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제스의 친중정부 수립 구상과 이승만(1945~1947)

        정형아(Jung Hyungah),정창원(Jung Changwon)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0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장제스와 이승만은 냉전 초기 동아시아 반공의 파트너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인사들이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하며 장제스와 관계를 유지해 온 것에 비해 주로 미국에서 활동했던 이승만은 장제스와 교류할 기회가 거의 없었다. 이승만은 1945년 유엔창립총회 기간 샌프란시스코에서 주미대사 구웨이 쥔, 주한 대표를 지낸 샤오위린과 접촉하였다. 당시 이승만은 한국 대표단의 유엔창립총회 참석을 거부한 미 국무부 인사들이 친공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비난하였다. 또한 그는 얄타에서 미국이 한반도를 소련에 넘기기로 했다는 등의 직설적이고 저돌적인 발언으로 미 국무부와 마찰을 빚었다. 당시 중국 측 인사들은 미국과도 마찰을 빚고, 또한 재미 한인 단체들과도 갈등을 보이는 이승만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갖지 못하였고, 그를 반공주의자라고 장제스에게 보고하였다. 한국에서 미군정의 수장 하지와 갈등을 빚던 이승만은 한국정부의 조속한 승인을 연합국에 호소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였다. 그러나 이승만의 방미는 성과가 없었을 뿐 아니라 미국 측과 더 깊은 갈등의 골을 만들었다. 귀국길에 이승만은 중국의 장제스를 방문하겠다는 뜻을 전하였다. 방문 목적은 한국 독립에 대한 장제스의 지지를 통해 정치적 기반을 구축하려는 것이었다. 이승만의 방문을 앞두고 중국 측 인사들은 이승만이 고집스러운 반공주의자라고 보고하였고, 미국과 오해가 생기지 않기 위해서라도 이승만을 멀리해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그러나 직접 이승만을 만난 장제스는 이승만의 기백과 반공의지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래서 김구에게 약속한 20만 달러 중 10만 달러는 임시정부 주중 대표단에 지급하고 남은 10만 달러를 이승만에게 제공하라고 지시하였다. 이 돈이 최종적으로 이승만에게 전달되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장제스의 이러한 지시와 더불어 이승만과 협력하라고 김구에게 조언하는 모습을 보면, 장제스는 꼭 김구가 아니더라도 이승만을 통한 친중정부를 수립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더 나아가 이승만을 이후 동아시아의 반공 파트너로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 같다. 1947년 이승만과 장제스의 짧은 만남은 이후 냉전 초기의 혈맹관계로 나아가는 첫 단추가 되었다.

      • KCI등재

        중동철도 사건과 중소 갈등

        정형아(Jung, HyungAh),정창원(Jung, ChangWon) 역사문화학회 202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4 No.2

