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G-38 : Minimal invasive surgery (LESS) for huge cystic adnexal tumors in whole abdomen

        ( In Young Choi ),( Ji Hye Lee ),( Mi Hyun Park ),( Ji Kwoun Park ),( Jeong Kyu Shin1 ),( Won Jun Choi1 ),( Soon Ae Lee ),( Jong Hak Lee ),( Won Young Pai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4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0 No.-

        Laparoendoscopic single-site surgery (LESS) is helpful if not an evidence of suspicious malignancy in huge adnexa tumors. This approach might be reasonabl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laparoscopic surgery. We report two cases with LESS for huge cystic adnexal tumors in whole abdomen. A 58 years old multigravida woman in menopause underwent removal of a huge cystic adnexal mass that occupied her entire abdomen by LESS.(ca.5200ml aspiration) A 15 years old single nulligravida woman had a huge cystic adnexal tumor in whole abdomen reaching to the level of the xyphoid process. A needle through the transumbilical single port was inserted directly under the mass. Subsequently, 8000 ml of cystic fluid was aspirated without spillage.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SCISCIESCOPUS

        Methyleugenol reduces cerebral ischemic injury by suppression of oxidative injury and inflammation

        Choi, Yoo Keum,Cho, Geum-Sil,Hwang, Sunyoung,Kim, Byung Woo,Lim, Ji. H.,Lee, Jae-Chul,Kim, Hyoung Chun,Kim, Won-Ki,Kim, Yeong Sik Informa UK Ltd. 2010 Free radical research Vol.44 No.8

        <P>The present study tested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methyleugenol in an <I>in vivo</I> ischemia model (i.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for 1.5 h and subsequent reperfusion for 24 h) and further investigated its mechanism of action in <I>in vitro</I> cerebral ischemic models. When applied shortly after reperfusion, methyleugenol largely reduced cerebral ischemic injury. Methyleugenol decreased the caspase-3 activation and death of cultured cerebral cortical neurons caused by oxygen-glucose deprivation (OGD) for 1 h and subsequent re-oxygenation for 24 h. Methyleugenol markedly reduced superoxide generation in the ischemic brain and decreased the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caused by OGD/re-oxygenation. It was found that methyleugenol elevate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Further, methyleugenol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Methyleugenol down-regulate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ischemic brain as well as in immunostimulated mixed glial cells. The results indicate that methyleugenol could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ischemia/inflammation-related diseases.</P>

      • KCI등재

        3D yolk–shell Si@void@CNF nanostructured electrodes with improv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for lithium-ion batteries

        Choi, Sojeong,Kim, Min-Cheol,Moon, Sang-Hyun,Lee, Ji-Eun,Shin, Yeon-Kyung,Kim, Eun-Soo,Park, Kyung-Won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2018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64 No.-

        <P><B>Abstract</B></P> <P>Si-based anode materials are stud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igh-capacity lithium-ion batteries (LIBs). However, Si-based anodes have critical drawbacks such as volumetric electrode expansion during cycling in LIBs, that result in deterioration in cycling performance. Herein, we prepare 3D yolk–shell Si and carbon nanofiber (CNF) nanostructured electrodes with different void portions (Si@void@CNF-x) using oxidation, etching, and electrospinning process. The portions of the void in the Si@void@CNF electrodes can be controlled by electrospinning with Si powder oxidized at 700°C under an air atmosphere for a reaction time (x) of 3, 6, and 9h followed by chemically etching in HF solution. The electrodes are structurally characterized using X-ray diffraction,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charge/discharge and rate performance of the electrodes is evaluated in the coin-type cells. Si@void@CNF-6 shows a highest reversible discharge capacity of 304.9mAhg<SUP>−1</SUP> at a current density of 200mAg<SUP>−1</SUP> after 500 cycles and an improved high rate performance (166@2000mAg<SUP>−1</SUP> after 500 cycles), compared to Si@void@CNF-3 and Si@void@CNF-9. The particular void portion in the Si@void@CNF-6 can be responsible for the superior LIB performance, representing the efficiently volumetric expansion-relieved electrode structure during cycling.</P> <P><B>Highlights</B></P> <P> <UL> <LI> We prepared 3D yolk–shell Si and carbon nanofiber nanostructured electrodes. </LI> <LI> The Si@void@CNF showed a high specific capacity and high rate performance. </LI> <LI> The enhanced performance is due to voids formed by 3D carbon nanofiber networks. </LI> </UL> </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KCI등재

        Long Term Follow-up Results of External Beam Radiotherapy as Primary Treatment for Retinoblastoma

        Choi, Sang Yul,Kim, Mi-Sook,Yoo, SungYul,Cho, ChulKoo,Ji, YoungHoon,Kim, KumBae,Seo, YoungSeok,Park, Kyung Duk,Lee, JunAh,Lee, Tai-Won The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2010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5 No.4

