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공주의와 그 적들

        선우(Sunwoo, Hy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일련의 사회적 정치적 현안들을 통해, 현 보수 정권은 ‘총체적’ 무능과 부도덕성, 오만과 독선, 부정의와 퇴행적 민주주의의 실체적 본성을 여실히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실상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 구성원들의 ‘절반’(?)은 그야말로 철옹성처럼 단단히 결집하여 현 집권 세력을 한 결 같이 지지 옹호하고 있다. 이처럼 비합리적인 ‘모순적인’ 사태가 야기된 데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논자는 다음의 사실을 ‘주된 원인’의 하나로 주목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곧 시대착오적 유물로 전락해 가고 있다고 봤던 반공주의라는 ‘사상적 망령’이 현 보수 집권 세력에 의해 다시금 정교하게 변용되어 정치적으로 악용되고 있는, 오늘의 한국 사회의 ‘실체적 진실’이 바로 그것이다. 현 보수 정권은, 과거 독재 체제의 ‘정당화 논리’로 기능했던 반공주의를 변화된 시대 상황에 맞게끔 변용하여, 한층 더 왜곡되고 강화된 ‘전투적 이념 대결 구도’를 구축하여, 현정권에 부정적인 구성원들에 대해서는 소위 ‘적대적 이념 세력’으로 규정하여 배제해 버리면서, 오직 현 정권을 지지하는 구성원들만을 공고히 규합 통합하는 소위 ‘배제적 국민 대통합’ 전략의 기본 원리로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한에서, 명색이 ‘민주화된’ 오늘의 한국 사회에서 반공주의는 일종의 변형된 ‘정권 정당화’ 논리로서 새롭게(?) 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Through a series of social political pending issues and problems, the current conservative regime of Korea has been revealing its overall incompetence, immorality, arrogance, self-righteousness, and its true colors of the regressive democracy. But in spite of such a true state, the nearly "half(?)" of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support ardently Park regime as ever in a mass like an impenetrable fortress. Maybe various factors and causes have brought out such an irrational contradictory situation. Nevertheless I would like to suggest a inference as given below as a main cause. That is to say, the "Korean reality" that the present governing power is making a bad use of anticommunism which seemed an anachronistic relics politically by transforming exquisitely it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at is what I call the main cause of such the state of affairs. In short, by transforming the anticommunism which has played a role the justification logics for the dictatorship government in the pas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situation of Korean society, and constructing the militant ideological confrontation which is distorted and fortified, the present ruling clique utilize it politically as a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exclusive-integrative two nation strategy. And it is contrived as a sort of method of ruling which on the one hand, excludes the Korean members who have the negative and critical attitude to Park regime by dint of defining them as the hostile ideological forces, on the other hand, gathers and consolidates the Korean members who will back up and advocate ardently Park regime. In that sense, in the so called ‘democratized’ Korean society of today, the anticommunism is performing its role and function now as a sort transformed justification logics of the present regime.

