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중치 오차함수를 통한 콘크리트 균열 감지 모델 학습 개선

        손정모,김도수,황혜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10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mprovement method that can create U-Net model which detect fine concrete cracks by applying a weighted loss function. Because cracks in concrete are a factor that threatens safety, it is important to periodically check the condition and take prompt initial measures. However, currently, the visual inspection is mainly used in which the inspector directly inspects and evaluates with naked eyes. This has limitations not only in terms of accuracy, but also in terms of cost, time and safety. Accordingly, technologies using deep learning is being researched so that minute cracks generated in concrete structures can be detected quickly and accurately. As a result of attempting crack detection using U-Net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not detect minute cracks. According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trained by applying the suggested weighted loss function, a highly reliable value (Accuracy) of 99% or higher and a harmonic average (F1_Score) of 89% to 92% was derived. The performance of the learning improvement plan was verified through the results of accurately and clearly detecting cracks. 본 연구에서는 가중치 오차 함수를 적용하여, 미세한 콘크리트 균열을 감지하는 U-Net 모델을만들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콘크리트 균열은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그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고 신속하게 초기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는 점검자가직접 육안으로 검사하고 평가하는 외관 검사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정확성뿐만 아니라비용과 시간, 안전성 측면에서도 한계점을 가진다. 이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생성되는 미세한 균열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딥러닝을 활용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U-Net을 활용한 균열 탐지를 시도한 결과, 미세한 균열을 탐지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제시한 가중치 오차 함수를 적용하여 학습한 모델에 대해 성능을 검증한 결과, 정확도(Accuracy) 99% 이상, 조화평균(F1_Score) 89%에서 92%의 신뢰성 높은 수치를 도출해내었고, 미세한 균열을정확하고 선명하게 탐지한 결과를 통해 학습 개선 방안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SCOPUSKCI등재

        Topological Approach to the Rubber Elasticity of Polymer Networks

        손정모,박형숙,Son Jung Mo,Pak Hyungsuk Korean Chemical Society 1989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10 No.1

        Applying the topological theory of rubber elasticity which was suggested by K. Iwata to the newly devised body-centered cubic lattice model, the authors calculated the values of four terms of the free energy to form polymer networks. Finding the projection matrix of the BCL model, and comparing this with the values of the simple cubic lattice (abbreviated to SCL hereafter) model of K. Iwata, the authors obtained the stress versus strain curves and found that the curve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poly(dimethyl siloxane) networks.

      • KCI등재후보

        전북 장수지역에 분포하는 편마암류의 지구화학적 연구

        손정모,신인현,안건상 조선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2011 조선자연과학논문집 Vol.4 No.1

        The precambrian gneiss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Jangsu a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amorphic mineral assemblages and metamorphic P-T conditions of the gneiss. We have analyzed garnet, biotite and plagioclase among the gneiss through the EPMA analysis, and calculated the metamorphic temperature and pressure accordingly. The metamorphic temperature was estimated by the average of values from the garnet and biotite formulas, and the metamorphic pressure by value of the Hoisch(1990) geopressured on garnet-biotite-plagioclase. The mineral sample we examined shows garnet-biotite-plagioclase-quartz composite and garnet-plagioclase-orthoclase-quartz composite. Garnet shows almandine-pyrope solid solution in general, while porphyroblastic gneiss shows almandine-grossluar solid solution. The fact that the abundances, observed by garnet profile, are almost identical in both the central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ndicates that the crystal was developed uniformly. There is almost negligible variance in biotite on metamorphic grade, and andesine is observed in plagioclase. The metamorphic temperature and pressure from EPMA analysis and its indications are as follows: the middle-temperature, high-pressure metamorphism (500-650℃, 6.9-10 kbar) ensued in the beginning, and then was followed by the high-temperature, middle-pressure(600-740℃, 2.7-5.9 kbar) to (500-540℃,3.1 kbar) retrograde metamorphism.

