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까운 미래”, 메타버스와 AI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및 태도 탐색

        홍애령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2022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22 No.-

        이 연구는 메타버스와 AI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을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 메타버스와 AI에 대한 은유적 표현을 분석 및 해석하고, 이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태도를 유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2022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6개월간의 연구를 통해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생 4~6학년 30명과 심층면담, FGI, 마인드맵과 그림일기 활동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통해 메타버스와 AI에 대한 은유와 태도를 유형화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눈에 비친 메타버스는 물고기가 만난 물(자율성), 무한한 가능성의 공간(잠재성), 우리 반, 세계, 우주의 다른 버전(멀티버스)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이 인식한 AI는 인류와 함께 성장하는 문명, 궂은일을 대신해주는 도우미, 포스트 휴먼, 사람다운 기계로 정리되었다. 셋째, 메타버스와 AI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선과 태도 유형은 호기심과 기대형, 모호함과 부담형, 양가성과 공존형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연구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이 경험하는 메타버스와 AI에 대한 개념이 학교교육과정의 정규 교과수업보다는 게임, 영재교육원, 체험수업 등의 학교 밖 프로그램을 통해 습득되었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및 학교급별 메타버스 및 AI 교육을 위한 이론적 근거의 구축, 소외계층, 빈민가정, 다문화가정 등 특화된 학습자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및 AI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 자료의 개발, 메타버스 및 AI 교육을 실천할 전문 교육자의 양성을 제안하였다. To easily and comfortably explore the though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metavers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from their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the metaverse and AI, and categorized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ween different types. Over a total of six months from May to October 2022,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GI, mind maps, and picture diary activities with 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metaphors and attitudes toward the metaverse and AI were categoriz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in the ey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etaverse was recognized as water (autonomous), a space of infinite possibilities (potential), and other versions of our class, world, and universe (multiverse). Second, AI form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organized into civilizations that grow with humanity, helpers who replace unpleasant things, post-human, and human-like machines. Third, the types of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ward the metaverse and AI were divided into “curiosity and expectation,” “ambiguity and burden,” and ambivalence and coexistence.” It was also noticeable that the concepts of the metaverse and AI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cquired through out-of-school programs such as games,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hands-on classes rather than regular curriculum classes in th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proposed establishing a theoretical ground for metaverse and AI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chool-level, developing metaverse and AI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specialized learners such as the underprivileged, the poor,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stering professional educators to practice metaverse and AI education.

      • 종합토론 : Section of Education ⅰ: ■ 발제 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의 무용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표현력과 창작력 비교

        홍애령,이은영 한국무용연구학회 2014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무용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표현력과 창작능력의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서 전공자들은 초등학교 3학년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하였고 비전공자들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예술강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경남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이다. 이러한 대상들은 일정기간 소고춤 기본 춤사위를 익히고 음악을 선정하여 창작작품 발표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창작작품에 있어 비전공자들은 소도구의 활용이 많으며 소극적 움직임의 표현이 많았다. 결과적으로 전공자들이 비전공자들에 비해 표현력 및 창작능력이 뛰어나게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지역문화재단 기반 융 · 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홍애령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nt, the method, and the evaluation of regional cultural foundation-based convergence dance education program. E cultural foundation, H elementary school, 2 Culture & Arts educators involved in program development process during 18th June~27th November(10times workshops) 2014. Program ran every Thursday 10:00am~12:00pm, 8 weeks, during 18th September~30th October 2014. ‘Dance & craft creation factory’ is an convergence program that literature, craft, and dance were integrated. Character components such as friendship, consideration, forgiveness and promise in community tale were used as subject of each class. Appreciation, discussion, composition, presentation was utilized with various medias. For evaluation, educators have to write daily record and journal after each class. Monitoring of foundation staff and teacher in charge also applied. Based on the results, development of convergence dance education curriculum & progra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os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educator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지역문화재단의 주도하에 실행된 융 · 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방법, 평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경기도 소재의 이상문화재단, 행복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자 2명(공예, 무용)이 협력하여 2014년 6월 18일~11월 27일까지 총 10회차의 워크숍을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프로그램은 2014년 9월 18일~10월 30일까지 행복초등학교 4학년 3반 교실에서 매주 목요일 오전 10시~12시, 2시간 8주, 총 16시간 동안 실행하였다. 개발 및 실행된 ‘춤만듦창작소’는 학생들이 속한 지역사회에 얽힌 스토리텔링 자료를 소재로 움직임과 작품을 창작하도록 하는 문학, 공예, 무용의 융 · 복합 초등무용 프로그램이었다. 또한 지역사회의 설화 속에 담긴 우정, 배려, 용서, 약속 등의 인성적 요소들을 수업 주제로 하였다. 교육방법으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감상, 토론, 창작, 발표가 활용되었다. 평가를 위해 강사들은 매 수업이 끝난 후, 출강부 및 수업일지를 작성하며 지난 수업을 반성하고, 수업 기간 중 재단 측의 모니터링 평가, 담임교사 평가를 받았다. 최종 평가를 통해 동료교사와의 아이디어, 수업소감, 융 · 복합 교육에 관한 의견 등을 주고받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 · 중 · 고등학교를 위한 융 · 복합 무용교육과정의 개발, 적극적인 형태의 융 · 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각 영역 교육자간의 긴밀한 상호작용 및 상호이해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비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현황 분석 및 문화예술교육사 직무역량의 개념화

