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비 교사교육에서 도서관 활용 수업의 실행 효과 분석 - 국어과를 중심으로

        황기웅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1 초등국어과교육 Vol.28 No.-

        본 연구는 도서관 활용 수업의 개념과 적용 방향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고등교육기관인 교육대학의 초등 예비교사 교육의 일환으로 국어과교육에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서관 활용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여 실행하며, 그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도서관 활용 수업을 초등 예비교사 교육 차원에서 전반적으로 확산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활용 수업의 개념을 협의의 차원에서 도서관 정보 활용 교육을 강조하여 ‘교과 교사와 사서 교사가 교수·학습활동의 설계부터 실천까지 동등한 관계에서 협력하여 교과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교도서관의 시설, 자료, 서비스 등의 자원을 활용하는 교수·학습활동’으로 정의한다. 광의의 차원에서 도서관 이용 교육, 도서관 독서 교육, 도서관 정보 활용 교육을 모두 포함하여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해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수·학습활동의 총칭’으로 정의한다. 이어 도서관 활용 수업의 유형, 효과, 활성화 방안을 이론적으로 모색하여 도서관 활용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실행 효과 분석 결과 도서관 활용 수업 콘텐츠 이해도와 도서관 활용 수업의 실천 의지 영역 모두 높게 나타났다. 특히 도서관 활용 수업의 실천 의지 중 도서관 이용 교육을 실시해야겠다는 응답이 91.2%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의 도서관 활용 수업을 국어과뿐만 아니라 교과교육 전반과 심화교육 전반으로 점진적으로 확산해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교사교육에 필요한 초등학생용 도서의 구입과 별치도서실 확보가 시급하다.

      • 초등국어교육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의 혁신 사례연구 ― 학생의 배움과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마중물 ―

        이지선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2 초등국어과교육 Vol.29 No.-

        다가올 미래는 4차 산업혁명의 시기이다. 기술로 인한 사회적 격차는 지금보다 더 심해질 것이다. 교육은 기술로 인해 벌어진 사회적 격차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일을 해야 한다. 하여 교육기관의 ‘변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직 교사의 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교사의 역할과 역량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독서토론논술교육’교육과정과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아동문학과 문해력전공’교육과정 사례를 통해 미래 사회 대비 교사재교육 교육과정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한국교육개발원 OECD Education2030 프로젝트 참여연구 결과 보고서와 2019년 광주교육대학교 정책연구 보고서에 기반하여 본고를 정리하였으며, 실제 대학원에 진학중인 동료교사의 생각을 조사했다.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초등국어교육” 전공은 “독서토론논술교육”으로 전공명을 변경하면서 교육과정의 재구성까지 함께 이루어냈다.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아동문학과 초기문해력” 전공은 대학원교육과정과 교사연수를 기획하는 교육기관과의 협력관계를 맺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두 교사 재교육 기관의 변혁은 대학원이 당면한 과제 해결을 모색한 결과다. 본고에서 제시한 과제 해결의 과정을 공유하여 더 나은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2009 개정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

        김재혁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初等敎育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2014년 3, 4학년부터 실시될 예정인 2009 개정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과 교과서가 아직 출판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해서 이 연구는 현재 시행중인 2008 개정 교육과정의 정책 연구학교 운영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하였다. 이 정책 연구학교 운영은 2009-2010 기간에 수행되었는데, 본 연구자가 참여한 이 연구는 매우 방대한 자료를 담고 있어서 교실 수업 적용의 측면에서 일부 내용을 선정해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사실 2008,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기본 틀을 공유하고 있다. 이 두 교육과정은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시수, 평가 등에서 핵심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2008 개정 교육과정 운영으로부터 새로운 개정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도 유의미한 일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16개 초등학교에서 교사 307명, 학부모 1,916명, 학생 2,087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및 면담 분석으로부터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주제어: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영어

      • 초등학교에서의 개별악기 지도의 단계적 접근 방법 : 제7차 교육과정의 권장악기를 중심으로 Centering around the recommended instruments in the 7th curriculum

        박상하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3 初等敎育硏究 Vol.17 No.2

        The goal of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make students experience music and experiencing music means experiencing rhythm, time, melody and harmony of music through the mental and physical movement of student. That is, the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ims to form a desirable personality and develop creativity through music as well as playing simple musical instruments and enjoying music. Therefore, the harmonized personality should be made and the basic culture to be a desirable democratic citizen should be cultiva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latent musicality and creativity based on the various musical experiences. In particular, the education of instrumental music accompanies the muscular and motor sense as well as audible and visual functions and also has more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experiencing music than singing, writing and appreciating. The purposes of teaching instrumental music are to satisfy the man's desire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improve their ability to play them and develop their playing skills. Since the period from childhood to elementary school is the most sensitive period, it is difficult for us to develop great musical ability beyond this period and the period of elementary school reveals more remarkable cognitive and music educational features compared to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 Then if a gradual approach through the programs of the appropriate level is given, students' musical 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Do teachers give what kind of experiences 개 students with what purposes and process', researches the various methods that students who were isolated from learning music can participate in music education by giving them an interest in music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uitable to their level and developmental stage, seeks the gradual ways to t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 to play musical instruments effectively and then obtains the following conclusions of gradual approaches of teaching musical instruments. 1. Since the students in lower grade like to imitate and have non-abstract thinking, guidance by concrete musical instruments and textbooks was effective and the praise of their trivial behaviors could achieve a great educational effect. Since they have developed large muscle than small muscle, it was more effective to make guidance of using waist, knee, shoulder, arm and leg and teachers must select, organize and teach educational contents suitable to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by considering their psychology, interests and educational side. 2. Since the guidance of students in middle grade must consider individual gaps and ensemble guidance is possible, ensemble guidance after teaching the basic skill should be focused, singing after listening, reading books and playing the instruments should be cultivated and the sense of melody and harmony should be developed. 3. Since the guidance of students in higher grade must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logical thinking and the possibility of independent learning, ensemble guidance should be done. Since they have a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between man and woman, the guidance suited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male and female students is required and since their weight and chest are developed and have good breathing condition and wide musical range, teachers must seek a suitable teaching method. In addition, the basic guidance to play the various musical instruments should be don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opportunity to express should be given to them. For these,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must invest in music education, schools must establish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for the future and support teacher's musical training and school management to present the vision for future music education and support for music teachers are very urgent.

