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사와 역사철학

        민영현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0 유라시아문화 Vol.3 No.-

        한국사학계가 제공하고 있는 정설로 알려진 학설 속에서, 한국사로 알려진 내용을 민족정신사와 결부하여 강의하다 보면, 도저히 해결하기 힘든 여러 문제와 만나게 된다. 이는 기본적으로 한국사의 공인된 정설들이 역사철학적 입장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합리적 해석과의 차이에서 오는 괴리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주어진 역사이해 속에서 한국 내지 한민족 정신사를 끌어 맞추다 보면, 이론상의 모순점이 곳곳에서 터져 나오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한민족사의 흐름 속에서 한국문화가 형성되고, 그 형성에 있어 원조선 건국 초기의 정신적 요인이 주가 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다. 다만 오랜 세월동안 대내외적인 철학 사상 문화의 상호 관계 속에서 한국전통문화의 정신적 특질은 변형 창달되어 왔다. 이에 대해 단재는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라는 말로 설명한 바 있다. 그런데 한국사학계는 이러한 끊임없는 민족의 역동적 움직임에 대해, 지나치게 외부적 요인에 의한 변화만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력과 무관하게 민족사 전체를 관통해 내려온 정신사의 의미를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한국사를 이해하기 힘들게 하는 몇 가지 간단한 사례를 들어보자. 우선 고대사로써 은나라와 동이족의 상호 관련과 연관된 문제다. 다음으로 연ㆍ제와 관련된 부여나 고구려의 국제 외교 관계에 대한 역사 해석이다. 여기에 비류백제와 온조백제가 개입되면, 한국 고대사의 맥락은 도대체 이해하기가 힘들게 된다. 그리고 가야사의 문제가 있다. 더하여 고구려 살수대첩의 살수라는 지명 자체에 대해서도 명확 함이 없다. 고대사를 넘어 신라로 오면, 화랑의 역사는 더더욱 오리무중이다. 고려의 해동천자나 천하 그리고 다원적 중심이란 해석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다. 그러면서 이제 조선으로 들어오면, 역사연구는 지나치게 많다. 온갖 종류의 해석과 대화가 차고 넘치는 것이다. 이는 너무나 불균형적이다. 한국정신사와 한민족사 그리고 한국사의 상호 관계에 있어 앞뒤가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언제든 재검토되어야만 한다. 과거의 사실을 다루는 사료로서의 역사적 기록들이 무조건 맹신 되어야만 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된다. 기록은 기록되는 이유가 있고,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사학자들의 노력 속에서 판명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지금 한국사학계의 최대 문제는 근현대역사학의 기초라 할 “과거와의 대화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라고 하겠다. 마땅히 한국사학계가 해야 할 일은 학술적 작업이다. 균형을 잡고 진실과 사실을 알리며 올바른 판단으로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길을 후대의 연구자들에게 열어주어야만 하지 않겠는가 한다. There is an orthodox theory in the Korean history academy. If you lecture on this in connection with Korean spiritual history, you will meet various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Basically, this is due to the gap between rational interpretations that are difficult to accept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philosophy. When we draw Korean spiritual history into a given understanding of history, theoretical contradictions burst out from all over the place. Basically, Korean culture was formed in the flow of Korean history, and it is true that the mental factors of ‘The early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原朝鮮)’ are the main factors. However, the spiri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ve been transformed in the interrelationship of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cultur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for many years. In this regard, Shin Chae-ho explained that it was ‘The struggle between me and non-me’. Regardless of political power, we should never neglect the meaning of the spirit that has dynamically penetrated the whole nation history. There are some simple examples that make Korean histo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re are many kinds of interpretations and conversations in Korean history. But this is too disproportion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Korean spirit, Korean history, and National history should be reviewed at any time. The Historical data is about dealing with past facts. You don’t have to blindly believe historical records. Records have a reason to be recorded.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m will have to be solved by historians. The biggest problem in Korean history now is that there is no genuine dialogue with the past. What the Korean history community deserves is in the really true academic work.

