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 구축을 통한 친환경소비 활성화 방안 연구

        곽소윤 ( So-yoon Kwak ),신정우 ( Jungwoo Shin ),이동현 ( Donghyun Lee ),강선아 ( Suna Ka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사업보고서 Vol.2016 No.-

        친환경 구매 촉진을 위한 정부의 다양한 정책이 수립·추진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친환경소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친환경 제품에 대해 추가적인 지불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여전히 실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친환경소비 현황을 진단하고,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 구축을 통해 친환경소비 확산의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친환경소비 지표를 제안하여 국내 친환경소비 현황을 진단하였으며,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바탕으로 수집된 거시적인 친환경소비 지표 자료와 설문을 통해 수집된 친환경소비 행태에 대한 미시적 자료를 통합하여 친환경적 태도-행동 불일치성이 발생하는 의사결정 단계와 저해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기반의 검색어 쿼리를 이용한 친환경지표와 기존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새로운 지표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제안한 친환경소비 지표를 바탕으로 국내외 13개국(한국 포함)의 친환경소비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의 경우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3년간 친환경소비 수준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안된 지표를 활용하여 2004년부터 2015년까지 12년간 주요 13개 국가의 친환경소비 수준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파악한 결과, 의료비 지출수준과 65세 이상 인구비중은 친환경소비에 저해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초등 이전 교육기간이 길수록, 미래지향적인 사람일수록 친환경소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의사결정 단계의 선택이 그 다음 의사결정 단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태도변화를 인지-관심-구매의사의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친환경 제품을 생활밀착형제품, 가전제품, 친환경자동차의 제품군으로 구분하고 친환경 세제, 무세제 세탁기, 하이브리드/전기 자동차를 각각 제품군별 대표 제품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제품별 저해요인/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친환경 세제의 경우, 제품 관점에서 실제 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제품 대신에 친환경 세제를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다는 제품의 호환성 측면을 강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특성 관점에서는 이용후기 등에 대한 정보와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정보전달 방법보다 친환경 세제 구매행동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특성 관점에서 보면, 헤도닉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들을 타깃으로 한 제품 판매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세제 세탁기의 경우는 제품 관점에서 실제 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의 호환성 측면을 친환경 세제와 동일하게 강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복잡성의 경우는 소비자의 행동 단계에 음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체 특성 관점에서 살펴보면 전문성을 갖춘 정보들이 구매행동을 높이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단계별 영향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의 인식 단계는 정서 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정서 단계가 행동 단계에 음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태도-행동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자동차의 경우는 제품 관점에서 실제 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의 상대적 이점과 호환성에 대한 부분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관점에서는 다양한 정보전달 방법 중에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오히려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특성 관점에서 보면, 기능적 혁신성과 인지적 혁신성이 오히려 전기 자동차 구매행동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단계별 영향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의 인식 단계는 정서 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 단계가 행동 단계에서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활용한 친환경 제품별 분석결과는 소비자, 제품, 매체의 관점을 고려하여 의사결정 단계의 저해요인들을 파악하였으므로, 향후 해당 관점에서 친환경소비 활성화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government has bee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for promo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While it was surveyed that consumers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and are willing to pay extra for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still only a few have done so.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omestic consumption and suggest policy improvements by identifying the obstacles to the sprea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To that end, the study diagnosed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omestic consumption by proposing a new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index, and developed the environmental attitude-behavior model. Using the data gathered from a survey, it identified the decision-making stages with discrepancy betwee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and behavior occurs and found out the deterrent factors, and derived the policy measures to mitigate the probl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ecured the reliability of the new index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index using the big data-based keyword query and the existing indices.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ev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of 13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based on the proposed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index, South Korea showed an average level, but the lev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started to be reduced for the past 3 yea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of major 13 countries for 12 years from 2004 to 2015 using the proposed index, the level of health care spending and proportion of population of 65 and over citizens were the deterrent factors to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a longer preschool education period and more future-oriented people were identified to be the positive factors to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Second, given the influence of what was chosen in the previous decision making stage on the next decision-making stage, the study developed an attitude-behavior model after dividing the changes in consumer attitude to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into the stages of recognition, interest, and purchasing intention. The study categorized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into the product groups of lifestyle-oriented products, applianc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utomobiles; selected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detergent-free washing machine and hybrid/electric car as the representative products by product group; and analyzed the deterrent factors/determinants by product after collecting data from a survey. In the case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it wa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that it is not inconvenient to use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instead of the existing detergent products in order to improve practical consumption behavior from the aspect of the product.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it was helpful to provide reviews and reliable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purchase behavior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rather than other ways to provide information.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it show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product sales strategies that target the consumers with high hedonic innovativeness. In the case of the detergent-free washing machine, it was required to emphasize the aspect of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to the same extent to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to practically improve consumption behavior from the aspect of products. When the products have complicated functions and difficult instructions, the products had negative impacts on the behavior stage of the consumers and the professional information played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purchase behavior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the consumers with high functional innovativeness tended to have lower purchase behavior on the detergent-free washing machine. In terms of the impacts by decision-making stage of the consumers, the recognition stage did not have impacts on the emotion stage but the emotion stage di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behavior stage, occurring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ttitude and behavior. In the case of the electric cars, it was needed to emphasize the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to practically improve consumption behavior from the aspect of the product. In terms of the impacts by consumers` decision-making stage, the recognition stage of the consumers did not have impacts on the emotion stage while the emotion stage did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s on the behavior stage. The analysis by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 using the proposed attitude-behavior model identified the deterrent factors of the decision-making stages, given the perspectives of the consumers, products and medium. Therefore, it is expected to use the analyzed results as a basic resource to establish the polices to promote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in the future from the applicable perspective.

