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파트관리업무 종사자의 고혈압 관리 및 관련 요인 : 보건관리대행 서비스를 받고 있는 서울 일부 아파트 Provioded with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강순환,김현주,김용규,구정완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4

        목적 : 본 연구는 보건관리대행 서비스를 받고 있는 아파트관리업무에 종사하는 고혈압 환자 중 6개월 이상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했던 60명을 대상으로 고혈압관리 효과와 혈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2개월 간격의 방문상담을 통하여 고혈압 위험요인 파악, 관리방법 지도 및 혈압을 측정하였고, 보건관리대행 서비스 제공 전과 후의 차를 분석하였다. 결과 : 첫 상담 시 측정한 혈압과 2001년 3회 측정한 혈압의 평균이 차이로 파악한 혈압의 변화는 수축기 혈압의 평균은 첫 상담 시 151.9 ㎜Hg에서 마지막 상담 시 141.1 ㎜Hg로, 이온기혈압의 평균은 첫 상담시 93.6 ㎜Hg에서 마지막 상담 시 87.1 ㎜Hg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생할습관요인과 투약여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주1회 이상 운동하는 사람은 7명(11.7%)에서 34명(56.7%)을로 늘어났고, 투약하는 사람은 4명(6.7%)에서 26명(43.3%)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보건관리대행 서비스 제공기간에 따른 생활습관요인 및 투약상태 개선의 변화에서 짧은 집단에서 36.8%, 중간정도인 집단에서 43.5%, 긴 집단에서 72.2% 였으며, 이들 세 집단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혈압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총 교대근무기간이 10년 이내의 짧은 군에서 잘 관리되는 사람이 32명(78.0%)을로 10년 이상의 긴 군에서는 잘 관리되는 사람이 9명(22.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결론 : 아파트 관리업무에 종사하는 고혈압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보건관리대행 서비스는 혈압의 감소, 생활습관요인과 투약이 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혈압관리에 영향을 밀치는 요인은 교대근무기간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아파트관리업무 종사자의 효과적인 혈압관리를 위하여 업무 스트레스, 바람직한 교대근무 형태 등의 직업적 요인이 고려되어야함에 유의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visiting occupational health services(OH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per control of blood pressure in hypertensive apartment management workers. Methods: The study group included 60 weekers, who were visited and followed up regularly by a nurse for a period of more than 6 months. We checked the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blood pressure and provided hypertension control methods every 2 months. Results: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from 151.9 ㎜Hg at the first visit to 141.1 ㎜Hg at the last visit, and mean diastolic blood pressure also decreased from 93.6 ㎜Hg to 97.1 ㎜Hg (p<0.01). The number of workers who had regular exercise more than once a week increased from 7 (11.7%) at the first visit to 34 (56.7%) at the last visit, and the number of workers taking hypertensive medicines increased from 4 (6.7%) to 26 (43.3%) (p<0.01). The percentage of workers who either changed their life stule or began taking hypertensive medication over the course of the action under taken by the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36.8% in the shorter intervention group, 43.5% in intermediate intervention group, and 72.2% in longer intervention group (p<0.05). Among those who were on shift work for less than 10 years was 32(78.0%), while the corresponding number was only 9 (22.0%) for those who were on shift work for more than 10 years (p<0.01).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visiting OHS was effectives in ringing about a reduction in blood pressure, as well as an improvement in life style habits and in the use of medication. It suggests that occupational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the proper control of blood pressure in hypertensive apartment management workers.

      • KCI등재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정현주(Hyunjoo Jung)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3

