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한 청년의 단시간 공해노출과 일회성 운동이 폐기능과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민주(Min-Joo Kim),이대택(Dae-Taek Lee),송국섭(Gook-Sup Song),방승기(Seung-Ki Pang) 한국생활환경학회 2015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2 No.1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 acute exercise during a short-term exposure to a polluted environment affected pulmonary func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healthy young adults. Thirteen men (mean = 22.4 yrs) were randomly exposed to a polluted air (PA) or to clean air (CA) in a chamber. During the exposure, they rested for 30 min followed by a bench stepping exercise (40 cm height, 120 bpm) for 10 min. And they recovered from the exercise for 15 min in the chamber. The pulmonary function, heart rate, blood lactate,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during the exposure. At the end of 30 min resting, 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 was higher in PA than CA. Immediately after the exercise, forced expiratory volume at 1 sec (FEV1) was higher in PA than CA. At 15th min of recovery, forced vital capacity, FEV1, and PEF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 than CA. No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and blood lactate responses were noticed. The results suggest that an acute intensive physical work out with breathing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duced changes of pulmonary function but not physiological adjustments.

      • 시판복분자 딸기 열매의 탄니 화합물

        방근철,김민선,이민원 중앙대학교 약학연구소 1996 약학 논총 Vol.10 No.-

        Rubi Fructus(Korean name : Bog-bun-ja) has been used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as the remedies for impotence, pollution, premature ejaculation and frequency of urination etc. By means of chromatographic methods, three hydrolyzable tannins were isolated from the commercial Rubi Fructus.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stablished as gallic acid, pedunculagin and sanguiin H-6 on the basis of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s.

      • 내화도료 도포량에 따른 NLT의 내화성능 평가

        김민정 ( Min-jeong Kim ),방성준 ( Sung-jun Pang ),안경선 ( Kyung-sun Ahn ),김지용 ( Ji-yong Kim ),오재원 ( Jae-won Oh ),황성욱 ( Sung-wook Hwang ),이태경 ( Taekyeong Lee ),방준식 ( Junsik Bang ),여환명 ( Hwanmyeong Yeo ),곽효원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본 연구는 강구조에서 사용하는 내화도료가 도포된 못으로 접합된 목재(Nail-laminated timber, NLT)의 내화실험을 실시하여 NLT에서의 내화도료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시편마다 내화도료의 도포량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도포량에 따른 성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시편은 기계등급 E10의 국산 낙엽송 제재목(36 x 890 mm) 15개와 낙엽송 합판(24 x 890 mm) 14개를 교대로 접합한 형상(876 x 890mm)이다. 또한 탄화 속도 저지 효과와 더불어 제재목과 합판의 10mm 깊이 차이를 두고 합판에 내화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목구조가 가지는 미적강점을 유지하는 형태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시편의 내화도료의 도포량을 1mm(Type1), 2mm(Type2), 3mm(Type3, 이론 도포량)로 다르게 제작하였고 내화실험은 표준온도곡선(ISO834)를 따라 실시하였다. 목재는 화염 노출 이후 탄화층 외의 잔존하는 단면이 구조적 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기 때문에 시험이 끝난 후 잔여 깊이를 측정하여 탄화속도를 계산하였다. 평균 잔존 단면 길이는 Type1 시편의 58.77mm, Type2 시편은 59.71mm, Type3 시편은 60.5mm이며 탄화속도는 각각 0.68mm/min, 0.67mm/min, 0.66mm/min으로 낙엽송 제재목의 1면 탄화 속도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 The Research on Cooperative Ability of Technology and Finance in Western China based on ANP-FCE Model

        Pang Min,Wu Jing,Li Yuton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u- and e- Service, Scienc Vol.8 No.7

        With the steady economic development in the western region of China, technology and finance has gradually become the inevitable choice of adjusting economic structure and maintaining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the premise o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and finance in western area, this article constructed the index evaluation system of cooperative ability of technology and finance and conducted in-depth research on collaborative ability of technology and finance in the west region of China using ANP-FCE model, and put forward relevant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o accelerate the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enhance collaboration ability of technology and finance in western area.

