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영출의 1930년대 시론 연구

        염철 ( Youm Chul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8 No.-

        지금까지 1930년대 시론사에서 조영출은 이름조차 언급되지 않았지만 1930년대에 그가 남긴 시론들은 역사적 평가를 받기에 손색이 없는 것들이다. 그는 1937년 「시법-궤도 일은 단편단편」과 1939년 「서사」등 2편의 시론을 와세다 대학교 동창회 회지에 발표하였다. 이 시론에 사용된 주요 개념은 ‘우주, 영장(靈塲), 언어의 건축, 조선 냄새가 나는 언어’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우주’란 불교에서 사용하는 ‘공’ 혹은 ‘법’에 가까운 개념이며, ‘영장’은 그 우주를 해명하는 시인의 정신을 가리킨다. 또한 조영출은 시가 ‘언어의 건축’임을 전제로 ‘시어의 혁신’을 강조한다. 그는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두 개의 심상을 난폭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도저히 불가능한 연상을 환기하기’, ‘평범한 것을 비범하게 정리하기’ 등을 그 방법으로 제시한다. 그러면서도 그는 조선어를 가장 조선어답게 표현할 수 있어야 좋은 시가 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조영출의 시론은 김기림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순수시론이 강조했던 ‘시어의 혁신’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는 점에서 1930년대 시론사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김영랑, 정지용 등으로 대표되는 시문학파 시인들이 창작을 통해서 구현했던 ‘조선말다운 시쓰기’를 시론을 통해 강조했다는 점에서 김기림보다도 더 정확하게 조선의 ’현대시‘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1930년대 시론이 주로 영미 계열 시론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에 비해 유럽 계열의 발레리 시론에 영향을 받았다는 점도 특기할 만하다. 이러한 점에서 조영출의 시론은 1930년대 시론사의 한 축을 차지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While Cho Young-chul not often mentioned in the history of poetry in the 1930s, his theory of poetry during this time period is historically valuable. He wrote two essays on poetry, "How to write a poem"(1937) and "Seosa(序詞)"(1939). The main concepts of these essays can be summarized as 'space, soul, architecture of language, and language that smells of Joseon(朝鮮)'. First, 'space' is a concept similar to ‘emptiness’ as used in Buddhism; second, 'soul' is the spirit of the poet explaining the universe. Third, Cho Young-chul emphasizes 'innovation of poetic diction' on the premise that the poem is 'the architecture of the language'. He suggests, in such a way, that “conjures up image that are hard to remind by the combinate two totally unrelated images” and “makes ordinary images into special ones." Fourth, he insists that a good poem to express the identity of the Joseon people in the Joseon language. Although Cho Yeong-chul’s theory was influenced by Kim Ki-rim, hiss work began to build its own foundation in the 1930s because it shares a context similar to the "innovation of the poetic diction," which was emphasized by the theory of pure poetry. In particular, Cho Young-chul's essays emphasize the use of poems that preserve the taste of Joseon’s language that poet such as Kim Young-rang and Jeong Ji-yong, who tried to implement this through their creations. In this regard, Cho Young-chul was a more accurate presenter of the direction of Joseon’s modern poetry than, for example, Kim Ki-rim. It is also notable that Cho Young-chul's theory of poetry was influenced by the European poet Valerie, compared with the strong influence of English-Americans’ theories of poetry in the 1930s. In this regard, Cho Yeong-chul's theory is important to the history of theories of poetry in the 1930s.