        이 논문은 중동철도 사건을 중심으로 중국과 소련의 갈등 상황을 분석하였다. 중동철도는 19세기 말 제정러시아가 시베리아철도의 연장으로 중국영토에 부설한 제국주의 시대의 산물이었다. 처음 명칭은 동청철도였으나, 1924년 중동철도로 이름이 바뀌었다. 1896년 청조의 전권대표로 니톨라이 2세의 대관식에 참가했던 리홍장(李鴻章)과 제정러시아의 제무대신 비떼(С. Ю. Витте)가 상호호조조약을 체결하고 이에 따라 러시아가 동청철도부설권을 획득하였다. 신생 소비에트 정권은 1919년 「제1차 카라한 선언」(제1차 대중국선언)을 발표하여 제정 러시아가 중국과 맺은 모든 비밀조약을 폐지하고 중동철도를 포함한 중국에서의 모든 이권을 포기한다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1920년의 제2차 대중국선언에서는 동청철도의 부분을 삭제하고 별도의 협정을 통해 중동철도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하였다. 당시 중국에서는 열강으로부터 이권을 회수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중국정부도 철도를 회수하여 철도에 대한 권리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뜻을 표명하였다. 1924년 베이징정부는 잠정적으로 중소 양국이 철도를 공동으로 운영하기로 하였으며, 추후 세부적인 논의를 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논의가 진행되지 못하면서 소련은 중동철도에 관한 장기적인 권리를 가지게 되었다. 소련은 같은 해 9월 중동철도가 운행되는 중국 동북지역 지방정권과도 조약을 체결하여 철도에 대한 실질적인 경영권과 만주지역에서의 영향력을 확보하였다. 중동철도문제는 소련과의 협상이 필요한 외교문제였으나 중동철도와 그 부속지 운영의 문제는 동북지역 내치와도 관련이 있는 복잡한 현안이었다. 중동철도 사건이 발발하자 소련은 중국에 국교단절을 선언하였고, 중국 중앙정부와의 교섭대신 동북지방정부와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또한 무력대응으로 통해 중국을 압박하였다. 중앙정부의 군사지원이 따르지 않는 가운데 장쉐량의 동북군은 소련에 패하였고, 결국 소련의 요구에 따라 하바롭스크의정서를 체결하였다. 그리고 중동철도는 이전처럼 소련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시스템이 유지되었다. 소련은 정권 수립 후, 여전히 중앙과 지방 세력이 통합되지 않고 불안정한 정치상황을 보이고 있던 중국에서 제정러시아가 가졌던 중동철도의 철도권리를 계승하였다. 당시 중국의 중앙과 지방정부와 각각 철도관련 협정을 체결하여 자신들의 이권을 확실히 하였다. 그 후 난징정부가 전국을 통일한 후에도 중앙과 지방의 이원화된 시스템이 유지되는 중국 측이 일으킨 중동철도사건에 대해서도 물론 사건을 일으킨 당사자가 장쉐량의 지방정권이기는 했지만, 외교 교섭권을 가진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권을 교섭대상으로 삼아 철도를 통한 동아시아의 이권을 확실히 하였다. 중동철도 사건은 철도를 통해 동아시아의 세력범위를 뒷받침하려는 소련의 구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발생한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크게는 중소 양국의 갈등이었으나, 여기에서 말하는 중국은 각각 다른 시간 속에 중국을 대표하는 두 개의 정부, 그리고 이 두 정부와 같은 시각 속에 있었던 하나의 지방정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사건은 각기 다른 시간 속에서 중앙과 지방의 통합에 모순을 보인 중국의 상황, 그리고 새롭게 중국을 대표하는 정권으로 인정 받기 위해 국제적 협조를 이끌어 내려고 했던 난징정부의 계산법도 사건처리에 주요하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flict situation between China and the Soviet Union with a focus on the Chinese Eastern Railway Incident. The Chinese Eastern Railway (CER) was a product of the imperialist era, and was built on Chinese territory by Imperial Russia as an extension of the Siberian Railwa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itially named the Eastern Qing Railway (東清鐵路; Dongqing Tielu), its name was changed to the Chinese Eastern Railway (中東鐵路; Zhongdong Tielu) in 1924. In 1896, Li Hongzhang (李鴻章), who participated in the coronation of Nitolai II as the plenipotentiary representative of the Qing Dynasty, and Bitte (С. Ю. Витте), the Imperial Russian Finance Minister, signed a mutual aid treaty, and under the treaty, Russia acquired the right to lay the Eastern Qing Railway. In 1919, the new Soviet regime announced “the first Karakhan Manifesto” (the first Manifesto to China), declaring that it would abolish all secret treaties signed by Imperial Russia with China and relinquish all rights Russia had obtained by such treaties in China, including the CER. However, in the Second Manifesto to China of 1920, the part related to the CER was deleted, stating that the CER issue would be resolved through a separate agreement. At that time, there was a move in China to recover its lost economic rights from the great powers. Accordingly, the Chinese government also expressed its intention to unify the rights to railways by recovering them. In 1924, the Beijing government tentatively agreed to jointly operate the railroad with the Soviet Union, and to discuss the matter in detail later. However, as the discussion did not proceed, the Soviet Union had long-term rights to the CER.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the Soviet Union signed a treaty with the local government in northeast China, where the CER operates, and secured practical management rights for the railway, as well as power of influence in Manchuria. The CER issue was a diplomatic issue that required negotiations with the Soviet Union, but the operation of the CER and its railroad zone was a complicated issue that was also related to the internal affairs of the northeast region. When the Chinese Eastern Railway Incident broke out, the Soviet Union declared its severance of diplomatic ties with China, and rather than negotiating with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the Soviet Union tried to settle the dispute with the Northeast regional government. It also exerted pressure on China through armed response. Without military support from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Chinese warlord Hsüeh-Liang Chang"s Northeast Army was defeated by the Soviet Union, and the Khabarovsk Protocol was signed at the request of the Soviet Union. Soviet control over the CER was thus restored and maintain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me, the Soviet Union succeeded to the railroad rights of the CER that imperial Russia had in China, where central and local powers were still not integrated and the political situation was unstable. At that time, Chin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each signed railway-related agreements to ensure their interests. Even after the Nanjing government unified the country later, in a system where the dual system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as maintained, with regard to the CER Incident caused by the Chinese side, though the party that caused the Incident was Hsüeh-Liang Chang"s local warlord government, the Soviet Union secured the interests of East Asia through the railroad by targeting the local government, not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had diplomatic negotiating rights. The CER incident occurred while the Soviet Union"s plan to expand its sphere of influence in East Asia through the railway was underway. This Incident was largely a conflict between China and the Soviet Union, but China in this context refers to two central governments representing China at different times, and one local government that existed at the same time as

      • KCI등재
      • 재활 운동을 위한 가속도 센서 타입 게임시스템의 기초연구

        정화영(HwaYoung Jung),왕창원(Changwon Wang Jung),민세동(Se Dong Min) 대한전기학회 2013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10

