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감독의 영화 <옐레나(Елена)> 연구 - ‘경계’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홍상우 ( Hong¸ Sangwoo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20 유럽사회문화 Vol.0 No.25

        Andrei Zbyaginchev's film Elena(2011), released in July 2011, is a work that focuses on a kind of physical or abstract boundary. Unlike the previous work, which mainly used biblical and mythological motifs, the movie Elena is set in a spatial confrontation between the capital city of Moscow and its surroundings. The main narrative of the film unfolds around the protagonist, Elena, but its formal characteristics, such as an extreme long take that creates a cold atmosphere on the screen, inherits the tradition of Russian art-house films. Since the camera focuses on and emphasizes static objects rather than dynamic movements,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film is cold and gloomy, and that atmosphere is also inside of Elena herself. This film depicts the conflict between a woman named Elena, a former nurse, and her husband, who is financially wealthy, and living a seemingly unfavorable life. Because the worlds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Elena does not belong to either and is reciprocating both sides. In this respect, the motif of “border” inevitably emerges above all in the movie Elena. In the film, the boundaries of the geographical level of economically divided living spaces, and the boundaries of Elena's past and present are compounded to form a narrative. I will analyze this work, noting that the film Eelena exclusions dynamic spectacles or unexpected dramatic effects through these boundaries, but gives an emotional shock to the audience and sharply captures the essence of life.

      • KCI등재

        영화 ≪빈폴≫ 연구 - ‘질병’의 모티프와 소설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의 영향을 받은 ‘작은 서사’를 중심으로 -

        홍상우 ( Hong Sangwoo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4 No.-

        칸테미르 발라고프(Кантемир Балагов) 감독의 영화 ≪빈폴(Дылда)≫(2019)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소설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소설이 담고 있는 2차대전 참전 여성들의 인터뷰는 그동안 공식적인 전쟁사에서 소외되어 왔던 역사적 진실이기도 하다. 영웅적이고 프로파간다적인 성격을 지닌 기존의 전쟁사가 ‘거대 서사’였다면, 그동안 주목되지 않았거나 숨겨졌던 여성 참전 병사들의 이야기는 오히려 전쟁의 비극을 더욱 적나라하게 드러낼 수 있는 것이었다. 이런 여성 참전 병사들의 이야기는 러시아 문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작은 사람들’의 이야기, 혹은 ‘작은 서사’에 해당한다. 본고에서는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소설에서 영향을 받은 이러한 ‘작은 서사’가 영화 ≪빈폴≫에서는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고찰했다. 본고에서는 영화 ≪빈폴≫에서의 ‘작은 서사’에 대한 고찰에 앞서 이 작품에서 전쟁의 비극이 원칙적으로 ‘질환’과 ‘병리적 증상’을 통하여 스크린에 옮겨지고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 또한 논의 전개 과정에서 이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공간의 문제, 그리고 색깔의 사용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리고 영화 ≪빈폴≫이 소비에트 러시아 전쟁 영화사에서 다른 어떤 작품들과 비교가 가능한 지도 보충 설명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The film Beanpole(2019), directed by Kantemir Balagov, is known as a work inspired by Svetlana Alexievich’s novel War has not a woman’s face. Svetlana Alexievich’s novel is a collection of pieces of memories of women veterans of the Second World War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but Kantemir Balagov’s film Beanpole composes a complete narrative. The interviews of women veterans of World War II in Svetlana Alexievich’s novel are also historical truths that have been alienated from official war history. If the official war history with a heroic and propaganda character was a “Grand narrative”, the stories of female veterans who had not been noticed or hidden until now could reveal the tragedy of the war more nakedly. The stories of these female veterans correspond to “Micro narrative” that often appear in Russian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how this “Micro narrative”, influenced by Svetlana Alexievich’s novel, was embodied in the film Beanpole. In addition, this thesis clarified that the tragedy of war in this work, in principle, is being transferred to the screen through ‘diseases’ and ‘pathological symptoms’, prior to the consideration of the ‘Micro narrative’ in the movie Beanpole. In addition, this paper mentions the problem of space and the use of color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film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In addition, it examined through supplementary explanations what other films in the history of the Soviet Russian war cinema can be compared with the film Beanpole.

