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책쓰기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황혜빈, 정미경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7 No.4

        본 연구는 책쓰기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결과물을 출판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주제와 관련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경상북도 영천시 소재의 H초등학교 6학년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어 다문화 교육 성취기준을 분석 준거로 설정하여 각 학생 작품에 대한 다문화교육 석사 학위 소지자 5 명의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 분석 결과와 관찰일지, 소감문 및 인터뷰 기록을 종합하여 프로그 램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본 프로그램은 학생별 특성과 흥미에 맞는 맞춤형 지도에 용이했으며 초등 학교 고학년 이상의 다문화교육에 적합했다. 둘째, 책쓰기에서 ISBN 등록 및 유통 신청은 프 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절차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문화다양성 존중 영 역, 공존 영역, 자기와 타자의 조화로운 이해 영역, 사회 정의 영역의 순으로 우수한 효과를 보 였으며, 각 영역의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가치 및 태도 함양에도 효 과가 있었다. 또한, 현행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통합적 교육 프로그램으로써의 가치가 있었다. The study was planned and conducted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writing-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publishing the writings of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project, analyzing their educational effects, and providing basic materials and data to promote multicultura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and materials related with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Eleven students of sixth grade at H elementary school in Yeongcheon-si, Gyeongsangbuk-do, were then enrolled in the program. Following this,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used as assessment criteria. Five master’s degree hold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en conducted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tent elements, recorded observation logs, and wrote literature reviews, interview questions and respons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 were then analyzed based on the combined data set. The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1. The program was useful for education tailored to each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and adequate for teaching elementary students in higher grades. 2. Applying for an ISBN and submitting a distribution request as part of book writing was an important process enhanc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ogram. 3. The program was highly effective in the following order of assessment areas: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coexistence, harmonious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others, and social justice. In a final note, the program was also found effective in gaining a deep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 elements for each area and in promoting multicultural values and attitudes.

      • KCI등재

        가중치 오차함수를 통한 콘크리트 균열 감지 모델 학습 개선

        손정모,김도수,황혜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10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mprovement method that can create U-Net model which detect fine concrete cracks by applying a weighted loss function. Because cracks in concrete are a factor that threatens safety, it is important to periodically check the condition and take prompt initial measures. However, currently, the visual inspection is mainly used in which the inspector directly inspects and evaluates with naked eyes. This has limitations not only in terms of accuracy, but also in terms of cost, time and safety. Accordingly, technologies using deep learning is being researched so that minute cracks generated in concrete structures can be detected quickly and accurately. As a result of attempting crack detection using U-Net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not detect minute cracks. According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trained by applying the suggested weighted loss function, a highly reliable value (Accuracy) of 99% or higher and a harmonic average (F1_Score) of 89% to 92% was derived. The performance of the learning improvement plan was verified through the results of accurately and clearly detecting cracks. 본 연구에서는 가중치 오차 함수를 적용하여, 미세한 콘크리트 균열을 감지하는 U-Net 모델을만들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콘크리트 균열은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그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고 신속하게 초기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는 점검자가직접 육안으로 검사하고 평가하는 외관 검사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정확성뿐만 아니라비용과 시간, 안전성 측면에서도 한계점을 가진다. 이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생성되는 미세한 균열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딥러닝을 활용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U-Net을 활용한 균열 탐지를 시도한 결과, 미세한 균열을 탐지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제시한 가중치 오차 함수를 적용하여 학습한 모델에 대해 성능을 검증한 결과, 정확도(Accuracy) 99% 이상, 조화평균(F1_Score) 89%에서 92%의 신뢰성 높은 수치를 도출해내었고, 미세한 균열을정확하고 선명하게 탐지한 결과를 통해 학습 개선 방안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지속 가능한 의류 산업 발전을 위한 의류 커스텀 및 리폼 디자인 공유 웹 플랫폼 개발

        이승희(Seunghee Lee),황혜빈(Hyebin Hwang),박현주(Hyunju Park),박종권(Jongkweon Park)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현대 의류 산업이 발전하면서 대량 생산, 대량 유통됨에 따라 의류 일회성이 일반화되어 환경 문제와 함께 사회적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쿨레만 (Anne-Kathrin Kuhlemann) 의 논문에 따르면 “옷 입는 횟수를 2 배로 늘리면 의류 산업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을 44%까지 감축시킬 수 있다.” 는 연구 결과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류 커스텀 및 리폼 디자인 공유 웹 플랫폼을 개발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디자이너가 함께 의류 산업 제로 웨이스트를 실천하는 커뮤니티를 조성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소비 습관을 변화시키고, 지속 가능한 의류 산업 발전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