        최근 센서기술과 스마트폰의 융합을 통한 다양한 건강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기능의 시스템이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축 가속도 센서와 안드로이드향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뇌졸중 및 척추, 요추 등 관련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게임을 통해 재활운동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척추 주변에 착용할 수 있는 두 개의 3축 가속도 센서와 센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 그리고 재활운동용 스마트폰 게임으로 구성되어 진다. 현재 재활을 위한 여러 운동방법들이 존재하지만 본 시스템은 게임을 즐기면서 엔터테이먼트적인 요소를 가미함으로써 운동강도의 적당성과 언제든지 재활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재활 운동을 위한 가속도 센서 타입 게임시스템의 기초연구

        정화영(HwaYoung Jung),왕창원(Changwon Wang Jung),민세동(Se Dong Min) 대한전기학회 2013 정보 및 제어 심포지엄 논문집 Vol.2013 No.10

        최근 센서기술과 스마트폰의 융합을 통한 다양한 건강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기능의 시스템이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축 가속도 센서와 안드로이드향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뇌졸중 및 척추, 요추 등 관련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게임을 통해 재활운동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척추 주변에 착용할 수 있는 두 개의 3축 가속도 센서와 센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 그리고 재활운동용 스마트폰 게임으로 구성되어 진다. 현재 재활을 위한 여러 운동방법들이 존재하지만 본 시스템은 게임을 즐기면서 엔터테이먼트적인 요소를 가미함으로써 운동강도의 적당성과 언제든지 재활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Dissociation of Single-Strand DN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Hybrids by Watson−Crick Base-Pairing

        Jung, Seungwon,Cha, Misun,Park, Jiyong,Jeong, Namjo,Kim, Gunn,Park, Changwon,Ihm, Jisoon,Lee, Junghoon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0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 Vol.132 No.32

        <P>It has been known that single-strand DNA wraps around 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NT) by π-stacking. In this paper it is demonstrated that such DNA is dissociated from the SWNT by Watson−Crick base-pairing with a complementary sequence. Measurement of field effect transistor characteristics indicates a shift of the electrical properties as a result of this “unwrapping” event. We further confirm the suggested process through Raman spectroscopy and gel electrophoresis. Experimental results are verified in view of atomistic mechanisms with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and binding energy analyses.</P><P><B>Graphic Abstract</B> <IMG SRC='http://pubs.acs.org/appl/literatum/publisher/achs/journals/content/jacsat/2010/jacsat.2010.132.issue-32/ja102673m/production/images/medium/ja-2010-02673m_0005.gif'></P><P><A href='http://pubs.acs.org/doi/suppl/10.1021/ja102673m'>ACS Electronic Supporting Info</A></P>

      • KCI등재

        Avulsion injuries: an update on radiologic findings

        ( Changwon Choi ),( Sun Joo Lee ),( Hye Jung Choo ),( In Sook Lee ),( Sung Kwan Kim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21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38 No.4

        Avulsion injuries result from the application of a tensile force to a musculoskeletal unit or ligament. Although injuries tend to occur more commonly in skeletally immature populations due to the weakness of their apophysis, adults may also be subject to avulsion fractures, particularly those with osteoporotic bones. The most common sites of avulsion injuries in adolescents and children are apophyses of the pelvis and knee. In adults, avulsion injuries commonly occur within the tendon due to underlying degeneration or tendinosis. However, any location can be involved in avulsion injuries. Radiography is the first imaging modality to diagnose avulsion injury, although advanced imaging modalities are occasionally required to identify subtle lesions or to fully delineate the extent of the injury. Ultrasonography has a high spatial resolution with a dynamic assessment potential and allows the comparison of a bone avulsion with the opposite side. Computed tomography is more sensitive for depicting a tiny osseous fragment located adjacent to the expected attachment site of a ligament, tendon, or capsule. Moreover, magnetic resonance imaging is the best imaging modality for the evaluation of soft tissue abnormalities, especially the affected muscles, tendons, and ligaments. Acute avulsion injuries usually manifest as avulsed bone fragments. In contrast, chronic injuries can easily mimic other disease processes, such as infections or neoplasms. Therefore, recognizing the vulnerable sites and characteristic imaging features of avulsion fractures would be helpful in ensuring accurate diagnosis and appropriate patient management. To this end, familiarity with musculoskeletal anatomy and mechanism of injury is necessary.

      • KCI등재

        Superficial Radial Neuropathy due to Anatomic Variation: A Case Report

        Changwon Choi,Hye Jung Choo 대한영상의학회 202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85 No.2

        Superficial radial neuropathy is a purely sensory neuropathy, usually caused by nerve entrapment in the distal forearm. We report a case of superficial radial neuropathy caused by the anomalous course of the superficial radial nerve, which was found to be spirally encircling the brachioradialis tendon in the distal forearm.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 anatomical variant of the superficial radial nerve that causes neuropa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