      • 광복 이후 초·중학교 국사교과서의 ‘단군조선사’ 분야 개정 과정 및 개정 방향 연구

        장지화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19 유라시아문화 Vol.1 No.-

        This thesis analyzed the revision process ofDahnGunJoSun history area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Korean history textbooks after the Liberation, explored the background of the revision, and finally suggested the revision direction of DahnGunJoSun history area. After the Liberation, the foundation of DahnGunJoSun was described as a historical fact due to nationalist historians' efforts. In the 3rd education process which switched to national textbook system, it was described as a myth, and then a foundation story after. The time when DahnGunJoSun was established was described as B.C. 2333, based on 『SamGukYuSa』 record. The territory regarded had been expanded from DaeDong river area, gradually to YoRyong region, but lacked correct explanations. The history before DahnGunJoSun had never been mentioned. The successor countries of DahnGunJoSun appeared in all of elementary schools' Korean history textbooks. Bur after the 6th education process they became omitted. On the other hand, they were descried comparatively concrete with markings on the maps in middle schools' Korean history textbooks. But neither elementary nor middle schools' Korean history textbooks wrote the successional relationship with DahnGunJoSun obviously. In the background of the changes in DahnGunJoSun history area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Korean history textbooks lie the situation of the time, the change of trends in historical studies, and the change of Korean people's recognition on their history. All these things totally functioned together. Fist after the Liberation, many nationalist historians made efforts to erect Korean history by getting rid of long historical distortions made by Chinese and colonial historical point of view. But soon Korean war and the division into south and north occurred, which frustrated those efforts. Rather, the historians with the colonial viewpoint took their seat as the main stream of platform historical studies. Thus the newly started movements to erect right Korean history began to retreat again. After 1980s, Korea accomplished high economic growth in globalization trend. On the contrary, the cognition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was on the ebb. But in spite of such situations, the chance was arranged to restore the study and education of DahnGunJoSun history through the ancient history lawsuit claim, the petition for preliminary injunction of writing and distributing national textbooks, the progress of studies following archeological results home and abroad. Entering 2000s, the interest on DahnGunJoSun history reached the big time because of Chinese northeast project. People's recognition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was boosted a lot. First to confront Chinese northeast project, the study made a start on the time and the territory of DahnGunJoSun. At the beginning, it began from DahnGunJoSun and expanded to the times before it slowly. Consequently, the arguments came to be gathered that the bronze-stone mixed culture of HungShan in LioXi area belonged to BaeDalGuk and the early periodbronze culture of HaGaJum lower layer culture belonged to DahnGunJoSun culture. The studies of BaeDalGuk and DahnGunJoSun showed extension, treating not only the time and the territory but also the thoughts and the cultures. That is to say, there appeared a viewpoint to regard the thought and the culture of BaeDalGuk and DahnGunJoSun as 'SunDo' culture, suggesting an alternative theory against Chinese northeast project. A research turned up defining the signals of HungShan culture, dahn(壇, altar)․myo(廟, shrine)․chong(塚, tomb) and jade tools as those of SunDo's heavenly ritual. And it clarified that SunDo's heavenly ritual culture was the model of heavenly ritual which i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Korean ancient culture. Such SunDo's heavenly ritual culture included LiaoXi, LiaoTung, and Korean peninsula and its two great centers were HungShan culture region(CheongGu) and the western region of the mountain BaekDu (CheonPyong, ShinShi) in LiaoTung. It had the meaning of erecting two great centers of Korean ancient history, and defending against Chinese northeast project, namely, the theories of LiaoHo culture and ChangBai mountain culture. Based upon such research products, this present writer proposed to insert BaeDalGuk history in front of the opening history of Korea, DahnGunJoSun.By setting the beginning of Korean history right, we can solve the historical problems of DahnGunJoSun clearly. That is to say, it will make the depictions of all these followings more natural and explicit. They are about the time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DahnGunJoSun, clear definition of DahnGunJoSun's territory including Han peninsula and LiaoTung-LiaoXi area, the location setting of WiManJoSun and HanSaGun near DahnGunJoSun's border, supplements about DahnGunJoSun's history and SunDo culture, andDahnGunJoSun's successor countries including BuYeo. By erecting Korean historical genealogy of BaeDalGuk→DahnGunJoSun→BuYeo→many nations, SunDo culture, the substance of Korean peculiar culture ceaselessly succeeded from BaeDalGuk will take its place at the beginning of Korean history, Then Korean identity will stand upright for the first time. 본고는 광복 이후 초⋅중학교 국사교과서의 단군조선사 분야의 개정 과정을 분석하고 그 개정의 배경을 탐색하며, 단군조선사 분야의 개정 방향을 제언한 연구이다. 광복 이후 민족주의 사학자들의 한국사 복원 노력으로 초⋅중학교 교과서에 단군조선 건국이 사실로 기술되었다. 국정교과서 체제로 전환되는 3차 교육과정에서 신화로 기술되었다가 이후에는 건국이야기로 기술되었다. 단군조선의 건국 시기는 『삼국유사』를 기준으로 B.C.2333년으로 기술되었다. 강역은 대동강 유역에서 점차 요령지방까지 확대되었다고 보았으나 정확한 설명이 부족하다. 단군조선 이전사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 단군조선 이후 계승국가들에 대해서는 초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경우 모든 교과서에 나타났으나 6차 교육과정 국사교과서에서부터 빠지게 되었다. 반면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경우는 비교적 자세하고 지도로도 표시되어 있다. 초⋅ 중학교 국사교과서 모두 단군조선과의 계승관계가 명백하게 서술되어 있지 않았다. 초⋅중학교 국사교과서의 단군조선사 분야가 변화해온 배경에는 시대적 상황, 역사연구 경향의 변화, 그리고 한국인들의 역사인식의 변화 등이 총체적으로 맞물려 작용하고 있었다. 먼저 광복 이후에는 오랜 중화사관과 식민사관에 의한 역사왜곡에서 벗어나 올바른 한국사 정립을 위해 많은 민족주의 사학자들이 노력하였다. 그러나 곧 이은 한국전쟁과 남북분단으로 이러한 노력이 좌초, 오히려 식민사학자들이 강단사학의 주류로 자리잡게 되었다. 새롭게 시작되었던 올바른 한국사 정립을 위한 움직임은 다시 후퇴하기 시작하였다. 80년 이후 세계화 추세 속에서 한국은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반면 서구중심의 가치관의 우세 속에서 한국사나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은 오히려 퇴조되는 모습이었다. 물론 그러한 가운데에서도 상고사 청구 소송 및 국정교과서 저작 및 배포금지 가처분신청, 국내외 고고학 성과에 따른 상고사 연구의 진전 등으로 단군조선사 연구 및 교육을 되돌릴 수 있는 계기가 마련 되었다. 2000년로 접어들면서 동북공정이 알려지며 단군조선사에 한 국민 적 관심은 높아졌으며 한국상고사에 한 인식이 크게 진작되었다. 우선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대응의 차원에서 요서지역 고고학 성과를 기반으로 단군조선의 시기와 강역에 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단군조선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되었으나 서서히 단군조선 이전 시기로 관심이 확장 되어갔다. 그 결과 요서지역 동석병용문화인 홍산문화는 배달국문화로, 전기 청동기문화인 하가점하층문화는 단군조선 문화로 논의가 모아져 갔다. 배달국⋅단군조선에 대한 연구는 시기⋅강역의 문제 뿐 아니라 사상⋅문화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곧 배달국⋅단군조선의 사상⋅문화를‘선도문화’로 바라보는 시각이 등장하여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이론적 대안을 제시하게 되었다. 홍산문화를 대표하는 유적유물인 단⋅묘⋅총과 옥기가 선도제천 유적⋅유물임을 밝힌 연구가 등장하고 이러한 선도 제천문화가 한국 고대문화의 가장 큰 특징인 제천의례의 전형임이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선도제천문화가 요서⋅요동⋅한반도를 아우르고 있었으며 그 양대 중심지가 요서 홍산문화 지역(청구)와 요동 백두산 서편일대(천평, 신시)임이 밝혀졌다. 이는 중국의 동북공정, 곧 요하문명론과 장백산문화론을 막아내면서 한국 상고사의 양대 중심지를 바로세우는 의미가 있었다. 필자는 이러한 연구 성과들에 기반하여 한국사의 첫머리, 단군조선사 이전에 배달국사를 첨입해 넣을 것을 제언하다. 한국사의 첫머리가 바로 세워져야 단군조선사의 문제도 비로소 명확하게 풀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 곧 단군조선의 건국시기와 건국과정, 단군조선의 한반도와 요동⋅요서를 아우르는 강역 문제, 위만조선과 한사군이 단군조선의 국경 부근에 있었던 문제, 단군조선사의 내용적 실체인 선도문화의 문제, 단군조선을 계승한 부여 이하 열국들의 문제가 보다 자연스럽고 명쾌하게 서술될 수 있는 것이다. 배달국→단군조선→부여→열국시대로 이어지는 한국사 계통성 정립을 통해 배달국 이래 면면히 이어져온 한국 고유문화의 실체인 선도문화가 역사의 첫머리에 자리잡게 될 때 비로소 한국적 정체성이 바로서게 될 것이다.