      • KCI등재

        현대 야쿠티아 영화 연구 - 영화 《누차》, 《의트》, 그리고 《헬리콥터》를 중심으로 -

        홍상우(Hong Sangwoo)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1 슬라브학보 Vol.36 No.4

        The "boom" of Yakutia films has now become a phenomenon that the world film industry is paying attention to. In 2016, director Dmitry Davydov"s debut film The Bonfire was selected in the "Flash Forward" of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or new directors from non-Asian regions. And after the special program at Seoul Art Cinema in Korea and the special program at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2017 Yakutia film directors are actively entering major Russian domestic film festivals and prestigiou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The three films that will be dealt with in this paper are works that continue the achievements of Yakutia films until 2020. First of all, Vladimir Munkuev"s film Nucha was selected as the first Yakutian-born director to win the grand prize in the "East-West" competition at the Karlovy Vary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prestigious film festival in Eastern Europe. In this paper, I approached this work with the key words of "funeral" and "burial". The film Yt, directed by Dmitry Davydov and Stefan Brunasev Stefan, was selected in the competition section of the 2021 Warsa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won the Netpack Award and the Special Jury Prize. In this paper, this work in an omnibus format consisting of 7 episodes was analyzed with the key word ‘relationship’. More specifically, major episodes were analyzed under the sub-themes of ‘drinking’ and ‘gun’. The film Helicopter directed by Mikhail Lukachevsky won the grand prize at the 2021 Kino Shock Film Festival. In this paper, this work was judged and analyzed as a family drama related to the theme of survival. This work also talks about nature and humans, and how humans respond or attitudes when faced with a dead-end situation. In the conclusion secti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hree works analyzed in the main body, and their meaning in the history of Yakutia films were mentioned.

      • KCI등재

        집과 혁명 - 우즈베키스탄 영화 ≪파리다의 노래≫ 연구 -

        홍상우 ( Hong Sangwoo ) 세계문학비교학회 202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7 No.-

        우즈베키스탄 출신 욜킨 투이치예프 감독의 영화 ≪파리다의 노래(2000 песен Фарид ы)≫(2020)는 우즈베키스탄 영화 역사에서 보기 드물게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내전과 연결시키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주목할 것은 주인공이 부인들과 함께 살고 있는 집과 혁명의 관계이다. 물리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깊은 산 속에 위치한 집의 시각적 형상이 도시에서 일어나는 혁명의 징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즉 외부와 유리된 것 같은 집에 살고 있는 주인공들조차도 외부의 거대한 역사적 흐름인 혁명의 기운을 피해갈 수 없다는 점을 이 작품은 분명하게 묘사하고 있다. 그밖에 이 작품에서 특징적인 것은 주요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와 그들의 상호관계이다. 전형적으로 가부장적인 주인공과 상이한 캐릭터의 부인들이 서로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전체적으로 이 작품에서 감독은 주인공과 부인들의 캐릭터, 그들의 상호관계, 그리고 집이라는 거주 공간의 시각적 형태를 통한 혁명의 징후 묘사, 그리고 혁명의 진행에 따른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정밀하게 엮어서 담아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영화 ≪파리다의 노래≫는 최근에 공개된 우즈베키스탄 국영 영화스튜디오 ‘우즈벡 필름’이 제작한 작품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완성도 성취하고 있다고 필자는 판단한다. 본문에서는 지금까지 열거한 사항들을 작품 분석을 통해서 논증하고, 최종적으로 이 작품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 대한 근거를 찾아보았다. The film 2000 Songs of Farida(2020), directed by Yolkin Tuichiev, a native of Uzbekistan, is rare in the history of Uzbekistan cinema and connects the change of women’s social status with the civil war. What is noteworthy in this work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 in which the protagonist lives with her wives and the revolution. The visual form of a house located in a deep mountain, which is physically far away, is closely related to the signs of a revolution in the city. In other words, this work clearly depicts the invisible connection between visual and non-visual forms that even the main characters living in houses that seem to be separated from the outside cannot escape the energy of revolution, which is a huge historical flow from the outside. . Another characteristic of this work is the characters of the main character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attitudes of the typically patriarchal protagonist and the wives of different characters. Overall, in this work, the director precisely weaves and captures the characters of the main character and his wives, their interrelationships, and the depiction of the signs of revolution through the visual form of the living space called home, and the changes in women’s social status as the revolution progresses. In this respect, it is judged that this work has achieved a relatively high degree of perfection among the works produced by the recently released Uzbekistan state-run film studio ‘Uzbek Film’.

