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구·경상북도 초등양호교사들의 구강보건 인식도에 관한 조사

        송근배,김달호,신영림 慶北大學校 齒科大學 1993 慶北齒大論文集 Vol.10 No.1

        대구시 및 경상북도지역 초등양호교사들의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습득경로, 구강보건에 대한인식정도 및 학교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역활인식도등을 조사하여 지역실정에 맞는 학교구강보건교육 및 교육내용을 계획하고 적절한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운영방법설정에 기초적인 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대구 및 경상북도지역내에 근무하는 초등양호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습득경로는 대구시 초등양호교사들은 보수교육(78.8%)이 가장 높았고 경상북도 양호교사들에서는 신문, 잡지의 기사나 홍보책자(72.9%)라는 답변이 가장 많아 체계적인 보수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위생을 관리하는 목적으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예방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치아우식증을 예방할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견해는 불소의 이용이나 치면열구전색재의 사용보다 정기적인 치과방문이나 당분섭취를 제한한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불소에 대한 지식도 및 치주질환에 대한 인식도는 대구시, 경상북도 초등양호교사들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단편적이고 부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서 정확한 지식의 전달을 위한 교육과정이나 홍보책자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학교구강보건관리에 있어서의 양호교사의 역활에 대해서는 상당히 긍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었으나 경상북도 초등양호교사들중 불소용액양치사업을 관리감독한다는 항목에 대해서는 약 40%정도만이 찬성하고 있어서 군단위이하 국민학교 불소용액양치사업의 시행에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대구시 초등양호교사들의 전반적인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수준정도는 서울 및 부산지역의 초등양호교사들과 비슷하였으나, 경상북도 초등양호교사들에 있어서는 부족하여 체계적인 지식전달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nursing teachers can play a critical and important role in assuring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ildren and their parents have current, scientifically accurate oral health information and behaviors. 176 nursing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in T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were surveyed to determine their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oral health and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dental disease and its preven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7-item, mailed questionnaire(67% reponse rate). The most frequently cited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dental health were newspapers or magazines(75.0%), followed by college curriculum(62.5%).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good oral hygiene was preventing dental caries in urban nursing teachers and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in rural nursing teachers. The knowledge about fluorides and preventive methods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were incccurate and incomplete in both area, but knowledge levels of urban nursing teach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rural's. Many of nursing teachers agreed to accept their responsibility and role for promote oral health in the elementary school except the supervising of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Nursing teachers may not have sufficient dental knowledge to teach dental health and greater attention to improve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attitudes of nursing teachers in needed.

      • 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종골 관절내 골절의 관혈적 정복

        송경진,양근호,이주홍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적 : 관절내 종골 골절에 대해 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내고정을 시행 후 치료결과를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관절내 골절을 가지고 종골 골절의 경우 중 외측 도달법으로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20명(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은 남자 17명, 여자 3명이었고 평균 33세(16~62세)이었으며, 원인별로는 추락사고가 14예이었고 나머지는 교통사고로 인한 골절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단순 방사선 사진상 Essex-Lopresti 분류를 이용하였고, 모든 예는 관절내 골절을 가지는 경우만 포함하였으며 이 중 관절 함몰형이 17예로 대부분이었고, 4례의 설상형은 심한 분쇄골절 양삼이었다. 술 전과 술 후 Bo¨hler 각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Paley와 Hall에 의한 평가 기준을 따랐다. 결과 : 수술 전 Bo¨hler 각은 평균 2.8에서 술 후 평균 25.1로 회복 되었고, 임상적 평가 상 우수 3예, 양호 13예, 보통 4예, 불량 1예이었다. 술 후 합병증으로 3예의 창상 열개, 1예의 감염, 1예의 비복신경 손상이 있었으먀, 추 후 합병증으로 일상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정도의 족관절 운동범위 제한이 3예, 지속되는 동통이 3예, 외상성 관절염이 2예에서 확인되었다. 이 중 1 예에서 운동범위 제한과 동통이, 1예에서 운동제한과 외상성 관절염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1예는 창상 조직의 감염과 이에 따른 괴사로 자유 피판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 분쇄가 심한 종골의 관절내 골절에서 외측 도달법은 거골하 관절을 직접 노출시켜 정확한 해부학적 복원과 견고한 내고정을 시행할 수 있고 신경 혈관 손상이 적어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lateral approach for accurate reduction and rigid internal fixation 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 of calcaneus. Meterial and Method : Twenty patients(21 cases) who had inter-articular fracture of calcaneus and underwent 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lateral approach were enrolled. Using Essex-Lopresti classification, all cases were intra articular fracture, which joint depression type was 17 case and 4 of severe comminuted tongue type. We compared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hange of Bo¨hler’s angle and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using Paley and Halls evaluation protocol and scoring system. Results : The average Bo¨hler’s angle was restored from 2.8 to 25.1 after operations and clinical results classified 4 well, 12 good, 4 fair, 1 poor case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2 cases of wound dehiscence, 1 of infection and one had sural nerve injury. Late complocations included 3 cases of limitation of motion of ankle that disturb usual activity, 3 of sustained pain and 2 of traumatic arthritis and 2 cases had 2 complications at the same patients. Conclusion : The lateral approach is valuable for the comminuted intra-articular fractures of calcaneus that enables accurate anatomical reduction and rigid internal fixation by providing direct exposure of subtalar joint, and also with little morbidity of neurovascular injury.