      • KCI등재

        『희망』 에 나타난 한국전쟁기 한국인의 감성 양상

        염철(Youm, Chul)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3 No.-

        이 글은 1951년 7월 전쟁기에 창간된 『희망』의 ‘독자문예란’에 실린 시들에 나타난 한국인 감성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확인한 사실은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희망』에 실린 독자 시에 드러난 감성 양상은『희망』의 편집 방향이나 편집인이었던 공중인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독창성’, ‘전쟁’, ‘희망’, ‘대중성’과 같은 선별 기준을 통과한 작품만이 발표될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둘째, 『희망』에 실린 독자 시에 드러난 감성 양상이 기성 시인들의 그것과 대체로 비슷하다는 점이다. 이는 전쟁이라는 시대적 상황, 기성 시인들에 대한 모방 경향, ‘대중적인 오락지’를 지향했던 『희망』의 편집 방향, 그리고 편집인이었던 공중인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성 시인들의 작품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감성 역시 드러난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 기성 시인과 독자 시인들의 상상력의 토대가 조금은 달랐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다시 말해서 기성 시인들이 전쟁이라는 당대적 현실의 형상화에 치중한 데 비해 독자 시인들은 전쟁과 무관한 개인적 체험을 형상화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넷째, 전쟁으로 인한 슬픔과 고통을 노래한 시가 많았지만 피가 난무하는 전쟁 속에서도 독자 시인들 대부분이 극단적으로 절망하기보다는 미래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는 점이다. 시 쓰기를 통해 현재의 슬픔이나 고통을 확인하는 일은 살아 있음에 대한 자기 확인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전쟁기 『희망』의 독자들은 절망적인 현실을 견뎌 내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시 쓰기’를 선택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studies the sensitivity of Koreans during the period of Korean war as mentioned in 『Hope』 published in July 1951 ; Focus on the poetry in ‘literary column of the reader’.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t was established that the sensitivity could not be free from influence of the magazine"s editorial direction and impact of the editor ‘공중인’. In other words, only work on ‘creativity,’ ‘war’, ‘hope’, and ‘popularity’ with the same screening standards could get the chance to be released.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sensitivity of the reader"s poem and the established poet"s work. Because of that is situation of war, tend to be imitated the older poets, and 『Hope』 editorial direction or impact of the editor ‘공중인’ Third, the sensitivity was revealed only in the reader"s poem. Because of thi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oundation of the imagination of the poet who was a reader and an established poet. Fourth, readers who were poets did not lose hope in the midst of war. Instead, they wrote poems.

      • KCI등재

        "건축함"의 존재론적 해명 -하이데거 예술철학 논구(V)-

        염재철 ( Youm Jae Chul ) 한국미학회 2013 美學 Vol.73 No.-

        일반적으로 우리는 건축을 인간의 주관적 산출 행위로 표 상하고 건축물을 그러한 주관적 산출 행위의 결과물로 표상한다. 이 생 각은 분명 똑바른 생각이지만 이런 표상 방식으로는 건축이 지닌 존재 일반과 또 우리 인간 존재와의 연관성을 설명해 내기 어렵다. 존재론적으로 건축함은 본래 거주함의 한 방식이다. 거주함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지니는 바, 그 첫째 의미는 ‘있다(존재)’의 의미요, 둘째 의미는 ‘돌 본다’, ‘보호한다’의 뜻과 그와 동시에 ‘제작한다’, ``건립한다’의 뜻이다. 문제는 거주함의 첫 번째 의미가 더 본질적임에도 불구하고 세월이 흘러 가면서 오히려 비본질적인 두 번째 의미가 전면에 부상하게 되었다는 사 실이다. 이 글은 건축함을 거주함의 본질로부터 파악함으로써 파생된 의 미의 건축함(돌봄과 건립)의 존재론적 의미를 밝힌다. 거주함의 본질은 보살핌이다. 그것은 소극적으로는 사자(四者) -하늘·땅·신적인것·인간적 인것- 세계를 그 위해로부터 보살피고 적극적으로는 그들을 그 본질 안에 소중히 보살피는 일이다. 그런 측면에서 건축함은 사자를 그것들의 본질 안으로 되돌려 간직하고 보살피는 하나의 실현 방식으로써, 건축함 은 그러한 본질 실현을 ‘사물을 건축함’으로써 이룬다. 근원적으로 사물은 사자 존재를 모아 그것의 본질 안에 돌보는 방식으로만 그 자신 사물로 있을 수 있으며, 건축함이란 바로 그 같은 사물을 건립하는 일이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nicht an der praktischen Baukunst, sondern an dem ontologischen Sinn des Bauens. Nach der allgemeinen Vorstellung ist das Bauen eine Art von der menschlichen Herstellung und demnach die Baute das Erbebnis solchen subjektischen Herstellens des Menschen. Diese Vorstellung ist richtig. Aber mit dieser richtigen Vorstellung konnen wir nicht das ursprungliche Verhaltnis vollkommen erortern, das zwischen dem Bauen und dem Sein uberhaupt liegt. In der ontologischen Hinsicht ist das Bauen eigentlich eine Weise des Wohnens. Das Wohen hat den zweierlei. Einer davon ist ``das Sein`` wie ``ich bin``, ``du bist``. Der Anderer ist in die zwei gegliedert, namlich das Pflegen und das Errichten. Die vorliegende Arbeit erortert dadurch den ontlogische Sinn des Bauens, dass der letzte Sinn des Wohnens(Pflegen und Errichten) auf der ersten Sinn des Wohens(Sein) hin expliziert wird. Das Wesen des Wohnens ist das Schonen. Es schont pasiv das Geviert ― Himmel, Erde, die menschlichen, die gottlichen ― gegen die Bedrohung und es schont aktiv sie in ihrem Wesen. So gesehen ist das Bauen wesentlich eine Weise, das Geviert in ihrem Wesen zu pflegen und schonen. Die Verwirklichung solchen Wesens des Bauens wird durch das Bauen des Dinges gemacht. Das Ding kann als Ding sein dadurch, dass es das Sein des Gevierts versammelt und es in seinem Wesen schont. Das Bauen ist das Bauen solchen Dinges.

