review on the model for the selection of gifted children with invention talents as well a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nvention gifted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characteristics with low levels is required. If long-term development plans and initiatives are deduced based on this, an effective framework for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ifferentiated political visions and goals will be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master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 KCI등재

        장애예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 연구

        김동일(Dongil Kim),홍성두(Sungdoo Hong),박춘성(Choonsung Park)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1

        본 연구는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서 장애예술영재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을 조사하였다. 장애예술영재의 추정비율, 선별시기, 교육시작시기, 교육범주, 교육지원체제의 필요성, 핵심과제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 334명과 특수교육요구아동의 학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교사와 학부모들은 장애학생 중 장애예술영재의 비율은 약 1-5% 사이로 추정하고 있었고, 음악과 미술을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주요 범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개인사사제도를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해 필요한 핵심과제와 교육체제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예술영재 교육을 위한 전문교원 양성이 필요하고 교사 연수시 장애영재에 대한 이해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parent’s perception about disabled arts talented. W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disabled arts talented. The responses of 334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100 parent were analyzed for crosstabs. The finding were as follows: (1) teacher and parent estimated the rate of disabled arts talented were 1-5%; (2) They recognized music and fine arts were major educational subjects; (3) adaptive curriculum and individual tutor were core task and system of education for disabled arts talented; (4) we needed to train teachers for disabled arts talented and to teach the trait of disabled gifted to teachers.

      • KCI등재

        초등영재의 독립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이신동(Sin Dong Lee),김소연(So Yeon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 분야에서 시대적 변화에 따라 미래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반영하되, 영재의 심리적 특성에 적합한 STEAM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여, 독립연구능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재들에게 적합한 교수전략인 독립연구를 Ewha-STEAM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STEAM 프로그램은 5명의 초등영재들을 대상으로 소집단 단일대상연구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영재의 독립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STEAM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는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분석결과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차가 큰 영재집단에게 적합한 소집단 단일대상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을 중재한 결과 관찰자간 신뢰도와 중재 충실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초등영재의 독립연구능력 중 목표기술인 연구주제 정하기, 자료수집 및 분석, 산출물 계획하기 기술에서 효과적인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 본 연구는 영재들의 심리적 특성을 반영한 STEAM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개인차가 큰 영재집단에 적합한 단일대상연구 방식에 대한 시도에 연구의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STEAM program proper t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f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improving independent research skills. This program also aim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e for the future according to social demands. For this purpose, we develop STEAM program based on Ewha-STEAM convergence model for improving independent research skills. We applied this STEAM program on 5 gifted elementary students by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as valid which developing procedures of the STEAM program for improving independent research skills by analyzing of contents validity from expert group. Second the reliability of observers and fidelity of intervention was high as results of applying program by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s proper to gifted having a big individual difference. Third this program improved target skills of independent research skills effectively. This results suggest that a effective ways of developing STEAM programs based on gifted learn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 good attempt of single subject research in gifted education fields.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성 구인 비교

        박혜영(Hye-Young, Park),이신동(Shin-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자기조절학습능력 구인과과 영재성구인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영재성 구인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 및 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를 통하여 2003년부터 2014년 9월까지 발표된 자기조절학습 연구과 영재성 연구 중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성 구인 연구들을 추출하여 국내 25편, 국외 8편 총 33편을 분석하였다. 33편의 논문 분석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대표적인 영재성 이론에서 다루지 못한 영재성 구인들을 다루고 있어 영재성을 좀 더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영재성을 영재의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사회‧정서적 특성으로 보는 관점에서의 영재성의 구인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로 보는 관점에서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구인들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마지막으로 영재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거의 모든 하위 구인들에서 높게 나타남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영재성의 구인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ome implications whet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can be seen as a construct of giftedness by comparing and analyzing research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giftedness in terms of the constru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e constructs of giftedness. 25 domestic papers and 8 international paper published from January 2003 to September 2014 were screened by key wor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giftednes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does cover not only the components of giftedness, but also other components of giftedness, which menas it explains giftedness more comprehensively. Second, in the two points of view that giftedness is defined as cognitive, affective,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that the gifted hav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composed of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there are many common features between components of giftedness and ones of self-regulated learning. Finally, comparing gifted students with normal students, it is analyzed that the gifted have bett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almost all of the components, so it can be conclud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can be seen as a construct of giftedness.

