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SCIE

        Age-specific findings on lifestyle and trajectories of cognitive functio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Seungju Lim(Seungju Lim),Eunyoung Yoo(Eunyoung Yoo),Ickpyo Hong(Ickpyo Hong),Ji-Hyuk Park(Ji-Hyuk Park) 한국역학회 2023 Epidemiology and Health Vol.45 No.-

        OBJECTIVES: Few longitudinal studies have explored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factors and cognitive decline. This study investigated lifestyle factors at baseline that slow the longitudinal rate of cognitive decline in young-old (55-64 years), middle-old (65-74 years), and old-old (75+ years) individuals. METHODS: We conducted an 11-year follow-up that included 6,189 older adults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hich is a cohort study of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s. Lifestyle factors, including physical activity, social activity (SA),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were assessed at baseline.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at 2-year intervals over 11 years. Latent growth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influence of lifestyle factors on the rate of cognitive decline differed by age. Smoking at baseline (-0.05; 95% confidence interval [CI], -0.11 to -0.00, per study wave) accelerated cognitive decline in young-old individuals, whereas frequent participation in SA at baseline (0.02; 95% CI, 0.01 to 0.03, per study wave) decelerated cognitive decline in middle-old individuals. None of the lifestyle factors in this study decelerated cognitive decline in old-old individuals. CONCLUSIONS: Cognitive strategies based on modifiable lifestyle factors such as smoking cessation in young-old individuals and frequent SA participation in middle-old age individuals may have great potential for preventing cognitive decline. Because the influence of lifestyle factors varied by age group, age-specific approaches are recommended to promote cognitive health.

      • KCI등재

        Concurrent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Core Stability Test Using Ultrasound Imaging and Electromyography Measurements

        Seungju Yoo,Nam-Gi Lee,Chanhee Park,Joshua (Sung) Hyun You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021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Vol.28 No.3

        Background: While the formal test has been used to provide a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ore stability, studies have reported inconsistent results regarding its test-retest and intra-observer reliabilities. Furthermore, the validity of the formal test has never been established. Object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concurrent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formal test. Methods: Twenty-two young adults with and without core instability (23.1 ± 2.0 years) were recruited. Concurrent validity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uscle thickness changes of the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transverse abdominal muscle to changes in core stability pressure during the formal test using ultrasound (US) imaging and pressure biofeed-back, respectively. For the test-retest reliability, muscle thickness and pressure changes were repeatedly measured approximately 24 hours apart. Electromyography (EMG) was used to monitor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the formal test. Results: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n excellent correlation between trans-verse abdominal thickness and pressure biofeedback unit (PBU) pressure as well as internal oblique thickness and PBU pressure, ranging from r = 0.856–0.980, p < 0.05.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goo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1,2) = 0.876 for the core stability pressure measure and ICC1,2 = 0.939 to 0.989 for the abdominal muscle thickness measure. Conclusion: Our results provide clinical evidence that the formal test is valid and reliable, when concurrently incorporated into EMG and US measurements.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조직 역할 확대 : 역능적 행위자성과 제도적 논리를 중심으로

        유두호(Dooho Yoo),유승주(Seungju Yoo)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역할 확대를 추동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늘어가는 사회적 난제(wicked problem)의 대안으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이들에게 요구하는 책임과 역랑 또한 크게 증대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 역할 확대에 주목하여, 기업의 내적·외적 요인의 영향력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특히, 제도주의 조직론(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에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역능적 행위자성(empowered actorhood) 개념을 사회적 기업에 적용하여, 제도적 논리(institutional logic) 변화의 흐름에 조응하는 조직의 행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증가된 자발적 행위자성은 기업의 역할을 확대 시키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융합 추구라는 제도적 논리의 변화에 조응하는 기업일수록 역할 확대를 시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추가적으로 영세한 조직이 많은 사회적 기업의 생태계 특성을 반영하여 조직규모에 따른 분석을 시도한 결과, 조직규모가 10인 미만인 사회적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한다고 인식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며, 여타 사회적 기업을 통해 발현되는 상대적 행위자성이 높을수록 역할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인 이상인 사회적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의 주체로 인식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며,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융합을 추구할수록 역할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행위자성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여 사회적 기업에 적용하였다는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정보의 비대칭적인 상황 속에서 사회적 기업이 무리한 목표설정 보다는 기업 내부의 역량과 여건에 부합하는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실무적 함의와 함께 행위자성을 끌어올려 스스로의 역할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정책 설계와 상대적 행위자성이 발현될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의 지위 확인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driving the expansion of the roles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As an alternative to the growing wicked problem, interest in social enterprises has increased, along with the responsibilities and challenges they deman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xpanding the roles of social enterprises whileattempting to capture the influ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particular, it applies the concept of empowered actorhood, which is actively discussed in institutional institutionalism, to Korean social enterprises in order to explain the behavior of organizations in response to the flow of changes in institutional logic.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ed actors became a leading factor in expanding the roles of firm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mpanies that pursue social value and economic value are trying to expand their roles. This study can suggest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newly defining the concept of actors for application to social enterprises. In addition, the study has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social enterprises should set goals that conform to internal capabilities and conditions rather than excessive targets set in the context of asymmetrical information, as well as the need to design policies that enable enterprises to expand their roles and establish a system for identifying the status of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협소 거주공간 재실자 특성 및 화재위험성 분석