      • 한·중 마고 전승 비교 연구

        석상순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19 유라시아문화 Vol.1 No.-

        본고는 한국선도의 ‘마고’ 전승과 원형을 살펴보고, 한국선도 마고관의 중국적 변형에 대해 살핀 것이다. 한국선도의 기본 원리는 삼원조화사상이며 수행의 목적은 천인합일(신인합일)을 이루는데 있다.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에너지를 움직여 사람과 만물을 창조한 하느님(삼신하느님)이란 존재가 바로 ‘마고’이며, 마고가 존재했던 마고성이 바로 천인합일(신인합일)의 공간이다. 이러한 마고의 가장 원형적인 모습은 선도사서 『부도지』에서 찾을 수 있으며, 요서지역 상고문화의 핵심이 바로 선도 마고제천이었음을 고고학적 유물⋅유적을 통한 연구 결과가 보여주고 있다. 한⋅중 마고 전승의 구체적인 모습을 비교해 보면, 한국의 마고는 우주를 창조한 근원적인 생명에너지로 모든 현상을 있게 한 창조주 하느님(삼신하느님)이었는데, 후대로 전승되면서‘할머니창세신’의 모습으로 변이되었고, 창세 행위의 일종인 ‘성쌓기[축성]’하는 모습으로 많이 남아 있다. 그럼에도 삼신하느님으로서의 위상이 전승되어져 오늘날 제천단⋅사당의 신격으로 모셔져 사람들에게 제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의 마고선녀는 아름다운 외모에 신통한 도술력을 지녔고, 불로장생하는 여자 신선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창조신 이미지나 성쌓기하는 모습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필자는 이를 한국선도의 마고가 중원지역에서는 중국도교의 영향으로 불로장생하는 아름다운 선녀 이미지로 변형되어 전승된 것으로 보았다. 한국에서도 마고선녀 전승이 나타나는데, 이는 중국도교의 한국 유입으로 인하여 한국에서도 도교풍의 마고선녀 전승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한국선도 ‘마고(마고할미)’를 중국도교 속 ‘마고선녀’와 동일선상에서 단순 대비 하기에는 무리가 있겠다. 하지만, 성별 미분화 상태의 중성적 이미지를 지닌 ‘마고 (마고할미)’ 전승이 아름다운 여성적 이미지를 지닌 ‘마고선녀’ 전승보다 더 원초적 古形을 유지하고 있어 시적으로 앞선다고 보았다. 한국의 선도가 중원 지역에서 중국도교 형성에 영향을 주었기에, 따라서 한국선도의 마고가 중원으로 흘러가서 중국도교의 영향으로 도교화되어 마고선녀로 전승된 것으로 보았다. 한국선도의 마고(마고할미)는 중국도교의 마고선녀와 전승되는 모습이 서로 다르기는 하나 그 근원적인 뿌리는 상통하고 있다고 바라보기에, 모든 ‘마고’ 관련 전승의 원형은 선도사서 『부도지』에 등장하는‘마고’이며, 근대 고고학의 성과가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archetype and the transmission of 'Mago' in Korean Sundo, and to research on the chinese modification of Mago. The basic principle of Korean Sundo i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The purpose of the training is to establish Heaven-Human-Combined-In-One (God-Human-Combined-In-One) state. The One who had created human and all other things by moving fundamental vitality of the Universe is Haneunim(Samsin Haneunim), in other words, 'Mago'. The Great City of Mago where Mago had existed was the space of Heaven-Human-Combined-In-One. We can find the most archetypal form of Mago in 『Budoji』. Mago of Korean Sundo had been transmitted by legendary story in which 'Mago Halmi' builds mountain fortress walls. Later on, she has been worshiped as a god in the altar of the sacrificial rituals for Heaven or in the shrines. Mago of China is described as a beautiful female immortal who has miraculous powers. Mago of Korea had been HaNeuNim(SamSin HaNeuNim) who created the Universe by the fundamental vitality which resulted all the phenomena. As time passed by, she has been changed as a 'Grandmother Creator', and remained as a figure who wanted to go back to the Great City of Mago by 'building mountain fortress walls'. In China, it is very different from Korea. Instead of a creator or building mountain fortress walls, she appears as a beautiful female immortal. It seems that Mago had flowed to the center of China and have been changed as an image of a young beautiful woman who never dies or even getting old. Strangely, Mago Fairy can be found in Korea, too. It is presumed that she has been reimported by way of Chinese Taoism. It would be immoderate if we simply compare 'Mago' of Korean Sundo with 'Mago Fairy' of Chinese Taoism on the same line. But Mago of 『Budoji』 who had have ambiguous distinction of sex have kept original form rather than Mago Fairy, it is regarded Mago was far older historically than Mago Fairy. As Korean Sundo had influenced at the time when Chinese Taoism was formed in the center of China, naturally Korean Mago transmission also flowed to the center of China and became Mago Fairy by the influence of Chinese Taoism. Although the present forms of Korean Mago(Mago Halmi) and Chinese Mago Fairy are different, the archetype of Mago transmission is Mago myth of 『BuDoJi』,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the fundamental roots have something in common.