      • KCI등재

        칭기스 아이트마토프의 장편 소설 『하얀배』의 새로운 영상화, 영화 ≪샴발라≫ 연구

        홍상우 ( Hong Sangwoo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3 No.-

        키르기스스탄 출신의 소련 작가인 칭기스 아이트마토프(Чингиз Айтматов, 1928-2008)의 장편 소설 『하얀배(Белый пароход)』(1970)는 1975년 키르기스스탄 영화계의 거장 볼로트베크 샴시예프(Болотбек Шамшиев) 감독의 연출로 동명의 영화로 영화화된 바 있다. 2019년 칭기스 아이트마토프 탄생 100주년을 기리기 위해 제작된 영화 ≪샴발라(Шамбала)≫는 아르트이크파이 수윤두코프(Артыкпай Суюндуков) 감독이 연출하였다. 비교적 원작 소설을 충실하게 화면에 옮겼던 소련 영화 ≪하얀배≫와는 달리, ≪샴발라≫는 원작 소설의 서사 골격은 그대로 가져왔으나, 몇 가지 주요 모티프를 집중적으로 활용하여 서사를 단순하게 재구성했다. 이 영화가 원작에서 선택한 주제는 아버지를 찾아가고자 하는 소년의 소망이다. 영화의 서사와 형식은 이 주제를 영상화하기 위해 재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뿔 달린 엄마 사슴의 모티프, 할아버지와 소년, 그리고 그들의 가족이 처한 현실, 베케이 부부의 불임과 하얀배의 모티프 등이 이 작품의 서사를 구성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영화 ≪샴발라≫가 원작에서 선택한 부분을 어떻게 영화 언어, 즉 시청각 언어로 옮겼는지에 대해서 사운드를 위주로 분석했다. 문학 작품의 영상화일지라도, 영상화된 순간 그 영화는 개별 작품으로 평가받아야 하며, 원작의 내용과 형식에 구속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we will only discuss which part of the film Shambhala brought for visualization and how it was depicted on the screen in cinematic language, that is, audiovisual language. In particular, most of this paper will be assigned to the latter. This is because even if it is an image of a literary work, the moment it is made into a film, the work must be evaluated as an individual work and must not be bound by the content and form of the original work. However, it will be inevitable that the evaluation of the completeness of the film is compared to that of the original. Unlike the film White Boat, in which the original novel was relatively faithfully transferred to the screen, Shambala retained the narrative framework of the original novel, but reorganized the narrative simply by intensively using several major motifs. The main motifs chosen by this film in the original work include a mother deer with horns and a legend about it, major characters including a boy, and a family affair, especially the infertility and white belly of the Becky couple.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film Shambhala is to embody the boy’s desire to visit his father.

      • KCI등재

        설화(說話)와 영화, 『모두를 놀라게 한 사람』 연구

        홍상우 ( Hong Sangwoo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0 No.-

        영화 『모두를 놀라게 한 사람 (Человек, который удивил всех)』은 2018년 베니스 국제영화제 경쟁부문에 진출한 유일한 러시아 영화였으며, 여우주연상을 수상함으로써 국내외 평단의 지지를 받았다. 작품 속 인물이 이야기하는 설화 혹은 전설이 작품 속 현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서사가 진행되는 것이 이 영화의 특징이다. 남자 주인공 예고르의 생존을 위한 싸움이 주된 내용인 이 작품은 문학(설화)과 영화의 관계라는 포괄적인 주제 외에 다름과 차이의 인정, 성적인 정체성의 문제, 삶과 죽음의 경계, 변신의 테마 등 다양한 측면으로 접근이 가능한 텍스트이다. 형식상으로는 틈새를 통한 시선, 익스트림 클로즈업과 롱테이크의 빈번한 사용 등을 이 작품의 특징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나탈리야 메르쿨로바와 게오르기 출포프 부부가 공동으로 작업한 이 영화는 이러한 주제와 형식을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로써 화면에 구현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서사적으로, 그리고 시각적으로 가장 부각되는 것은 남자 주인공의 성정체성의 변화이다. 데뷔작인 영화 『내밀한 장소 (Интимные места)』(2013)에서 이미 인간의 성적인 문제를 파격적으로 다루었던 두 감독은 두 번째 작품에서는 보다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텍스트로 성정체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러시아 영화사에서 좀처럼 발견하기 어려운 이 주제를 두 감독은 전통적인 설화의 형식을 빌어서 영화 속에 담아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주인공 예고르의 삶과 죽음, 익스트림 클로즈업과 롱쇼트, 설화와 현실의 공간, 그리고 주인공의 변신 등에 한정하여 작품을 분석해보았다. The film The man, who surprised everyone was the only Russian film to enter the competition section of the Venic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2018 and was supported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itics by winning the Best Actress Award. This film is characterized by the narrative proceeding as the fairy tale of the shaman is closely related to the reality in the film. The fight for the survival of the hero Egor is the comprehensive them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fairy tale) and cinema. This film can be accessed from various aspects. Formally, the gaze through the gap, the extreme close-up and the frequent use of the long take are the features of the work. The film, co-worked by Nataliya Merkulova and Georgy Chulkov, embodies these themes and forms on the screen by excellent actors. The most epic and visual aspect of this work is the change in the gender identity of the main hero. The two directors focus on the gender identity, which is rarely found in Russian cinema history, in the form of traditional tales. This paper analyzed the work in the life and death of the main character, the extreme close-up and long shot, the space of the fairy tale and reality,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main character.