      • KCI등재

        전라남도 고흥지역에 분포하는 주상절리에 관한 연구

        손정모,안건상 한국지구과학회 2016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7 No.6

        The columnar joints in Goheung are developed in three places of Yuju-san area, Palyeong-san and Yongbawi area. Vertical and fan-shaped columnar joints which have maximum width 100 m and maximum heigh 50 m are developed in the Yuju-san area Columnar joints are developed next to the road near the the Yuju-san and along the coast of Jijuk-do. Thick columnar joints of maximum width 1m are developed in the Paryeong-san area. Horizontal columnar joints of maximum width 50 cm at length of polygon side are developed on dyke in the Yongbawi area. The columnar joints show high rate of rectangles and pentagons in the number of polygons. The length of polygon side of columnar joints in study area ranges from 10 to 100 cm, and 20 cm among the range appears in high frequency. Columnar joints are developed vertically to the ground from the cooling surface in Yuju-san and Palyeong-san area. Columnar joints in Yongbawi area are developed vertically to the contact of country rocks. As a result, the columnar joints began cooling from the country rock contact. And columnar joints are developed vertically to contact surface. The rocks in columnar joints is rhyolitic welded tuff in Yuju-san and Palyeong-san area, dacite in Yongbawi area. In the acid volcanic rocks flow structure well developed. The white phenocryst mineral about 2 mm size by eye, is usually feldspar, and includes some quartz. The rate of SiO2 is 70wt.% or more. It is the last stage of differentiation to calc-alkaline series. The columnar joints of the Yuju-san area are expected to be distributed along a band that extends to about 1km east of the stone pit. 전라남도 고흥지역에는 도화면 유주산 지역, 팔영산 지역 그리고 용바위 지역의 세 지역에서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유주산 지역에는 폭 최대 100 m, 높이 최대 50 m 규모로 수직방향과 부채꼴 모양의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유주산 근처의 도로변과 지죽도 해안에도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팔영산 지역에서는 기둥면의 폭이 최대 1 m에 달하는 굵은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용바위 지역은 암맥 내에서 지표면과 수평한 최대 폭 50 cm의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이 지역 주상절리의 4각형과 5각형이 높은 빈도를 차지한다. 기둥면의 폭은 10-100 cm 범위이지만, 20 cm가 최대 빈도율을 보인다. 유주산과 팔영산 지역에서 주상절리는 냉각면인 지표와 수직으로 발달한다. 용바위지역에서 주상절리는 관입한 주변암과의 접촉부와 수직으로 발달한다. 결과적으로 이지역의 주상절리는 주변암의 경계부로부터 냉각이 시작되어 접촉면과 수직한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본 주상절리를 구성하는 암석은 유주산과 팔영산 지역에서 유문암질 용결응회암이고, 용바위의 암맥을 이루는 암석은 데사이트이다. 산성화산암에는 유상구조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육안상 2 mm 정도의 백색 반정광물은 대부분 장석이고, 일부 석영을 포함한다. 주상절리를 구성하는 암석의 SiO2 함량은 모두 70wt.% 이상이며, 칼크알칼리계열의 분화 마지막 단계이다. 유주산지역 주상절리는 채석장에서 동쪽으로 약 1 km 이상 분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고흥군 과역 서측 해안의 지형과 지질

        손정모 ( Son Jeong-mo ),오강호 ( Oh Kang-ho ),김해경 ( Kim Hai-gyoung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2

