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학회와 교육공학회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에 관한 연구

        김희배 ( Hee Ba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한국에서 교육공학 분야의 연구 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두 학회가 "교육공학회"와 "교육정보미디어학회"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두 학회는 이제까지 다양한 교육공학 이론의 소개와 실제적 개발 적용을 위해서 각각 20여년, 10여년의 학문적 역사를 가지고 활동해 오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정보미디어학회와 교육공학회가 어떻게 하면 상호공존하면서 호혜적으로 협력 발전해 나갈 수 있는지를 시론적으로 모색해보고자 한다. 두 학회가 걸어온 지난날의 모습을 재조명해보는 가운데 두 학회의 학문적 관심과 주요 활동을 비교 분석해보고, 그를 토대로 지금까지 수행된 주요 학문적, 실천적 성과와 반성을 통해서 두 학회가 각각 자기 정체성을 가지고 제 역할을 올바로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향후 두 학회가 학문적 동반자로서의 길을 함께 가는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 및 과제를 탐색하는데 본 논고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It is unquestionable that the two major societies,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and The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have been leading educational researches in Korea. They have been introducing theories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applying them to practical fields for 10 or 20 years.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obviously has founded the base in the history of educational technology, but both of them, in practice, have been contributed to academic results and official approvals. In considering the present ways of practice by the two societies, however, we educational technologists think that it is the time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each society and to find ou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future through cooperating each other.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to seek the theoretical ways for development of the two societies in co-existence. That is, it is to look back what they have contributed, to compare their major academic interests and activities, and to reflect their academic achievements. Furthermore, it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each society to perform its appropriate tasks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분류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유용성, 학습민첩성, 학업성취도의 차이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성은모 ( Eun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3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전략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21세기라는 시대적 사회적 학습의 흐름에 따라 스마트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형학습과 더불어 비정형학습이 보다 확산되고 변화하는 지식과 정보를 적시에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는 고등교육의 특성상 스마트미디어의 최적정 교육적 활용은 중요한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이를 위해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이 학습을 위해 스마트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는가를 분석하는 과제는 그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에서 학습을 위해 대학생들이 스마트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그 유형을 분류하고, 그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에 따라 스마트미디어를 인식하는 유용성, 지속적인 학습을 추구하는 학습민첩성, 그리고 대학교육의 교육과정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고등교육에서 대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 비교연구<sub>II</sub>’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746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미디어활용 유형은 ‘다기능 고활용형’, ‘정보활용형’, ‘학습 및 관리 도구 활용형’, ‘소극적 저활용형’ 등과 같이 네 개의 잠재계층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스마트미디어 활용 유형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유용성, 학습민첩성, 그리고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미디어 유용성과 학습민첩성에 있어서는 다기능 고활용형이 다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정보활용형이 다른 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이 스마트미디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대학교육에서 대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질을 향상사키기 위한 스마트미디어의 활용방안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types on smart media usag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mart media usefulness, learning ag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he latent classes of smart media usage in higher education. To address those goals, the data, the questionnaires of smart media usage, smart media usefulness, learning ag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collected from ‘A Study on Korean Youth Competency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I: IEA ICCS 2016’.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746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the types on smart media usage in university students with latent class were classified 4 classes such as Multiple high-using(class 3) Information using(class 4), Learning & management tool using(class 2), and Passive low-using(class 1). ANOVA was employ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mart media usefulness, learning ag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4 classes of smart media usage. As a result, the Multiple high-us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on smart media usefulness and learning agility. Also, Information us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other groups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some suggestions for strategical using the smart media in higher education were proposed at the conclusion.