        홍애령,임수진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raining for pre-service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job competencies perceived by pre-service and in-service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For this research, literature review, contents analysis,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discussion were us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urrently eight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Ⅱ-ACEI. However, each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designation period is variable. Also, the period of designation of each designated educational institution is variable, and whether or not the curriculum subjects will be opened varies depending on the art area. Second, the concept of job competencies perceived by pre-service and in-service ACEI are defined as “the ability to plan, implement, analyze, evaluate and instruct matters related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a culture-based facility in schools, communities,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ird, job competencies a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planning competency, managerial competency, analytical competency, evaluation competency, and instructional competenc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concepts and sub-components of the duties and the job competenc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by clarifying the dutie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ACEI.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의 양성 현황을 파악하고, 예비 및 현직 문화예술교육사가 인식한 직무역량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내용분석, 심층면담 및 핵심집단토의(FGD)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재 2급 문화예술교육사 지정교육기관은 8개가 운영되고 있지만, 각 지정교육기관의 지정기간이 가변적이고, 교육과정 교과목의 개설여부도 예술영역별로 다르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역량은 “학교 및 지역사회, 공공영역 및 민간영역의 문화기반 시설에서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기획⋅진행⋅분석⋅평가 및 교수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역량은 기획역량, 운영역량, 분석역량, 평가역량, 교수역량 등 5가지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를 이론적 수준에서 규명하고 이를 예비 문화예술교육사와 현직 문화예술교육사의 의견을 통해 재규명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와 직무역량의 개념 및 하위요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삶 속의 실천을 위한 예술 활동 탐색 : 예술 활동의 의미, 실천 방법 및 유형

        홍애령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현대인의 삶에 있어 예술을 체험하고 실천하는 것의 의미와 구체적인 실천 방법과 유형을 탐구하여, 예술을 통해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어느 때보다 예술에 대한 수요와 기대가 가득한 21세기에 새로운 국가경쟁력과 창의적, 혁신적 인적자원의 개발을 위해서는 예술 활동의 활성화가 필수적임을 확인하고, 전문 예술인은 물론 다양한 연령과 계층의 일반인들이 삶 속에서 예술을 실천할 수 있는 이상적인 제안을 탐색하였다. 먼저, 삶 속에서 예술 활동을 실천해야 하는 이론적 근거로서 예술 활동이 지니는 의미를 내재적 가치(실천전통)와 외재적 가치(생활기술)의 측면에서 조명하였다. 둘째, 삶 속에서 예술을 실천하는 방법은 심미적 경험, 탐구적 학습, 비판적 감상으로 구분하였으며, 예술 실천 유형은 예술공연과 예술교육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천 방법 및 유형을 통해 예술 활동에 관한 지식과 안목을 넓히고, 가치와 의미에 대해 해석하고 평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삶 속에서 예술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근접화, 다양화, 습관화를 제시하며, 다양한 예술 프로그램의 개발과 학교 및 사회 전반에서의 실천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the specific ways of practice, and the type of art activity for practice in life and to find ways to enrich people’s lives through the art. In the 21 century, art has a high demand for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garding as an essential factor to develop creative and innovative human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find ideal suggestion for practice the art activity in our lives include professional artist also non professionals. First, this study explores rationale for practice the art activity in our lives. The meaning of art activity was divided two dimensions; internal value (a practice), and external value (life skill). Second, specific ways of practice the art activity in our lives was divided three dimensions; aesthetic experience, explorative learning, and critical appreciation. Through these ways people can distribute knowledge about art and develop their ability to look at art. And the type of practice art activity in our lives was divided two dimensions; art performance, and art education. Lastly, as activation plans for the art activity in our lives; approximation, diversification, and habituation were suggested. The study culminates by offering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programs and practicing of art activity in school and society all as well.