      • KCI등재후보

        트랜스유라시아어의 기원과 확산 - 동북공정에 반하는 10개국의 언어학·고고학·유전학 교차 연구

        김윤숙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2 유라시아문화 Vol.6 No.-

        이 논문은 언어학ㆍ고고학ㆍ유전학 세 학문의 교차연구 결과, 트랜스유라시아어족은 서요하 지역 기장 농부들의 언어에서 시작되어 인접 지역으로 인구가 확산되면서 농경과 함께 언어도 유전자도 전파되어 갔다는 새로운 가설을 주장하며, 그 언어와 문화 전파 경로에 의한 트랜스유라시아 언어ㆍ문화벨트를 상정하고 있다. 유라시아시대가 열리고 있는 이때에 상고시대 유라시아를 관통하는 트랜스유라시아 문화벨트를 상정하였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그 언어⋅문화벨트를 통해 중국 측에는 중국의 시원문명은 황하 문명이며, 자기네 시원문명으로 정한 요하문명과 황하문명은 언어학적⋅고고학적⋅유전학적으로 하등의 관계가 없는 두 개의 독자적이고 이질적인 문명임을 확인하였고, 한국 측에는 요하문명이 우리의 언어⋅혈통⋅문화의 뿌리로서 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임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그러나 앞서 이 논문에서도 서유라시아에 비해 동유라시아, 특히 내몽고, 황하⋅요하⋅아무르강 유역, 러시아 극동지역, 한반도와 일본열도를 아우르는 광대한 지역인 동북아에 대한 연구가 아직 많이 부족함을 지적하였듯이, 이 논문이 이룬 큰 업적들에도 불구하고 논문에 2000년대 이후 소남산문화를 비롯한 아무르강 유역- 특히 길흑지구(길림성과 흑룡강성)에서의 수많은 고고학적 발굴 결과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것은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이 지역은 상고 이래 고구려⋅발해시기까지 한국사의 무대였던 만큼 우리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지역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트랜스유라시아 언어와 문화의 시원을 서요하로 본 이유가 트랜스유라시아 문화의 내용을 ‘농경’을 중심으로 파악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트랜스유라시아 문화의 성격과 시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고 본다. 최근에는 시원을 ‘아무르(흑룡)강’으로 바라보는 연구들도 나왔는데, 그 중 하나가 상고시대 동북아에 널리 퍼져있는 옥기문화를 중심으로 트랜스유라시아 문화의 내용을 파악한 연구이다. 그 연구에서는 옥기문화의 시원을 삼강평원 일대 오소리 강변의 소남산문화로 보고, 그 문화의 뿌리를 구석기 후기 동시베리아 바이칼까지 소급시키고 있다. 반면 이 논문에 나오는 ‘아무르 유역’은 다만 서요하 지역에서 시작된 기장 농사가 5000년 전에 아무르를 거쳐 연해주로 전해지면서 원시 트랜스유라시아어에서 갈라져 나온 원시 퉁구스어가 농경문화와 함께 인구의 이동을 따라 아무르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만 나와 있다. 그러니까 ‘서요하⇒아무르’라는 이동 방향만 언급되어 아무르는 일방적으로 문화를 전해 받은 지역으로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논문의 유전학 부분에서 아무르 혈통을 트랜스유라시아 언어의 시원으로 보고 있는 점에 주목하게 된다. 트랜스유라시아어의 기원이 초기 아무르 유전자 pool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하였고, 아무르 혈통이 후기 구석기시대 바이칼, 아무르, 연해주, 동남부 스텝과 서요하의 수렵채취인들의 오리지널 토종 게놈을 대표한다고 하였다. 또 트랜스유라시아의 언어와 농경문화의 시원이 신석기시대 서요하 기장 경작자들이라고 하면서도, 이 초기 농부들 또한 아무르 혈통 비율이 상당히 높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황하 게놈으로 옮겨간다고 하였고, 이 아무르 혈통이 한국어와 일본어 사용자들에게까지 추적된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트랜스유라시아 언어 사용자들 모두에게 아무르 혈통은 ‘공통된 시원의 유전적 요소’로 보인다고 결론짓고 있다. 이 논문의 연구는 지금부터 ‘9000년 전’에서 시작되고 있지만, 9000년 전 기장 농사 이전에도 유라시아 대륙에서 인류는 살고 있었고 나름의 수준 높은 정신문화를 이루고 살았음을 발굴된 유적ㆍ유물들을 통해 알 수 있다. 아무르 혈통이 후기 구석기시대 바이칼, 아무르, 연해주, 동남부 스텝과 서요하의 수렵채취인들의 오리지널 토종 게놈을 대표한다고 하였으니, 아무르는 9000년 전보다 더 이전의 시간에 유라시아에 널리 퍼져있던 게놈이며 서요하의 시원일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유전학의 연구 결과는 ‘서요하⇒아무르’로의 언어와 문화의 이동이 있기 전에 먼저 ‘아무르⇒서요하’로 유전자 이동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에 의하면 인구의 이동은 언어와 문화의 이동이며 동시에 유전자의 이동이기도 하다. 아무르에 대해 미진한 부분은 이 논문으로 인해 촉발될 많은 연구들이 해결해주리라 생각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이루어지고 있는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들, 그리고 연계된 학문들의 발달과 학제 간 협력을 통한 공동연구로 앞으로 더 많은 것들이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을 계기로 지금의 국경 안에 갇혀 상고사를 논하는 연구 경향에서 과감히 탈피, 국경이나 학문간 경계를 넘어 모든 자료에 열린 마음으로 나아가게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후보