      • KCI등재

        박인환의 최초 발표작 「斷層」에 대하여

        염철(Youm, Chul)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40

        이 연구의 목적은 박인환의 최초 발표작 「단층 斷層」을 발굴하여 소개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1946년 12월에 국제신보에 발표된 「거리」가 박인환의 최초 작품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보다 앞선 1946년 6월 20일에 박인환은 「단층 斷層」이라는 작품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작품은 선시집 選詩集(1955. 10. 15)에 실려 있는 「불행한 샨송」의 이본(異本)이기도 하다. 두 작품은 제목이 다르다는 점, 「斷層」의 7연이 「불행한 샨송」에서는 삭제되었다는 점, 「斷層」에 알파벳 노출이 많다는 점 등을 제외하면 내용상 큰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 이 작품은 박인환이 한국 전쟁 이전에 쓴 현실 참여적인 시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기존의 연구자들은 박인환의 시에 나타나는 허무주의를 전쟁 체험에서 비롯한 것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이 시기의 작품들 대부분이 현실 극복의 의지나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박인환의 허무주의는 최초의 발표작인 「斷層」에서 이미 그 징후가 발견된다. 「斷層」에서 박인환은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계에 대한 갈망과 좌절’을 주제로 다루면서 현실 극복의 불가능성 혹은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 전쟁 이전의 박인환이 정신적 과도기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데 한국 전쟁 이전의 작품들은 시인 자신의 구체적인 체험보다는 그가 읽었던 책이나 그가 만났던 문우들의 영향을 바탕으로 창작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그는 관념적 세계에서만 현실에 대한 저항과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노래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한국 전쟁을 체험하면서 이러한 관념의 세계는 여지없이 허물어진다. 그리하여 박인환은 참담하고 냉혹한 현실의 세계와 온몸으로 부딪친다. 이로 인해 전쟁을 소재로 쓴 시들에서 우리는 직접적인 체험에서 비롯하는 박인환의 육성을 들을 수 있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introduce the first work of In-Whan Park"s, "Danchung (A Fault)" and to manifest its significance. "Guree (A Street)" carried in "Kukjae Shinbo (New International Newspaper)" has been known as his first work so far. Before this, however, he published "Danchung (A Fault)" on June 20th, 1946. This work is also the variant of "Bulhaenghan Chanson (An unhappy Chanson)" in "Sunsigib (An Anthology) (Oct. 15th, 1955).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works except that they have different titles, that the 7th line of "Danchung" is left out in "Bulhanghan Chanson" and that there are a few expressions with English alphabets in "Danchung". On the other hand, this work gives us the new clue that makes us understand the socially participative poems written by In-Whan Park before the Korean War. The preceding studies tend strongly to understand the nihilism in his poems as the result from his war experiences. The reason is that almost all his works in this period show an optimistic outlook to the future as well as the will to overcome reality. But, there is already an indication of his nihilism detected in his first work, "Danchung". He shows, in "Danchung", the impossibility to cope with reality and a negative perspective about the future, by expressing the longing for and discouragement with a peaceful world without wars as the topic. This displays that In-Whan Park was in his psychologically transitional period. Additionally, most of his works before the Korean War were created not by his own experiences but by the books he read and on the basis of the influences from his literary friends. That is to say, it means that he could recite the resistance against reality, and an optimistic perspective, only in the ideological world. His ideological world has collapsed as a result of the Korean War and he has gone through a miserable and cruel world in the realities of life. And it makes us listen to his live voice, in his poems on wars, which originated from his firsthand experiences.