        우리나라에는 각 지질시대에 속하는 다양한 종류의 암석과 특징적인 지질구조가 분포하고 있다. 이들 암석은 형성된 이후 장시간에 걸쳐 풍화작용과 침식작용을 받아 특이한 지형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들 중에서 학술적, 교육적 그리고 관광 측면의 가치가 있는 지형 및 지질은 보존의 필요성으로 인해 지질유산으로 구분하고 있다. 국가에서는 이러한 지질유산을 천연기념물, 명소 등으로 지정하여 보존 및 관리하거나 지질유산이 분포하는 여러 개의 지질명소를 지역적으로 구획지어서 하나의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국가지질공원과 세계지질공원에 분포하는 지질유산은 보전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교육과 관광 사업이 이루어져 지역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가와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에 분포하는 보존가치가 있는 지형 및 지질의 발굴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정밀 지질조사와 평가를 하고 있으며 국가 또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국립공원관리공단(2016a)에서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21개 시, 군 지역에 분포하는 지질유산을 발굴하고 평가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긴 해안선을 가지며 다양한 암석과 화석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라남도 고흥군의 지형과 지질, 특히 과역면 서측 해안을 중심으로 지형 및 지질조사를 실시하여 특징적인 지질유산의 분포 여부를 조사하고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질유산으로서 가치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뿐만 아니라 지구과학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지역인 고흥군 과역면 노일리 서측, 약 180m 길이의 해안의 노두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 현상은 약 5m 내지 10m 높이의 해식애, 파식대지 그리고 자갈 및 모래해안과 갯벌이 분포하고 있다. 암석으로는 역암, 사암, 이암(셰일)의 퇴적암류와 응회암 그리고 퇴적구조로는 층리, 사층리 점이층리가 관찰된다. 풍화에 의한 현상으로는 풍화혈과 구상풍화 현상이 관찰되고 산성 내지 중성의 관입 암맥과 단층이 분포하고 있다. 둘째,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지형 및 지질현상은 현행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 3학년“지표의 변화”, 4학년 “지층과 화석” 및 “화산과 지진” 단원 그리고 중학교 과학 1학년“지권의 변화” 단원의 학습내용과 연관성이 있다. 따라서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다양한 지형 및 지질현상은 다양한 형태의 학습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현장에 나가 지형 및 지질현상을 직접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야외 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 곳은 벌교와 고흥읍에서는 약 15km, 그리고 순천시와 보성읍에서는 약 35km떨어진 지점으로 인근 지역에 위치하는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에서는 접근이 용이하여 야외 지질학습장소로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실제 야외 지질학습 장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노두에서의 활동과 안정성 등을 검토하고 학교 급별로 적합한 야외 학습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evaluation of the geoheritage values and the learning materials of earth sci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y the survey of geomorphology and geology at the western coast of Gwayeok, Goheung-gun. Also, relationships between the main learning contents in geology units of science class in 2015 curriculum and geomorphology and geology of study area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ast of study area is about 180m in length, and composed of sea cliff, wave cut platform, gravel & sand beach and mud flat. The rocks exposed in outcrops of study area were conglomerate, sandstone, mudstone(shale) and tuff. And, it were observed that stratification, graded bedding, cross bedding, intrusion structure, fault, tafoni and spherical weathering and so on. Dykes is about 2m ∼ 5m in width, and is acidic to intermediate in composition. Fault observed in study area is normal fault of about 30cm to 40cm in displacement. Specially, it was showed that horst, relatively rising rock block formed by both side faults. Second, geology units of science in 2015 curriculum are “Change of earth surface”in 3rd grade, “stratum and fossil”, “volcano and earthquake”in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change of solid earth”in 1st grade of middle school. it was comprehended that geomorphology and geology distributed in study area as mentioned above is very relevant to learning contents(coastal terrain, sedimentary rocks, fault, weathering phenomenon of tafoni and spherical weathering) in geology units of science class in 2015 curriculum. This study area are to be recommended as geological field trip cours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habited in Goheung-gun, Bosung-gun and Suncheon-city from the perspective of accessibility. Development of programs for outdoor activity by school level is needed to use this area as a geological field trip course.

