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OPUSKCI등재

        PRODUCT DIFFERENTIATION, BUNDLING AND MARKET STRUCTURE

        LEE, GWANGHOON 한국경제학회 2003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19 No.2

        In a systems market where two complementary components must be used in combination to provide valuable services, decisions of bundling components and resulting market competition structures are shown to depend on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mponents in their degrees of product differentiation. The larger this difference, the greater become the incentives for bundling, and more systems are provided as bundles in the market.

      • KCI등재

        R&D Spillovers and Optimal Anti-Trust Enforcement

        Gwanghoon Lee(이광훈) 한국계량경제학회 2007 계량경제학보 Vol.18 No.2

          삼단계 게임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개발투자의 파급 수준에 따른 공동생산에 대한 반독점 정책 강도의 최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동생산에 대한 최적의 반독점 정책 강도는 연구개발 파급의 크기가 클수록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개발 파급의 정도가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연구개발 과정에서 협조할 만큼 충분히 큰 경우에 한해, 공동생산에 대한 부분적 용인이 가능함을 보였다. 반면에 연구개발 파급의 크기가 기업들의 자발적 공동연구개발을 유인할 만큼 충분하지 않을 경우, 공동생산을 허용하지 않는 수준으로 반독점 정책을 강화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a three-stage game model, this paper analyzes the optimal level of anti-trust enforcement against joint production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R&D spillovers. It shows that the optimal level of anti-trust enforcement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magnitude of R&D spillover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should show some tolerance of joint production cartels only when R&D spillovers are sufficient for firms to cooperate voluntarily in their R&D activities. When R&D spillovers are so weak that firms do not cooperate voluntarily in the R&D stage, the government should intensify anti-trust enforcement against joint production to a prohibitive level.

      • Localized hypertrichosis induced by prurigo treatment in children

        ( Gwanghoon Kim ),( Seung Ju Yun ),( Tae Han Kim ),( Nam Hee Sung ),( Seung Ho Lee ),( Ai Young Lee ),( Hyoseung Shin ) 대한피부과학회 2016 대한피부과학회 학술발표대회집 Vol.68 No.1

        Hypertrichosis is defined as excessive hair growth which is independent of any androgen effect. Acquired localized hypertrichosis can be induced by chronic irritation, inflammation, friction, and drugs. Three children under 10 years old came to our hospital with severe itching brownish papules. They were diagnosed as prurigo nodularis and treated with phototherapy and occlusive dressing technic using topical corticosteroid cream. And one of them received additional triamcinolone intralesional injection. While having treatments, localized hypertrichosis was observed on the prurigo lesions. Hypertrichosis was not progressed after discontinuation of topical corticosteroid cream. We have rarely seen local hypertrichosis in adult prurigo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same methods. Herein we report three children cases of localized hypertrichosis which occurred during prurigo nodularis treatment. The possible underlying pathogenic mechanisms of localized hypertrichosis in these patients are discussed.

      • KCI등재

        ICT 산업 해외투자의 수출입에 대한 영향 분석

        이광훈(Gwanghoon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6

        2000년~2021년 기간의 22개국에 대한 국가 패널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국내 ICT 하위 산업에서의 해외투자가 수출입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도효과와 고정효과를 포함하는 패널모형을 추정하면서, 수출입이 역으로 해외투자에 영향을 미침으로 인한 내생성의 문제와 수출입 시계열에 분명히 존재하는 것으로 뒷받침되는 비정상성의 문제가 함께 고려되었다. 추정 결과, 반도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수출과 무역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ICT 부품 제조업에서의 해외 투자가 ICT 제품의 수출 증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수입 증가에는긍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무역수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ICT 부품 제조업 분야에서의 해외투자가 해외시장에서의 수출거점의 형성을 목적으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이는 최근 세계 경제 환경의 변화 속에 급격히 이루어지고있는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부품 제조업과는대조적으로 대기업 해외 법인에 대한 시스템 통합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 분야의 해외투자는 수출 증가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ICT 최종재 제조업이나 통신방송서비스업등에서의 해외투자는 수출이나 수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overseas investment in domestic ICT sub-industries on the increase in exports and imports was analyzed based on country panel data of 22 countries during the period 2000-2021. In estimating the panel model including the year effect and the fixed effect, the problem of endogeneity due to the reverse causal effect of imports and exports on the overseas investment and the problem of non-stationarity clearly present in the time series of exports and imports are considered.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overseas investment in the component manufacturing sector,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share of Korea's exports and trade balance, centered on semiconductors, has a negative impact on ICT export increase and a positive effect on ICT import increase, and, thus, negatively affects the trade balance. These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as forming an export base through overseas investment in the component manufacturing sector. In contrast, overseas investment in the software sector, centered on system integration services for overseas subsidiaries,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the increase in exports. On the other hand, foreign investment in the final goods manufacturing industry or telecommunication broadcasting service industr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rade.