      • KCI등재

        문학과 전쟁, 영화 『위대한 시』 연구

        홍상우(Hong, Sangwo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20 외국문학연구 Vol.- No.77

        알렉산더 룽긴 감독의 영화 『위대한 시』는 제 30회 키노타브르 영화제 경쟁부문에서 작품상과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제 24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비아시아권 영화 경쟁 부문인 ‘플래쉬 포워드’ 부문에 선정됨으로써 국내외적으로 영화의 완성도를 인정받았다. 본고에서는 이 작품을 ‘군사적 이미지의 두 남자’, ‘시적인 삶의 산문, 산문적 삶의 시’, ‘‘종결’ 이후를 향한 카메라의 시선’, ‘숏-리버스 숏의 부재’, ‘가해와 피해의 연쇄’, ‘하나의 숏, 두 개의 역설적인 세계’라는 소제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문학과 전쟁의 관계, 구체적으로 소연방 붕괴 후 발생한 전쟁, 그리고 시를 소재로 했다는 점에서 동시대 러시아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를 하면서도, 지역성을 넘어서는 일반화와 보편성을 획득하고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 체첸 등과의 전쟁의 상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현대 러시아영화에서 사실상 금기시되어 왔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주제 측면에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 『위대한 시』는 사각의 스크린 내부에 문학과 시청각적인 묘사를 공존시키고 있다. 주인공은 전쟁의 상처에서 벗어나기 위해 시를 배우지만, 소연방 붕괴라는 전례 없는 역사적 사건을 겪은 러시아 사회에서 전쟁은 여전히 일상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즉 평화를 되찾은 듯 보이는 사회에서 빅토르와 료하는 시를 배우지만, 여전히 그들 주위에는 전쟁의 그림자가 어른거리고 있는 것이다. 알렉산더 룽긴 감독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전쟁과 시(문학)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짜임새 있는 서사를 만드는데 그치지 않고, 적절한 영화 언어를 구사하여 주제와 형식 모든 측면에서 완성도를 이룬 영화를 연출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Alexander Lungin s film The Great Poetry is a concrete description of contemporary Russia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war, specifically between the civil war that occurred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poetry. Since the direct mention of the wounds of civil war has been taboo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this work can be evaluated as a step forward in terms of subject matter. In addition to these thematic aspects, this paper analyzed the film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formal aspects of the work, that is, the way the camera looks and the shot. In this film, the camera seeks to capture the emotions after the end rather than the event itself, and shot tries to capture the two opposite worlds of the two main characters. Also, the editing method does not insist on the traditional method of short-reverse shot.