      • KCI등재

        경남 통영시 미륵도 화산의 지질명소 개발과 교육적 가치

        손정모 ( Son Jeong-mo ),안건상 ( Ahn Kun-Sang )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1

        통영 미륵도는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화산섬으로, 화산이 폭발한 후에 함몰되고 원형의 틈새를 따라 유문암질 및 화강암질 마그마가 순차적으로 관입한 칼데라 구조의 화산이다. 본 연구는 미륵도에서 야외조사를 통해 지질명소를 발굴하고, 그들의 지구과학교육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미륵도에서 지질명소를 선정할 때의 평가기준으로는 학술적 가치, 경관 가치, 방문자의 안전 및 접근의 편이성, 그리고 문화관광 명소와의 연계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미륵도의 지질명소는 10곳이다. 지질명소 ①의 미륵산 정상에서는 미륵산안산암과 다도해 지형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안산암은 판구조운동의 섭입대에서 산출되는 전형적인 화산암이다. 이 암석은 수직절리와 수평절리가 발달하고, 사장석 반정의 반상조직을 갖는다. 지질명소 ②의 통영국제음악당 해안로에서는 장평리층을 관찰한다. 이 명소에서는 전형적인 역암, 사암, 셰일을 한 장소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층리나 점이층리와 같은 퇴적구조가 잘 발달한다. 지질명소 ③인 등대낚시공원에서는 풍화작용으로 형성된 해안절벽, 해식동굴과 시스텍 등의 지형경관을 관찰한다. 이 해안로에서는 침식작용으로 형성된 '제주도의 하루방'처럼 보이는 형상의 암석도 관찰된다. 지질명소 ④의 국립남동해수산연구원에서는 남산유문암이 열수에 의해 변질된 암석의 양상과 해파에 의해 침식된 지형경관을 관찰된다. 이 명소 주변에는 백악기 후기에 관입한 화상섬록암이 노출되어 있다. 지질명소 ⑤인 척포항 마동리에서는 산상화산암인 마동데사이트의 전형적인 표면색 및 광물조직을 관찰하고, 경사를 가진 절리를 따라 침식 잔류한 시스택 경관을 조망한다. 지질명소 ⑥인 통영수산과학관과 주변의 달아공원은 석양을 감상하는 유명관광지이다. 이 명소의 해안 노두에서는 반상조직을 가진 짙은 녹색의 달아안산암으로 이루어진 횡와주상절리를 관찰한다. 이 명소의 해안에서는 안산암의 단암질 각력암을, 산의 정상부에서는 유상구조를 관찰한다. 지질명소 ⑦의 한려해상생태탐방원의 다양한 색과 크기의 화산력을 포함하는 곤리도응회암과 화산력이 풍화작용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자갈 해변을 관찰한다. 이 명소의 서측해안에서는 안산암을 관입한 유문암의 관입접촉부도 관찰한다. 지질명소 ⑧의 박경리기념관 주변에서는 미륵산 칼데라의 중앙으로 마지막 관입한 산성암인 미문상화강암(그래노파이어)을 관찰한다. 지질명소 ⑨의 광바위 해안로의 끝의 등대 부근에서는 안산암에 발달한 직선형과 곡선형의 주상절리를 관찰한다. 지질명소 ⑩인 용화사 주변에는 칼데라의 단층을 따라 미륵도를 원형으로 관입한 화강섬록암를 관찰하며, 도솔암에서는 반정을 포함하지 않은 미륵산 안산암 관찰한다. 미륵도 지질명소는 초등학교 3~4학년 교육과정의 화산활동, 화강암과 현무암, 지층의 형성을 학습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이들은 중학교 교육과정의 암석, 암석의 윤회와 풍화작용에 해당하며,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한반도의 지구 역사, 퇴적환경, 암석의 조직, 지질구조에 해당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선정된 지질명소는 초·중등 지구과학교육의 학습장으로 매우 유용하다. 지질명소의 교육적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학년이나 특성에 맞는 야외답사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질학적 의의를 명확하고 흥미롭게 전달할 수 있는 지질 해설사를 육성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안내판, 리플릿 등의 교육자료가 개발된다면, 미륵도 지질명소는 경상남도 남부의 훌륭한 지구과학교육의 학습장이 될 것이다. Mireukdo in Tongyeong city is volcanic island erupted at the Cretaceous of Mesozoic Era. The island shows a caldera structure due to collapses downward, following the intrusion of rhyolitic and granitic magma one by one along the circular fault. This study is to develop geosites through field surveys in the island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value for earth science. In selecting geosites, the safety and access for visitors and the connection with cultural tourist attractions were all considered. There are 10 geosites in Mireukdo selected in this study. Mireuksan andesite and archipelago topography can be observed at the top of Mireuksan Mountain, geosite ①. The andesite is a typical volcanic rock produced at the subduction zone of plate tectonics. The rock develops vertical joints and horizontal joints, and has porphyritic texture with plagioclase phenocrysts. The Jangpyeong-ri Formation is observed on the coastal road of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Center, geosite ②. The