      • KCI등재

        佛敎 和合僧의 실현에 대한 一考 - 의식주의 공평한 분배를 중심으로

        신성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2 No.-

        승가의 생활은 안거제도가 시행되면서 급속하게 변화한다. 안거는 정주생활과 아울러 공동생활을 하 는 계기가 되었다. 공동생활을 한다는 것은 대중의 화합을 전제로 한다. 대중의 화합이 깨어진다면 승 가는 존속될 수 없다. 불교승가를 명확히 특징짓는 단어는 화합승이다. 따라서 승가의 모든 생활은 화합을 지향하여야 한다. 승가의 대중은 현전승가에서 공동으로 의식주 생활을 하여야 한다. 공동으로 의식주 생활을 하는 것은 사방승물을 공평하게 배분하여 사용하고, 승가에 보시되는 물품을 평등하게 분배하는 것이다. 의식주 생활의 화합은 현전승가의 모든 대중들이 보시 물에 대하여 욕심을 내지 않고, 분배해 주는 것을 만족스럽게 받아서 간소한 생활을 추구할 때 이루어 진다. 승가는 검소한 생활을 하면서 재가자가 보시하는 물품을 받아서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승가는 재 가자가 사용목적을 지정하여 보시하는 비용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사방승가에 보시하는 물품들 을 개인에게 돌리거나 현전승가에 분배할 목적으로 구한 물품을 개인에게 돌리는 등의 어떠한 행위도 금지하였다. 이것은 승가의 전 대중들이 공평하게 분배하고,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빼앗는 것으로 승 가의 공동생활에 저해가 되므로 금지한 것이다. 그리고 승가는 의식주의 분배와 사용에 공정성을 위해 서 知事比丘를 선출하였다. 승가의 대중은 지사비구의 물품 분배에 다소 불만이 있을지라도 표출할 수 없고, 물품 관리의 전권을 위임받은 소임자의 분배에 만족해야 한다. 이로써 승가는 의식주의 공동생 활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었고, 화합이 성립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승가화합은 승가 구성원들이 의식주를 공동생활로 하는데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붓다는 승가의 공동생활을 저해하는 악행을 금지하는 규칙을 율로서 제정하였다. 이러한 내 용은 바라제목차(pātimokkha)를 통해 상세히 볼 수 있다. The life of Buddhist priesthood has been deeply changed as a system of settle-down was established, which has also paved the way for communal life along with staying in a certain place rather than going around. Communal life is based on the premise of public's harmony; once it is broken, the Buddhist priesthood cannot be continued. One of the key words to characterize the Buddhist priesthood is a harmonious Buddhist Samgha. Therefore, harmony should be the path for every perspective of the Buddhist priesthood life. Public of the Buddhist priesthood should live a communal life through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sammukhībhūta- saṃgha, which means an equal distribution and usage of commodities and temple offering. Moreover, a harmonious Buddhist Samgha can be fulfilled as every public in sammukhībhūta-saṃgha is not greedy for temple offering, satisfied with what was distributed to achieve simple life. While living a simple life, receiving and using temple offering from home-staying Buddhist was permitted in the Buddhist Samgha. In addition, it was prohibited for the Buddhist priesthood to use expenses of temple offering for other purposes by assigning purpose of usage from a home- staying Buddhist. Also, the Buddhist priesthood has warned that giving individuals temple offering for cātuddisa-saṃgha, and purchasing commodities and giving them individuals with a purpose of distribution as it impedes communal life by depriving public of the right for distribution and usage. To attain justice in distribution and usage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 Buddhist nuns was selected who was responsible for managing commodities. Even though there may be somewhat dissatisfac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commodities, public should not express it, while they should be satisfied with the distribution by the manager. In this way, communal life can be sustainable without difficulties and ultimately it can achieve a harmony. To sum up, the harmony of the Buddhist priesthood can be achieved through a communal life of its members. As such, the Buddha made rules to prohibit misdeeds hindering communal life of the Buddhist priesthood, which also could be explored through pātimokkha.

      • KCI등재

        요대(遼代) 선연(鮮演)에 수용된 법장(法藏)의 화엄사상

        박은영(지)(Park, Eun-Young (Ven. Ji-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5