      • KCI등재

        박인환 시의 문헌학적 고찰

        염철(Youm Chul),엄동섭(Eum Dong-Seob)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이 글에서는 1946년부터 1956년까지 작품 활동을 했던 박인환의 시 자료에 대한 고증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거나 혹은 잘못 알려졌던 몇 가지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첫째, 『선시집』의 출판 과정에 대한 오해, 둘째, 「거리」가 최초 발표작으로 알려지게 된 경위, 셋째, 「세월이 가면」 창작 과정에 관한 증언 자료의 검토 등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필자들이 확인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는 달리 1955년 10월 15일에 나온 『선시집』은 산호장이 아니라 詩作社에서 간행되었다. 산호장본은 1956년 1월에 발행된 것으로, 양장과 호부장 두 가지 방식으로 제책되었다. 둘째, 박인환의 최초 발표작은 「거리」가 아니라 「단층」이다. 그리고 「거리」는 1946년 12월에 『국제신보』에 발표되었다기보다는 『목마와 숙녀』(근역서재, 1976)에 최초로 발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세월이 가면」의 창작을 전후하여 발표된 세 편의 증언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필자 미상인 「세월이 가면, 명동 ‘샹송’이 되기까지」 의 신뢰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박인환 연구의 기초를 다지고, 문헌학적 연구의 중요성을 환기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 In this article, we are dedicated to the some of the materials that had been remained unknown or had been known wrongly, turning to philological research of Park In-whan’s poems. The first topic dealt with is misconceptions about the publishing process of “Poetry anthology”. Secondly review on groounds of beeing knoown that “Street” is the first work. Finally questioning on testified data of “As the years roll by”. Through above considerations we found that : First, published on 15 October in 1955, “Poetry anthology” was published from ‘시작사’ not ‘산호장’. “Poetry anthology” of ‘산호장’ was published in January of 1956, and this book is bookbinded into two ways of hard-cover bookbinding and side stitch. Second, the first work of Park In-whan is the “Fault” not the ”Street”, and the “Street” was announced at first on the “Wooden horse and lady"(근역서재, 1976) not ‘국제신보’(1946. 12). Third, through reviewing the announced three testified data before and after “As the years roll by”, “As the years roll by, until transformed into chanson of Myeong-dong” is most trustworthy. We except our studies to revitalize the study of Park In-whan’s poems, and bring up the importance of philological research.

      • 교양교육 영역에서 시를 활용한 상상력 교육의 방법

        염철(Youm, Chul)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5 교양학연구 Vol.0 No.2

        This articleʹs premise is that needs the education of imagination for achieve the goal of liberal education. Based on this, organize the type of imagination, try to find a method that using the poem for enhance each of the imagination. First, organized into four types of imagination, based on the Steinerʹs theory of human being. They are sensory imagination, cognitive imagination, emotional imagination, ethical imagination. And then established an educational goal of the sensory imagination that extension of the perception, and an educational goal of the cognitive imagination that improving the ability to reconstruct the information creatively, and an educational goal of the emotional imagination that to develop empathy and the expansion of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an educational goal of the ethical imagination that extension of the reflec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Based on such a classification, suggests how to use components of the poem to the development of each type of imagination. The details, develop the sensory imagination by using imagery, and develop the cognitive imagination by using metaphor, and develop the emotional imagination by using poetic emotion, and develop the ethical imagination by using subject.