      •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thropology on the Korean Residents During the Old Chosun Period

        Pang, Min-Kyu(방민규)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1 유라시아문화 Vol.4 No.-

        한반도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의 인골 자료들에 대한 체질인류학적 연구에서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즉, 청동기시대에서 현대의 한국인에 이르기까지 높이·길이 지수의 높은 머리형과 위 얼굴 너비·길이 지수의 가운 얼굴형이고, 그 외의 지수(指數)들도 현대 한국 남자에 이르기까지 어느 정도 이어져 오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고조선 시기와 관련해 중국 동북지방 출토 머리뼈들이 다른 주변 집단들에 비해 한반도 출토 머리뼈들과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청동기시대의 머리뼈는 신석기시대의 머리뼈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신석기시대 이후 청동기시대를 거치면서 한반도 주민들의 대표적인 체질인류학적 특징들로 형성되었다고 판단된다. 고조선 주민들의 체질인류학적 특징은 요녕·하북 지역에서 출토된 머리뼈의 높이는 한반도와 길림지역에서 출토된 머리뼈보다는 높으며, 현대 한국 남자의 높이와 차이가 없다. 그러나 머리 길이·높이 지수에서 볼 때, 요녕·하북 지역 그리고 한반도에서 출토된 머리뼈들은 모두 현대 한국인처럼 높은 머리를 나타낸다. 반면에 현대 중국인과 일본인들은 가운 머리를 지니는 것으로 보아 높은 머리는 고조선 이래로 한반도 주민들의 머리뼈에서 보이는 가장 두드러진 체질인류학적 특징을 나타낸다. 그러나 길림성 지역과 한반도에서 살던 주민들은 현대 한국인처럼 짧은 머리를 지닌 높은 머리임에 반해, 요녕성 지역 출토 머리뼈들은 주로 긴 머리에 높은 머리를 지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하북성 지역에서 출토된 머리뼈는 현대 한국 남자와 매우 가깝다. 고조선 시기 요녕성·길림성·하북성 지역 및 한반도에서 거주했던 주민들은 모두 높은 머리의 특징을 보여주며, 현대 한국인들과 형태상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만, 고조선의 강역에 대한 논란이 있고, 출토된 인골 개체의 수가 불충분한 상태에서의 비교분석이라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 체질인류학과 유전학 그리고 고고학 등 인접학문 등과의 연계된 연구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고조선 주민과 현대 한국인의 특징이 좀 더 분명하게 나타날 것이다. A number of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in anthropological studies of the Bronze Age human skeleton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other words, from the Bronze Age to modern Koreans,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index are the high head shape, the width and length of the upper face are the middle face of the index, and the other indices are somewhat continuous to modern Korean people. In particular, the skulls excavated from northeastern China during the Old Chosun Period are closer to those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an other neighboring groups,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characterized by anthropological features of the Korean people throughout the Neolithic Age.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thropology in Old Chosun resident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cranial bones excavated in Liaoning and Habuk provinces, and they are no different from those of modern Korean people. However, according to the cranial length and height index, the cranial bones excavated in Liaoning and Habuk province areas and the Korean Peninsula all represent high cranial bone like modern Koreans. On the other hand, the modern Chinese and Japanese have the most prominent physical and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since Old Chosun. However, while the residents of Gilim province and the Korean Peninsula have short cranial like modern Koreans, the cranial bones excavated in Liaoning are different in that they usually have long and high cranial bones, and the cranial bones excavated from the Habuk province area are very close to modern Korean people. Residents living in Liaoning, Gilim, and Habuk provinces during the Old Chosun Period all show high-head characteristics and do not differ much in form from modern Korean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of comparative analysis when there is a controversy over the strength of Old Chosun and the number of human bones excavated is insufficient. Therefore, research related to physical anthropology, genetics, and archaeology should be conducted comprehensively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러시아연방 바렌츠해·카라해 연안 소수 원주민의 치아인류학 특징