      • 교육실습지도의 제 관점 및 재구성을 위한 과제

        오정란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初等敎育硏究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spectives on coaching student teaching and identify the tasks for its reconstruction. Positivisim, inquiry, and critical theory were reviewed in terms of shedding light on the problems as well as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current coaching student teaching. Although they gave us some specific strategies for the efficient coaching student teaching, they have not suggested alternatives which adequately apply to various kinds of teaching-learning situations faced by cooperating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Reflective perspective was introduced as bases for transformation of the current coaching student teaching. On the basis of reflective perspective, three strategies for reconstruction of the coaching student teaching were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reconstruction of the coaching student teaching should be based on supportive relationships with equal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ooperating teacher and student teacher; second, it should be built upon equal role and relationships between cooperating teacher and student teacher; lastly, it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dialogue and conscious reflection.

      • 제7차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효율적인 교실수업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 3·4학년을 중심으로

        김영현,조초희,김재혁,선규수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初等敎育硏究 Vol.17 No.-

        This study has dual aims: one is to explore some theories and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nglish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for 3rd and 4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other is to develop efficient materials for teaching English to them depending on the 7th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EFL classroom. The former includes (1) the understanding of the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children's language acquisition processes, (2) some problems of elementary English language teaching according to applying the 7th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to the classroom, and the teaching methods of the spoken language, (3) the models of teaching English to 3rd and 4th graders in the elementary classroom, and some strategies for planning English lessons and teaching based on them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to the classroom. The latter contains some effectiv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which can help the teacher to teach English to 3rd and 4th graders, especially, using the target language, so-called,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 초등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의 국어자료 분석 :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해리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0 초등국어과교육 Vol.27 No.-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에 제시된 국어자료를 매체의 종류와 언어 사용 목적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초등학교 매체교육의 이해제고와 필요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7차 교육과정에서 현재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과 6학년 교과서를 범위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6학년 국어교과서의 매체단원을 선정하여 국어자료를 두 가지의 기준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국어 자료 본래의 매체나 혹은 자료를 제공하는 매체의 종류를 기준으로 하여 국어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자료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향후에도 학습자의 흥미유발이나 이해력 제고를 위해 영상자료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새로운 정보검색매체로‘스마트 폰’이 등장하였다. 셋째, 조사한 내용이나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발표하기 위한 매체를 탐색하고 발표하는 활동에서는 글과 그림, 사진 뿐 아니라 영상, 프레젠테이션 등의 점차 다양한 시각자료들이 제공되었다. 또 언어 사용 목적의 기준으로 국어자료를 분석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7개정 교육과정까지 모든 매체 단원의 국어 자료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나 담화, 영상, 그림, 사진이 전부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서 다양한 언어 사용 목적(정보 전달, 설득, 친교·정서표현)이 나타남은 물론 학생들에게 보다 친숙한 주제의 국어자료가 제공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과서 속 매체 교육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 향후 국어교과서에 매체 관련 국어자료를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조사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 C.G.에디터 '그림판'을 활용한 초등 그래픽디자인 교육 연구 : 표현영역의 수업지도안과 현장 적용사례 제시 중심으로

        손연석,우선화,이명옥,신명순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1 初等敎育硏究 Vol.16 No.1

        The change of design situ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recent communication means requires a change of design education and using computer in design education is very natural phenomenon, and most of design works are performed on computer screen which is cyber space. Considering such a change and requirement of the times and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in art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s compulsory and the application of computer should be started from the concept of 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That is, as 'crayon' and 'mud' are the object of art education, it is not to teach 'computer' but to us it as the means in expressing children's self and its technique and it is desirable that C.G. is applied to the various areas as the instrument to help the children's expression rather than its introduction as independent expression area at elementary art education, but this study limits the range of research to computer application to graphic design of design area (decorating and making) which is assumed to be effective in its uses based on the figurative features of C.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eaching guide and field application cases of expression areas as the learning method using 'picture board' of C.G. editor of Hangul window which children can access and use easily as an alternative for elementary graphic design education using computer media correspon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n it expect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the cases presented in this research and it plays the role of guide for teachers assisting textbook research.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use of computer induces children to participate and concentrate on class by enhancing their interest in class in the process of motivation and the class applying design process achieves the effective art class escaping from function centered teaching method of computer and children who don't like art class use the various functions easily and have joy and confidence by making a work in cooperative relations with classmates. Most of children learn the basic functions and elements, and basic knowledge of design through design process and makes the works of high perfection by using colors and shapes suitable to topic. In conclusion, children can approach the use of C.G. in graphic design education of elementary design area and in its learning effects, it has reverse func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media, but since it can interact with learners according to program contents and offer 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learner's development level and cognitive ability, it confirms the potential to achieve the learning effects by inducing children's interest and concern in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