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허혈성 흰쥐 해마에서 NMDA수용체 아단위 NR2B와 세포골격단백질 MAP-2의 변화

        정용욱,문일수,고복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전반적 저산소증(global ischemia) 과 불완전 국소허혈(incomplete focal ischemia)에서 신경세포의 NMDA수용체 아단위 2B와 세포골격단백질 MAP2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immunoblot방법과 면역 조직화학법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해마신경세포의 연접이후치밀질(postsynaptic density, PSD) 를 이용한 NR2B, MAP2표현의 변화를 알아보면 저 산소증과 불완정 국소허혈에서 3일 후 감소 하다가 6일 후에는 점차 정상 수준으로 환원되었으며(저 산소증의 MAP2제외)반대편 해마의 경우 NR2B는 3일경과 후 표현이 감소 하다가 6일 후에는 정상 수준 이상으로 증가 하였으며 MAP2는 정상과 변화가 없었다. 2. 해마의 면역조직화학법에서 MAP2의 표현은 저 산소증과 동측의 불완전 국소허혈 부위의 CA1, CA3, DG 전체 지역에서 정상에 비해 3일 후 감소 하다가 6일 후 증가 하였다(허혈의 반대측 해마의 경우는 CA1에서 MAP2의 표현이 6일째 감소됨.) 이상의 관찰 결과를 종합 해볼때 해마 신경세포의 지연성 손상은 NMDA수용체 아단위 2B의 감소와 세포골격단백질 MAP2를 파괴하며 그 시기는 3일 이전에 일어나 6일경에는 회복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정확한 회복 시기는 허혈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허혈 반대편 부위에서의 NR2B와 MAP2의 면역 반응성 감소는 허혈지역의 주변부위에서(penumbra)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일치하였다. Changes of NR2B & MAP-2 expression in global and focal ischemia Department of Anatomy, School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YONG WOOK JUNG M.D., IL SOO MOON Ph.D., BOK HYUN KO M.D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2 (MAP-2) degradation by Ca2' - dependent proteases after NMDARs (NRs) activation has been postulated in delayed hippocampal neuronal damage.. Degradation of MAP-2 in rat brain after hypoxia and ischemia was investigated through immunoblot analyses and immunohistochemistry. In order to test the changes of each NR subunits (NR2B) and MAP2 in neuronal damage, we carried out in vivo experiments to see if there is selective changes of MAP-2 and NR2B in global hypoxia and focal left common carotid artery ligation.. We found that, in global ischemia, NR2B was down-regulated and recovered to normal level by 3 and 6 days while MAP-2 was unchanged by the same days compared to untreated hippocampus, and that similar changes regarding to NR2B and MAP-2 were observed at ipsilateral hippocampus in focal ischemia. In contralateral hippocampus, NR2B expression was decreased and MAP-2 expression was unchanged compared to untreated hippocampus. These results imply that NR2B and MAP2 expression are regulated on the degree of ischemic damage in delayed neuronal death and that, in focal ischemia, down-regulation of NR2B in contralateral hippocampus may be a similar effect which is seen in the peripheral zone (penumbra) of ischemic region.

      • 脊椎 損傷에 對한 臨床的 考察

        高福鉉 충남대학교 대학원 1977 論文集 Vol.8 No.-

        The spinal injuries were reported by relatively low incidence than other fracture and dislocation in the body. However, the rate of spine injury tend to increase year by year as the rate of traffic accident and industrial accident have been increased. Author have experienced 332 cases of various type of injuries of spine from Jan. 1968 to July 1976. They were analysed as follow. 1) Out of 268 patient, males were 187 cases (70%) and female 81(30%), among them 74.6% of cases were between 20 to 40 years of age. About 38.1% of cases of the spinal injury were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 2) The most common fracture site in the spinal segment were between 12th thoracic spine and 2nd lumbar spine (63.4%) and most common types of spine injury was simple wedge fracture (72.4%). 3) 26 cases (9.6%) were complicated by paraplegia.