geosite shows the typical clastic sedimentary rocks such as conglomerate, sandstone, and shale in one place. Here, sedimentary structures such as stratification and graded bedding are clearly developed. At the Lighthouse Fishing Park, geosite ③, topographical landscapes such as coastal cliffs formed by weathering, large-scale sea caves and sea stacks are observed. In this coastal road, rocks shaped like 'Harubang statue of Jeju Island' formed by erosion are also observed. At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Southeastern Sea and Fisheries, geosite ④, the topographical landscape of Namsan rhyolite is observed as a rock that has been altered by hydrothermal water and eroded by sea waves. Around the geosite, granodiorite that intruded in the late Cretaceous period is exposed. At the geosite ⑤, observe the surface color and mineral texture of Madong dacite distributed in Cheokpo Port of Madong Village, and view the remaining sea stack landscape along the sloped joints. Tongyeong Fisheries Science Museum, which is a geosite ⑥, and the nearby Dala Park are famous tourist spots to enjoy the sunset. The coastal outcrop of the geosite shows transverse columnar joints formed of dark green Dala andesite with a porphyritic texture. A monolithic breccia of andesite is observed on the coast of the geosite, and the flow structure is observed at the top of the mountain. Gonnido tuff containing volcanic lapilli of various colors and sizes and gravel beaches formed by the separation of volcanic power through weathering are observed at Hallyeo Marine Ecology Center, geosite ⑦. On the west coast of the geosite, the intrusion contact of rhyolite that intruded alongside andesite is also observed. In the vicinity of the Park Gyeong-ri Memorial Hall of geosite ⑧, micrographic granite(granophyre) may be observed, the last acid rock that intruded into the center of Mireuksan caldera. In the vicinity of the lighthouse at the end of Gwangbawi Coastal Road in Geological Site ⑨, straight and curved columnar joints developed in andesite are observed. Around Yonghwasa Temple of geosite ⑩, observe granodiorite that intruded circularly through the caldera fault and Mireuksan andesites without phenocryst at Dosolam temple. The Mireukdo geosites are learning center that corresponds to volcanic activity, granite, basalt, and strata formation of the 3rd to 4th grad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y are in line with the rock, rock cycle, and weathering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correspond to the earth history,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rock organization, and geological structure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the selected 10 geosites are very useful 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learning centers.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use of geosit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field-trip and educational programs suitable for the grade or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and foster geological commentators who can clearly and interestingly convey geological significance. If educational materials such as information boards and leaflets are developed, Mireukdo geosites will be a great place for Earth science education in southern Gyeongsangnam-do.