      • KCI등재

        스웨덴의 사회정책 : 렌-마이드너 모델을 중심으로

        송호근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1996 국제지역연구 Vol.5 No.2

        이 논문은 렌 모델의 이론적 기반과 역사적 발전과정을 고찰하고, 최근의 변화와 정책적 딜레마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스웨덴의 모든 사회정책은 복지제도라는 포관개념으로 수렴되기 때문에 렌 모델에 대한 논의 역시 복지국가 위기론과의 긴민한 연관 하에 고찰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이 규명하고자 하는 문제는, (ⅰ) 복지제도-경제성장의 순순환(procyclical)과정에서 렌 모델이 차자히는 위상, (ⅱ) 선거동맹과 계급연대력 형성, 또는 복지정치(welfare politics)에 대한 렌모델의 의의, (ⅲ) 복지국가 재편과 관련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ALMP)의 한계가 그것이다. 연대임금정책과 ALMP를 두 축으로 하는 스웨덴의 노동시장 정책은 스웨덴 사민주의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에 중대한 공헌을 하였다. 자본의 재조직화에 대한 '시장의존적 정책성향'과 노동의 재조직화 에 대한 '과도한 개입성향'간의 불균형이 스웨덴 복지 모델의 요체라고 할 수 있는데, 노동시장 정책은 바로 이러한 불균형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노동시장 정책은 1950년대 이후 80년대 초반까지 스웨덴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면서 노동운동 세력을 '성장연합'(Gorwth Coalition)으로 잘전시키는 촉진제가 되었다. 연대임금정챙의 기능인 재분배와 임금자제, 그리고 ALMP의 기능인 인력재배치와 실업보상은 노동운동의 내부 분열을 억제하면서 노동계급으로 하여금 사민주의의 주도세력으로 역할하게끔 기반을 조성해 주었다. 그러나, 1973년 오일 쇼크 이후 지금까지 렌모델의 유용성은 점차 퇴색하여 겸기침체와 고실업현상이 대두된 1990년대에는 스웨덴 모델의 포기론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이 논문은 스웨덴 모델을 지탱하여온 렘 모델의 이념적 기반과 제도록 특성을 고찰하고 위기론이 대두하게 된 내외적 조건의 변화를 분석한다. This paper aims at explicat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icteristics of the Rehn-Meidner model(Henceforth, Rehn model) with a focus on the increasing policy dilemmas with which "the Swedish Model" is recently faced. Specifically, this paper has threefold purposes: ⒜To understand Rehn model's contribution to welfare system; ⒝To examine its significance in welfare politics; and ⒞To analyze its limits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welfare state. The Solidaristic wage policy and the Active labor market policy are two pillars which enable the social democratic party to hold the dominant power over decades after the second World War. While the Solidaristic wave policy functions to consolidate the growth coalition for the high productivity which is required to develop the high-quality welfare system, the active labor market policy protects wage earners from the perils of unemployment and job unstability. However, the policy instrument began to lose its significance and to be less functional to welfare politics in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capitalism and the rise of transnational pluralism in Europe. Virtually, the Rehn model has experienced the gradual decline since the first Oil Shock,. The Solidaristic wage policy was actually broken down in the early 1980s and the unprecedentedly high rate of unemployment of recent years makes the active labor market policy almost obsolete. It is noticeable that 'the crisis of the welfare state' significantly undermines the rational of the Rehn model. This study closely examines the rise and fall of the Swedish model with an analysis of policy package of the Rehn model