      • Estradiol-17β를 처리한 흰쥐 자궁에 있어서 Clomiphene이 세포내 수용체, DNA 및 cAMP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곤섭,고복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89 論文集 Vol.8 No.-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udy on the interaction of estradiol receptor and cAMP level of clomiphene in immature rat uteru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 1. The binding affinity of clomiphene to estradiol receptor in uterine cytosol was lower than that of estradiol-17β. clomiphene inhibited the replenishment of the receptor to cystol in uterus(P<0.01). 2. DNA level in uterus was increased at 48 hours after estradiol-17β or clomiphene injection(P<0.01) 3. cAMP level in uterus was increased at 48 hours after estradiol-17β or clomiphene injection(P<0.01)

      • 수컷 생쥐의 정자두부 미세구조에 대한 Chlorambucil의 영향

        김덕훈,고복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0 論文集 Vol.9 No.-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lorambucil on the mouse sperm head by electron microscopy. Chlorambucil was injected intraperitoneum at a dosage of level 16mg/kg for one weeks, 3weeks and 5weeks, respectively.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1. One week after the administration, Most plasma membrane of late spermatid were swollen and dilation. and the acrosomal membrane was normal. 2. After 3 weeks, the condensation of nucleus was presented at some late spermatids. The nucleus membrane was mostly loss, But the dilation of nucleus membrane was partly observed. The acrosome and the plasma membrane was mostly disrupted. 3. After 5 weeks, most nucleus membrane, acrosome membrane, acrosome, and necleus membrane were severely disrupted. The nucleus was severely condensed and the shape of nucleus was very queer. But, in some late spermatids, the heterochromathin was observed. The membrane whorl in acrosome region was presented at some late spermatids.

      • 허혈성 흰쥐 대뇌에서 NMDA 수용체 아단위2A와 중간세사섬유들의 변화

        정용욱,문일수,고복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대뇌피질의 지연성 신경손상과 NMDA수용체 아단위2A, NF200K, GFAP의 표현 변화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전반적 저산소증(92% N2/8% O2)과 불완전 국소허혈(왼온목동맥 결찰)을 시행하였으며 허혈성 손상이 후 대뇌 피질에서의 NR2A,NF200K,GFAP의 변화는 immuno blot방법과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허혈 손상 3일 후 대뇌 피질 PSD에서의 NR2A항체에 대한 면역 반응성은 정상에 비해 증가하였 으며 NF200K의 면역 반응성은 감소하였다. 2) 허혈 손상 6일 후 대뇌 피질 PSD에서의 NR2A, NF200K항체에 대한 면역 반응성은 함께 감소 하였다. 3) 면역조직화학법에서 NF200K,GFAP에 대한 중간세사섬유들의 표현은 3일 후 정상에 비해 함께 감소 하였다가 6일 후 허혈의 정도에 따라 증가군과 감소군으로 나누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대뇌 피질 PSD에서 NF200K는 3일 이전에는 NR2A의 양에 의해 조절되며 6일 이후에는 NR2A, NF200K 모두 손상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별아교세포의 증식은 신경세포 손상을 방지 하기위해 보상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 된다. Ischemic brain cortex has been develop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layed neuronal damage at the cerebral cortex regions and the expression of NMDA receptor subunit (NR2A), NF200K and GFAP in the conditions of global hypoxia and focal left common carotid artery ligation. Changes of NR2A, NF200K and GFAP in rat brain after ischemic injury were investigated through immunoblot analyses and immunohistochemistry. We found that immunoreactivity to NR2A antibody in the cerebral cortex PSD was up-regulated and recovered to normal by 3 and 6 days while NF200K was down-regulated by 3 and 6 days. Immunoreactivity to anti-NF200K and GFAP antibody was decreased at the third day but by sixth day they were varied on the degree of ischemic damage. These resulys imply that the amount of NR2A and NF200K in cerebral cortex PSD at the third day were reversely changed but by the sixth day all of them were decreased in the process of delayed neuronal damage and that, neuroprotective proliferation of astrocytes may be compensated by the elevation of neuronal cell damage.

      • Reactive Astrocytosis in Rat Hippocampal Formation Following Forebrain Ischemia

        Ko, Bok Hyun,Kim, Jae-Gwang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2