      • KCI등재

        미래교육을 위한 교육정보미디어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담론

        김영환 ( Young Hwa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1

        최근 교정미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담론이 과거에 비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담론의 발전을 위해 본 연구의 목적은 근래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미래교육의 올바른 방향 규명을 위한 교육정보미디어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는 최근의 미래교육에 대한 담론들이 첨단정보와 미디어 위주로 심하게 왜곡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최근 교정미의 정체성에 관련된 논의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학의 동향, 정보미디어와 미래의 관계, 여러 정보미디어의 속성과 이들이 인간에게 주는 영향들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을 만을 바라보지 말고 교육전반을 추구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있는 담론을 형성해야 한다. 셋째, 이론적 연구는 물론 실천을 위한 실천학문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 넷째, 체험학습과 정보미디어를 연계시켜야 한다, 다섯째, e-러닝지상주의에서 벗어나 균형 잡힌 교육관을 이끌어야 한다, 여섯째, 다양한 교육실천가들과 함께 교육담론을 형성한다. 일곱째, 여타 정보미디어는 물론 교육방송에 대한 연구와 활동이 강화되어야 한다, 여덟째, 타 학회와 상대적 개념구분에서 벗어나 새로운 영역을 창조해야 한다. Fortunately, we are having more discussions to find the identity of KAEIM(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dia and Information) and we need more of them. Also, it would be very preferable to have more intensive and divergent discussions. In order to continue the discussions for the development of KAEIM,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tasks and roles of KEAIM for future education. Recently, there are some discussion on the future education, however, most of them focused on too much on the high technology and media to be a good discussion on the future education. This is a good time to check the issues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KAEIM, the trends of futur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future, and the effects of various media and information technology to find the role and tasks of KAEIM for future education. As a conclusion, eight guidelines were identified.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20년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손미 ( Mi Shon ),정주훈 ( Ju Hun Jeong ),김영환 ( Young Hwa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원격, 방송, 미디어활용 교육의 발전을 위한 학술활동을 지원하고 노력을 기울이는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에서 발간하는『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20년간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주제의 동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 주제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교육정보미디어연구』21권 4호까지 게재된 총 54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 변화를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로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3명의 교육공학 및 컴퓨터교육 계통의 연구자들이 편당 5개의 주요 주제어(Core Keyword)를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총 1,141개의 주요 주제어가 선정되었다. 빈도수 분석 결과, 지난 20년간 빈도수가 높았던 주요 주제어는 ‘이러닝’, ‘웹기반 학습’,‘학업성취도’, ‘상호작용’, ‘만족도’, ‘원격교육’ 등의 순이었다. 정부별 분석에서는 김대중 정부에서는 ‘웹기반 학습’, ‘교육방송’, ‘학업성취도’ 순으로, 노무현 정부 때는 ‘이러닝’, ‘웹기반 학습’, ‘학업성취도’ 순으로, 이명박 정부 때는 ‘이러닝’, ‘만족도’, ‘학업성취도’ 순으로, 박근혜 정부는 ‘학업성취도’,‘이러닝’, ‘협력학습’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부별 분석을 통해 ‘웹기반 학습’의 빈도수는 1위-2위-5위-62위 순으로 용어의 사용빈도수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원격교육’, ‘사이버수업’, ‘리터러시’ 등의 용어 사용빈도수는 급격히 낮아졌고, ‘협력학습’, ‘몰입’, ‘인지부하’, ‘스마트교육’, ‘SNS’등의 용어 사용빈도수가 매우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용어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론할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정부별 빈도수 상위 주요 주제어들 간의 중앙성 및 관계를 파악하여 가시화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the last 20 years and finding futuristic issues of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we analyzed 545 articles from the Journals which published a total 21 books and 4 volumes in 2015. A total of three researchers selected five major core keywords while reading all of the summaries of the papers. After all, it was possible to select a total 1,141 keyword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keywords are ‘e-Learning’, ‘web-based learning’, ‘learning achievement’, ‘interaction’, ‘satisfaction’, ‘distance education’. By the criteria of government,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keywords are as follows: 1) Kim Dae-Jung: ‘web-based learning’, ‘educational broadcasting’ and ‘learning achievement’ 2) Rho Moo-Hyun: ‘e-Learning’, ‘web-bas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3) Lee Myung-Bak: ‘e-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4) Park Geun-Hye: ‘learning achievement’, ‘e-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These results show some meaningful outcomes. First, the frequency of ‘web-based learning’ has declined accordingly: 1st-2nd-5th-62nd. Second, the following keywords frequence have also significantly declined - ‘distance education’, ‘cyber class’ and ‘literacy’. Third, the frequency of keywords such as ‘cooperative learning’, ‘flow’, ‘cognitive load’, ‘smart education’ and ‘SNS’ has increased. These outcomes clearly show a changing tend and terms used in education. Lastly, while using network-text analysis, it was possible to present the median and relationship amongst the keywords of each government.