        중세 동아시아의 화엄사상은 법장에 의해 대성되고, 징관에 의해 혁신을 거듭한다. 당대(唐代)에 확립된 화엄교학은 이후 북송(北宋)에서는 법장의 화엄학이 중시되었던 반면에, 같은 시기에 요대(遼代)에서는 특히 징관의 화엄학이 중점적으로 연구된다. 따라서 요대에는 법장이 큰 연관이 없는 것 같지만 사실은 요대 화엄학 저술인 선연의 『담현결택기』6권속에서 법장의 사상은 충실히 수용되고 있다. 징관의 『대소』와 『연의초』가 법장을 종지로 받들어 지어진 것이고, 『결택기』가 그것의 주석서인 점에서 볼 때, 『결택기』에는 그 자체로 법장의 사상이 녹아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 『결택기』에 인용된 문헌 중에는 법장의 저술인 『교의분제장』이 가장 많이 인용되었고, 또 다른 저술인 『지귀』, 『탐현기』, 『기신론의기』도 직접 · 간접적으로 인용되었으며, 선연은 매우 빈번하게 ‘현수의 뜻’을 회통하고 있다. 내용적으로는 『현담』 본문의 제1장 「교장소섭(藏敎所攝)」과 제2장 「의리분제(義理分齊)」부분에서 많이 인용되었는데, 특히 일승과 삼승의 불일불이(不一不異), 동교일승 ․ 별교일승, 5교교판과 십현문 등 화엄일승원교의 의리를 밝히는 데 있어 주요쟁점들을 선연이 법장의 사상을 통해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에서 잘 드러난다. 본 논고에서는 『결택기』에 인용된 법장의 저술과 그 구체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해서 선연이 법장의 사상에서 무엇을 강조하고 있고, 석성하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살펴서 선연에게 수용된 법장의 화엄사상을 살펴봄으로써 요대 화엄사상속에서 법장 화엄사상의 위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Chinese Buddhism and especially Huayan thought flourished in the Liao dynasty 遼(916-1125) and was based on Chinese translations of Buddhist literature made during the Tang dynasty 唐 (618-907). Huayan Jing Tǎnxuan Juezĕ Ji, written by Xianyǎn 鮮演(1040-1118), was one of the later annotations to the Xuant-1 玄談 from the 20 volumes of Dafang’guangfo Huayan Jing Shu 大方廣佛華嚴經疏 and the 40 volumes of Suishuyanyi Chao 隨疏演義鈔, which was widely known as a distinctive commentary on the 80 volumes of the Avataṃsaka sutra written by Qingliang Chengguan 淸涼 澄觀 (738-839). Juezĕ Ji was annotated for Xuantan 玄談 in a very clear and accurate tone, as the way in which Xianyǎn’s opinions were absorbed in the writing of Chengguan did not include notes or as water permeating into any objects. We are able to see that Juezĕ Ji was annotated in Xianyǎn’s own unique way, which made Chengguan’s writings clear and obvious. Additionally, Juezĕ Ji frequently quoted classic literature, Fa-Tsang 法藏 (643-712) wrote and the number of quotes ranged from twos to score every fascicle.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same way as Xianyǎn was absorbed in Chengguan’s writing, the essence of the Huayan thought of Fa-Tsang was accepted by Xianyǎn from the Liao period in Juezĕ Ji.

      • KCI등재

        무지 수근중수 관절염에 대한 현수 봉합 관절성형술의 결과

        김세훈,공현식,이세연,이민호,김지형,백구 대한수부외과학회 2018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3 No.4

        Purpose: A number of procedures were introduced to stabilize the 1st metacarpal bone after resection of the trapezium in the thumb carpometacarpal joint (CMCJ) arthroplasty. However, some surgical procedures may inevitably damage normal structures, such as harvesting tendons or drilling of a bone for tendon passage. Suture suspension arthroplasty is relatively less invasive and easier to perform than the previously described surgical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therapeutic efficiency of the suture suspension arthroplast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2 patients who underwent suture suspension arthroplasty for the treatment of thumb CMCJ arthritis. Pain visual analogue scale (VAS), satisfaction about surgical outcomes, and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s and the Trapezial Space Ra-tios were measured. Satisfaction was measured in the range of “very dissatisfied” (0) to “very satisfied” (10).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3 months. Pain VAS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from 7.0 to 2.9 (p<0.05). And mean satisfaction scale was 6.9.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SH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surgery (p=0.06). The mean trapezial space ratio was calculated to be 0.45 before surgery, 0.33 immediately after surgery, 0.23 at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Suture suspension arthroplasty is a satisfactory surgical procedure. And compared with other procedur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duction of the trapezial space. It may be useful in advanced thumb CMCJ arthritis. 목적: 무지 수근중수 관절염(thumb carpometacarpal joint arthritis)에 대한 관절성형술로 대다각골을 제거한 후 중수골을 안정시키는 여러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현수 봉합 관절성형술은 덜 침습적이면서 술식이 쉬운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무지 수근중수 관절염 환자에서 이 술식을 이용하여 수술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무지 수근중수 관절염으로 진단받고 현수 봉합 관절성형술을 시행한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시각통증척도, 수술만족도, DASH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점수를 조사하였고, 단순방사선 검사에서 대다각골 공간 비율을 계측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23개월이었다. 수술 전후 통증 점수는 7.0에서 2.9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호전을 보였고 (p<0.05), 수술만족도는 평균 6.9였다. 그러나 수술 전후 DASH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6). 평균 대다각골 공간 비율은 수술 전 0.45, 수술 직후 0.33, 마지막 추시 시 0.23이었다. 결론: 현수 봉합 관절성형술은 수술 결과가 만족스럽고, 다른 술식과 비교하여 중수골 침강에 의한 대다각골 공간의 감소도 큰 차이가 없어 진행된 무지 수근중수 관절염 환자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고령화 현상속에서의 기독교노인복지 상담의 필요성과 가능성