        방민규 ( Pang Min Kyu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1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바렌츠해·카라해 연안 소수 원주민의 치아 자료를 토대로 치아인류학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 종족집단은 3개 그룹인 네네츠(Nenets), 코미(Komi-Zyryans), 오비-우그리아(Obi-Ugria) 이다. 연구대상 자료는 주보프(Zubov)의 분류기준을 따랐으며. 6-23세의 조사대상 중에서 이상적인 12-16세 대상자들을 조사하였다. 오른쪽 위턱치아들과 영구치을 상대로 총 9개 항목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달베르그(Dahlberg)의 기준에 따라 위턱 첫째어금니의 카라벨리 결절, 위턱 첫째·둘째어금니의 고랑유형을 살펴보았다. 또한 할데예바(Khaldeeva)의 분류방법에 따라 아래턱 첫째·둘째어금니의 고랑유형, 아래턱 첫째어금니의 먼쪽 세도드리부 융기, 혀쪽 앞도드리의 마디있는 주름의 발현율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네네츠인들의 치아인류학 특징은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렵다. 몽골로이드의 특징이 높고 낮음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몽골로이드 특징이 강한 곳은 카닌스키 툰드라와 콜구예브 섬지역이다. 이 지역은 혀쪽 앞도드리의 마디있는 주름, 삽모양 앞니, 아래턱 어금니의 6도드리형, 먼쪽 세도드리부 융기의 높은 발현율 그리고 카라벨리 결절, 아래턱 어금니의 4도드리형의 낮은 출현율이 관찰된다. 콜구예브스키 네네츠인은 카닌스키와 가깝다. 두 집단간의 가장 큰 차이는 삽모양앞니, 크라우딩, 아래턱 둘째어금니의 4도드리형의 발현율이다. 쿨구예브 네네츠인이 카닌스키 툰드라인과 가깝다. 몽골로이드의 특징이 약하게 나타나는 곳은 볼쉐지믈레스키, 말라지 믈레스키, 그리고 아시아 네네츠의 일부에서 나타난다. 이지역에서는 삽 모양 앞니, 먼쪽 세도드리부 융기, 혀쪽 앞도드리의 마디있는 주름의 특징이 약하게 나타난다. 아시아 네네츠인들보다 남야말과 자우랄 그룹집단에서 좀더 몽골로이드 특징이 높게 나타난다. 코미-지랸인은 뚜렷하게 유럽인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우그리아인과 특히 툰드라 네네츠와는 차이가 난다. 그러나 러시아인과의 비교에서는 삽모양 앞니 출현, 먼쪽 세도드리부 융기, 아래턱첫째어금니의 6도드리형의 출현이 높고, 카라벨리 결절의 출현은 다소 낮은 경향을 보여 주었다. 극지와 근접한 유럽 동북부 지역과 북서시베리아 지역에서는 치아인류학 특징의 변화가 보이는 곳이다. 이 지역은 유럽-몽골로이드 혼혈을 이어주는 고리와도 같은 곳으로 아시아 종족집단 특징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우그리아 집단에서는 코미-지랸 집단보다 몽골로이드 특징이 더 강하게 나타나지만 네네츠 집단보다는 약한 편이다. 한티와 만시인은 유전적 친연성이 매우 높다. 북한티와 북만시인은 비교적 최근 한 갈래에서 갈라진 것으로 보이며 몽골로이드의 특징이 좀 더 강하게 나타난다. 삽 모양 앞니의 높은 발현, 카라벨리 결절, 둘째앞니 축소의 높은 발현, 먼 쪽 세도드리부 융기의 낮은 발현에서 핀어족과는 차이가 난다. 오비-우그리아 집단은 높은 삽모양앞니의 출현, 먼쪽 세도드리부 융기의 낮은 발현과 같이 북한티·북만시인도 북쪽 몽골로이드의 특징이 강하게 남아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ental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ental data of minority natives in the coast of Barents Sea and Kara Sea. The research subject groups include the Nenets, Komi, Obi-Ugria. The data for the study follow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Zubov. Among the subjects aged 6-23, ideal subjects aged 12-16 years were surveyed. A total of 9 items were investigated for the right upper jaw teeth and permanent teeth. In addition, according to Dahlberg's criteria, the Carabelli’s cusp of the upper jaw first and cusp types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jaw were examined. In addition, cusp patterns of the first and second molars of the lower jaw, the frequency of the distal trigonid crest and the incidence of deflecting wrinkles in the molars of the lower jaw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Haldeeva. In summary,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dental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nets in a word. Mongoloid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high and low characteristics. The strong Mongolian characteristics are the Kaninsky Tundra and the Kolguyev Islands. High incidence rates of shovel-shaped incisors, deflecting wrinkles, the distal trigonid crest, 6 cusp type, and Carabelli’s cusp, lower incidence of 4 cusp patterns in the molar were observed. The Kolguyevsky Nenets people are close to Kaninsk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the frequency of the four dorsal shape of the shovel-shaped front teeth, winging, and lower jaw second molars. The Kulguev Nenetsin is close to the Kaninsky Tund Line. The biggest feature of the two groups is the expression of some of the European features. The weaker Mongoloid features are found in the Bolshevik, Malazimlski, and parts of the Asian Nenets. In this area, features of shovel-shaped incisor, distal trigonid crest, and deflecting wrinkles appear weakly. The Mongolian characters is higher in the South-yamal and Zaural groups than in the Asian Nenets. The Komi-Zyryans are distinctly European and are different from the Ugrians and especially the Tundra Nenets.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Russians, the appearance of shovel-shaped incisors, distal trigonid crest, and the appearance of the 6 cusp types of the lower jaw first molar were high, and the appearance of Caravelli’s cusp was somewhat lower.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Europe and northwest Siberia, which are close to the polar regions,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dental anthropology are seen. This region is like a link between European-Mongolian mixed races, and it is also the starting point of Asian racial characteristics. The Ugria have a stronger Mongolian character than the Komi, but are weaker than the Nenets. Khanti and Mansi have a very high genetic affinity. The North Khanti and Mansis appear to have diverged from one another in relatively recent yea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goloid are stronger. High expression of shovel-shaped incisors, Caravelli’s cusp, high frequency of shovel-shaped teeth, and low expression of distal trigonid crest differ from finfish. The Obi-Ugrians are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high shovel-shaped incisors and the distal trigonid crest, which is not high,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rn Mongoloids of North Mansi and North Khanti remain strong.