      • KCI등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권성호 ( Sung Ho Kwon ),박선희 ( Sun Hee Park ),유숙영 ( Sook Young Ry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은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더 나아가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우선, 창의성 및 미디어 교육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창의성 정의와 요인을 찾아내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 방법을 조사하였다. 유아들의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미디어 교육 방법은 미디어에 노출, 미디어 작품 감상, 미디어 내용 분석, 미디어 제작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창의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학습활동으로 언어 및 신체 표현, 그리기, 만들기, 역할놀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는 유치원 교사 2인이 참여하였다. 분석과 설계 단계에서는, 서울 S유치원 6~7세 유아 16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즐겨보는 비디오 프로그램과 주제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유아의 관심 주제에 따른 교수자료와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적용과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7세 20명에게 적용하여 관찰 결과에 따라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10개의 주제로 구성된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개발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하여 세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은 각각의 미디어가 갖고 있는 특성들을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심리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들이 직접 미디어 제작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이를 통해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media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Through examining literature we derived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and analyzed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media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learners. Second, we derived design principles of a media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creativity based on eight factors. Finally, we developed a media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based on the designed framework. The framework of this program is focused on drawing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that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lready have. The factors can be extracted when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re exposed to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and movement in the media. And children learn to appreciate media works, discuss their thought with friends, and produce thei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ccording to the diverse features of media that more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econd,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based on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Third, the media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allow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ir own media.

      • KCI등재후보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조사 연구

        박석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교사들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재인식과 더불어 학생들에게 미디어를 통한 최적한 학습조건과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교사의 미디어 시설 환경과 교사들의 일상생활에서 미디어에 대한 활용도 및 학교생활에서 활용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한 연구결과와 조사결과에 의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중등, 고등학교 모든 학교, 학급에서 인터넷이 사용 가능하며, 컴퓨터를 활용하게된 이유는 수업 및 공무처리에 활용하기 위해서 활용하며, 컴퓨터 조작이나 프로그램 조작이 어려울 때 주로 동료에게 묻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수업에서 교재로서 활용하는 신문기사는 사회면이 많으며, 교재로서 활용하는 TV프로그램은 EBS교육방송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EBS교육방송프로그램의 수업 활용 여부에 대한 대답에서 활용한 적이 없다라는 대답이 많이 나타났다. 셋째, 일상생활과 하교생활에서 컴퓨터 활용 여부는 문서작성 및 전자메일 등의 통신을 위해서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앞으로 교사들이 요구하는 미디어교육은 비디오 편집과 교재 작성 및 학습자원의 공유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간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들에게 수업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미디어 교육의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신문활용수업(NIE)에 대한 활용안내 및 연수가 필요하며, EBS교육방송국에서는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그리고 교사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방송프로그램을 제작하여야 할 것이며, 교육방송프로그램 활용수업에 대한 안내 및 연수를 하여 교육현장에 교육방송프로그램의 활용을 극대화활 필요가 있다. 셋째, 일상생활과 학교생활에서 여러 가지 미디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미디어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비디오 편집, 그림이나 사진의 가공, 홈페이지 작성 등에 대한 미디어교육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the media literacy of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1. All teachers in an elmtary, secxlndary and high school are allowed to get an excess to internet. 2. 82% of than say that the reason of using computers is for class and official matters. 3. 84% of them say that they ask help from their c~IIeagues when they have difficulty using compukrs. 4. 580/0 of them say that they feel a pain of eyes when they use corqmters. 5. 43%f them say that they use society sections of daily newspapers. 6. 45% of them say that they watch EBS TV programs. But 76% of them say that they don t use EBS TV programs in class. 7. 97% of them say that they use coxnp~~ters for E-mail and communications with others in orchnary life. And 38% of them say that they need video editing and TV programs. 8. 56% of them say that they use computers for E-mail and communications with others in school life. And 74% of them say that they want to use computers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SWOT 분석을 통한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발전 전략 연구