        <P>The authors reviewed their experiences of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 as an initial treatment in retinoblastoma patients to determine its long-term effect on subsequent tumor control and complications. A total of 32 eyes in 25 patients that underwent EBR for retinoblastoma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consisted of 21 boys and 4 girls of median age at treatment of 7.1 months. Radiation doses ranged from 35 to 59.4 Gy. The 10-yr ocular and patient survivals were 75.4% and 92.3%, respectively. Nine of the 32 eyes progressed; 7 of these were enucleated and 2 were salvaged by fo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Reese-Ellsworth classification, 4 of 5 eyes of Group II, 13 of 16 Group III eyes, 2 of 4 Group IV eyes, and 5 of 7 Group V eyes were retained, and of the 32 eyes, 13 had visual acuity better than 20/200. Eleven patients experienced a radiation-induced complication. No patient developed a second malignancy during follow-up. Despite the limited number of patients enrolled, EBR may provide a mean of preserving eyeball and vision for some advanced lesions.</P>

      • A case of simultaneous nongestational ovarian choriocarcinoma and mucinous borderline tumor combined with undiagnosed cervix cancer

        ( Ji Hyun Keum ),( Jaeman Bae ),( Joong Sub Choi ),( Won Moo Lee ),( Jeong Min Eom ),( Hyo Jin Lee ),( Yun Seo Cho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8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4 No.-

        The patient, a 50-year-old woman (gravida 2, para 2), visited the local clinic for constipation. Image studies revealed a 10 cm, heterogenous, multi-septated mass in both ovaries. Initial CA 125 was 100.7 U/ml. A pap smear was performed, and the result was negative. During surgery, the tumor was noted to arise from both ovaries. Laparoscopic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was performed. Microscopic evaluation of the right ovary revealed ovarian choriocarcinoma, a borderline mucinous tumor, and metastatic adenocarcinoma. Left ovary evaluation revealed an ovarian borderline mucinous tumor and metastatic adenocarcinoma. After confirming the final histological examination, laparoscopic re-staging surgery was performed. Microscopic finding of the uterus was endocervical adenocarcinoma with direct extension to the endometrium and myometrium and a pelvic lymph node on the left side revealed metastatic adenocarcinoma. After surgery, we performed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with weekly cisplatin (50 mg/m2) for cervical cancer. Abdominal CT was performed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However, -HCG increased from 18.6 to 65.24 (mIU/ml). Chemotherapy was decided and treatment with an EMA-CO regimen was started. At this time, a lesion was observed in the right upper lobe of the chest radiograph. Three cycles of EMA-CO chemotherapy were performed. -HCG after three cycles of chemotherapy was 93.64 (mIU/ml). On chest CT, the size of the nodule in the right upper lobe was increased to 2 cm. Therefore, We changed chemotherapy regimen into Paclitaxel andcarboplatin. AfCHter the second cycle of chemotherapy, the patient was admitted due to worsening of chest metastases with fever, sore throat, and leukopenia. Chest nodule was confirmed to chroicarcinoma through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and serum level of -HCG was increased after changing the regimen with EP-EMA and topotecan and bevacizumab. She died after brain metastasis.

      • Primary signet ring cell carcinoma of ovary: A report of 3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Ji Young Hong ),( Hyea Park ),( Hera Jung ),( Sang Yong Song ),( Jeong-won Lee ),( Byoung-gie Kim ),( Duk-soo Bae ),( Tae-joong Kim ),( Chel Hun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8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4 No.-

        Although the presence of signet ring cell in ovarian neoplasm is commonly reported in Krukenberg tumors, primary ovarian signet ring cell carcinoma is rarely diagnosed. This rarity causes diagnostic confusion with secondary krukenberg tumor. The prognosis of primary ovarian signet ring cell carcinoma is poor. Thus,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primary ovarian signet ring cell carcinomas from secondary krukenberg tumor and start proper treatment. In practice, this issue has long been researched. Typical features suggesting a primary rather than a metastatic tumor have been discovered.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have limited value. They cannot be applied to all cases of primary ovarian signet ring cell carcinoma. Here, we report three cases of primary ovarian signet ring cell carcinoma to demonstrate its differential diagnosis, prognosis, and limitation through meaningful studi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 Oncologic and Surgical Outcomes Laparoscopic Primary Debulking Surgery for Presumptive Advanced Epithelial Ovarian Cancer

        ( Ji Hyun Keum ),( Joong Sub Choi ),( Jaeman Bae ),( Won Moo Lee ),( Jung Min Eom ),( Hyo Jin Lee ),( Eunsaem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8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4 No.-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between laparoscopically-assisted staging surgery and laparotomic staging surgery for primary epithelial ovarian cancer. Methods: We reviewed clinical charts of women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in tertiary Korean medical centers. We conducted the study using case-matched analysis to obtain equal cohorts of patients with respect to age, FIGO stage, histopathologic type, and tumor grade to assess surgical outcomes and survival. Results: Fifty-two patients (26 matched pair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were selected to the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wo groups in terms of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t a median follow-up of 69 months (range, 15-146 months), disease-free survival (P: 0.72) and overall survival (P: 0.53) were similar in both groups. Conclusion: Laparoscopically-assisted staging surgery did not show the differences in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compared to laparotomic staging surgery. Laparoscopically-assisted staging surgery can be offered a treatment modality for selected women with advanced epithelial ovarian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