        유라시아 제민족의 생물인류학 특징 - 치아인류학 특징을 중심으로

        방민규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2 유라시아문화 Vol.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라시아 제민족의 치아 자료를 토대로 치아인류학 특징을 조사하는데 있다. 조사대상 집단은 카자흐인(Kazakhs), 우즈베크인(Uzbeks), 부리야트(Buryats), 중국인(Chinese), 한국인(Koreans), 일본인(Japanese)이다. 치아는 화학적 보존성이 좋아 인류화석을 비롯한 고고학 유적에 가장 많이 남아있다. 사람 치아는 유전적 특성 뿐만 아니라 식생활을 비롯한 문화적 상태가 반영되어 치아 형태의 변화 자체가 문화의 변화 상태를 간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된다. 치아인류학적 특징은 환경적 또는 유전적 영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특정 민족의 생물인류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민족의 이동 경로를 추정하거나 민족 간의 유전적 친연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에 중요한 정보로 사용된다. 유라시아 제민족들 중 치아에 나타나는 몽골로이드의 중요한 생물인류학적 지표인 삽모양앞니(shovel–shaped teeth)의 출현율은 중국인, 일본인, 한국인 등 동북아시아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럽인의 생물인류학적 지표 특징인 카라벨리결절(Carabelli’s cusp)은 카자흐인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의 동북아시아 집단에서 dtc와 dw의 빈도가 비교집단 중 가장 높게 나타나 민족간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유라시아 제민족들 중 부리야트인이 카자흐, 우즈베크인보다는 좀 더 한국인의 치아인류학 특성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유라시아의 문화는 동아시아의 다원적 문화구조의 주요한 토대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한국인의 기원문제와 이동경로를 밝혀내기 위해서는 좀 더 자료가 축적되고 고고학, 인류학, 민속학 등 인접학문과의 융복합 연구가 진행되어야 좀 더 확실한 해답을 얻을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ental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dental data of many ethnic groups in Eurasia. The groups of research subjects are Kazakhs, Uzbeks, Buryats, Chinese, Koreans, and Japanese. Owing to the great chemical preservation, the teeth are the most remained in archaeological sites including human fossils. Human teeth reflect not only the genetic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cultural state including dietary life, so the change in dental shape becomes important data for indirectly understanding the state of cultural change. The dental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could be variously shown according to environmental or general influences, and this characteristic could be used as the index that shows the biological-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ethnic group. Thus, it is used as important information for researches that estimate the moving path of a specific ethnic group or reveal the genetic kinship. The appearance rate of shovel-shaped teeth which is an important biological anthropological index of Mongoloid shown in teeth among many ethnic groups of Eurasia, was the highest in Northeast Asian group such as Chinese, Japanese, and Koreans. On the other hand, the Carabelli’s cusp which is the indexical characteristic of Europeans was the highest in Kazakhs. And the frequency of distal trigonid crest and deflecting wringle was highly shown in Northeast Asian group, which reflects differences between ethnic groups. In this study, the Buryats of ethnic groups in Eurasia showed more similar dental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to Koreans than Kazakhs and Uzbeks. The Eurasian culture is the major foundation of the pluralistic cultural structure of East Asia. However, in order to reveal the origin and moving path of Koreans, it would be necessary to accumulate more data and also to conduct convergence researches with related studies such as archaeology, anthropology, and folklore to get more definite answers to it.

      •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thropology on the Korean Residents During the Old Chosun Period

        Pang, Min-Kyu(방민규)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1 유라시아문화 Vol.4 No.-