      • 0.1MWth급 순환 유동층 연소기를 모사한 냉간 유동층 반응기의 수력학적 특성 파악

        손정모(Jeongmo Son),황희수(Heesoo Hwang),김재헌(Jaeheon Kim),양창원(Changwon Yang),방병렬(Byungryeul Bang),이은도(Uendo Lee) 한국열환경공학회 2020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0 No.춘계

        CFB보일러는 연소로 내 입자(석탄, 석회석, 회 등)의 유동 및 순환을 통한 연소 방식으로, 뛰어난 연료 적응성으로 인해 다양한 저급 연료(저급탄, 바이오매스, 폐기물에너지 등)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과 900℃ 이하의 운전 온도로 인해 NOx 발생이 적고, 연소 시 석회석을 투입하여 별도의 탈황, 탈질 설비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을 가진다[1].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고체 순환량과 이에 따른 압력 분포의 예측이 매우 중요 하지만 고온 유동사를 이용하는 실제 환경에서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상세한 수력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다[2]. 이를 위해 고온, 대형 유동층 보일러의 수력학적 특성을 상사한 상온, 소형 냉간장치를 활용하는 방법론이 이용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0.1 MWth 순환 유동층 연소기를 대상으로 실규모 연소기의 형상 정보(내경 150mm, 높이 10m)와 수력학적 특성을 지배하는 3개의 물리량을 대표하는 상사 인자(parameter) 그리고 실제 연소기와 동일한 유동화 영역에 사용되는 층물질(bed material)을 대상으로 Glicksman이 제안한 상사법칙을 사용하여 1/4 배로 축소 설계된 냉간 장치를 구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차압계 (DPLH series, Sensys)를 사용하여 냉간 유동층 실험의 압력 분포 및 고체 체류량을 측정하였다. 그 후 냉간장치 실험결과를 0.1 MWth 순환 유동층 연소기 실험결과, 유동층 상용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BARRACUDA를 활용한 3차원 수치해석 결과와 상호 비교하여 연소기 내부의 유동특성과 상사법칙의 유효성을 평가 하였다. 추가적으로, 분산판의 형태에 따른 수력학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perforate형, nozzle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전라남도 갯벌의 현황분석 및 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무안·신안을 중심으로 -