      • KCI등재

        해외직접구매 이용자들의 특성에 대한 비교분석

        이광훈 ( Gwanghoon Lee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8 통상정보연구 Vol.20 No.2

        본 논문은 2016-2017년의 2년 동안 전국 단위의 대규모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한 로짓 모형에 대한 추정을 통해, 해외직접구매 경험이 있는 이용자의 특성을 국내 온라인 쇼핑몰만을 경험한 이용자의 특성과 비교 분석한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제품 구매 관련 성향, 인터넷 쇼핑 매체 보유 및 인터넷 서비스 이용 등 분석에서 고려된 모든 측면에서 해외직접구매 이용자와 국내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 간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는 대도시의 소규모 가구의 미혼인 고소득 구성원이라는 특성이 해외직접구매 이용자를 대표하는 반면, 국내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는 교육수준이 높은 고소득자 또는 무직인 성인 남성이라는 특성으로 대표된다. 또한 스마트폰의 보유 여부는 국내 온라인 쇼핑몰의 이용 확률을 높이는 반면에 모바일 앱의 활용성이 떨어지는 해외직접구매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으며,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 역시 동일 제품에 대해 많은 사이트들에 대한 접근이 가능한 국내 온라인 쇼핑몰의 이용에 대해서만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구매 성향과 관련해서 해외직접구매 이용자는 유행에 민감한 성향인 반면, 국내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는 가격 정보 검색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들은 국경을 넘나드는 해외직접거래가 국내 온라인 거래와 그 특성과 이용 측면에서 차별화됨을 의미하며, 해외직접거래에 대한 별도의 연구적·사업적 관심과 정책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of direct foreign purchase with domestic online shoppers through the estimation of logit model using the data constructed based on the large-scale nationwide surveys for two years during 2016-2017.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rect overseas purchasers and domestic online shoppers in all aspects considered in the analysis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ppers buying habits, information technology using environment and behavior. On the demographic side, the characteristics of high income earners in large cities who are unmarried and with small number of households are representative of foreign direct purchasers, while domestic online shoppers are represented by either high income earning and high level educated people or unemployed adult men. In addition, having a smartphone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using domestic online shopping malls, while it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verseas direct purchases for which mobile apps are much less useful. Information search via the Interne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ly on using domestic online shopping malls, where much more sites are accessible for the same product. Regarding the shoppers’ buying habits, overseas direct purchasers tend to buy fashionable goods while the users of domestic online shopping malls tend to search pric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prior to buying. Thes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users of overseas and domestic online shopping malls suggest that separate research and business interests as well as policy approaches are needed.

      • KCI등재

        온라인 쇼핑 채널별 이용자 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이광훈(Gwanghoon Lee)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8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8 No.4

        As the proportion of mobile shopping channels using smart phones is rapidly increasing with the popularity of 4G services and the convenience of mobile payment, the user characteristics of mobile shopping channel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Internet shopping channel using PC as a medium. For this purpose, variables regarding product buying tendency, individual personality, e-commerce usage environmen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constructed using the source data of "Korea Media Panel Survey".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the use of mobile shopping channels and the use of Internet shopping channels are examined respectively through the estimation of logit models.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users" personalities, and the personal tendencies in product purchase are substantially different between user groups of two online shopping channels. This supports the claim that the mobile shopping channel is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from the Internet shopping channel in terms of user groups. In this regard, separate research, policy making, and business interests are important for mobile shopping channels, which should be initiated by constructing separate basic data for mobile shopping channel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