        최광 ( Gwang Hyun Choi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05 복음과 상담 Vol.5 No.-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노인문제에 대한 다양한 문제와 위기 를 접하면서 노인들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의 전문화, 공급주체의 다원화, 서비 스의 효율화, 전문적인 노인케어전문가의 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현 실적인 기독교노인복지 영역의 필요성속에서 노인문제를 해결하고 도와 줄 수 있는 실천도구로 노인상담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기독교노인복지 의 영역 속에서 노인상담의 분야를 다룬 논문은 극히 적은 상태에 놓여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노인상담과 노인복지의 연결성과 이를 통해 노인복지의 한 실천분야로서의 노인상담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growing population of adults over the age of 65 continues to outstrip our provision of servic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ocialworkers at welfare facilities for the Older Adult and other workers regarding the organization, management, and personnel of each senior facilitated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the improvement and establishment of efficient welfare policies for the Older Adult. Welfare for the aged approach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gain strength in various field. But there in no official report this applied in elderly counseling. This thesis endeavored to apply welfare for the aged approach to the elderly.

      • 經濟學防琺論에 대한 哲學的 一考察

        고의 가야대학교 1997 가야대학교 논문집 Vol.6 No.-

        Economics has passed through changes and has been important study which has influenced the society since it is organized as the study. In thease days, Economics is delicate from analyzing point of view. But it does not explain economic problems with correctness and does not present pertinent solutions. Therefore, economics needs self-introspection. Since self-introspection of study is beyound scope of study, it needs to criticise from philosophical point of view. Main stream of economics generates inconsistend idea in real world. So this thesis searchs for new economic methodology which is based on ontogy and epistemology with social ethics.

