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학생의 영어 독해력 관련 변인 구조의 수정모형

        고운정 ( Woon Jung Koh ),이신동 ( Shin Dong Lee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이신동과 고운정(2013)의 연구를 근거로 일반 학생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 영재 학생들에게 필요한 차별화된 영어독해력 교육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찾아보았던 연구에서 제시된 구조모형에 기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연구의 구조모형에 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재학생들의 영어 독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보다 타당하게 설명할 수 있는 수정모형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영재학생들의 영어 독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일반 학생들과는 다른 경로를 통해 영재학생들의 영어 독해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영재학생의 영어 독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암기위주의 영어 어휘지식이나 선행학습을 기반으로 한 영어 문법지식 보다는 사교육으로는 개발되기 어려운 독해전략에 대한 초인지 자각과 영재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의 교육적 지원(비인지적) 및 국어 독해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영재학생의 영어 독해력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영재학생들의 영어 독해력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주는 변인은 국어 독해력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영재학생들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국어로 쓰여진 다양한 문학 작품을 많이 읽어야 하며 국어 독해를 잘하는 것이 곧 영어 독해를 잘하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본 연구는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Lee and Koh(2013) to reveal the path structure of related variable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gifted students. This study explored to represent correction model to find better fit model for gifted students.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was based on review of previous studies for regular students so this model did not show a satisfactory fit for gifted students. Therefore, related variables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of gifted students affect differently when we compare with regular students. Second, metacognitive awareness, which can not be developed by either rote learning or prerequisite learning, takes a major role in gifted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lso parents` educational support helps in maximizing giftedness of their gifted children.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variable had the most important role for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of gifted students. It shows that the key factor to improve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of gifted students is reading various Korean literature which will lead gifted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great English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 및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이신동(Lee Shin Dong),원재권(Won Jae Gourn),김기명(Kim Ki Myo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2

        본 연구는 Kolb의 4가지 학습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을 비교해 보고, 학습유형에 따라 교수방법 선호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교육청 2곳의 영재교육원 초등학교 수학ㆍ과학영재 학생 각60명, 일반 학생은 초등학교 2곳의 6학년 120명 총 24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학습유형검사ㆍ교수방법선호도 검사의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검사도구로는 Kolb(1999)의 학습유형검사(LSI), Renzulli, Rizza, & Smith(2002)의 교수방법 선호도 측정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학영재 학생과 과학영재학생의 학습유형은 차이가 없었으나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유형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동화적 학습자 유형을 제외한 발산적 학습자, 수렴적 학습자, 조절적 학습자 유형은 고유하게 선호하는 교수방법들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수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은 학습유형에 따른 교수방법 선호도에 차이가 없었으나, 과학영재 학생은 학습유형에 따fms 교수방법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유형이 서로 다르고 그에 따른 교수방법도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교실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습유형에 맞는 교수방법을 제공하여 교수적합성을 달성함과 동시에 교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각각의 학습유형과 교수방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earning styles of the mathematics gifted, the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by Kolb"s four learning styles, and ascertain how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become different by learning style. To achieve the purpose in this study, the four proposi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differences exist among the mathematics gifted, the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terms of learning style? Second, what differences exist in terms of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by learning style among the mathematics gifted, the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positions, this study targeted 60 elementary school-level mathematics gifted students, 60 science gifted students at gifted students education institutes, and 120 six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targeted a total of 240 students. For the learning style test used in this study, ""Learning Style Inventory (LSI),"" which originally presented by Kolb in 1976, but was revised anew in 1999, and was translated by Lee, Shin-dong (2005), was used. As a test to measure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Measure of Student Preference for Instructional Techniques,"" developed by Renzulli, Rizza, and Smith (2002), and translated by Lee Shin-dong (2005) was used. The confidence levels of the tests were good,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test responses was tested through a confidence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MANOVA, and Sheffe test was used for follow up test.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arning style of the mathematics gifted and the science gifted, bu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arning style of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divergent learners, convergent learners, regulated learners, except for assimilative learners, had their preferred instructional methods. Third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by learning style and gender between the mathematics gifted and general students. The science gifted students had different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by learning style, but the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on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by gender. In conclusion, the divergent learners and convergent learners are judged to be more active in learning activities and have higher learning motivation. Teachers taking charge of classroom teaching should provide instructional methods in line with such learning styles so as to achieve the adequacy of instruction, and draw maximum instructional effects. Those teachers also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of the relatively passive regulated learners and assimilative learners.