      • 민주화의 사회적 동학 : 사회민주화와 삶의 질

        송호근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997 한국사회과학 Vol.19 No.1

        abstract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its effect on society. Differently from major research on democratization, this paper deals with 'double transition' to democracy, political and social. Among countries in the third wave of democratization, Korea has been praised for her successful transition to democracy. But this paper pays more attention to social consequences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in ways which improve the standard of living, including welfare, industrial relations, and democratic norms and customs in social sphere. It is argued that the relative achievement in political democratization could not induce 'social democratization' that implies expansion of democratization rules and values to every aspect of social life. Based on 'the social dynamics of democratization'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is paper attempts to point out the discrepancy and dicontinuity of social, economic, political spheres. The discrepancy is explained by the limitedness of political democratization in a procedural sense. Power cleavages of reform politics is largely responsible for the limited achievement in political democratization. In spite of its reformative aspiration, Kim government delayed welfare reform, did not allow social movements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 and excluded organized labor from politics. This paper emphasizes that what Korea has achieved so far in political and procedural democracy is not sufficient to bring about social democratization that reinforces and accelerates political democracy through feedback process.

      • 근위 경골과 골절의 수술적 치료

        송경진,양근호,이주홍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서 론 : 경골과 골절의 치료 목적은 가능한 한 정확한 관절면의 정복, 골절의 견고한 고정과 유지 및 손상된 인대의 안전성을 재건시켜주고 조기 관절운동을 시킴으로써 슬관절의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있다. 수술을 시행한 경골과 골절 환자의 치료결과를 비교하고 합병증 등의 임상분석을 통해 향후 치료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최근 5년 동안 본원에서 치료한 환자 27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12개월에서 62개월로 평균 37개월 이였다. 남자가 19례(70.4%), 여자가 8례(29.6%)였으며, 연령 분포는 24세에서 78세로 평균 53세였다. 골절의 분류로는 Schatzker 분류법으로 하였으며 제 Ⅰ 형 3례(11.1%), Ⅱ형 1례(3.7%), Ⅲ형 0례(0%), Ⅳ형 3례(11.1%). Ⅴ형 1례(3.7%) 그리고 Ⅵ형 19례로 Ⅵ형이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27례 모든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골 결손부에 골 이식술을 병행하였다. 치료 결과는 Blokker의 판정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 관혈적 정복의 유지를 위한 금속 내고정물로는 나사못 사용이 4례(14.8%), 금속판 사용이 23례*85.2%)였고 이중 제 Ⅵ형 10례(27.0%)에서 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합병증은 총 27례 환자 중 10례 환자에서 발생하여 37%를 나타내었으며 운동장애가 3례, 각 형성이 3례, 감염은 3례에서 발생하였고 그 외 외상성 관절염 소견으로 인한 동통을 보인 경우가 1례에서 있었다. Blokker의 판정기준으로 평가하여 22례(81.5%)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결 론 : 근위 경골과 골절의 수술적 치료시 골절부의 연부조직이 허용하는 한 해부학적 정복은 물론이며 금속판 및 나사못을 이용한 견고한 내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술 후 조기 관절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합병증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troduc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prognosis and complications in the treatment of proximal tibia plateau fractures, and to suggest the guideline for the proper management in the difficult cases of tibial plateau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 We have analyzed 27 cases, which surgically treated during recent five years with average 36.6 months follow-up. Patients ranged in age from 24 to 83 years at the time of hospitalization, consisting of 19 males(70.4%) and 8 females(29.6%). The type of fracture by Schtzker classification revealed in type Ⅰ 3cases(11.1%), type Ⅱ 1 case(3.7%), type Ⅲ 0 case(0%), type Ⅳ 3 cases (11.1%), type Ⅴ 1 case(3.7%) and type Ⅵ 19 cases(70.4%). The associated injury occurred in 22 cases(81.5%), most of them were ipsilateral fibular, ipsilateral femoral and radioulnar fractures.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Blokker's criteria. Results : Screw fixation was done in 4 cases(18%) and plate fixation in 23 cases(85.2%), and bone grafting was done in 10 cases(37.0%). There were 10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th 3 cases of knee ankyosis, 3 cases of angular deformity, 3 cases of infection, and 1 case of traumatic arthritis. According to Blokker's criteria, 22 cases(81.5%) had satisfactory results. Conclusions : Accurate anatomical reduction and rigid internal fixation of the proximal tibial plateau fracture enabled early motion and normalization of injured soft tissues, and also provided functional improvement of the knee.