        본 논문은 지구화와 이주의 여성화 시대에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을 이론화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이론적 자원을 검토하고 이를 페미니스트 이주연구 및 한국사례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이주란 국경을 비롯한 다양한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상황과 관계 속에서 자신의 사회적, 물리적 위치를 끊임없이 협상해 나가는 과정이다. 특히 여성 이주자들은 남성 이주자들에 비해 더욱 다면적인 억압과 정체성 변환의 요구에 직면하며 따라서 그 누구보다 위치의 정치학을 체현하는 존재들이다. 본 논문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이론적 자원은 이러한 주변화된 존재들이 다양한 정체성 협상을 통해 페미니즘적 주체로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인식론적 통찰과 개념 및 언어적 도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최근 페미니즘 연구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이론들이다. 그것은 글로리아 안잘두아 등이 제안한 경계지대와 메스티자 주체론, 억압의 교차성 이론, 들뢰즈와 과타리의 이론을 페미니즘적으로 전유한 로지 브라이도티의 변위와 유목적 주체론이다. 권력의 교차와 주체의 변화를 공간적 은유로 개념화한 이들 이론의 검토를 통해 상호 맞물려 있는 공간과 젠더, 이주에 대한 인식론적 통찰은 물론 한국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적 도구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n introductory research to theorize women migrants’ positional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It particularly examines three recent theoretical approaches within feminist studies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feminist migration study. Migration means a process of continuous negotiations of one’s social and material positions within ever changing relations and situations through crossing various borders including national boundaries. Women migrants face multifaceted oppressions due to gendered relation and greater challenges to transform their identities. They embody politics of location through migration. The paper revolves around theories that explore a potential of feminist subjectivation of marginalized women such as female migrants through their identity negotiation and transformation. The theories in questions are Borderlands and the New Mestiza introduced by Gloria Anzaldua, Intersectionality of oppressions, and Transpositions and the Nomadic Subjects by Rosi Braidotti who borrowed the theories of Deleuze and Guattari through feminist critiques. These theories all represent power relations and subject transformations through spatial metaphors. rough spatialized understandings, the paper proposes interlocking relations among space, gender and migration, and explores conceptual tools as well as epistemological insights for Korean migration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이주, 젠더, 스케일 :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정현주(Hyunjoo Jung)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이주연구의 화두인‘이주의 여성화’에 내포된 스케일 이슈를 각종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젠더선별적인 접근을 필요로 하는 페미니스트 이주연구는 거시적 스케일에서 뿐만 아니라 미시적 스케일에서 형성되는 젠더관계와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과정이 상호 접목되는 양상을 분석할 것을 요구한다. 기존의 이주연구가 국가별 수준에서, 젠더요인에 대한 피상적 고려에 그친 것을 비판하면서, 페미니스트 접근은 지구적인 노동의 성별분업, 초국가적 가족연계망, 이주여성의 몸과 가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재생산을 통해 역동적으로 재구성되는 젠더관계를 주요 연구주제로 상정한다. 최근 국제이주의 주요 주체로 부상하고 있는 이주여성은 국경과 공적ㆍ사적 영역을 넘나들며 근대적 젠더관계와 그 경계를 교란하고 있다. 이들의 경계넘기의 젠더정치학은 다양한 스케일의 창출을 수반하는 스케일의 정치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개인의 증대된 에이전시와 가족관계망의 초국가적 확장을 통한 국제이주의 증가는 이주여성들에 의한 초국가적 스케일의 생성인 동시에 아래로부터의 세계화의 전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이주 문헌에서 나타나는 스케일에 대한 오해를 시정하고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연구 성과를 접목하여 양 학문분야의 의사소통을 증진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scale issues in the contemporary feminist migration literature. Scale appears as important, yet poorly understood concept in this field of study. The increasing attention to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requires not only gendered, but also scalar-sensitive approaches. Feminists criticize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the migration as a gender-blind approach that privileges national scale around which migration processes are organized. Claiming multiscalar and interscalar analyses, they propose investigations ranging from macro to micro processes which include globalized gendered division of labor, transnational family networks, and reproduction which takes place in and through the bodies and homes of migrant women. The migrant women, the major actors in recent transnational migration, cross various borders: the national boundaries and the public and private divides, in particular. This crossover can unsettle patriarchal gender relation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physical and symbolic division of nation-states and public/private spheres. Blurring these divisions accompanies social construction of various scales. The transnational family networks of migrant women, for example, show the construction of a transnational scale by migrant women as well as globalization from below. This paper points out misunderstandings of scale in the feminist migration literature and attempts to fill the gaps by introducing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scales developed mostly by feminist geographers. In so doing, it promotes the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 KCI등재

        논문 : 시각적 방법론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에 대한 시론적 고찰: 한국 결혼이주여성의 심상지도를 사례로