        Changwoo Lee,Seungju Oh,Juyoul Yoo,Jinsung Kim,Ahra Cho,Yongsun Cho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협소거주공간에 대해 이해하고 대표적인 협소 거주공간인 고시원, 노래방 등에 대한 설문 및 실태조사와 과거 관련 사고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협소 거주공간의 화재 위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시원과 노래방은 업종 특성상 구획된 실의 밀폐되고 복잡 한 통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노래방의 경우 지하층에 위치하여 있어 화재 발생 시 환기 및 배연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피난로가 복잡하여 제한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고시원은 독립적이고 폐쇄적인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화재 진압에 큰 어려움을 가지 고 있다. 그러므로 협소 거주공간의 구조물 특성에 적합한 소방설비의 설치와 특수한 구조 적 형태 및 환경에 적합한 특수 장비(화원 탐지, 요구조자 구조 등) 및 화재 진압 전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ire risk and survey of narrow dwelling space(the Karaoke, Gosiwon etc). The narrow dwelling space has spec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the narrow and the complex escape rote. Gosiwon have very separate and exclusive space room, so have the problem a suppression of fire. Furthermore almost Karaokes located in basement have a complex and limitary escape rote. Therefore we should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exploration equipment that search a source of the fire and a emergency rescuer in the scene of the fire.

      • KCI등재후보

        AmorePacific Corporation: Innisfree in the Chinese Market

        Sujeon An(안수전),Seungju Lee(이승주),Yona Kwon(권연아),Soui Bang(방소의),Sohee Lee(이소희),Sinyoung Gong(공신영),Sumin Yoo(유수민),Seungho Choi(최승호)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22 신산업경영저널 Vol.40 No.1

        동적 역량이란(Dynamic Capability) 예측할 수 없이 빠르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내부 및 외부 기능을 통합하고 구축할 수 있는 기업의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기업 경쟁 우위(Competitive advantage)의 중요한 원천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화장품 회사인 아모레퍼시픽의 여러 브랜드 중 중국 시장 내에서, 가장 큰 실적 부진을 마주 이니스프리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역동적인 비즈니스 환경에 더욱 효과적으로 기업이 적응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이니스프리가 중국 시장 내에서 마주한 전략적 이슈를 완화할 수 있는 전략으로서 동적 역량(Dynamic Capability)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Dynamic Capability is the ability of a company to integrate and build internal and external capabilities in an unpredictably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t is a significant source of sustainability, enabling a firm’s continuous survival and helping achieve better performance in a dynamic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case in the representative Korean Cosmetic company - AmorePacific. AmorePacific’s tremendous sales are dependent on China, but recently they failed to sustain their competitive advantage in China and faced sluggish on its sales. Among AmorePacific’s cosmetic brands, our study focuses on Innisfree, which failed to follow up on rapid changes in the Chinese cosmetic market and faced striking damage. At the same time, our study suggests emphasizing the need for Innisfree to adapt more effectively to the dynamic business environment in China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ynamic Capability as a strategy.

      • KCI등재

        협소 거주공간 재실자 특성 및 화재위험성 분석

        Lee, Changwoo,Oh, Seungju,Yoo, Juyoul,Kim, Jinsung,Cho, Ahra,Cho, Yongsu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협소거주공간에 대해 이해하고 대표적인 협소 거주공간인 고시원, 노래방 등에 대한 설문 및 실태조사와 과거 관련 사고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협소 거주공간의 화재 위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시원과 노래방은 업종 특성상 구획된 실의 밀폐되고 복잡한 통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노래방의 경우 지하층에 위치하여 있어 화재 발생 시 환기 및 배연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피난로가 복잡하여 제한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고시원은 독립적이고 폐쇄적인 공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화재 진압에 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협소 거주공간의 구조물 특성에 적합한 소방설비의 설치와 특수한 구조적 형태 및 환경에 적합한 특수 장비(화원 탐지, 요구조자 구조 등) 및 화재 진압 전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ire risk and survey of narrow dwelling space(the Karaoke, Gosiwon etc). The narrow dwelling space has spec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the narrow and the complex escape rote. Gosiwon have very separate and exclusive space room, so have the problem a suppression of fire. Furthermore almost Karaokes located in basement have a complex and limitary escape rote. Therefore we should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exploration equipment that search a source of the fire and a emergency rescuer in the scene of the fire.

      • KCI등재

        정부 혁신의 방향과 범위 분석

        정솔 ( Sol Jeong ),주혜린 ( Hyelin Joo ),유승주 ( Seungju Yoo ),손선화 ( Sun Hwa Son ),엄영호 ( Young Ho Eom ),유나리 ( Nari Yoo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20 국가정책연구 Vol.34 No.4

        정부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직의 관리 과정과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에서 혁신을 추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정부 혁신이 어떤 방향과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미래 정부가 추구하는 상(像)으로 지능적, 민첩한, 글로벌 대응 정부의 세 가지 혁신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UN의 정부기능분류를 활용하여 혁신의 기능적 범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행정안전부 정부혁신 1번가에 제시된 중앙 및 지방정부, 공사·공단 등 246개 기관의 514개 우수혁신사례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혁신 방향은 민첩한 정부와 관련한 사례가 가장 많았고, 기능은 일반 공공행정 및 사회 보호 분야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향후 혁신 정책의 방향과 기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으며, 혁신의 내용이 정부의 조직과정 및 공공서비스의 질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는지와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government seeks innovation in both the product and management process of the organization to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emerging social problem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rection and scope of innovation in the Korean public sector, through analyzing the innovation cases re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is article uses "the image of the future government," which is developed by Institute for Future Government, to analyze where government innovation orient to,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functions of government(COFOG) for categorizing the functional scope of the cases. The former index consists of intelligent government, agile government, and globally-minded government. The data are 514 best innovation practices in 246 government agencies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presented on Government Innovation 1st Avenue. The research found that most governmental organizations become agile government, and the innovations mostly occur in the field of general public service and social security. This study can help public managers to design the innovation in public policies, specifically regarding their directions and functional area. However, this analysis leaves questions about the actual effect of these innovations on the improvement in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