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etary Guidelines and Visual Rod Guide far Japanese

        Adachi, Miyuki 대한영양사협회 2001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7 No.2

        한국은 한국전쟁 후 식품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런 식품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우선 한국인의 주식인쌀의 생산을 증가시켰다. 이 정책의 효과는 쌀 생산에 있어서 자급충족하게 된 1970년대 중반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최근에도 식품정책은 여전히 쌀 생산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람들은 더 다양한 식품을 섭취할 수 있게 되었고, 다른 나라로부터 수입이 증가하여 많은 종류의 식품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정부는 수입식품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식량자급과 수입식품은 관리문제말고는 상대적으로 식품과 영양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왜냐하면 정부는 경제발전을 우선으로 하였기 때문에 식품정책은 경제적인 관점에서 다루었다. 영양은 단지 전체 경제발전의 작은 한 부분이었다. 그러나 20년동안 한국인의 영양이 개선됨으로써 기대여명과 영아사망율에 있어서 빠른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영아사망율은 1970년도에 1000명당 45명이었던 것이 1996년에는 8명으로 감소하였고, 기대여명은 같은 시기에 63세에서 73세로 증가하였다. 이것은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빠른 향상이다. 지금 한국은 질병의 형태가 변화하는 과정에 있으며 만성질병의 위험에 직면해있다. 한국의 식생활지침은 식품영양심의위원회의 도움으로 1989년 보건북지부에서 발표하였다. 최근 새로운 식생활지침은 정부의 관심과 지지를 받으며 개발 중에 있다. 현재 사용되는 식생활지침은 1) 여러 가지 식품을 골고루 먹자. 2) 정상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알맞게 먹자. 3) 음식은 되도록 싱겁게 먹자. 4) 너무 많은 알코을 섬취를 피하자. 5) 식사를 규칙적으로 즐겁게 먹자. 이다.

      • KCI등재

        우리 나라 일부 초등학생의 식생태에 관한 연구

        승정자,성미경,최미경,강영림,권순자,김미현,서유리,모수미,Miyuki Adachi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1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6 No.2

        The current socioeconomic climate has meant more children spend more time alone at home even for din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modem Korean childrens´food ecology based on mealtime atmosphere. A total of 705 elementary school students, 347 girls and 358 boys took part in the study. They were chosen evenly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provincial cities, or rural areas, and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categorized to determine various factors related to food ecology, life styles, and health related symptoms. The average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11.5 years. The averag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and Rohrer index were 143.2cm, 37.6kg, 18.2 and 127.2 respectively. A significant number of children(39.2%) answered their bed time was between 11 and 12 pm. Only 28.3% answered that the whole family has breakfast together, and 47.7% have dinner together. A considerable number of children, 17.8% for breakfast and 6.9% for dinner, answered they eat alone. Most of the children answered they like to have dinner with the whole family. Half of the children answered they do not feel hungry before having breakfast. Proportions of children for their favorite meal time were 66.8%, and 25.4% and 7.8% for dinner, school lunch, and breakfast respectively. The largest proportions of children, 53.3% and 68.7%, have breakfast and dinner at home. Most of the children(75.2%) never purchase their dinner. Forty two% of the children answered they like school lunch, however, 60% of children answered they leave portions of lunch uneaten occasionally or always. Only 38.0% and 46.2% of the children have nutritionally adequate diet for breakfast and dinner. Children having more meals with the whole family possess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breakfast compared to the children who eat with the whole family less frequently. In conclusion, Korea children are exposed to different health threatening food ecology problems related to changing environments, and consistent concern and support from community nutritionists are required.

      • KCI등재

        식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곰탕류 섭취에 관한 예비적 연구

        최경석,모수미,김주혜,권순자,족립기행,고희정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1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6 No.4