      • KCI등재후보

        지능과 창의성 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 및 성격 특성 비교

        이신동(Lee Shin dong),김기명(Kim Ki myo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2

          본 연구는 지능과 창의성의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와 성격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곳의 6학년 남녀 학생 15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능 검사ㆍ창의성 검사ㆍ학업성취 검사ㆍ성격특성 검사의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유기섭ㆍ이기우(2002)가 제작한 기초지능검사, 김영채(1999)가 편역한 한국판 TTCT검사, 이상로ㆍ변창진ㆍ진위교(1996)가 표준화한 성격진단검사, 2005학년도도 학력평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고지능 집단이 보통 지능 집단보다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 및 성격 특성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고창의성 집단과 보통창의성 집단 간에 학업성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지능과 창의성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 수준에서는 고지능-고창의성 집단이 수학교과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어, 사회, 과학, 전체학업 성적은 고지능-보통창의성 집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지능과 창의성의 수준에 따른 성격특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런 결과는 학업성취를 측정하는 문항들의 논리적 사고력 편중과 확산적 사고의 부족, 성격특성이 지능ㆍ창의성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한 무관심 등에서 찾을 수 있겠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업성취 측정 문항을 세분화하고 종합적 사고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문항의 개발과 아울러 그 동안 성격특성이 지능과 창의성을 적절히 설명해주고 있지 않다고 하여 이를 간과하기 보다는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심층적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personality traits by intelligence and the level of creativity and compared those things.<B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1 of boys and girls in 2 elementary schools and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of intellectual examination, creativity examination, academic achievement examination and character examination of 151 students. The test tools were the Basic Intellectual Examination copy produced by Lee Gi Woo and Yoo Gi Seop (2002), the Creativity Examination of Torrance for the standardized creativity test edited by Kim Young Chae (1999), the 2005 provincial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character diagnosis test survey standardized by Lee Sang Lo, Byun Chang Jin and Jean Wee Gyo (1996) for personality traits. The result of this study, high-intelligence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ersonality traits than normal-intelligence group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creativity group and normal-creativity group was appeared. I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by intelligence and creativity, high-intelligence-high-creativity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the attainment in Math. And high-intelligence-normal-creativity group had higher grade in Korean, society, science and whole records but in personality traits by the level of intelligence and creativity, high-intelligence-high creativity group showed higher tendency in sociality and responsibility was not significant. Those results can be found in the indifference of how the items measuring the academic achievement relate to the question items biased toward logical thinking ability, the lack of extensive thinking faculty, and personality traits etc. Consequently, to solve this problem, the items for academic achievement measurement should be specified and the test items that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y can be measured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it needs to make a deep effort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problems and to find the way which can use those in educational situation rather than overlook the problems because of the fact that personality traits can"t explain relationship to both intelligence and creativity.

      • KCI등재

        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습 유형 및 비판적 사고력 비교

        이신동(Sin-Dong Lee),박지희(Ji-Hee Park),이예경(Yea-Kyong Le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6 No.-