      • KCI등재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에 따라 신설된 정책지원관 제도의 효과 제고를 위한 연구 :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홍상우 ( Hong Sangwoo Kim ),김동욱 ( Dongwook Lee ),이대웅 ( Daewoo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3 地方行政硏究 Vol.37 No.4

        지방의회의 전문성 및 자율성, 독립성 확보를 위해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신설된 정책지원관 제도는 의정자료 수집·조사·연구 등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제도운영과정에서 지방의회 의원과의 소통 문제, 지방의회 이탈로 인한 인력난 문제, 직무 범위 및 대우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기대불일치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선행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조직구성원의 헌신을 이끌어내고 결과적으로 조직에 대한 애착을 형성하게 되며 조직성과를 상승하는 결과를 야기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책지원관의 조직몰입을 제고하기 위해 조직몰입에 선행요인이 될 수 있는 직무만족, 기대불일치, 조직신뢰, 상사신뢰(의원신뢰)에 대해 다룬다. 분석결과, 직무만족, 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조직생활 및 대우에 대한 부정적 기대불일치는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상사신뢰(의원신뢰)는 조직몰입과의 영향 관계에 있어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정책지원관의 직무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방의회 소속 일반직 공무원들과의 신뢰 관계 형성, 가치공유 및 소통을 위한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신뢰를 높이기 위해 의회의 정책결정에 있어 절차적으로 공정하게 시행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시키고 효율적인 정책지원관의 업무배분과 공정한 인사제도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정책지원관의 조직생활 및 대우에 대한 부정적 기대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정책지원관의 전문성과 직급에 맞는 적절한 대우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하여 일반직 공무원뿐만 아니라 지방의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방침을 마련해야 한다. The policy support officer system was newly introduced to strengthen the expertis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local councils. Policy support officers perform a variety of duties, including collecting legislative data, investigating, and researching. Howev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ystem, various problems such as communication problems with local council members, manpower shortage, and mismatched expectations arising from job scope and treatment are occurring.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leads to impro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expectation discrepancy, organizational trust, and trust in superi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olicy support offic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job satisfaction and trust in the organiz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iscrepancy in expectations about organizational life and treatmen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ly, as a way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policy support officers, it was suggested to seek alternatives for forming trust relationships, sharing values, and communicating with public officials belonging to local councils. Additionally, in order to increase trust in the organization, there is a need to raise awareness that the council's policy decisions are being implemented procedurally and fairly.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efficient distribution of work for policy support officers and a fair personnel system. Lastly, in order to resolve the discrepancy in expectations of policy support officers, appropriate treatment is needed according to the expertise and rank of policy support officers, and in relation to this, it was suggested that training for not only public officials but also local council members is necessary.

      • KCI등재

        2022~2023 러시아 영화 주요 경향 연구

        홍상우(Sangwoo Ho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24 동유럽발칸연구 Vol.48 No.1

        본고는 2022~2023년도 러시아 영화를 전반적으로 고찰하려는 시도 중의 하나이다. 지난 2년간 러시아 영화의 주요 경향 중에서 우선 주목되는 것은 동시대 러시아 사회와 역사와의 관계이다.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거나, 칸과 로테르담을 비롯한 권위있는 국제영화제가 선정한 러시아 영화들과 러시아의 주요 영화제에서 소개되거나 수상한 작품들 다수가 이 주제를 담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2022년도 칸국제영화제 경쟁부문에 선정되었던 키릴 세레브렌니코프(Кирилл Серебренников) 감독의 영화 《차이코프스키의 아내(Жена Чайковского)》, 2023년도 모스크바국제영화 제 개막작으로 상영되었던 보리스 흘레브니코프(Борис Хлебников) 감독의 영화 《산까치(Снегирь)》(2023), 동시대 러시아 영화계뿐만 아니라 세계 영화계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알렉산더 소쿠로프(Александр Сокуров) 감독 이 로테르담 국제영화제에서 월드 프리미어로 선보였던 《페어리 테일 (Сказка)》(2022), 마지막으로 동시대 러시아 영화감독들 중 가장 러시아적 인 배경을 소재로 하여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비탈리 수슬린 (Виталий Суслин) 감독의 영화 《낙타의 길(Верблюжья дуга)》을 분석 대 상으로 삼았다. 두 번째로 본고에서 필자가 언급할 동시대 러시아 영화의 주요 경향은 러시아 지역 영화의 새로운 부상이다. 본고에서는 바슈코르토 스탄(Башкортостан) 출신의 아이누르 아스카로프(Айнур Аскаров) 감독이 연출한 영화 《사면(Помилование)》(2023), 해외 평단에서 가장 높은 평가 를 받고 있는 야쿠티아 출신의 드미트리 다브이도프(Дмитрий Давыдов) 감독의 영화 《전염병(Чума)》(2023), 역시 야쿠티아 출신의 스테판 부르나 셰프(Степен Бурнашев) 감독이 연출한 영화 《아이타(Айта)》(2023)를 분 석 대상으로 삼았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amine Russian cinema as a whole in 2022-2023. Among the main trends in Russian cinema over the past two years, the first thing to be noted is its relationship to contemporary Russian society and history. Many of the Russian films that received high praise at home and abroad, were selected for prestigious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ncluding Cannes and Rotterdam, and were presented at major Russian film festivals or won prizes. In this article, we will focus on Kirill Serebrennikov's The Wife of Chaikovsky, which was selected in competition at the Cannes Film Festival in 2022, The Bullfinch(2023), directed by Boris Hlebnikov, one of the most important auteurs of contemporary Russian cinema, which was the opening film of the 2023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airy Tail(2022), which had its world premiere at the Rotterdam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y Alexander Sokurov, who is considered a master not only of contemporary Russian cinema but also of world cinema, and finally, The Camel's Wayh, by Vitaly Suslin, who is one of the most Russian filmmakers of his generation and has built a unique body of work based on a very Russian setting. The second major trend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that I will discuss is the emergence of Russian regional cinema. I will analyze the film Pardon(2023), directed by Ainur Askarov from Bashkortostan, Plague(2023), directed by Yakutian director Dmitry Davydov, one of the most highly regarded films by international critics, and Aita (2023), directed by Yakutian director Stepan Burnashev. Contemporary Russian cinema is characterized by diversity, locality, and the presence of female directors. In other word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Russian cinema has achieved unprecedented diversity, and not only central filmmakers centered in Moscow and Petersburg, but also local filmmakers including Yakutia are actively producing works.