      • 불안한 새출발 : 영국 노사관계의 現況과 爭點 Issues and Dilemma of British Industrial Relations

        송호근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1 한국사회과학 Vol.23 No.2

        이 논문은 최근의 영국 노사관계가 일종의 딜레마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하면서, 대처의 노사관계 개혁과 블레어정권의 노동정책을 분석한다. 딜레마란 이런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기호황은 노조의 교섭력 증대에 좋은 기회이지만, 영국에서는 역설적으로 노조기피현상이 고조되는 가운데 경기회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통념과 반대로 실제로는 노조가 있는 기업이 생산성이 훨씬 높고, 사회적 파트너쉽도 원활히 추진되고 있다. 한편, 경제회복에도 불구하고 산업부문, 기업규모, 고용형태 등에 따른 사회적 격차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개인주의가 확산되면서 전통적인 영국적 민주주의와 사회정의가 와해되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역설을 낳게 된 노동정책과 그것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 및 사회적 담론을 분석한다. 신노동당의 노동정책은 대처정부가 채워놓은 족쇄를 조금 풀어주는 부분적 복원에 그치고 있고, 노사관계보다는 노동시장 개입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고 판단된다. 노조는 이러한 정책노선에 돌파구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대처정부의 유산 아래서 효과적인 방안을 강구하지 못하고 있다. 사용자의 경우는 블레어의 개혁드라이브를 신노동당의 최대치로 못박으려는 경향이 있으며, 블레어 역시 이런 상황을 잘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정부도, 기업도, 노조도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기보다는, 노사관계의 변화를 촉발하는 어떤 작은 움직임에도 서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긴장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노조는 '불안한 새출발'을 다짐하고 있는 것이 현실의 모습이다.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egacy of Thatcherian labor reform and its continuity in the Blair's government, focusing on the current dilemma trade unions faced. Dilemma can be described in many respects. Recent economic recovery does not weaken employers' union avoidance strategy in spite of the rising argument that unionized firms shows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social partnership. Major research contends that economic inequality accompanied by economic recovery rapidly undermines British democratic tradition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social justice. This paper highlights why the New Labor Party intends to adopt the Thatcherian legacy only with slight modification and the policy characteristics of the active intervention in the labor market. The Blair government lays the policy focus on accelerating market competition by excluding the political exchange with trade unions. Although trade onions attempted to consolidate organizational foundation and solidarity among rank-&-files, they fail in breaking through the nation-wide anti-labor atmosphere and political pressure of employers against policies for reactivating unions. It seems that Prime Minister Blair takes advantage of the unstable balance between unions and employers. Trade unions try to recover the wound under the Thatcher rule but how soon and how far it would succeed is uncertain.

      • 백서의 복강내에 투여한 Mitomycin-C-Polyglycolic acid 제형이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규상,강대영,최정목,노승무,정경수,오정연,김진향,양준목,최선웅,이진호,조준식,민병무,김용백,김창식,박근성,김승영,김학용,인현빈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8 충남의대잡지 Vol.25 No.1

        To evaluate the in-vivo effects of mitomycin-C-polyglycolic acid composite(MMC-PGA) the disk: shaped composite were implan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of the Sprague-Dawley rats. The pathologic changes were examined at various time points up to 12 weeks. Initially the soft tissue around the inserted disks showed capillary congestion at 3 days. Inflammatory infiltrates with foreign body giant cells appeared from the 2nd week and reached peak response at 6-8 weeks. These reaction diminished prominently at 12 weeks. No specific pathologic change was found in the liver, the kidneys, and the heart.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MMC-PGA composite can serve as a new device for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of various types of cancers.

      • KCI등재

        한국판 소아 양극성장애 설문지 2.0(Child Bipolar Questionnaire 2.0)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천근아,신동원,김보라,소윤섭,전진용,송동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3

        Objectives : The Child Bipolar Questionnaire 2.0 (CBQ 2.0) is a rapid screener with a Core Index subscale of symptom dimensions frequently reported in childhood-onset bipolar disorder (BD) and scoring algorithms for DSM-Ⅳ BD, with and without ADHD, and the proposed Narrow, Broad, and Core phenotypes. This report provides preliminary data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BQ 2.0-Korean version. Methods : Core Index subscale to effectively predict diagnostic classification by structured interview was assessed using the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Korean Version (K-SADS-PL-K). Test-retest and inter-rater reliabilities of the CBQ 2.0 were assessed. Correlation of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with CBQ 2.0-Korean version was performed. Results : The CBQ 2.0 screening algorithms performed with a specificity of 66.7% and a sensitivity of 94.7% in classifying subjects with K-SADS-PL-K diagnosis of BD vs. no BD. The Core Index subscale had “good” agreement with K-SADS-PL-K diagnosis (Kappa=0.676) in identifying BD, ADHD-only, and no diagnosis. Conclusion : This preliminary data is from a sample derived from the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further validation is needed with community based samples in which childhood-onset BD is rarer and diagnoses more diverse. The CBQ 2.0-Korean version shows potential for rapid and economically feasible identification of possible childhood-onset BD cases as defined by DSM-Ⅳ criteria as well as by alternate disease pheno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