        본 연구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 유형과 비판적 사고력 기능 및 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영재 유형(인문영재, 과학영재, 수학영재) 간의 학습 유형과 비판적 사고력의 기능 및 성향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의 B초등학교 일반학생43명, N초등학교와 B중학교수학영재 63명, Y초등학교와 D초등학교 과학영재 53명, 교육청 소속 S대학교 인문영재 교육원 인문영재 50명을 선정하여 8주에 걸쳐 검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학습 유형 검사지는 Kolb가 1999년에 새롭게 개작한 자기보고식 학습 유형 검사를 이신동(2005)이 번역한 자료를 바탕으로 원재권(2006)이 사용한 검사 도구이며, 비판적 사고력 검사는 비판적 사고 기능 검사와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 학습 유형에 차이가 있었다. 일반학생은 조절적 학습자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영재학생은 수렴적 학습자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인문영재와 과학ㆍ수학 영재 간의 학습 유형에는 차이가 있지만, 수학 영재와 과학 영재의 학습 유형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비판적 사고력 기능과 성향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비판적 사고력 기능의 하위 요소인 '어떤 진술에 숨겨진 의미와 가정 확인하기'와 성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영재 유형(인문영재, 과학영재, 수학영재) 간의 비판적 사고력 기능과 성향에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학습 유형에 따른 비판적 사고력 기능 및 성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 and critical thinking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It addresses any inter-group differences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as well as intra-group differences among gifted students.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 43 non-gifted students from B elementary school in Cheonan, Chungchengnam-do; 63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from N elementary school and B middle school in Cheonan; 53 gifted students in science from Y elementary school in Cheonan and D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50 gifted students in literature from the gifted education center of S University in Asan. For the learning style test in this study, Learning Style Inventory(LSI),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Kolb in 1976 and revised in 1999, was used. Critical thinking ability was measured as it was divided into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test developed by Jung-Hee Yu, Kyung-Hee Kim and Sang-Ho Park(2002) was used.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test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test responses was tested through a confidence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and Scheffe test was used for a follow-up test.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collected data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ypes of learning style between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t was shown that a large portion of gifted students were convergent learners, while non-gifted students were accommodative learners in general. Second, the gifted in literature and the gifted in mathematics and in science had different learning styl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arning style of the gifted in science and the gifted in mathematic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 between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is was especially apparent from a subcategory of thinking skills, "Assuming the Hidden Meaning in a Statement," and a subcategory of disposition, "Systematization". Fourth, there was no signig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 among gifted students in each area of literature, science and mathematics. Finally, there was no distinc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 by learning style.

      • KCI등재
      • KCI등재

        영재와 평재 부모의 배경과 양육특성 비교

        이신동(Lee shin-do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2 영재와 영재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영재와 평재 부모의 가정배경과 양육특성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부모의 어떤 양육특성이 자녀의 영재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고 자녀양육에서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충북 C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에 다니는 4-6학년 학생들의 부모를 각각 115명과 충남 A시의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의 부모 115명을 무선으로 표집하였다.<BR>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영재와 평재 부모배경의 차이를 보면 영재의 경우 평재에 비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부모의 직업에 있어서도 전문직 종사자가 많았고, 월평균 소득 면에서도 평재의 가정보다 높았다. 둘째, 부모의 자녀학습관련변인을 보면 1일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에는 영재와 평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1일 평균 자녀의 학습지도 할애시간에는 아버지, 어머니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영재 아버지의 자녀학습지도 할애시간이 영재 어머니보다도 상당히 높았다. 셋째, 부모의 양육특성을 보면 창조, 통제, 좌절, 놀이, 교수-학습에서 영재 부모들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영재 아버지보다도 어머니의 양육특성의 평균들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영재 부모들이 평재 부모보다 좀더 자율적이고 아이들의 창의성 개발이나 함양을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배려하는 모습들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영재 부모들이 자녀와 함께 놀아주고, 자녀와 함께 놀 때 칭찬을 더 많이 해 주는 경향이 있고, 자녀의 교수-학습에서도 아이들의 학습에 관심이 많고 아이의 관심분야에 대해서도 알고 있고, 장기적인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에 관심이 많다. 영재 부모는 자녀와 함께 놀아주는 것뿐만 아니라 먼 장래나 인생설계를 하는 측면까지 전반적으로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special method of bring up the gifted children compared with general children. And, some of the methods of bringing up children are affected talents of children.<B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00 parents of general children and 200 parents of gifted children, selected by the random sampling method.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study were frequency, percentile,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utilizing the SPSSWI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at .05 level.<B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R>  First, Parents of gifted children were highly education, professionalist, higher income more than parents of general children.<BR>  Second, fathers of gifted children were concerned about children education and learning.<BR>  Third, It was that creativity. control, disappointment, playing, and teaching-learning among the style of the bringing up parents of gifted children were more than parents of general children.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ㆍ연수ㆍ배치에 대한 기준 설정 연구

        이신동(Lee Shin Dong),이정규(Lee Jeong Kyu),박춘성(Park Choo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1