        한반도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의 인골 자료들에 대한 체질인류학적 연구에서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즉, 청동기시대에서 현대의 한국인에 이르기까지 높이·길이 지수의 높은 머리형과 위 얼굴 너비·길이 지수의 가운 얼굴형이고, 그 외의 지수(指數)들도 현대 한국 남자에 이르기까지 어느 정도 이어져 오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고조선 시기와 관련해 중국 동북지방 출토 머리뼈들이 다른 주변 집단들에 비해 한반도 출토 머리뼈들과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청동기시대의 머리뼈는 신석기시대의 머리뼈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신석기시대 이후 청동기시대를 거치면서 한반도 주민들의 대표적인 체질인류학적 특징들로 형성되었다고 판단된다. 고조선 주민들의 체질인류학적 특징은 요녕·하북 지역에서 출토된 머리뼈의 높이는 한반도와 길림지역에서 출토된 머리뼈보다는 높으며, 현대 한국 남자의 높이와 차이가 없다. 그러나 머리 길이·높이 지수에서 볼 때, 요녕·하북 지역 그리고 한반도에서 출토된 머리뼈들은 모두 현대 한국인처럼 높은 머리를 나타낸다. 반면에 현대 중국인과 일본인들은 가운 머리를 지니는 것으로 보아 높은 머리는 고조선 이래로 한반도 주민들의 머리뼈에서 보이는 가장 두드러진 체질인류학적 특징을 나타낸다. 그러나 길림성 지역과 한반도에서 살던 주민들은 현대 한국인처럼 짧은 머리를 지닌 높은 머리임에 반해, 요녕성 지역 출토 머리뼈들은 주로 긴 머리에 높은 머리를 지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하북성 지역에서 출토된 머리뼈는 현대 한국 남자와 매우 가깝다. 고조선 시기 요녕성·길림성·하북성 지역 및 한반도에서 거주했던 주민들은 모두 높은 머리의 특징을 보여주며, 현대 한국인들과 형태상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만, 고조선의 강역에 대한 논란이 있고, 출토된 인골 개체의 수가 불충분한 상태에서의 비교분석이라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 체질인류학과 유전학 그리고 고고학 등 인접학문 등과의 연계된 연구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고조선 주민과 현대 한국인의 특징이 좀 더 분명하게 나타날 것이다. A number of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in anthropological studies of the Bronze Age human skeleton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other words, from the Bronze Age to modern Koreans,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index are the high head shape, the width and length of the upper face are the middle face of the index, and the other indices are somewhat continuous to modern Korean people. In particular, the skulls excavated from northeastern China during the Old Chosun Period are closer to those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an other neighboring groups,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characterized by anthropological features of the Korean people throughout the Neolithic Age.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thropology in Old Chosun resident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cranial bones excavated in Liaoning and Habuk provinces, and they are no different from those of modern Korean people. However, according to the cranial length and height index, the cranial bones excavated in Liaoning and Habuk province areas and the Korean Peninsula all represent high cranial bone like modern Koreans. On the other hand, the modern Chinese and Japanese have the most prominent physical and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since Old Chosun. However, while the residents of Gilim province and the Korean Peninsula have short cranial like modern Koreans, the cranial bones excavated in Liaoning are different in that they usually have long and high cranial bones, and the cranial bones excavated from the Habuk province area are very close to modern Korean people. Residents living in Liaoning, Gilim, and Habuk provinces during the Old Chosun Period all show high-head characteristics and do not differ much in form from modern Korean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of comparative analysis when there is a controversy over the strength of Old Chosun and the number of human bones excavated is insufficient. Therefore, research related to physical anthropology, genetics, and archaeology should be conducted comprehensively in future research.

      • 유라시아 시민성 함양연구

        김용환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1 유라시아문화 Vol.5 No.-

        중국의 지속적 성장에 따라 SCO 지도자들은 유라시아 시민성 함양매개로 ‘상하이 정신’을 칭송하였다. ‘상하이정신’의 전형으로 ‘정신적 화해와 문화사이 대화’, 그리고 ‘상호신뢰, 호혜평등, 상호협의, 문화 다양성 존중, 공동발전에 대한 열망’ 등이다. ‘문명 사이 유라시아’ 관점에서 러시아와 동아시아 문명의 정신적 친근성을 기반으로 삼는 공통성이 드러난다. 이에 한국고대 ‘홍익인간정신’과 함께 한국근대, ‘실사구시정신’이 아시아와 유럽 문명을 이어주고 매개하는 정신적 토대로서 ‘상하이정신’에 필적할만하다. 실심실학의 명재 윤증(明齋 尹拯; 1629-1714)은 실사구시 자세로서 실심실학과 마 음치유를 겸한 존심성찰을 중시했다. 우리는 실심기반으로 유라시아 시민성함양을 기 대할 수 있다. 강화실학의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 1649-1736)는 타자고통에 감통하는 ‘성의정심(誠意正心)’을 강조하고 실사구시를 체용일원 관점에서 체계화했다. 하곡 의 ‘실사구시’ 정신 가운데 ‘무의’는 억측이나 편견을 극복하고, ‘무필’은 기필코 한다는 강박의식을 없애며, ‘무고’는 무리하게 고집부리지 않고, ‘무아’는 자신만을 내세우지 않음이니 하곡의 실심감통으로 명재의 실심기반과 더불어 유라시아 시민성숙과 지혜함 양에 내포된 미덕으로 유라시아 시민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 The conceptualization of Eurasia arose in the 18th century from the need for Pyotr the Great to merge the territories acquired during the war against Charles XII of Sweden. He sought to establish a new geographical outline, including the acquired territory. This resulted in the shift of Russia’s position on the map of Europe from Asia to Europe at the European continent. In the 19th century Nikolai Danilevsky defined Eurasia as a separate geographical unit from Europe and Asia. In relation to the current Eurasianism, Rangsimaporn divided Eurasianism into ‘Pragmatic Eurasianism’, ‘Neo-Eurasianism’ and ‘Inter-civic Eurasianism among civilizations.’ From this perspective of Inter-civic Eurasianism, the main focus is the cultivating eurasian citizenship between civilizations. Following China’s remarkable growth, SCO leaders praised the ‘Shanghai spirit’ as a medium of Eurasian culture. Typical examples of the ‘Shanghai spirit’ include ‘mental reconciliation and intercultural dialogue.’ If it is illuminated from a position belonging to ‘Eurasianism Between Civilizations,’ it would indicate a commonality that claims the mental friendliness of Russian and East Asian civilizations. Along with the Korean ancient ‘Humanitarian Spirit,’ and the Korean modern ‘Realistic spirit’ are comparable to the ‘Shanghai Spirit.’ Myeong-jae would say that he lived an honest life without seeking fame. Myung-jae’s emphasis on one mind and the real mind forms the basis of equality. All-round education is important regardless of age. Character recognizes the value of things, and sincerity refers to the mind set of studying for cultivating citizenship. He valued practicality over justification and practice over theory. Ha-gok said the compassion of the batter’s pain was ‘Good Knowledge’ or ‘Benevolence.’ Ha-gok emphasized ‘Nature’ and organized the action of ‘truth’ that makes the main body of unreleased land suitable for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body use. In addition, he needs wisdom to revive the spirit of ‘sincere,’ ‘free’, ‘innocent,’ and ‘non-ego’ as practice for cultivating Eurasian citizenship. Thus combining them and concentrating them, the virtue of humility implicit in the maturity and wisdom of Eurasian citizens can be said to be a win-win saving for Asian and European citizens to live together.