      • 근대미학의 유산과 현대미학의 반전

        염재철(Youm, Jae Chul)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1

        현대 예술의 여러 양상들은 전통 미학이 답할 수 없는 새로운 질문들을 던지고 있다. 이 글은 예술에 답하는 전통 미학의 여러 유산 중 특히 근대 예술론의 세 가지 유산을 선별하여 현대 미학의 입장에서 논의를 진행한다. 선별된 세가지 유산은 ‘예술’ 개념, ‘천재’ 개념, ‘유기체적 통일성’ 개념이다. 첫 번째 유산은 고대 뮤지케, 테크네, 포이에시스, 중세 아르스를 거쳐 근대에 새롭게 생긴 개념으로서, 이후 인류가 예술을 분류하고 정의하는 데 결정적 영향을 끼친 유산이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서 이 개념은 예술의 새로운 시도와 전개양상을 겪으며 두 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운명에 놓여 있다. 두 번째 유산 역시 서구 근대미학이 물려 준 유산으로서, 인간이 자신들의 여러 행위 중 예술행위를 다른 행위와 종별적으로 구별하여 특별한 행위로 생각하게 만드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친 유산이다. 고대의 신내림론, 모방론, 기술론의 창작 이론을 이은 이 개념은 현대 예술에서의 창작의 일반화를 겪으며 전반적인 해체의 운명 아래 놓여 있다. 세 번째 유산은 예술 창작 행위의 산물인 예술 작품이 여타 제작품과 달리 특별한 성질을 지닌다는 상식적 사고에 기여한 대표적인 유산이다. 그러나 이 개념 또한 해체주의와 디지털 기술의 미학적 개입으로 인해 미완결성, 가변성, 비선형성으로 대치되어 가고 있다.

      • KCI등재

        대학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육의 목표 및 글쓰기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비교 : 대구ㆍ경북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염철(Youm, Chul)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7 No.-

        이 글에서는 대구 경북 지역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대학의 교육 목표를 비교해 보고, 현재 각 대학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육 목표, 그리고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글쓰기 교육과정 사이의 상관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확인한 것은 첫째, 대학들 간에 교육 목표의 차이점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점, 둘째, 대학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육의 목표 사이의 상관성이 부족하다는 점, 셋째, 글쓰기 교육과정이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 등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총장이 바뀔 때마다 글쓰기 교육 체계 전체가 흔들리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학들이 교육 목표를 차별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걸맞은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과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hat compare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of university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writing and the writing course of the DaeguㆍKyungpook Universities. As a result, firs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University that are nearly invisible, and secondly, between the University’s educational objectives and writing course, there is the lack of correlation. Third, there are limit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nd writing instruction. For the above reasons whenever the senior administration of the university changes the entire writing educational system could become unstable. In order to fix this, first of all, they need to classify their university educational objectivess, and alsothis the objectives of education should be set up first. An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ffective writing curriculum.

      • KCI등재

        김우진의 산문을 통해 본 詩 인식 양상

        염철(Youm, Chul)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김우진은 소설과 희곡 작품을 통해 시에 대해 강한 환상을 드러내고 있다. 이 글은 김우진의 산문에 나타난 시 인식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환상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것인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시인은 시를 통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김우진이 생각한 시가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똑같은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가 말하는 ‘개성’ 혹은 ‘본성’은 ‘자연’, ‘우주’, ‘진리’ 등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다분히 철학적, 종교적, 우주적인 성격을 지니는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시는 순간의 창조적 행복을 제공하며, 이는 예술의 최고 경지라는 점이다. 그렇다고 김우진이 다른 문학 장르를 폄하한 것은 아니다. 다만 다른 문학 장르 역시 시적인 경지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을 뿐이다. 셋째, 시 이외의 문학 장르도 시적인 경지를 추구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그의 소설과 희곡 역시 시의 형식을 닮아가려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김우진이 창작한 모든 문학 작품은 궁극적으로 ‘시’를 지향하는 것이었다. 요컨대 김우진은 문학 활동을 하던 전 기간에 걸쳐 ‘시’에 대한 환상을 지니고 살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지금까지 주로 희곡 분야의 선구자로 평가받아 왔던 김우진에 대해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Kim Woo-Jin eagerly reveals fantasies of “poetry” through his novels and plays.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these fantasies through aspects of poetry that appear in Kim Woo-Jin"s prose. The result is, first, that the poet reveals his “personality” through poetry. Of course, Kim Woo-Jin thinks differently of poetry from what we think today. The reason is that the concept of “personality” or “nature” is philosophical, religious, and cosmic. Secondly, poetry provides a moment of creative bliss, which is the best aspect of the art. However, he does not disparage other literary genres. He only emphasizes that literary genres should also orient poetic status. Third, Kim Woo-Jin"s novels and plays also orient poetic status; therefore, all his literary works are ultimately oriented in “poetry.” In short, Kim Woo-Jin had fantasies about poetry through out his literary life. Kim Woo-Jin has so far been considered a pioneer in theater. In conclusion, as stated in this paper, selections of literary works of Kim Woo-Jin are expected to be meaningful texts for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odern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