      • Geometrically flat hyperlens designed by transformation optics

        So, Sunae,Rho, Junsuk IOP 2019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Vol.52 No.19

        <P>Here, we present a geometrically flat hyperlens that can still magnify and transfer sub-wavelength objects to the far-field. The flat hyperlens is designed using the transformation optics approach, which transforms the virtual space of the cylindrical coordinate into the physical space of the trapezoidal coordinate. We also suggest the possible design of two alternating multilayers by using an effective medium approximation. The sub-wavelength magnification using the designed flat hyperlens is numerically demonstrated. Such a flat hyperlens has great potential for practical application by solving many problems of conventional curvilinear hyperlenses arisen from their geometries.</P>

      • Overcoming diffraction limit: From microscopy to nanoscopy

        So, Sunae,Kim, Minkyung,Lee, Dasol,Nguyen, Duc Minh,Rho, Junsuk Informa UK (TaylorFrancis) 2018 Applied spectroscopy reviews Vol.53 No.2

        <P>The advancement of super-resolution imaging technologies has significantly extended microscopy to nanoscopy, making it possible for the study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at the length scale that is much smaller than the wavelength of light. However, challenges still remai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high-resolution devices for real-time imaging of living cells in cost effective ways. In this review, a small number of super-resolution microscopic techniques, which we call nanoscopy, are classified by their working principles. Not only is fluorescence microscopy such as stochastic optical reconstruction microscopy (STORM) or photo-activated localized microscopy (PALM), stimulated emission depletion (STED), and 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y (SIM) reviewed in detail, but also label-free microscopy whose functions are originated from nanostructures such as micro-curvilinear lens, disordered media, super-oscillation, and metamaterials. Comprehensive discussion includ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nanoscopy is followed.</P>

      • Simultaneous Inverse Design of Materials and Structures via Deep Learning: Demonstration of Dipole Resonance Engineering Using Core-Shell Nanoparticles

        So, Sunae,Mun, Jungho,Rho, Junsuk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9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Vol.11 No.27