      • 체질인류학으로 본 한국인의 기원 -치아인류학적 연구를 중심으로-

        방민규 ( Min Kyu Pang ) 한국민족학회 2010 민족학연구 Vol.9 No.-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민의 치아인류학적 특성이 시대별로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그간의 연구성과와 러시아의 시베리아 제민족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른 종족집단과 비교하여 형태에 따른 친연성과 이질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치아인류학적 연구를 통한 한반도 주민 형성과정의 문제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현대한국인의 자료를 기준으로 시베리아 제민족들과의 계측적 특징들을 비교한 결과 현대한국인의 경우 치아머리 높이에 있어서는 가장 큰 계측 결과를 보여 주었으나 치아머리 안쪽먼쪽 너비, 치아목 안쪽먼쪽 너비와 치아머리 얼굴쪽먼쪽 너비 등에서는 큰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다. 치아머리계수는 치아머리의 전체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좋은 지수로 신석기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 자료의 경우는 가운치아머리형(10.20∼10.49)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반면에 구석기시대, 고려-조선시대, 현대한국인의 경우 큰치아머리형(10.50 이상)을 보여주고 있어 전체적으로 몽골로이드집단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반도 주민들의 삽모양앞니. 아래턱 첫째어금니에서 관찰한 세도리부 먼쪽융기((Distaltrigonid crest)와 혀쪽 앞도드리의 마디 있는 주름(deflecting wrinkle)의 빈도가 비교한 종족들 중 가장 높았으며. 이에 반해 위턱 어금니에서 카라벨리 특징은 낮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아래턱 첫째어금니에서 관찰되는 4도드리의 출현정도를 살펴보면 한반도 주민의 자료의 경우 시대별로 변화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한반도로의 외부유전자 유입의 적극적인 증거로 생각되며, 한반도 주민들의 치아인류학적 특징은 비교적 늦은 시기인 고려-조선시대에 확고해진 것으로 보여진다. 아래턱어금니 혀쪽 앞도드리의 마디 있는 주름(deflecting wringkle)의 높은 출현빈도는 인도남부및 인도네시아계통의 종족집단에서 주로 관찰되어 진다고 보고한바 있는데 한반도 주민의 자료를 살펴보면 이 특징이 높은 빈도로 출현하여 독특한 한국인의 치아인류학적 특징인지 아니면 인도남부 및 인도네시아계통의 종족집단과의 유전적 관련성 여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주민에게서 나타나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반도 주민은 동북아시아 집단의 치아형태학적 특징과 인도남부 및 인도네시아 집단 계통의 특징이 혼합된 구조를 나타낸다고 보여진다. 또한 한반도 주민형성 문제에 있어 시베리아 기원설과 관련하여 부리야트족를 비롯한 바이칼 호수 주변 자료가 한반도 주민들과의 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나왔으나 추후 이에 대한 형질인류학, 고고학, 유전학 그리고 고환경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확실한 해답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치아를 통한 이러한 연구는 인골을 통한 형질인류학적 조사에 있어 좀 더 다양한 분야로의 연구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며 다음 단계로의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rphologic changes of the teeth by era through metric and non metric investigation of the human teeth in Southern part of the Korea and inquiring into the process through which teeth of the Korean people have changed from the prehistoric to the present day, making comparisons of excavated Korean teeth with that of the modern time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eth by making comparisons with that of other, ethnic groups in the Siberia. With respect to changing measurement values by the times. it revealed that the measured length of the Crown generally tend to increase as time passes toward the modern times. Nevertheless, mesio-distal diameter and facio-lingual diameter, and the remaining items, tend to increase and decrease repeatedly on every period. and are inclined to decrease in modern times. The change in the mesio-distal dimeter of the Crown-Cervix by era is relatively slight as opposed to that of other items revealing almost no differences of times. This comparative data available for shoveling are baseed on HrdliCka`s four grade scheme. Contrasting all other ethics groups, Korean people exhibit shovel-shaped incisor, Distal trigonid crest and deflecting wringkle in relatively high frequence. Interestingly, Korean have lower frequences of Carabelli`s traits, a marked contrast to the high frequences in Westen Eurasian. Based o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dental traits, the Koreans posses lineages from both a high proportion of north-east Asian population as well as south-predominent groups of east Asian pop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