      • KCI등재

        야쿠티아 영화감독 드미트리 다브이도프 작품 연구 - 올롱호 서사시의 ‘치병과 기복’ 및 정교와 전통문화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

        홍상우 ( Hong Sangwoo ),문준일 ( Moon Joonil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1 슬라브연구 Vol.37 No.1

        러시아 지역 영화가 현재 러시아 영화계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다민족 국가인 러시아에서 지역 영화가 존재한다는 것은 당연해 보이기도 하지만, 최근까지 소개되는 러시아 영화들은 거의 전부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의 영화인들이 제작한 작품들이었다. 러시아에서 지역 영화가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그것은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중심의 주류 영화계의 외면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 영화 부흥을 위한 행사가 꾸준히 개최되었다. 추바쉬 공화국의 체복사르국제영화제와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카잔국제이슬람영화제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 두 영화제에서는 지역 영화 경쟁부문을 별도로 마련하여 러시아의 지역 영화만을 중점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러시아 국내외에서 작품성을 인정받은 러시아 지역 영화는 야쿠티아 영화이다. 이 지역의 영화인들은 자기 지역의 문화적 전통에 뿌리를 둔,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지역적인 소재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그것들을 글로벌한 내용과 형식으로 묘사하는 데 일정 부분 성공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야쿠티아 영화감독인 드미트리 다브이도프 작품에 나타난 올롱호 서사시의 모티프와 전통문화에 대해 고찰하면서, 해당 작품의 영화 미학적인 측면에 대한 분석도 시도했다. Russian regional cinema is currently a hot topic in the Russian film industry. It may seem natural that regional films exist in Russia, a multi-ethnic country, but most of the Russian films introduced until recently were produced by filmmakers from Moscow and St. Petersburg. Although regional cinema has existed in Russia for a long time, it is true that it has been turned away from the mainstream film industry centered on Moscow and St. Petersburg. Nevertheless, events for local film revival were held consistently in some regions of Russia. The Cheboksar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the Chuvash Republic and the Kazan International Islamic Film Festival in the Republic of Tatarstan are representative examples. In these two film festivals, regional film competitions are organized separately, focusing on local films from Russia. But above all, the local film in Russia, which has been recognized for its operability in and outside Russia, is a Yakutia film. In the period when the film movement was actively progressed, there was inevitably the risk of arbitrary application to some extent when studying films in connection with myths, legends, or historical events of a specific region.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centration on the analysis of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cinematic aesthetics may weaken. In this paper, I will try to analyze the aesthetic aspect of the film while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epic and traditional culture of the Olonkho in the works of Yakutia film director Dmitry Davydo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