        <P>Recent introduction of data-driven approaches based on deep-learning technology has revolutionized the field of nanophotonics by allowing efficient inverse design methods. In this paper, a simultaneous inverse design of materials and structure parameters of core-shell nanoparticles is achieved for the first time using deep learning of a neural network. A neural network to lear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tinction spectra of electric and magnetic dipoles and core-shell nanoparticle designs, which include material information and shell thicknesses, is developed and trained. We demonstrate deep-learning-assisted inverse design of core-shell nanoparticles for (1) spectral tuning electric dipole resonances, (2) finding spectrally isolated pure magnetic dipole resonances, and (3) finding spectrally overlapped electric dipole and magnetic dipole resonances. Our finding paves the way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nanophotonics by allowing a practical utilization of deep-learning technology for nanophotonic inverse design.</P> [FIG OMISSION]</BR>

      • 생태주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교육 연구 분석

        변소영 ( So-young Byun ),유선아 ( Suna Ryu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4 No.1

        인간 중심의 자연 지배적 사고를 내포하고 있는 ‘환경’이라는 말 대신에 인간을 자연의 일부로 보려는 ‘생태계’라는 말을 사용하면서부터 대안학교에서는 자연환경의 보호에 대한 각성과 함께 인류 문명에 대한 근본적 반성을 하는 교육을 실현하고 있다. 생태주의는 삶과 사회, 인간과 자연, 역사에 대해 지금과는 다른 태도와 자세를 가지고 있으며, 본질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교육이념이다. 이런 맥락에서 대안학교의 과학교육은 삶과 사회, 세계와 인간, 역사를 어떻게 보며 더불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결정하는 전체과정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n ecological approach to education, which emphasizes human beings as part of a natural ecosystem, in contrast with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s as dominants of natur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lternative school attempts to reflect the relation between human civilization and nature critically, and helps students appropriate the need of protecting natural environment from this ecological view. Namely, ecologicalism is an educational philosophy that builds the attitude toward life, society, human beings, nature, and history. Ecologicalism helps students find themselves as part of nature, instead of positioning themselves as the ruler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is context, science education in alternative schools focuses on teach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how to live and socialize, how to view the world, human and history, and how to live together.

      • KCI등재

        창문이 크고 천장이 높은 카페를 좋아하시나요?

        라선아(La, Suna),김지호(Kim, Gho),이준영(Lee, June-Young),김소연(Kim, So-Yun) 한국마케팅학회 2018 마케팅연구 Vol.33 No.4