          영재교육의 확대정책에 따라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연수?배치는 시급하고도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그리고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연수?배치는 명확한 기준에 의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그런데, 영재교육의 현 실태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근거하기 보다는 시?도별로 각기 다른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문헌연구와 영재교육을 우리보다 먼저 시작한 미국, 싱가포르, 이스라엘의 영재교육 담당 교원 양성ㆍ연수ㆍ배치 제도를 확인하고, 국내 실정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의 경우는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ㆍ연수ㆍ배치제도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기능하고 있지만 국내의 실태는 법적, 제도적, 실제적으로 미비한 점이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연수?배치제도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had two purpose. The first was to investigate to pre-teacher training, in-service training, and placement for the teacher of the gifted. The second was to develop a new standards for pre-teacher training, in-service training, and placement for the teacher of the gifted. For the purpose of this, we search the article for pre-teacher training, in-service training, and placement for the teacher of the gifted. For doing this, the researcher has set up the standards for teacher of the gifted.<BR>  As a result, provide a frame of pre-teacher training, in-service training, and placement for the teacher of the gifted in America, Singapore, Israel and South Korea. The result show that in korea, the gifted teacher pre-teacher training, in-service training, and placement has been different from local education office. The result also show that standards for gifted teacher was talents, cognition, emotion, environment, professional areas. Suggestions for the advanced research are argued in this paper.

      • KCI등재
      • KCI등재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동기조절, 행동조절 중심으로

        이신동 ( Shin-dong Lee ),박혜영 ( Hye-young Park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이 중학교 2학년이 된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이 자기조절학습의 구인인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95개교 2070명 의 중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과 동기조절, 행동조절과의 상관분석과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가정환경, 학교환경과 동기조절, 행동조절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는 자기조절학습의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을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 변 인 중 물리적 환경변인인 부의 최종학력 및 직업 그리고 가구연간소득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이 지각한 가정경제수준과 심리적 환경변인인 부모의 관심과 학대는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환경이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의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며 학습활동, 학교 규칙, 교우관계와 교사관계 모두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on self-regulated learning, focusing o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Participants are 2070 students from 95 middle schools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The variables of emotions,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and motivational regulation, behavioral regulation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were correlated with o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 Second, emotion explained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as well as home envi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All subvariables of emo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behavior control. Third, among subvariables of home environment,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s, and annual household income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However, home economic level perceived by students and parents’ interest and abuse on students had great effects. Forth, school environment has a greater explanatory effect on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Particularly, friendship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during learn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showed that emotion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learning environment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suggests the need for researches on these variables.

      • KCI등재후보

        영재학교 및 과학고와 대학과의 연계 현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

        이신동(Shin-dong Lee),이정규(Jeong-kyu Lee),최병연(Byung-yeon Choi) 한국영재교육학회 2011 영재와 영재교육 Vol.10 No.1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인 4개의 영재학교와 20개의 과학고등학교의 졸업생이 대학에 진학하게 되면 이공계 영재학생들을 일반학생과 동일 집단으로 구성하고 동일한 교육과정으로 가르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과정 운영은 학생 본인은 물론 국가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학교 및 과학고 출신 학생으로 종합대학교, KAIST, 포항공대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3명을 대상으로 영재학교 및 과학고와 대학과의 연계 현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내용은 연계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 고등학교 재학 중에 이수한 전문교과의 도움 여부, 조기졸업에 따른 고교 교육과정의 파행 운영, AP, UP, URP, R&E, HP 등과 같은 연계 프로그램의 유용성 등 이었다.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을 바탕으로 정부차원의 정책적, 행·재정적 지원체계 강화, 영재학교 및 과학고와 대학간의 인적·물적 교류 강화, 영재교육 연계 프로그램의 충실한 상호운영과 인증제도 도입 등을 중심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nnection between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and university. We surveyed 353 subjects university students who graduated from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They answered the questions about the various educational connection programs such as AP, UP, URP, R&E, HP.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following main methods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connection between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and university. First, political and economical supporting systems need to be established at governmental level. For example, government guarantees the credits between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and university, such as AP, HP, and R&E. Second, government encourage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and university to exchange the curriculum, teaching methods, and various resources. Third, university entrance system should revise for the students of gifted science academy/science high school. As students prefer the early graduation from high school, there are lots of problems in managing th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