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와 자녀의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초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황윤세 ( Hwang¸ Yoons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회복탄력성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아동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초등학교 학부모 278명과 아동의 담임교사 13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붓스트래핑을 적용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회복탄력성과 아동의 회복탄력성 및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회복탄력성은 아동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발달을 위해 어머니의 회복탄력성과 아동의 회복탄력성을 높여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mother’s resilience and first grade children’s self-esteem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elf-esteem.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argeted 278 mother and 13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mother’s resilience, first grade children’s self-esteem, and examine these factors’ effects on the children’s resili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ade children’s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silience and the children’s resilience. In addition to having direct effect on the first grade children’s resilience, mother’s resilience had indirect effects on it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children’s self-esteem.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mother’s resilience and first grade children’s self-esteem were related to their resilience.

      • KCI등재

        영아 교사의 민감성 및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사회인지놀이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 ( Hwang Yoonse ),김언진 ( Kim Eonji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4

        본 연구는 영아 교사의 민감성 및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인지 놀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영아의 사회인지 놀이의 중요성을 시사함과 더불어 교사의 민감성과 영아와의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밝힘으로 사회인지 놀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원도와 경상복도에 소재한 40곳 어린이집 만 2세반 영아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의 민감성은 민광미(2014)가 개발한 영아반 교사용 민감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영아의 사회인지놀이는 Arnett(1989)가 개발하고 조혜진(2003)이 수정·보안한 도구와 조혜진, 김난실(2007)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사회인지놀이는 교사의 민감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정확성, 일관성, 즉시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사회인지놀이와 교사와의 상호작용과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영아와 상호작용 하위요인인 긍정적 상호작용, 부정적 상호작용, 신체·애정적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fant and infant teacher interactions, focusing on the sensitivity of social- cognitive play. It is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of play the importance of infant by the teachers. Additionally, a relationship between sensitivity and infant interaction of the society for some games was discover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180 two-year-old infants at 40 daycare centers in Gyeongsang and Gangwon provinces were used as subjects in this study. The teachers of the sensitivity of the Min Gwangmi (2014) developed by infant sensitive measurement tools for teachers and teachers- nfant interactions and social cognitive play of babies were Arnett (1989). Develop and Jo Yejin (2003) amendments and security, tools and Jo Yejin and Kim Nansil, used a measure used in the study of (2007). Social cognitive play was a teacher of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study, infan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ccuracy, consistency, and shown to lower factors. Immediacy, turned out to be affecting. Second, the infant interaction with teachers and social cognitive play of the teachers - and shown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infant interact with a lower factor.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 affection, and physical interactions were shown to affect.

      • KCI등재

        교사의 상호작용과 민감성이 3세 유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Hwang, YoonS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본 연구는 교사의 민감성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이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 놀이의 중요성과 더불어 교사의 민감성과 유아와의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밝힘으로 놀이 맥락에 따른 상호작용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 다. 경기도에 소재한 30개 기관 만 3세반 유아 288명과 그들의 담임교사였다. 교사의 평정과 놀이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단계적 회귀분석에 의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행동 중 인지놀이에 대해 서는 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놀이행동 중 비놀이는 민감성과 교사-유아 싱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의 각 유형에 따라 예언변인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 sensitivity,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lay behavior. A total of 30 teachers and 288 young children in Gyeongki Provinc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cognitive play behavior of children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 s play teaching efficacy. Children in class with high teacher s play teaching efficacy showed higher play frequency rather than children in class of bottom group. Plays were parallel-dramatic play, group constructive play, group dramatic play, and group game with rules. Second, non-play behaviors except play activities of childr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in class with teachers of high play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 in class with teachers of low play teaching efficacy. Children in top group showed high frequency in play activities (parallel-dramatic play, group constructive play, group dramatic play, and group game with rules) except other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children in bottom group showed high frequency in other activities (reading books, science activity, computer related activity, academic activity, and teacher s directive activity).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황윤세 ( Hwang Yoonse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을 주제로 수행된 질적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의 의미와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 실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통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실시한 9편을 선정하여, Noblit와 Hare(1988) 그리고 Soilemezi와 Linceviciute(2018)가 제안한 단계에 따라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내러티브의 의미와 실제에 대한 종합, 개념화, 범주화 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은 교사와 유아 모두 긍정적 경험의 메시지, 상호 작용의 재발견의 의미가 담겨졌다. 둘째,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의 실제는 이야기나누기와 인성 교육으로 실제화 되고 있었다.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은 여전히 시범적인 실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므로 이후 유아교육과정의 다원화를 위한 대안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특히 2019개정 누리과정의 실시와 관련하여 각각의 교실문화를 반영하는 교육과정에서 실제화가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he practice of the narra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qualitative meta-synanalysis conducted on the topic of the narrative curriculum. The meaning of narrative was derived by conducting qualitative meta-synanalysis according to the steps suggested by Noblit and Hare (1988) and Soilemezi and Linceviciute (2018) by selecting 9 qualitative studies on the topic of narra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The work of synthesizing, conceptualizing, and categorizing both, and reality was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curriculum contained a message of positive experiences and rediscovery of interactions for bo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Second, the reality of the narrative curriculum was practiced through storytelling, character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narrative curriculum is still a pilot reality, it is necessary to seek alternatives for diversif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 KCI등재