      • 북한산의 여산신 연구

        석상순(Seok, Sang Soon)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1 유라시아문화 Vol.4 No.-

        본고는 한국 제천산의 여산신 전통을 바탕으로, 북한산과 관련된 여산신 사례를 통해 북한산의 여산신이 상고시기 마고삼신을 원류로 하고 있음을 밝힌 연구이다. 한국인들에게는 산악숭배사상 및 산신신앙 전통이 있는데, 이는 배달국ㆍ단군조선 시기 이래 행해온 ‘제천’을 그 원류로 한다. 한국선도의 제천의례는 존재의 본질이자 우주의 생명에너지인 ‘일기ㆍ삼기’ 및 이를 인격화한 ‘마고삼신’을 신격으로 하였다. 후대로 내려올수록 선도가 약화되면서 점차 민속화ㆍ무속화하여 천신신앙ㆍ산신신앙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흔적을 한국의 대표적 제천산인 백두산, 마니산, 태백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제천의 신격인 마고삼신은 이른바 성모나 할미, 천녀ㆍ선녀 등의 ‘여산신’으로 좌정하여 천제나 산신제의 신격으로 사람들에게 숭배를 받고 있다. 제천산의 여산신 전통은 북한산ㆍ백악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조선 초기, 백악산은 ‘진국백(鎭國伯)’으로 봉작되었고, 진국백을 모신 백악사 제천은 국가제례인 중사(中祀)로 중시되었다. 그렇지만 곧 유교례가 정비되면서 선도제천은 유교식 지제로 바뀌어 갔고 백악사 중사도 기우제를 지내는 장소로 바뀌어져 갔다. 국가나 왕실의 억압을 받게 된 선도 제천은 결국 민간으로 흘러들어 민속화·무속화되어 갔다. 북한산의 경우, 백악사의 백악 신위인 진국백 대신 지금은 백악산 ‘정녀부인’이라는 여산신 신격으로 남아 있다. 경기도 고양 및 서울 은평구 불광동에는 북한산 노적봉에 얽힌 ‘밥할머니 설화’에서, ‘밝할머니’가 ‘밥할머니’라는 이름의 여산신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이외에도 북한산 보현봉의 보현산신각에 있었다는 여산신, 북한산 형제봉 아래 심곡암 관음굴산신각에 좌정하고 있는 여산신, 구복암 성모전에 좌정하고 있는 여산신 등 북한산 곳곳에는 여산신 전승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모습들은 선도제천의 신격인 마고삼신이 민속화ㆍ무속화된 형태로 보이므로 북한산 여산신들은 마고삼신을 원류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한국 제천산의 여산신이 마고삼신을 원류로 하고 있듯이, 마찬가지로 북한산의 여산신도 상고시기 이래 제천 신격인 ‘마고삼신’을 원류로 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유라시아 생사관의 간문화 역량연구

        김용환(Kim, Yong Hwan)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2 유라시아문화 Vol.7 No.-

        아관파천 당시 러시아에는 톨스토이가 생사를 고뇌했고, 조선에는 경허성우가 생사문제와 씨름했기에 생사관에 대한 지혜를 남겼다. 톨스토이는 죽음보다 삶에 무게를 두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관심을 갖고 문학작품에 반영하였다. 노자의 무위사상을 실천한 인물이 톨스토이 작품에 등장하는 데, 그는 「신부 세르게이(1898)」이다. 그는 죽음의 유혹을 극복하고 회개하고 변화된 삶을 실천하였기에 노자무위와 화광동진(和光同塵)과 상관한다. 조선의 경허성우는 ‘심우행(尋牛行)’을 통해 돌이켜 비추는 ‘반조(返照)’와 깨달아 사무치는 ‘요달(了達)’을 중시한다. 경허성우는 영성을 일깨우는 방식을 택한다. 경허성우의 ‘심우행’은 보현행원 단계에서 자비원만 단계를 넘고 서원회향 단계로 지혜덕행을 완수하며 화광동진으로 상생한다. 간문화 역량으로 살펴볼 때, 러시아의 톨스토이와 조선의 경허선사는 생사관의 소통에서 화광동진의 시각심상을 제시함으로써 생사를 관통할 뿐만 아니라, 삶의 윤리가치를 죽음에 아로새김으로 유라시아 간문화 역량을 높였다고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생사근본을 밝히고, 미혹과 집착을 떨칠 수 있는 지혜 역량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육진경계에서 빛의 일심으로 소통하여 유라시아의 동체대비를 구현함으로 일심법화를 나눌 수 있다. At the time of Agwanpacheon, Tolstoy agonized over life and death in Russia, and in Joseon, Gyeongheo Seong-woo struggled with life and death, leaving wisdom about life and death. Tolstoy put more weight on life than death and was interested in how to live and reflected in literary works. A person who practiced Laozi’s thoughtlessness appears in Tolstoy’s work, “Bride Serge.” He overcame the temptation of death, repented, and practiced a changed life, so he correlated with Noh Ja-muwi and Harmonious light with dust. Gyeongheo Seong-woo of Joseon values Banjo, which is reflected through cow searching, and Yodal, which is enlightened. Gyeongheo Seong-woo practices it in a way that awakens spirituality. Gyeongheo Seong-woo’s “cow searching” goes beyond the stage of utilitarian merits to the stage of mercy, completes the virtue of wisdom in the stage of the merit returning, and coexists as Harmonious light with dust. In terms of Intercultural competency, Russia’s Tolstoy and Joseon’s Gyeongheo Buddhist monk not only penetrated life and death by presenting the visual image of Harmonious light with dust in the communication of life and death but also enhanced Eurasian intercultural capabilities by engraving the ethical value of life into death.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basis of life and death and to confirm the value of wisdom’s ability to shake off temptation and obsess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one heart of light at the six clouds of dust boundary and realizing Eurasian fuselage contrast, Ilsimbubwha can be shared.