      • KCI등재후보

        영재통합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이신동(Lee Shin Dong),홍종선(Lee Shin Do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2

        통합교육과정은 새로운 지식 창출, 인간의 전인적 발달 도모,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식 습득으로 인하여 영재교육에서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재통합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해 이론적으로 통합교육과정의 개념을 알아보고, 통합교육과정의 유형을 통합접근 방법, 통합 형태, 통합학습 요소, 학문관련 방식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영재통합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선행조건과 일반교육과정의 수정을 알아보았다. 그런 다음 기존의 영재교육과정 모형과 Van Tassel-Baska의 통합교육과정 모형을 살펴 본 뒤 교육과정 모형의 체제에 맞추어 목표, 구성 원칙, 내용, 평가를 알아보았다. 영재통합교육과정 모형의 목표는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심미적인 측면과 함께 학습의 내용, 과정, 산출 등 모든 내용을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구성 원칙으로 통합성은 지식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학습과 인격의 통합에 연결시켜야 하며 계열성은 교과서의 순서, 교사의 선호, 학문의 구조, 학습자의 흥미, 학습의 위계, 학습자의 발달을 고려해야 한다. 다음으로 내용 중 속진은 교과 요소를 통합하는 양적 접근과 요소들을 재조직하는 질적 접근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심화는 심리적․기능적 통합으로 실제 경험적인 활동과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평가는 학생의 수준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다음 단계의 학습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통합교육과정의 내용, 과정, 산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3 purposes. First, to review the concept and style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to find prerequisites for developing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and matters to be modified in general curriculum. Third, to review the general curriculum for gifted and the integrated curriculum by VanTassel-Baska then to find goals, principles of structure, contents and assessments for developing new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As a result, the defini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was suggested as that is a processing of organize or relate educational experiences or knowledges. Thus, styles of integrated curriculum was classified as approaches of integrated curriculum, forms of integration, learning elements for integration, ways of academic-related. Also the prerequisites for developing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were suggested as follows; set the goals and documented curriculum plan, needs assessment, systematical and financial support, and ready for expected numbers of registration. In modification of General curriculum for developing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were suggested as follows; contents modification, process modification, environment modification and product modification. Based on these, the goals of new model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suppose to be integrated with learning contents, process and product as well as cognitive, definitive, social and aesthetic. Above that, the principles for structure were suggested as integration and sequence. The integration should be realize relations with utmost knowledges which are changing by social context, then verification procedures need to be related to integration of learning and personality of learner. The sequence should be concerned about order of subjects, teacher preference, structure of study, learner's interests, hierarchy of learning and development of learner. The contents are divided into acceleration and enrichment. The acceleration aims to placement for above-grade level and credit load. The enrichment refers that activities which expanding depth and areas of particular contents. Finally, the assessment was considered into external factors (teacher, student, environment) and internal factors (validity, appropriateness, relevance, flexibility, practicality), content, process, and product to provide proper curriculum for level of learners, and learning for next level and feedback.

      • KCI등재

        좋은' 영재교사는 뭐가 다를까?

        이인호(In-Ho Lee),한기순(Ki-Soon Ha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2

        영재교육을 '잘'하고 있는 교사들의 사례를 통해 영재교육의 내부를 들여다봄으로써 현장에서 영재교육을 '잘'하기를 희망하는 교사들에게 나름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자 출발점이다. 중등영재교사 29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사가 갖추어야할 지적 정의적 자질에 대한 개방형 질문을 분석하여 범주화 하고, 이를 기준으로 '좋은' 중등영재교사를 추천 받는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으로 2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한 후 참여관찰, 심층면담, 인터뷰, 설문 등의 방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영재교사의 교직생활 특징을 내러티브 방식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 선정된 두 명의 '좋은' 중등과학영재교사들이 보이는 공통적인 특성들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좋은' 영재교사가 되기 위해선 시행착오의 시간이 필요하며, 영재교사 선정 시 현재의 전문성과 함께 발달 가능성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하며, 영재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학교 내 활동에 머물지 말고 영재 연수 및 연구회 활동, 다양한 과학 활동에의 참여를 권장해야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good' secondary gifted science teachers' characteristics through a narrative inquiry to provide some directions to teachers who want to create better environment for their gifted students. Twenty-nine secondary gifted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of open-ended questions on the intellectual and affective qualities that the teachers for gifted education are supposed to have. Snowball sampling method in which the survey answer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for the selection criteria was used to recommend two gifted teachers as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two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and analys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acher's school life. In addition,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good gifted teachers were described in detail.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become a 'Good' secondary gifted science teacher, he/she should undergo trial and error, and potential possibilities and affective qualities, not present professionalism, should be emphasized for the selection of the teachers for the gifted education. Also, gifted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be a member of a study group and participate in training programs and various academic activities outside th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