      • KCI등재후보

        COVID-19 팬데믹 이후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및 인식 연구

        홍애령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2022 문화예술융합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이후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취약계층 아동과 가족 구성원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관련 선행연구 분석과 국내외 취약계층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를 조사하고,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유목적적 표집(Purposive Selection)과 층화표집(Stratified Sampling)을 통해 만 5~6세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교 1~3학년, 4~6학년 재학생을 둔 가정 10개 가구를 선정하여 심층면담과 FGI, 전문가 회의를 거쳐 팬데믹 상황에서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처방과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취약계층을 위한 정부 부처와 지역자치단체, 교사와 예술가,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이 강조된다. 둘째, 팬데믹 이후 국내 취약계층 아동은 온라인 교육을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취약성, 디지털 환경에서의 교육-돌봄공백, 디지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의 접근성 부족을 경험하고 있었다.

      • KCI등재

        무용의 사회적 역할로서 코로나 블루 완화를 위한 움직임 퍼포먼스 실행연구

        홍애령 한국무용과학회 202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0 No.3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spective social medium of dance, aiming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ance in restoring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of individuals amid the COVID-19 pandemic. By utilizing movement performances, the study sought to alleviate the negative impacts of the pandemic on people’s lives. A total of 16 students from K University’s dance practice class were purposively selected out of 20, who then participated in a survey, along with a Focus Group Interview (FGI), to quantitatively assess changes after participating in the movement performance. The survey employe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paired sample t-test, using the K-DASS-21 (Korean version of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21) questionnaire, exhibiting a reliable Cronbach's alpha of .798. The FGI involved unstructured interviews based on three themes: psychological changes during the COVID-19 period, efforts to restore mental health, and role of dance in addressing social problems; the themes were then categorized by sub-system. The study revealed the social significance of dance as a public art form, community engagement tool, and means of promoting health and wellbeing through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execution process of the movement performance spanned 15 weeks, incorporating instructional design, planning using PBL, composition and production using narrative techniques, and a combination of online and offline presentations using flip learning. Participated exhibited significant reductions in variable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levels after engaging in the movement performance participants,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s. In addition, the study identified benefits such as improved self-concentration, reflection on life, sustain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stered through movement, increased physical and social activities, an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이 연구는 무용의 사회적 역할을 고려하여 코로나 블루 완화를 위한 움직임 퍼포먼스를 실행하고 참여자의 정량적, 정성적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무용의 역할 확장과 무용 분야에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증진과 회복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연구를 위해 충북 지역 K대학교 무용실기 수업 수강생 20명 중 연구 참여자 16명을 유의표집에 따라 선정하고 퍼포먼스 참여 후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답변하는 설문조사와 정성적으로 진술하기 위한 초점집단면담을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K-DASS-21(Korean version of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21) 질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Cronbach’ a는 .798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FGI는 코로나19 기간의 심리적 변화,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노력, 무용을 통한 사회적 문제해결이라는 3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비구조화된 면담을 시행한 후 Wolcott(1994)의 절차에 따라 소주제별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무용의 사회적 역할은 공연예술, 커뮤니티 댄스, 작품 및 공연으로서의 공적 가치와 공공성이 논의되었고 최근에는 문화예술교육과 교육계 전반에서 질적 향상과 건강관리를 위한 가치가 대두되고 있다. 둘째, 움직임 퍼포먼스의 실행 과정은 15주간의 수업 설계, PBL을 적용한 기획, 내러티브 기법을 활용한 구성 및 제작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온・오프라인 동시 시연하였다. 셋째, 움직임 퍼포먼스 참여자와 비참여자 간의 우울, 불안, 스트레스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움직임 퍼포먼스 참여 후 세 변인의 평균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 집중과 삶의 성찰, 움직임을 통한 탈매체적 대인관계의 지속 가능성, 신체적, 사회적 활동 증가와 긍정적 정서 체험도 나타났다.