        신승용 ( Seung Young Shin ),이문호 ( Moon Ho Lee ),김상연 ( Sang Yon Kim ),이신희 ( Shin Hee Lee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자 SWOT 분석을 시행하였다. SWOT 분석은 해외 사례 분석과 전국 713명에 이르는 교사와 각 시도 교육청별 교육정보 공유체제 관리자를 중심으로 한 설문과 협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해외 사례 분석을 위해 iTunes UK-12외 6개에 이르는 주요 교육정보 공유 사이트들의 우수사례를 교육정보 수집, 공유 분배 등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고, 교사와 관리자 중심 설문과 협의회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정보 공유체제를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를 근거로 현행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 및 개인 미디어의 확산, 소셜태깅기술의 대두를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개선 기회요인으로 제시했고, 저작권에 대한 낮은 인식과 수동적 교육정보컨텐츠 소비층, 중앙집중적 교육컨텐츠 관리방식을 위협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안정적 확산을 위해 기술의 변화와 더불어 개방, 공유, 소통 및 참여의 키워드 수용, 콘텐츠의 일방적 제공, 관리체제에서 공유와 협력으로의 인식 전환, 콘텐츠 증가에 따른 원활한 소비 유통을 위한 저작권 문제 등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SWOT analysis for the purpose of seeking a developmental strategy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Korea. SWOT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survey and consultation centering around analysis on the foreign cases, 713 teachers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administrators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roughout the nation. As for the analysis of foreign cases,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n the excellent cases of 6 main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ites including iTunes UK-12 in accordance with phases of collection, sharing and distribution and analyz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and conference conducted focusing 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drawn from the foregoing, this study produc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Meanwhile, this study suggested expansion of digital textbook and personal media, and the rise of social tagging technology as opportunity factors for improve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but suggested low understanding of copyright, passive consumers of educational information contents and centralized management method of educational contents as threat factor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opening, sharing, cooperation and acceptance of participatory keywords, unilateral supply of contents, conversion of understanding from management system into sharing and cooperation and the problem of copyright for smooth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contents tasks to be solved on the preferential basis for stable expans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 KCI등재후보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 프로토타입 개발

        권성호,신영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웹에서 미디어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이다. 웹 기반 미디어교육의 설계를 위하여 구성주의 인식론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과정을 중시하는 탐구기반학습을 교수-학습의 원리로 하여 미디어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환경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살피고, 설계 원리와 전략,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토타입은 미디어 제작과 분석이 탐구를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미디어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제작에 대한 직접적 경험과 성찰, 전문가 모델링을 이용한 성찰로 지속적인 사고를 하는 탐구순환과, 협력활동과 개별지식구성이 이어지면서 지식 구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웹에서의 다양한 자원들을 이용하면서 활동을 위한 비지시적 안내를 통해 학습자들이 주체적으로 미디어를 사용하고 다양한 시각을 접하면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프로토타입은 앞으로 웹기반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에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totype of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WBLE) for media education. The necessity of media education is increasing in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where learners' abilities to use media is strongly demanded. Media education is to develop media literacy, which means that learners can evalu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media in a critical mind and communicate and express their ideas in creative ways. In the media environment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media education must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et space so that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and people's expectation for educational effects result in high demands for Web-based media education.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media education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position of constructivism. Seeing from the posi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vides learners with learning materials and tools so that they can study by themselves what they want to learn. The Web has potential by nature for realizing learning environment fit for constructivism.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prototype of WBLE for media education, taking inquiry-based learning on the basis of constructive epistemology as the learning principle in designing WBLE for media education. The design principles of WBLE on the basis of inquiry-based learning promote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inquiries and reflections on direct experiences, and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Finally, learners are guided in resource utiliz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and given directions of learning. This study developed WBLE prototype for media education that determines and reflects design strategies in consistency with the design principles of WB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education and inquiry-based learning. The developed prototype of learning environment includes 'media room' containing elements related to learning activities, 'collaborative room'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my room' related to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Learners' asynchronous communication, learning materials and results, and resources and links in 'resource room' , which are managed in DB, provide diverse types of information to learner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learning through underlying guidance in 'information'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developed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set topics for inquiry, collaborative to produce media expressing the topics, and manage learning process and schedule by themselves. They continue to reflect through expert modeling while acquiring information about how to produce media from 'media producing process' in 'media room' and analyzing existing media products in 'media inquiry' , and on the other hand, they engage in cyclic inquiry through practicing producing and exchanging influence and develop media literacy. This study proposed WBLE for media education, but it must be improved and complement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future. First, there should be a plan to induce and motivat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Second, the operation,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learning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developed learning environment. Third, experimental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by refining the prototype into an actual system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 분야의 연구 동향과 과제

