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henyl Chloroformate의 加溶媒分解反應의 速度論的 硏究

        권오천,이옥섭,박병춘 漢陽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 1996 自然科學論文集 Vol.15 No.-

        이성분 혼합용매내에서 phenyl chloroformate의 가용매분해반응속도를 전도도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에탄올 및 아세톤 수용액내에서 본 물질의 가용매분해반응으로 인한 생성물을 GC법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이들 속도상수로부터 활성화파라미터, 염효과, 등속도관계 그리고 용매 이온화력에 따른 민감도를 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반응은 이분자성 친핵성 첨가 - 제거반응임을 알 수가 있었다. Rates of solvolysis of phenyl chloroformate in binary solvent mixtures were measured by conductometry method under various temperatures. The products from the solvolysis of phenyl chloroformate in aqueous ethanol and aqueous acetone were determined by GC analysis. The activation parameters, salt effects, isokinetic relation and the sensitivity of solvolysis to changes in solvent ionizing power have been estimated from the rate constants.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estimated that the solvolysis of phenyl chloroformate proceeds bimolecular nucleophilic addition-eliminati attack on acyl carbon by solvent.

      • SCOPUSKCI등재

        폴리메틸벤젠과 할로겐 사이의 전하이동 착물생성에 관한 열역학적 연구 (제4보)

        권오천,김정림,양제하,Oh Chun Kwun,Jeong Rim Kim,Je Ha Yang 대한화학회 1982 대한화학회지 Vol.26 No.5

        펜타메틸벤젠 및 헥사메틸벤젠과 요오드 및 일염화요오드와의 각계를 사염화 탄소용액에서 자외선 분광광도법에 의하여 연구한 결과 1:1 분자 착물이 형성됨을 알았다. 이들 착물 생성에 의한 흡수최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blue shift 되므로 이에 따른 각 온도에서의 평형상수를 구하였다. 이 값으로 부터 이들 착물 생성에 대한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산출한 결과 각 온도에서 폴리메틸벤젠과 요오드 및 일염화요오드 사이에 생성된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는 ICl이 $I_2$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실은 폴리메틸벤젠에 대한 그들의 상대적 산성도를 나타내며 할로겐 원자의 전기 음성도의 차이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계열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벤젠에 치환된 메틸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lambda}_{max}$는 red shift 하였고 이들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Benzene < Toluene < Xylene < Durene < Mesitylene < Pentamethylbenzene < Hexamethylbenzene. 이에 따른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Ultraviolet spectrophotometric investigation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systems of pentamethylbenzene and hexamethylbenzene with iodine and iodine monochloride in carbon tetrachloride. The results reveal the formation of the one to one molecular complexes. The equilibrium constants were obtained in consideration of that absorption maxima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harge transfer complexes shift to blue with the increasing temperature. Thermodynamic parameters for the formation of the charge transfer complexes were calculated from these valu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lex formed between polymethylbenzene and iodine monochloride is more stable than that in the case of iodine. This may be a measure of their relative acidities toward polymethylbenzene, which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relative electronegativities of halogen atoms. These results combined with previous studies of this series indicated that ${\lambda}_{max}$ shift to red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methyl groups on benezene ring and that the relative stabilities of these complexes increase in the order, Benzene < Toluene < Xylene < Durene < Mesitylene < Pentamethylbenzene < Hexamethylbenzene. The reason for the order found is thus additionally discussed.

      • KCI등재

        집토끼 결장 각 부위의 구조에 대한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정진웅,천명훈,오수자,권흥식,Chung, J.W.,Chun, M.H.,Oh, S.J.,Kwun, H.S. 한국현미경학회 1984 Applied microscopy Vol.14 No.2

        Structural differences in various divisions of the rabbit colon were investigated using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or light microscopic study, various Portions of the colon from seven rabbits (2.5 kg body weight) were fixed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and paraff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Tissues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fixed in 1%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and postfixed in 1% $OsO_4$, dehydrated to 100% alcohol, transfered to isoamilacetate and dried by the critical point method. Subsequently, specimens were coated with gold and viewed with a JSM-35C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colon displays a morphological diversity along its proximo-distal axis. Five regions can be discerned based on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characteristics. 1) The first segment immediately distal to the cecocolical junction possessing three teniae is approximately 5 cm ($4{\sim}6cm$) in length, and displays irregular folds of the mucosa oriented transversely similar to those of the cecum. 2) The second segment possessing three teniae is about 7 cm ($5{\sim}8cm$) in length, and is characterized by the papilla-like protrusions on the mucosal surface. 3) The third segment, possessing a single tenia is about 16 cm ($12{\sim}20cm$) in length, and also displays the papilla-like protrusions similar to the aforegoing segment. 4) Fusus coli, approximately 4 cm ($3{\sim}5cm$) in length, is free of teniae and exhibits longitudinal folds on the mucosal surface. These four portions together constitute the proximal colon. 5) The distal colon reaches a length of about 58 cm ($53{\sim}55cm$) and shows a pattern of surface irregularities with minor ridges on the mucosal folds.