        1. 本 硏究의 目的은 한국인의 食生活에서 각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곰탕류의 섭취와 그 背景이 되는 요인의 相互關係를 규명하여, 앞으로 次世代에의 營養敎育을 하는 데에 있어서 하나의 단서를 얻기 위함에 있다. 그 첫 단계로 곰탕 전문점을 찾는 손님을 대상으로 食生態學的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調査하였다. 2. 대상자의 약 67%는 일주일에 1∼2回以上, 15%는, 3回以上 곰탕류를 섭취하고 있었다. 섭취빈도에 있어서의 年齡差는 보이지 않았다. 3.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맛이나 냄새에 대한 「嗜好度」가 높고(p<0.001), 칼슘섭취에 유의하고 있었으며(p<0.05), 소양(肝)도 넣어 먹도록 配慮하고 있었다(p<0.01). 4. 곰탕전문점에 온 이유로서는 전체적으로 봐서 食嗜好面이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섭취빈도가 높은 쪽에서는 食嗜好面이 강하게 나타난 데에 비해, 섭취빈도가 낮은 쪽에서는 食嗜好面외에 그 음식점의 有名度나 친구의 소개 등의 情報面이 강하게 나타났다. 5. 다른 韓國料理보다 곰탕류를 선택하는 이유로서는 섭취빈도가 높은 쪽에서는 食嗜好面이나 生理的狀態에 관한 요인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데에 비해, 섭취빈도가 낮은 쪽에서는 生理的狀態에 관한 요인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6. 곰탕류 섭취 후 健康面에서의 主觀的·心理的評價에 대해서는(複數回答) 80.5%가 肯定的, 30.5%가 특별한 변화가 없고, 6.5%가 否定的인 것으로 봐서, 대부분의 사람이 곰탕류는 健康에 좋다고 認識하고 있었으며, 그 認識에는 섭취빈도에 따른 差異는 보이지 않았다. 7. 연령이 높을 수록 곰탕류의 맛이나 냄새에 대한 嗜好度가 有意하게 높았으며, 健康과의 관련에서는 「식후 소화가 잘 된다」라는 이유로 곰탕류를 선택하였으며, 연령이 낮을 수록 「食慾이 없을 때」, 「宿醉일때」에 선택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봐서, 연령에 따른 섭취빈도의 差는 없으나, 곰탕류를 선택할 때의 嗜好·意識·健康에의 관심·行動面에는 약간의 差가 나타났다. 8. 多變量解析의 結果, 高攝取頻度群은 주로 50代以上이며 곰탕류에 대한 嗜好度가 매우 높고 食意識面이나 食行動面, 健康面에서 肯定的이었다. 이에 반하여 中攝取頻度群은 주로 40代였으며 곰탕류에 대한 嗜好度가 높았으나 高攝取頻度群에 비해 食意識面이나 食行動面에서 덜 積極的인 경향이었다. 低攝取頻度群은 주로 20代와 30代였으며 곰탕류에 대한 嗜好度가 보통이었으며, 食嗜好面보다 「친구의 소개로」 등에 의해서 섭취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ake of a kind of Gom-Tang (Beef soup made with internal organs and bone), which is the Korean traditional food, and factors affecting the eating behavior of customers. Two hundred male customers of a H Korean Restaurant specialized in Gom-Tang, which is a well-known restaurant in Seoul, were surveyed from June 26 to 29, 1990.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1) 「Frequency of intake」 and 「preference」 were very high. Those who took a kind of Gom-Tang 「more than once a week」 were 66.5% of the subjects. Those who evaluated 「good」 for the taste and flavor were 86.5% and 59.0% of the subjects, respectively. (2) The reasons why they chose a kind of Gom-Tang from among many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preference」 and 「phygiological condition」 in 「high frequency of intake」 group. 「Phygiological condition」 was more critical factor than 「preference」 in 「low frequency of intake」 group. (3) The effect of the intake of a kind of Gom-Tang on health was evaluated as 「healthy」 (80.5%). 「No effect」 and 「harmful」 were 30.5% and 6.5%, respectively. (4) 「High frequency of intake」 group, mainly more than 50 years of age, had a high 「preference」 and 「food knowledge」 as well as positive 「eating behavior」 and 「healthy state」. 「Middle frequency of intake」 group, mainly the forties, had a high 「preference」, but had less positive 「eating behavior」 than 「high frequency of intake」 group. 「Low frequency of intake」 group, mainly the twenties and thirties, had a medial 「preference」. They took a kind of Gom-Tang for reasons of 「on the recommendation of friends」 better than 「preference」. Foregoing results showed that 「a kind of Gom-Tang」 was a typical food recognized as 「healthy」 as well as 「delicious」. This may suggest that 「a kind of Gom-Tang」 is a candidate for the effective food on nutrition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