        정현주 ( Hyunjoo J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3

        본 논문은 ‘심상지도’를 활용한 한국의 결혼이주여성 연구를 사례로 하여 시각적 방법론으로서 심상지도화가 지니고 있는 윤리적 쟁점을 고찰한다. 심상지도와 같이 연구참여자들이 공동으로 산출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시각적 방법론은 그 과정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협상력을 향상시키는 반면, 아직 학계에서 제기된 적이 없는 연구대상들의 저작권 문제를 쟁점화할 수 있는 소지를 지니고 있다. 이처럼 시각적 방법론은 연구참여자들을 지식(시각적 이미지)의 공동생산자로 자리매김함으로써 권력을 일정부분 이양하는 효과를 낳으며 연구자와 연구대상 간의 모호한 경계를 만들어낸다. 물론 연구대상들을 온전한 공동연구자로 인정하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따른다. 대학에 기반을 둔 관계 기관의 높은 학문적 기대수준에 부응하기 어려운 점이라든가 연구대상 스스로가 신분을 공개적으로 노출하기 꺼려하는 점 등이 이에 속한다. 따라서 시각적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에서 연구자는 연구대상의 익명성 보장이라는 윤리적 책무와 공개적인 저작권 부여를 통한 권익향상 간의 갈등에 봉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유연한 저작권 개념 정립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촉구한다. This paper explores ethical issues that arise from utilizing “mental mapping” as a visual research method, drawing on a study of women immigrants who had moved to South Korea through commercially arranged marriages. It discusses the potential of the method, particularly in promoting participants` agency and authorship in research processes. The efforts of the researcher to cede power in research processes to the participants contributed to the project having fuzzy boundaries where the participants were co-producers of knowledge, even though, for a range of reasons, it proved difficult to acknowledge participants as co-authors. The barriers included institutional expectations attached to university-based research and the participants` reluctance to be publicly identified by family and neighbors. The researcher was pushed to navigate ethical and practical issues arising between anonymity and authorship, and suggest flexible approaches for acknowledging authorship.

      • KCI등재

        사회운동의 공간성: 사회운동연구에 있어서 지리학적 기여에 대한 탐색

        정현주(Hyunjoo Jung)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4

        본 논문은 현대 사회운동 연구의 대표적인 접근법인 자원동원이론, 프레임이론, 신사회운동이론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비교ㆍ고찰하며 이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사회운동의 공간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현대 사회운동 연구의 주류 패러다임을 형성해 온 자원동원이론과 프레임 이론은 최근 논쟁정치 연구로 통합되고 있는데 이들은 사회운동의 동원과 전략, 정치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운동의 원리와 일반적인 법칙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사회운동의 전략적인 측면에 치우쳐 사회운동의 동인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하지 못하였고 이는 사회운동의 과정과 맥락에 대한 인식부족을 가져왔다. 신사회운동이론은 새로운 사회운동의 발발을 거시적이고 구조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으나 추상적이고 대상지역이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를 노정해 왔다. 사회운동의 공간성에 대한 연구는 사회운동의 지역적 차이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며 사회운동을 촉발시킨 갈등구조가 형성되고 집단행동이 조직되는 국지적 맥락에 대한 풍부한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 또한 공간의 물리적 구조와 상징성은 운동의 규모와 방법을 제한하며 사회운동에 의해 활용되기도 하는 전략적 매개체이다. 사회운동의 공간성은 사회운동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설명해주는 유용한 개념이 될 수 있다. The paper critically examines resource mobilization theories, frame theory, and new social movement theories, and proposes studies on the spatiality of the social movements as one potential to mitigate the limitation in these theories. The resource mobilization theories and the frame theory, the strategy-oriented approaches, lack contextual understandings of the origin of social movements. While new social movement theories provide macroscale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xplanations of the origins of social movements, they have covered limited geographical areas. The spatiality of social movements promotes deep understandings of local differences, and contexts in and through which grievances are constructed and collective actions are organized. Physical structures and symbolic representations of places are often created and utilized as social movement strategies. The spatiality of social movements can be a useful conceptual tool to explain the diversity and the dynamics of social mo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