      • SCOPUSKCI등재

        가용매분해반응속도에 대한 압력의 영향(Ⅲ) 이성분용매내 Acyl류와 Alkyl류의 친핵성 치환반응의 속도론적 연구

        경진범,박병춘,권오천,Kyong, Jin Burm,Park, Byoung Chun,Kwun, Oh Cheun 대한화학회 1997 대한화학회지 Vol.41 No.9

        여러가지 수용성 혼합용매내에서 파라 치환체인 acyl chloride류와 alkyl chloride류의 가용매분해 반응속도를 여러 온도와 압력하에서 전도도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이들 속도상수로 부터 활성화 파라미터들(${\Delta}V^{\neq},\; {\Delta}H^{\neq},\; {\Delta}S^{\neq}$)을 구하였다. 또한 활성화 부피와 활성화 엔트로피 관계로 부터 이들 반응에 대한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Kinetics for the solvolyses of acyl chlorides and alkyl chlorides in hydroxylic solvent mixtures have been measured by conductometric method at various temperatures and pressures. The activation parameters (${\Delta}V^{\neq},\; {\Delta}H^{\neq},\; {\Delta}S^{\neq}$) were estimated from the rate constants. The reactivities of these reactions were also estimated from the correlation of the activation volumes with the activation entropies.

      • SCOPUSSCIEKCI등재

        Barrier Techniques for Spinal Cord Protection from Thermal Injury in Polymethylmethacrylate Reconstruction of Vertebral Body :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nalyses

        박춘근,지철,황장회,권성오,성재훈,최승진,이상원,박성찬,조경석,박춘근,강준기,Park, Choon Keun,Ji, Chul,Hwang, Jang Hoe,Kwun, Sung Oh,Sung, Jae Hoon,Choi, Seung Jin,Lee, Sang Won,Park, Sung Chan,Cho, Kyeung Suok,Park, Chun Kun,Yuan, Ha 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01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0 No.3

        Polymethylmethacrylate(PMMA)는 척추 전적출술후에 척추를 재건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액체 형태의 PMMA가 응고하면서 발생되는 열은 척수 신경의 열 손상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미 응고된 PMMA sheet가 척수 신경을 보호하는 방어 벽으로서의 열 차단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또한 열손상으로부터 신경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방어벽의 최소한의 두께를 탐구하는 데 있다. 실험실에서 제 12번째 흉추체 전 적출후의 상태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의 정육면체의 용기를 제작하였다. 60ml의 액체형 PMMA를 용기 안에 주입하여 응고하는 PMMA중심부와 세 가지 다른 두께의(제 1 군 : 0mm, 제 2 군 : 5mm, 제 3 군 : 8mm) 이미 응고된 PMMA sheet의 하부(척수의 전면을 의미)에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 결과에 대한 위의 세 가지 군에 대해 열역학적 분석도 시행하였다. 응고하는 PMMA 덩이의 중심부에서의 온도는 18회의 실험 동안 매우 일정하여($106.8{\pm}3.9^{\circ}C$)이 실험 모델의 재현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방어 벽이 없는 군(제 1 군)에서 척수 신경 전면의 최고 온도가 $60.3^{\circ}C$이었으나 5mm군 (제 2 군)과 8mm군(제 3 군)에서는 각각 $47.3^{\circ}C$와 $43.3^{\circ}C$로 이미 응고된 PMMA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0.00005) 온도 차단 효과를 보였다. 최고 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계산된 시간은 실제 실험치 보다 35%이내의 오차를 보였으나 최고 온도에 대한 열역학적인 계산치는 실제 실험에서 나타난 수치의 1%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이상의 열역학적인 자료를 토대로 볼 때, PMMA를 이용한 척추의 재건술에서 PMMA 방어벽은 척수의 열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 실험에서 가정한 척수의 열손상 역치인 $39^{\circ}C$이하로 척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PMMA방어벽의 두께는 10mm정도로 계산되었다. PMMA 방어벽의 임상 적용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임상 실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Polymethylmethacrylate(PMMA) is often used to reconstruct the spine after total corpectomy, but the exothermic curing of liquid PMMA poses a risk of thermal injury to the spinal cor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heat blocking effect of pre-polymerized PMMA sheet in the corpectomy model and to establish the minimal thickness of PMMA sheet to protect the spinal cord from the thermal injury during PMMA cementation of vertebral body. Materials & Methods : An experimental fixture was fabricated with dimensions similar to those of a T12 corpectomy defect. Sixty milliliters of liquid PMMA were poured into the fixture, and temperature recordings were obtained at the center of the curing PMMA mass and on the undersurface(representing the spinal cord surface) of a prepolymerized PMMA sheet of variable thickness(group 1 : 0mm, group 2 : 5mm, or group 3 : 8mm). Six replicates were tested for each barrier thickness group. Results : Consistent temperatures($106.8{\pm}3.9^{\circ}C$) at center of the curing PMMA mass in eighteen experiments confirmed the reproducibility of the experimental fixture. Peak temperatures on the spinal cord surface were $47.3^{\circ}C$ in group 2, and $43.3^{\circ}C$ in group 3, compared with $60.0^{\circ}C$ in group 1(p<0.00005). So pre-polymerized PMMA provid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tection from heat transfer. The difference of peak temperature betwee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value was less than 1%, while the predicted time was within 35% of experimental values. The data from the theoretical model indicate that a 10mm barrier of PMMA should protect the spinal cord from temperatures greater than $39^{\circ}C$(the threshold for thermal injury in the spinal cord).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polymerized PMMA sheet of 10mm thickness may protect the spinal cord from the thermal injury during PMMA reconstruction of vertebral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