      • KCI등재후보

        구석기시대 ‘주먹도끼 → 첨두기 → 모신상’으로 본 호모사피엔스의 ‘생명-공생문화’

        정경희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3 유라시아문화 Vol.8 No.-

        This paper examined the prototype of Ki energy perception that Homo sapiens felt and expressed through the symbolic patterns and symbols left by early Homo sapiens that appeared in the Middle Palaeolithic age. Archaic Homo sapience that appeared in the Lower Palaeolithic age began to recognize Ki energy vaguely while using Acheulean Handaxes and Handaxes were considered sacred gradually. As a result of the accumulation of these perceptions, Handaxes were made in the form of Triangle shape and Lozenge shape by the time of the transitional period of Lower-Middle Paleolithic age. By the time of the later period of Middle Palaeolithic age, these perceptions became more concrete and ‘Dot patterns, Line patterns, Cross-Lattice-Zigzag-Triangle-Lozenge patterns’ were expressed as symbolic patterns of Ki energy, and even Ki energy symbols were created in this form. Around this time, Ki energy symbols created by early Homo sapiens include the old type: ‘Triangular-shaped/Lozenge-shaped Handaxes’ and the new types: ‘Triangular-shaped/Lozenge-shaped Ocher pieces made of ironstone’, ‘Triangular-shaped/Lozenge-shaped/Leaf-shaped Points made of stone’, and ‘Lozenge-shaped/Leaf-shaped/Spearhead-shaped Points made of bone’. Following the flow of Homo sapiens in the Late Paleolithic age spreading throughout Eurasia centering on Europe and Siberia, the symbolic patterns of Ki energy and Ki energy symbols that began in Africa and Southwest Asia in the Middle Paleolithic age spread throughout Eurasia widely. Among the ocher culture and the points culture, which show Ki energy perception of early Homo sapiens, the points made of stone and bone were mainly propagated, and the points culture continued throughout the Late Palaeolithic age. On the other hand, during EUP-Aurignacian to MUP-Gravettian period, Mother Goddess symbol, which personified the existing Triangle-shaped/Lozenge-shaped Ki energy symbols, appeared as a new Ki energy symbols. As a result, the tradition of Ki energy symbols centered on the points in the Middle Paleolithic age changed to Ki energy symbols centered on Mother Goddess statues in the Late Paleolithic age. The appearance of the personality(Mother Goddess statues) left room for religiousization. Since the first appearance of Ki energy symbolic patterns and Ki energy symbols in the Middle Paleolithic age, their original meaning was ‘Ki energy dwelling in all living things’, but over time, that meaning has become confused due to the religiousization of Ki energy symbols. Recently, as the awareness of ‘Ki energy-Coexistence’ as the direction of human brain evolution deepens, it is understood that Ki energy symbols that started at the first starting point of the human brain evolution was the expression of ‘Ki energy dwelling in all living things’, and furthermore we come to understand that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of Ki energy perception is the human brain, that is, humanity's own Ki energy, and was able to present a new research direction that looks at human history and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Ki energy-Coexistence’ culture. 본고는 중기구석기에 출현한 초기 호모사피엔스가 남긴 상징문 및 상징물을 통해 우리 호모사피엔스종이 느끼고 표현하는 생명인식의 원형을 살핀 글이다. 전기구석기 고형 호모사피엔스는 주먹도끼를 사용하면서 생명에 대한 초기적 인식을 시작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주먹도끼를 신성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이 집적된 결과 전ㆍ중기구석기의 전환기에는 주먹도끼를 삼각형ㆍ마름모형의 형태로 만들게 되었다. 중기구석기의 후기가 되면서 이러한 인식이 더욱 구체화, 생명상징문으로 ‘점문ㆍ선문ㆍ십자-격자-지그재그-삼각-마름모문’을 표현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이러한 형태로 생명상징물까지 만들었다. 이 무렵 초기 호모사피엔스가 만든 생명상징물로는 구기종 삼각형ㆍ마름모형 주먹도끼 외에도 신기종 ‘철광석제 삼각형ㆍ마름모형 황토조각’, ‘석제 삼각형ㆍ마름모형ㆍ잎형 첨두기’, ‘골제 잎형ㆍ창형 첨두기’가 있다. 이렇듯 중기구석기 아프리카~서남아시아에서 시작된 생명상징문ㆍ상징물은 후기구석기 호모사피엔스가 유럽 및 시베리아 양대 지역을 중심으로 유라시아 전역으로 확산하는 흐름을 타고 유라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중기구석기 호모사피엔스의 생명인식을 보여주는 황토문화와 첨두기문화 중 첨두기문화가 주로 전파, 석ㆍ골제 첨두기 전통이 후기구석기 내내 지속되었다. 그러한 한편 EUP 오리나시안기~MUP 그라베티안기에 이르러 새로운 생명상징물로 기왕의 삼각형ㆍ마름모형 생명상징을 인격화한 모신상징이 등장하였다. 이로써 중기구석기 첨두기 위주의 생명상징물 전통이 후기구석기에 이르러 모신상 위주로 달라졌다. 인격(모신)상징의 등장은 종교화의 여지를 남겼다. 중기구석기 생명상징이 첫등장한 이래 그 본연의 의미는 ‘모든 생명체에 깃든 생명(기)’였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생명상징의 과도한 종교화ㆍ사변화로 인해 그 의미가 혼란스워지기도 했다. 근래 인류뇌 진화의 방향으로서 ‘생명-공생’에 대한 인식이 깊어지면서 인류뇌 진화의 첫 출발점에서 시작된 생명상징이 ‘생명체에 깃든 생명(기)’의 표현임을 이해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이 모든 인식 변화의 출발점이자 끝점이 인류뇌, 곧 인류 자신의 생명(기)임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인류의 역사문화를 ‘생명-공생문화’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