        본 실험은 흰쥐의 평균동맥압을 50 mmHg 정도로 낮춘 저혈압 상태에서 양쪽 온목동맥을 10분간 결찰하여 전반적 허혈을 초래 후 해마형성체에서 신경세포의 변화와 별아교세포의 GFAP의 발현변화를 연관하여 관찰하였다.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항체의 염색은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였으며 신경세포의 괴사정도는 형태학적으로 판별하기 위하여 H&E 염색을 이용하였다. 허혈 후 8시간까지의 초기 허혈 후 단계에서 GFAP의 면역반응성은 대조군에 비해 미약한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형태학적으로 약간의 괴사세포가 존재하는 CA3와 DG 그리고 괴사세포가 관찰되지 않는 CA1과 subiculum에서 함께 관찰되었다. 이에 반해 허혈 후 4일째의 후기 허혈 후 단계에서의 GFAP 면역반응성의 의미있는 증가는 신경세포들의 대량괴사가 관찰되는 subiculum과 DG의 hilar 지역에서 국한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후기 허혈 후 단계에서 신경세포들의 대량괴사가 관찰되는 지역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형태학적으로 변형된 별아교세포들의 증식이 주위 신경세포의 손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tudies, changes of the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expression in the astrocytes of the rat hippocampal formation were examined in response to the bilateral carotid artery occlusion for 10 minutes along with a decrease of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MABP) to 50 mmHg. Their relations to neuronal viability were also studied by H&E staining. In early postischemic period, mild increase of the GFAP expression was observed and this was not only confined to the mild-necrotic (CA3 and dentate gyrus) regions but also in the non-necrotic regions (CA1 and subiculum) at postischemic 8 h. In contrast, in late phase of the postischemia, a marked increase of the GFAP expression was only confined to the regions of massive necrosis such as subiculum and inner granular cell layer of dentate gyrus. Therefore, reactive astrocytosis with upregulation of the GFAP in the late postischemic period in the regions of massive necrosis may contribute to the damages in the neighboring neurons.

      • Transient global ischemia increases apoptosis and neurogenesis in rat dentate gyrus

        Ko, Bok Hyun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흰쥐 치아이랑(dentate gyrus)의 과립세포들은 발생 중 뿐 만 아니라 성체에서도 형성되며 과립세포들에서의 세포자연사는 일생을 통하여 계속 진행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은 허혈로 초래되는 성체 흰쥐 치아이랑 과립세포들의 신경발생(neurogenesis)과 세포자연사(apoptosis) 그리고 이와 연관된 Bcl-2의 발현변화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또한 NMDA 수용체의 양적변화가 허혈로 초래되는 세포자연사 혹은 신경발생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TUNEL 실험에서 허혈로 초래된 세포자연사는 치아이랑의 과립세포층 (granular zone)에서 주로 발생됨이 관찰되었고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synapsin-α를 이용한 면역세포화학 실험을 통하여 신경발생은 주로 치아이랑의 과립세포하층 (subgranular zone)에서 발생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Bcl-2 면역반응성의 점차적 증가는 치아이랑 과립세포하층에서의 신경발생시기와 일치하였으나 과립세포층의 세포자연사의 시기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NR2A, NR2B의 anti-sense probe를 이용한 in situ hybridization에서는 허혈로 인한 NMDA 수용체의 유의한 감소가 치아이랑 과립세포들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치아이랑 과립세포층의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허혈이 치아이랑에서의 신경발생의 직접적 자극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치아이랑 내 과립세포들의 자연사 여부는 과립세포들의 성숙정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Bcl-2의 발현증가 여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본 실험은 허혈이 NMDA 수용체의 숫적 감소를 야기함으로서 치아이랑 과립세포하층에서의 신경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Granule neurons of the rat dentate gyrus (DG) are born in adulthood as well as during development. Apoptotic cell death also occurs normally in the population throughout the life of the rat brain. The present work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the transient global ischemia can accelerate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DG granule cells which might be correlated with expression of Bcl-2 protein within the ischemic DG. We also hypothesized that the amount of functional N-methyl-D-aspartate (NMDA) receptor could be involved in ischemia-induced apoptosis or neurogenesis. TUNEL study revealed that significant apoptosis was in the granular zone (GZ) of the ischemic DG. However, immunocytochemical studies with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and synapsin-α demonstrated that neurogenesis occurred in subgranular zone (SGZ) of the ischemic DG. The gradual increase of the Bcl-2 expression is paralleled with neurogenesis in the SGZ but not with apoptosis in the GZ of the DG. In situ hybridization using the antisense probe to the NR2A and NR2B subunits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 of the functional NMDA receptors in the ischemic DG.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urogenesis in the DG may be stimulated by the ischemia which leads to the apoptotic cell death in the GZ of the DG. In addition, granule cell apoptosis in the DG depends on the expression of the Bcl-2 which determine the maturity of granule cells. Finally, we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reduction of the dentate NMDA receptors by ischemia may be assocated with stimulation of neurogenesis in the SGZ of the D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