        현대 한국 소비자에게 카페는 일상적인 ‘제3의 장소’(the third place)로 각광받고 있으며, 카페 매장 수와 이용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카페라는 공간이 일상의 여행지로 떠오른데는 많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본 연구는 카페의 물리적 서비스 스케이프 요소 중 건축 설계 요소인 천장과 창문이 유발하는 크고 탁 트인 느낌에 주목하였다. 건축학, 환경학 계통에서는 이를 ‘지각된 공간감’(perceived spaciousness)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지각된 공간감은 거주자나 이용자에게 쾌적함, 공간만족,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는 카페 공간의 천장 높이와 창문 유무가 카페 공간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공간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공간감이 소비자의 정서 및 카페에 대한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Study 1에서는 심층인터뷰를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카페 공간의 요건 및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카페 선택의 주요 결정요인이 창문과 천장 등 건축적 특성임을 확인하고, Study 2에서는 천장 고/저 및 창문 유/무의 조건이 결합된 4가지 유형의 카페 공간 이미지를 제작하여 피험자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창문이 없는 것보다는 창문이 있는 카페가 지각된 공간감을 높이고, 높은 천장은 창문이 있는 조건에서만 지각된 공간감을 높인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각된 공간감이 카페 공간의 지각된 매력도를 증가하고, 지각된 매력도가 카페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호의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과정은 ‘순간 행복감’(momentary happiness)에 의해 부분매개 되었다. 본 연구는 비건축적 요소에 집중된 서비스 스케이프 연구의 범위를 건축적 요소로 확장하였고, 마케팅 분야에서 거의 연구된 바 없는 ‘지각된 공간감’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상업공간에 대한 소비자의 감각적 체험 순간을 포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공간의 감각적 체험인 ‘지각된 공간감’이 ‘순간 행복감’을 경유하여 카페의 매력도와 카페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연구결과는 제3의 장소가 된 상업공간인 카페를 체험마케팅 관점에서 긍정적인 감각적 체험과 정서적 체험의 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공간의 건축적 요소를 어떻게 설계하고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 외 이론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Cafés have become a world-wide phenomenon of ‘the third place.’ One of the possible reasons the current study proposes is the spatial attributes of a café which make it different from the first (home) or the second (work place) places. Most existing studies on servicescapes have focused on non-architectural elements. There is little research on architectural elements of a café-scape. To fill the void of past research,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a ceiling and windows in the space of a café. We adopted the construct of ‘perceived spaciousness’ which had been widely examined in recent architectural studies and environmental behavior studies. ‘Perceived spaciousness’ is defined as ‘a visitor’s or a resident’s impression on the openness and extensiveness of a given space.’ The literature indicates that perceived spaciousness affects people’s pleasure, space satisfaction, and quality-of-life. In-depth interviews of Study 1 discovered that a ceiling and window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a café. Study 2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 high(3.3m)/low(2.5m) ceiling with big glass windows/no window condition by using professionally created images of a café.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paciousness, momentary happiness, perceived attractiveness of a café-scape, and consumer’s attitude toward a café were examined by using multiple mediation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consumers felt more spacious in a café with big windows regardless of ceiling height. A higher ceiling is effective in increasing perceived spaciousness only when windows exist. Also, perceived spaciousness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attractiveness of a café-scape and then consumer’s attitude toward a café via the partial mediation of momentary happiness during his/her stay in the café. The current study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how consumers’ sensory experiences of a space converts to a spatial perception, emotional and attitudinal responses. The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by suggesting the ‘perceived spaciousness’ as one of the key factors to create place happiness to customer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소비자의 행복한 공간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소비자장소 경험의 진화 모형 도출

        라선아 ( La Suna ),김지호 ( Kim Gho ),이준영 ( Lee June-young ),김소연 ( Kim So-yun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5