      • 『현밀원통성불심요집(顯密圓通成佛心要集)』에 나타난 진언다라니 연구 - 『공불이생의(供佛利生儀)』를 포함하여 -

        강대 ( Kang Dae-hyun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4 No.-

        『현밀원통성불심요집』에는 현교와 밀교의 요의를 화엄학을 기준으로 파악하였다. 현교의 원교는 『화엄경』의 교학이고, 밀교의 원교는 『대일경』, 『금강정경』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현밀원통성불심요집』은 부록으로 『공불이생의』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에는 현교심요, 밀교심요, 현밀쌍변, 경우술회 등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밀교심요에 정법계진언, 호신진언, 관세음보살본심미묘육자대명왕진언, 준제진언이 나타나고 있고, 후자에는 보례진언, 정법계진언, 무량위덕자재광명승묘력변식진언, 출생공양진언, 감로주, 파지옥진언, 비로자나불대관정진언, 성관자재보살감로진언, 대보광박누각선주비밀다라니가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진언에 대한 정확한 발음표기와 경전적 근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들 진언의 대부분이 불공(不空, 705~774)의 밀교경궤에 전거를 두고 있었고, 실차난타(實叉難陀, 652~710)와 보리류지(菩提流志, 562~727)의 역경본도 각각 한 편씩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총 13종의 진언다라니 중 1종을 제외하고 12종에 대한 정확한 발음표기를 『신편대장전주』(임광명 편수, 2001)를 통해서 찾아볼 수 있었다.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oteric and Esoteric Buddhism is understood based on Huayan studies in Collection of Essentials for Becoming a Buddha Through the Perfect Penetration of the Exoteric and Esoteric. The complete teachings of the Exoteric are the teachings of Buddhâvataṃsaka-sūtra, and the complete teachings of the Esoteric Buddhism are Mahāvairocana-sūtra and the Vajraśekhara Tantra. This Collection of Essentials for Becoming a Buddha Through the Perfect Penetration of the Exoteric and Esoteric includes Commentary of offer to Buddha and giving benefit to all sentient beings as an appendix. The former consists of four parts: ‘Core of the Exoteric Buddhism’, ‘Core of the Esoteric Buddhism’, ‘Discussing the Exoteric and Esoteric together’, and ‘An article written with joy because the meeting between the Exoteric and Esoteric was auspicious’. Among these parts, the pure dharma-realm of reality mantra, the self-protection mantra,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s six syllables mantra, and the Mahā-cundī Mantra appears in the ‘Core of Esoteric Buddhism’. In the latter, the universal obeisance Mantra, the pure dharma-realm of reality Mantra, the mantra that changes food, the mantra in honor of birth, the soma mantra, the mantra that break open the gates of hell, Mahāvairocana's greater baptism light Mantra,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s soma mantra, and the great jewel broads on tower secret mantra appear.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accurate pronunciation and scriptural basis for these mantras. Most of these mantras were based on the esoteric Buddhist sutras of Amoghavajr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lso one version each of Śikṣānanda and Bodhiruci. In addition, out of a total of 13 types of mantra and dhāraṇī, the accurate pronunciation of 12 types except for 1 type could be found through Sinpyeondaejangjeonju(edited by Im, Gwang-myeong, 2001).

      • KCI등재

        현대중국어 무표지 빈어 전치문 NP2의정보구조 연구

        서진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4

        This study analyzed, according to Lambrecht(1994), NP2’s (1) identifiability and activation (2) topic and focus of unmarked object-preposing sentences. NP2 components corresponding to ‘O’ are classified into pronouns, noun-phrases, bare noun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form in the sentence. Among them, pronouns and noun phrases correspond to the ‘active’ state among the ‘activation’ states that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discourse participants is ‘confirmable’ according to the form of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bare nouns are found to be ‘accessible’ although they could be confirmed in the form of expression, However, because of the location of NP2 in sentences, the information status rises to the ‘active’ state. In particular, in the OSV-type, the NP2 component was analyzed as a ‘topic’ included in the pragmatic presupposition as knowledge shared between participants in discourse. In SOV-type, the NP2 components were located between subject and predicate, and had the thematic property of contrast, but were not included in the pragmatic presupposition. In other words, they were found that the ‘topic-focus’ component does not affect the real focus in the sentence which is the focus of the entire sentence but should still be included in the focus area. 본 연구에서는 담화 속 무표지 빈어 전치문인 OSV형 문장과 SOV형 문장구조 중 ‘O’에 해당하는 NP2 성분의 정보구조를 Lambrecht(1994)가 제시한 (1) 확인가능성과 활성화 (2) 주제와 초점에 따라 분석하여 문형 간의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OSV형과 SOV형 문장에서 ‘O’에 해당하는 전치된 NP2 성분은 표현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확인 가능하며 ‘활성’상태를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OSV형에서 NP2성분은 화·청자 사이에 공유된 지식으로, 주제로서의 용인가능성이 높아져 화용적 전제에 포함되는 ‘주제’가 된다. SOV형에서 NP2성분은 주어와 술어 사이에 위치하여 대비라는 주제적 성질을 가지지만 화용적 단언에 포함된다. SOV형에서 NP2성분은 ‘주제초점’성분으로 문장 전체의 초점인 문미 초점에는 영향을 끼치지는 않지만, 여전히 초점의 영역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