        손정모 ( Son Jeong-mo ),오강호 ( Oh Kang-ho ),김동주 ( Kim Dong-ju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 분포하는 갯벌을 해황 및 지형,지리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인문사회환경, 자연환경, 법,제도 등에 대한 현황 파악과 무안·신안 갯벌의 특성에 맞는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전남갯벌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갯벌의 약 42%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무안군과 신안군 갯벌은 이 중에서 각각 14.1%, 33.3%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20년간 무안군의 인구수는 도청 이전으로 인하여 증가한 것으로 보이나, 신안군의 경우 인구수가 감소하였다. 세대별 인구 구성은 무안군과 신안군 모두 노령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무안군은 21.2%, 신안군은 21.9%로 고령인구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무안군과 신안군을 통합하였을 경우 고령인구비율이 20년간 11.3%에서 23.6%로 크게 증가하였다. 인구의 고령화는 지역 내 총 생산 증가율의 감소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신안군의 경우 농림·어업부문에서 -17%의 성장률을 보였다. 관광분야의 경우 무안군을 방문한 관광객은 연평균 11.4%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신안군의 경우 2013년을 기준으로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무안갯벌센터는 매년 지속적으로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신안군 증도에 위치한 갯벌센터도 관광객의 유입이 꾸준하다. 신안 갯벌은 내면 쪽의 도서 해안을 따라 펄 갯벌이 대규모로 발달하여 있고, 서해와 열려있는 서쪽 해안은 모래 갯벌이 형성되어 있다. 무안 갯벌은 중대형 반 폐쇄성 내만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자리는 충적층과 해안절벽이 발달되어 있다. 만의 안쪽은 수심이 낮으며, 모래성분이 우세한 특성을 보이고, 갯벌이 육지쪽으로 성장하는 전형적인 후퇴형 갯벌의 특징을 보인다. 무안과 신안갯벌은 일부 지역이 해양보호구역인 습지보호지역과 전라남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지역이 습지보호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무안 갯벌은 우리나라 제1호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신안 증도 갯벌이 제9호, 비금-도초도 갯벌이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다. 전남갯벌은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서부갯벌과 남동계절풍의 영향이 우세한 남부갯벌로 구분되며, 무안과 신안 갯벌은 서부갯벌에 속한다. 갯벌은 다시 지형·지질학적 특성에 따라 개방 갯벌, 섬 갯벌, 만 갯벌로 구분되며, 신안 서쪽 갯벌은 개방 갯벌, 내면 쪽은 섬 갯벌에 해당되고, 무안 갯벌은 만 갯벌에 해당된다. 무안과 신안 갯벌은 외해와 바로 연결되지 않고 섬으로 가로막혀 갯벌이 잘 발달할 수 있는 자연적 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육성기원 퇴적물로 이루어져 수산·양식자원의 보고이자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무안과 신안갯벌의 효과적인 보전·관리를 위하여 갯벌의 체계적인 보호·관리기반 구축, 갯벌의 기능과 가치제고, 갯벌자원의 비교우위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해양보호구역으로서 무안과 신안 갯벌의 효과적인 보호·관리를 위하여 해양보호구역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체계적인 갯벌 자원 조사 등을 수행할 갯벌자원연구센터 설치가 필요하다. 또한 일부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습지보호지역을 생태권역으로 확대 지정하고, 갯벌 환경의 보호·관리를 위한 시설 확충 및 해양 쓰레기 처리 방안 등이 논의되어야 한다. 그리고, 건강한 생태환경을 가지고 있는 무안과 신안 갯벌에서 생산되는 수산 자원의 판로를 개척하기 위한 브랜드화 및 인증작업이 병행되어야 하며, 갯벌생태유원지 등의 인프라 확충과 함께 체류형 관광상품 개발을 통해 무안과 신안 갯벌의 관광상품화도 필요하다. This study classified. tidal flats in Jeollanam-do according to thei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human soci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legal system, and to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idal flat of Muan & Shinan in Jeollanam-do. Tidal flats in Jeollanam-do accounted for about 42% of the tidal flats in Korea. In particular, tidal flats in Muan and Shinan accounted for 14.1% and 33.3% of tidal flats in Jeollanam-do. Over the past 20 years, the population of Muan has increased and the population of Shinan has decreased. Population composition of each generation was surveyed that both Muan and Sinan were aging.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was 21.2% in Muan and 21.9% in Shinan. The ratio of elderly population increased from 11.3% to 23.6% over 20 years(adding Muan and Shinan). The aging of the population was analyzed as a decrease in the total production growth rate in the region. Shinan showed -17% growth rate in agriculture and fishery. In the tourism,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tourists visiting Muan is 11.4%. And Shinan has been on the decline since 2013. The Muan Tidal Center and Shinan Jeungdo Tidal Center is constantly increasing in number of tourists every year. Tidal flat in Shinan has a large scale mud tidal flats along the inner coast of the island, and sand tidal flats are formed.on the west coast. Muan tidal flats are located in mid-large semi-enclosed inner bay. The edges are alluvium and coastal cliffs are developed. The inner part of the bay is low in depth, mainly sandy, and features a typical retreat tidal flat where the tidal flats grow toward the land. Some areas of Muan and Shinan tidal flats are designated as wetland protect areas of Marine Protected Area(MPA) and Jeollanam-do Provincial Park. Areas designated as provincial parks include wetland protection areas. Muan tidal flat is designated as the No. 1 wetland protect area in Korea, Shinan Jeung-do tidal flat is No. 9, and Bigeum· Docho-do tidal flat is No. 13. Jeollanam-do tidal flats are divided into western tidal flats affected by the northwest monsoon and southern tidal flats dominated by the effects of the Southeast Monsoon. Muan and Shinan tidal flats belong to the Western tidal flat. Tidal flats are divided into open tidal flats, island tidal flats, and bay tidal flats according to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Tidal flats in Muan and Shinan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sea, there have a natural environment where the tidal flats can be well developed. It is also a rich repository of marine aquaculture resources and a healthy marine ecosystem. For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idal flats in Muan and Shinan , it is necessary to foundation setup for systematic protection and supervision of tidal-flat, enhance the function and value of the tidal-flat, and enhance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tidal-flat resources. Establish and operate a Marine Protected Area Center for effectiv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idal flats in Muan and Shinan as Marine Protected Area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tidal-flat resource research center to conduct systematic tidal-flat resource surveys. Wetland protection areas that are limited to some areas should be extended to the ecosphere region. The expansion of facilities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tidal flat environment and the disposal plan of the marine garbage should be discussed. Branding and certification of fisheries resources produced in Muan and Shinan tidal flats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frastructure such as the tidal-flat ecological recreation area and to develop the tourism products of the tidal fla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