        허희옥 ( Hee Ok He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2

        이 글은 국내의 교육정보미디어연구 분야의 성과를 알아보고 미래 발전을 위한 과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우선, 교육정보미디어 연구의 성과는 전문학술지의 연구논문과 전국규모 학술대회의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이 분야는 명칭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대부분의 연구가 미디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적성·처치 상호작용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가 대체로 미시적 제한적 관점으로 분석되고 이해되었다면,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거시적인 연구 관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현대 철학의 주류를 이루는, 대립적 이원론의 통합과 매체해석학적 관점을 소개하고,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같은 새로운 미디어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근대철학을 바탕으로 제기되었던 대립적 이원론이 자아와 세계, 주체와 객체, 이론과 실제 등의 분리된 관점을 중심으로 현상을 이해했다면, 현대 철학은 이러한 이원론의 통합을 주장하면서,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교정미 연구가 거시적 총체적 관점으로 현상을 해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또 다른 발판을 마련할 것이다. 또한, 매체에 대한 연구의 동향과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속성을 논의하면서 교정미 연구의 현주소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현시적인 안목으로 고민해 볼만한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in the era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EIM) based on the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from 1995 through 2005. The 90% of EIM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media bas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al settings, which means educational media research is considered as a main theme in EIM. More specifically, most educational media research generally adopts microscopic perspectives to analyze and to interpret its findings in EIM, which is focused on the effects of media on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subject-matters` features. The main target audience is in k-12 and university levels. It indicates that EIM research takes deep considerations on various research paradigms and target audiences in terms of its aims and new educational demand. For further directions of EIM research, some post-modern conditions on human, knowledge, media are introduced. Cur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start from the denial of such dualism as self-world, subject-object, body-mind, theory-practice etc., and provide the unified perspectives about them. Informations-hermeneutics also indicates various interpretation about media, human, and world in the macroscopic, holistic approach. Moreover, new media such as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should be considered for further studies in EIM. Finally, several considerations on the future directions on EIM research are suggested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 KCI등재

        예비교사의 교육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한 e-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

        심미자 ( Mi Ja Shim ),설양환 ( Yang Hwan Sol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1

        정보공학의 발달은 교사들에게 교육정보 활용 능력과 테크놀로지 스킬을 요구하고 있다. 이미 선진국 대학들은 현직 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신장과 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e-티칭 포트폴리오이다. 이 연구는 예비교사의 교육정보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e-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하여 교육실습에 적용,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 보다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e-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유형, 개발 과정, 교사교육에서의 효과성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 분석과 선행연구 고찰, 외국 대학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육실습생이며 e-티칭 포트폴리오를 공동 개발하여 교육실습에 적용,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e-티칭 포트폴리오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정보화 능력과 테크놀로지 스킬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흥미롭거나 도움이 되었던 내용으로는 동료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협력학습의 기회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교육실습 활동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인쇄매체기반 실습록과 비교하여 e-티칭 포트폴리오의 장점은 다양한 수업자료 활용, 정보의 접근성과 보관성, 자료 축적 및 수정 작업의 편리성, 디지털 자료의 활용성, 다음 실습에 연속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반면, 단점으로는 컴퓨터 활용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의 거부감, e-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장비 및 시설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even teachers are being required to acquire technological skills and the ability to use educational information. At many universities in advanced countries, various programs are already being developed and carried out to enhance the information literacy of in-service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and refurbish their professionalism, and one such program is e-teaching portfolio. In this study, as a way of enhancing the student teachers` ability to use educational information, we asked student teachers to develop an e-teaching portfolio and apply it to student teaching in order to find out its effectiveness, and we aimed to present a more effective program of using e-teaching portfolio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that first, e-teaching portfolios were shown to help enhance the student teachers` educational information literacy and technological skills, and aid them in their self-reflection. Second, what was most interesting was that they gave student teacher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collaborative learning with their peers through the work of developing a portfolio together. Third, the most difficult was shown to be building the web site within a limited time, due to lack of prior-knowledge, and creatively developing it without any set design template. Fourth, e-teaching portfolios were shown to be better than traditional paper-based teaching journal in that their information and material sharing allowed more various teaching materials to be used. And they had information access, easy information sharing, convenience of material accumulation and editing work, allowed use of digital materials, convenience of storage and transfer,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continuously in the following teaching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