        놀이계획-실행-평가 과정의 의미 및 일치정도와 행동적 자기조절력 - 혼합연구방법론의 적용 의미

        황윤세(Hwang, YoonS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6

        본 연구는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우선 양적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 33명을 대상으로 8주간에 걸쳐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 과정의 일치정도와 행동적 자기조절력을 관찰하고 평가하였다. 질적연구를 위해서는 연구대상 유아를 관찰한 내용을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행동적 자기조절력 전체 및 그 하위효과 중 자기주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 및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에서 각각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즉 놀이계획은 자리 및 영역 차지하기와 계획, 적당한 놀이 시간 배분과 계획, 그리고 더 재미는 놀이와 평가로 그 의미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 s behavioral self-regulation. To examine this, mixed method design leading to the final conclusion through balanced way of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was adopted. The effect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from young children s behavioral self-regulation ability was analyzed in terms of a quantitative approach. The pattern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was analysed in terms of qualitative approach. Thirty-three subjects of five-year-old is participated in a 8 week progra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s: Teachers might need to help young children to understand their situation with a fair judgement s basis. In addition, teachers are encouraged to aid young children in accepting different opinions so that may reach to reasonable decision-making.

      • KCI등재

        숙의에 의한 유아교육과정 개발의 타당성 검토: 배려중심의 식물기르기 활동

        황윤세 ( Yoonse Hwa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숙의에 의한 유아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제화의 가능성을 탐색한 연구이다. 우선 배려 중심의 숙의에 의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적용가능성의 탐색을 위해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우선 연구대상이 되는 각 학급의 담임교사 2명과 양적 연구를 위한 만 5세 유아 6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배려중심의 숙의에 의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질적연구를 위해서는 실험집단의 교사와 숙의에 의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제화 하기 위한 회의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배려를 주제로 한 숙의에 의한 교육과정은 배려적 사고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숙의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아에게 주도권을 부여하는 활동, 협력적 문화를 강조하는 활동, 그리고 경험과 실제성이 강조되는 활동에 대한 아이디어를 실제화 하는 과정이라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deliberation and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The effect the curriculum design plan for early childhood through a deliberation method from young children`s considerate thinking was analyzed in terms of a quantitative approach. The distinctive point was analysed in terms of qualitative approach. Thirty-three subjects of five-year-old childre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a pretest and posttest. ANCOVA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test on the considerate thinking ability. Also teacher explained: concentrating on young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putting an empasis on emotional wellness and learning motivation as well as cognitive development; and finally pursuing optimal learning with meaningful concept attainments.

      • KCI우수등재

        놀이 교수효능감과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관계에서 영아 교사 민감성의 매개효과

        황윤세(Yoonse Hwang)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2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play-teaching efficacy, and infants’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fant teachers’ sensitivity. Methods: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argeting 399 infant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Gyeonggi and Kangwon Provinc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play-teaching efficacy and infant teachers’ sensitivity, and examine these factors’ effects on the infants’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Results: Infant teachers’ sensitiv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teaching efficacy and infants’ child care center adjustment. Conclusion: In addition to having direct effect on infants’ childcare center adjustment play-teaching efficacy has indirect effects on it through the mediation of infant teachers’ sensitiv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 유형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사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황윤세(Hwang Yoons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 유형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유치원 교사 295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그리고 의사소통유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실시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붓스트래핑을 적용했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 및 의사소통 유형의 개방형 의사소통 유형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문제형 의사소통 유형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은 의사소통 유형인 개방형과 문제형 의사소통 유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탄력성은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사교육에서 의사소통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Methods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argeting 295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 in Gyeonggi Province. Results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teacher’s self-esteem, and resilience and examine their effect on the communication.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Teacher’s self-esteem, not only has direct effects on the communication, but has indirect effects on it with the mediation of resilience.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teacher’s self-esteem and resilienc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open communication and a negative influence on problems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놀이 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의 놀이행동 특성과 의사결정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백상수 ( Sangsu Baek ),황윤세 ( Yoonse Hwa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2

        연구는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의 놀이특성과 의사결정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 4세와 5세 유아 33명이고, 실험집단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8주간에 걸쳐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놀이특성에서는 운동놀이와 사회놀이에 변화가 있었다. 둘째,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의사결정력 전체 및 그 하위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유아의 의사결정력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from young children`s play characteristics and decision making ability. Fifty-six subjects of four to five-year-old childre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8 week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a pretest and posttest. ANCOVA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test on the play characteristics and decision making ability.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관심사에 따른 총체적 언어교수법의 신념과 실제의 차이 연구

        장영숙(Jang YoungSook),황윤세(Hwang Yoonse),최미숙(Choi Mi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유치원 설립유형에 따라 교사의 관심사와 총체적 언어교수법에 대한 신념과 실제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교수활동에 대한 이해 및 효율적인 교사교육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광주ㆍ전남지역의 유치원교사 214명을 선정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유치원교사의 관심사는 총체적 언어수법에 대한 신념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못했다. 둘째, 전체 교사와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교사의 관심사 중 성숙관심사가 교사의 총체적 언어 교수법의 실제를 의미 있게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생존, 강화, 갱신, 성숙관심사 집단 모두, 관심사가 높은 집단에서 총체적 언어 교수법의 신념점수보다 실제점수가 높게 나타나 기관유형별로 교사의 관심사 정도에 따라 총체적 언어교수법에 대한 신념과 실제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concerns and the whole language approach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were 214 kindergarten teachers in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Kindergarten teachers' concern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predicting teachers' belief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nterestingly,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maturity concer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predicting teachers' practice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In addition, in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groups which show higher scores in survival, consolidation, renewal and maturity concern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lief and practice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