      • KCI등재

        초중등학교 체육교사의 표현활동 인식과 표현활동 교수전문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홍애령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9 한국예술연구 Vol.-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E teachers' perceive the concept of expressive activity, identify the limitations and challenges in teaching expressive activity, and the ide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re effective in teaching expressive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5 to September 206, and all materials from data collection, literature review, pilot study, in-depth interview, survey and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uring this period. This study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elementary school PE teachers perceive expressive activity as ‘movement’ and ‘play’ while secondary school PE teachers perceive expressive activity as ‘physical activity’, ‘dance’. Secondly, the main difficulties in teaching expressive activity were identified as the number of allocated class hours, use of equipment and space, confusion around the objectives of PE class, lack of training in techniques preferred by students, lack of information around different types of techniques, and lack of information around different levels in classes causing difficulty in deciding difficulty level in each class. Third, the type of expressive activity perceived by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require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expertise: technical professionalism, artistic professionalism, and spiritual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체육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표현활동의 개념과 표현활동을 가르치는 과정에서의 한계와 어려움을 파악하고, 표현활동을 잘 가르치기 위한 전문성의 특성 및 요소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5년 9월부터 2016년 9월까지 문헌고찰, 예비면담, 교사 12명과의 심층면담, 75명의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표현활동에서 초등체육교사는 ‘움직임’, ‘놀이’, 중등체육교사는 ‘신체활동’, ‘무용’ 개념에 주목하고 있었다. 둘째, 표현활동 교수의 제약과 난점은 표현활동 교육 시수의 자율화, 표현활동 수업에 필요한 기자재 및 공간의 활용도 및 관리 부실, 체육수업의 정체성에 관한 인식, 학생 선호 종목에 대한 전문기술 부족, 종목별 교수방법에 대한 정보 부족, 학교급간의 수업내용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한 수업 수준 설정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중등 체육교사가 인식한 표현활동 교수전문성은 실천적 지식과 상황적 지식의 특성을 지녔으며, 그 요소는 능력적 전문성(표현활동 지식, 표현활동 교수지식), 예술적 전문성(예술적 인지, 예술가적 소양), 심성적 전문성(신념, 소통, 돌봄)으로 구분되었다.

      • KCI등재

        도시재생 연구의 네트워크 분석 및도시재생 프로그램 개념틀 연구

        홍애령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3 문화정책논총 Vol.37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ime-series flow of urban regeneration research conducted thus far and propose a basic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grams. A key topic was presen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keyword network of previous domestic studies on urban regeneration program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22, when urban regeneration research was first published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18 keywords with a connection centrality index of 5 or more were derived, of which the most frequently studied keyword with the highest mediation centrality (3557.607) was "program" (28. This concept differs from “education program” (8/689.634), showing that various detailed projects and activitie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have been studied, but actual resident participation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studied less actively. In addition, "cultural urban regeneration" (23), "participation" (19), and "cultural arts" (18) are included in the top 5 based on the connection centrality index, indicating that the development of resident-participation education programs based on culture and art is a key concept. The keyword "urban regeneration" showed the highest proximity centrality (2544) index, indicating that research on urban regeneration has increased rapidly.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conceptual framework and examples of the overall program were proposed, focusing on the four-stage life cycles of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nd the elderly. 이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된 도시재생 연구의 시계열적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틀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 연구가 국내에서 최초 발표된 2006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도시재생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핵심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결중심성 지수가 5이상인 키워드가 18개 도출되었고, 이중 가장 빈번하게 연구된 키워드는 ‘프로그램’(28)이었으며, 매개중심성(3557.607)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육프로그램’(8/689.634)과 차이가 있는 개념으로 도시재생과 관련된 세부사업 및 활동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실질적인 주민 참여 교육프로그램에 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였음을 보여준다. 그밖에도 연결중심성 지수를 기준으로 5위권 내에 ‘문화적 도시재생’(23), ‘참여’(19), ‘문화예술’(18)이 포함되어 있어 도시재생과 관련하여 문화 및 예술을 소재로 한 주민참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핵심개념임을 알 수 있다. ‘도심재생’의 키워드가 가장 높은 근접중심성(2544) 지수를 보여, 도시재생 중에서도 구도심재생에 관한 연구가 급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13개 선도지역 도시재생지원센터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영유아, 아동ㆍ청소년, 청년ㆍ장년, 장년ㆍ노년의 4단계 생애주기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념틀 및 예시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