        본 연구는 인간의 존재방식 및 삶의 질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공간’을 소비의 대상으로 보고, 소비자가 행복감을 느끼는 공간경험의 본질과 과정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행복한 공간경험에 대한 소비자의 실제 경험을 기록한 에세이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총 38건의 에세이 내러티브를 수집하여, 부정적 경험을 표현한 3건을 제외한 35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소비자의 공간-장소 경험의 진화 모형’을 도출하였다. ‘공간(space)’은 아직 의미를 부여받지 못한 물리적 범위에 불과하나, 소비자가 공간을 경험하면서 의미를 부여함에 따라 ‘장소(place)’로 재탄생한다. 소비자는 특정 공간에서 ‘장소감’을 느낀 후 그 장소를 개인화, 인격화, 내면화하는 과정을 거쳐 ‘장소애착’을 형성한다. 애착을 느끼는 장소에 장소동일시, 장소소속감, 장소주인의식을 갖게 되면서 장소충성도가 형성된다. 장소충성도는 그 장소를 위한 소비자의 (과잉)상호호혜적 보답행동이나, 장소경험을 재생산 및 의례화하려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소비자의 장소행동은 장소의 보존과 번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과정에서 소비자는 ‘장소행복감(place happiness)’을 얻게 되는데, 이 행복감은 소비자의 장소경험 사이클을 추진하고 강화한다. 장소는 나름의 수명주기를 가지며, 소비자 요인 및 외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 장소변질이나 장소소실이 발생하면 소비자는 장소소외감과 장소노스탤지어를 느끼게 되어 대안장소에 대한 추구행동을 보인다. 요컨대, ‘소비자의 공간-장소 경험’은 역동적 진화과정으로, 소비자의 삶의 질과 행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장소감’ 형성의 요건으로 ‘현장’, ‘사람’, ‘이벤트’의 장소 3요소를 적용하여, 소비자 공간-장소 경험의 본질과 과정을 심도 있게 분석하며, 소비자 공간경험을 위한 체험마케팅 믹스로 기존의 5믹스인 감각, 정서, 인지, 행동, 관계 차원에 기억, 문화의 두 차원을 추가한 체험마케팅 7믹스를 제안한다. 또한, 공간 내 사람요소의 중요성을 반영한 ‘소비자장소의 사회적 생태계’ 모형을 도출하였고, 기존의 공간분류 모형도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행복 연구의 광활한 지평에서 ‘공간’과 ‘경험’이 겹쳐질 때 창출되는 ‘소비자장소’의 가능성을 여는 데 공헌하였고, 민간기업과 공공부문에서 소비자행복을 높일 수 있는 공간계획과 운영에 기초자료로 참조할만한 시사점도 제공하고 있다. The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substance of consumer experience of ‘place happiness’ by adopting the perspective that ‘space’ is one of consumption objects in modern world. Space is considered as a factor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way of human existence and quality of life. For data collection,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that would describe the real consumer experience of a space which rendered feelings of happiness to him/herself. Thirty-eight essays were collected including three negative episodes which were eventually eliminated on the final stage of narrative analysis. The analysis provided an comprehensive model that showed a dynamic process of consumer space-place experience over time. Space is defined as a meaningless geological spatial area, but once it is given a meaning by a consumer, the space is converted to a place. A place is a new version of a space, which means a rebirth of the space. When a consumer feels a sense of place and goes through processes of place personalization, place personification and place internalization, the consumer develops emotional attachment to the specific place. As the consumer begins to develop place identification, place belonging, and place responsibility toward the specific place that he/she feels emotionally attached to, place loyalty burgeons. The essence of place loyalty is characterized by (over)reciprocity, place reproduction and place ritualization. Loyal behaviors may play a positive role in preservation or prosperity of the place, and also create the consumer’s place happiness. Place happiness reinforces a positive cycle of consumer place experience. A place follows its own life-cycle, which could be affected not only by the consumer factor but also by the other factors from outside. Some places become deteriorated or lost over time, which might cause consumers feel place alienation or place nostalgia. If a consumer feels alienated from the existing place or feels nostalgia for the lost place, a new cycle of consumer space-place experience will be initiated, which is triggered by consumers’ searching efforts for an alternative place. In sum, consumer space-place experience is a dynamic cycle which affects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of the consumer. The study provides in-depth analysis on three elements of place, that is, loci, people, and event, by presenting related narrativ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a framework of seven dimensions of experiential marketing mix for creating happy experience of consumer place: senses, feeling, thinking, activity, relation, memory and (sub)culture. Also, the study proposes a model of social ecosystem in consumer place and an extended model of space typology. The study contributes to consumer happiness research and yields implications to management of consumer place across private and public sector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consumer-place evolution dynamics shown in < Figure 1 >. This picture demonstrates the holistic process of how a space creates a place to a consumer and evolves to place happines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place.

      • Electrically tunable metasurface perfect absorber for infrared frequencies

        Yoon Gwanho,So Sunae,Kim Minkyung,Mun Jungho,Ma Ren-Min,노준석 나노기술연구협의회 2017 Nano Convergence Vol.4 No.36

        We theoretically investigate a metasurface perfect absorber based on indium-tin-oxide as active material. Our design scheme relies on conventional metal–oxide–semiconductor model and the Drude model. Inducing a voltage into the device causes a blue-shift of 50 nm in the reflectance spectrum in the infrared region. The total thickness of the device is only 3.5% of the working wavelength λ = 2.56 μm, and the rate of reflectance change reaches 5.16 at λ = 2.56 μm. Because the material that we use has advantages of easy fabrication and fast response, our design approach can be used for numerous applications on active plasmonic sensors and fil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