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접분사식 단기통 디젤엔진에서 다단분사에 따른 연소 및 배기특성

        허정윤(Jeong Yun Heo),차준표(Junepyo Cha),윤승현(Seung Hyun Yoon),이창식(Chang Sik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0 No.5

        The purpose of this work i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DI diesel engine applied multiple injection strateg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multiple injection, single-cylinder DI diesel engine was operated under electrically controlled fuel injection system. In this study, multiple injections were injected as two types of multiple injection that were defined as the pilot injection and the post injection. The pilot injection and the post injection was injected 30% of total fuel injections mass quantity. The results of multiple injection were compared to those of single injection and each multiple injection types. To investigate for a low speed engine and middle range load,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conducted under a fixed engine speed and constant stoichiometric ratio condition. The combustion results show that each multiple injections decreases peak heat release rates but increases indicated mean effective pressure. The emissions results that pilot injection increases emissions but post injection reduces NO<SUB>x</SUB>, HC and CO emissions.

      • KCI등재SCOPUS

        직접분사식 커먼레일 단기통 디젤엔진에서 EGR율에 따른 연소 및 배기특성

        허정윤(Jeong Yun Heo),차준표(Junepyo Cha),윤승현(Seung Hyun Yoon),이창식(Chang Sik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work i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DI diesel engine applied high EGR rate as a method of low-temperature combust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EGR rate variation, a single-cylinder DI diesel engine was operated under various EGR rate conditions. In addition, injection timing was variously controll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jection timing in DI diesel engine using the cooled-EGR system. The NOx emissions were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EGR rate. On the contrary, soot emissions were generally increased under applied EGR conditions. However, soot emissions were decreased in a few injection timings under high EGR rate conditions. The EGR results show that the ignition delay were increased by decreased oxygen concentrations in combustion chamber under the high EGR rate.

      • 커먼레일 단기통 디젤엔진에서 EGR율에 따른 연소 및 배기특성

        허정윤(Jeong Yun Heo),윤승현(Seung Hyun Yoon),박성욱(Sung Wook Park),이창식(Chang Sik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09 No.11

        The purpose of this work i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DI diesel engine applied high EGR rate as known general method of low-temperature combustion. In order to analyze theeffect of EGR rate variation, single-cylinder DI diesel engine was operated under various EGR rate conditions. In addition, injection timing conditions was variously controll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jection timing in DI diesel engine using the EGR system. NOx emissions were decreased, as a result, by increasing EGR rate. Soot emissions were generally increased under applied EGR conditions. However, soot emissions were decreased in a few injection timings under high EGR rate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ge could have a premix period sufficiently due to be increased the ignition delay period by decreased oxygen concentrations in combustion chamber under the high EGR rate.

      • KCI등재

        스마트 홈의 다중 사용자 환경을 고려한 정보 알림 개선 방안 연구

        황은영 ( Hwang Eun Young ),허정윤(공동) ( Heo Jeong Yun ),김성우 ( Kim Sung Woo ),허정윤(교신) ( Heo Jeong Y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다중 사용자 환경 콘텍스트를 반영한 사용자 연구를 통해 개선된 스마트 홈 정보 알림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마트 홈 관련 서비스의 보편화와 함께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연구는 많지만, 공동공간에서 함께 생활하는 다중 사용자 환경을 고려한 연구는 아직은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다중 사용자 환경을 고려한 스마트 홈 정보 알림에 대한 요구 사항을 확인한 결과 현재 제공하는 조작 중심의 단순한 정보 알람으로는 사용자 니즈를 충족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스마트 홈 정보 알림의 조작자-정보 접근자 매트릭스와 인터뷰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통합하여 개선된 스마트 홈 정보 알림에 대한 사용자 검증으로 아래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사용자들은 자신의 상황 또는 디바이스별 특징에 따라 받고 싶은 알림의 정보 형태가 달라진다. 둘째, 사용자들은 변화된 상황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조작 시간과 조작으로 인해 변화된 디바이스 상태, 조작자 정보까지 포함된 정보를 받기 원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사용자들은 변화된 디바이스의 상황과 취해야 하는 행동을 명확하게 인지시켜주는 알림을 선호하며, 사용자 중심적으로 표현되는 문장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넷째,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특성을 이용하여 가족구성원이 집과 일정 거리 이상 가까워졌을 때 이에 대한 알림을 보내거나 받고 싶어 하는 요구 사항이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서비스를 경험하는 다인 가구 사용자들을 고려한 알림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roved information notification services considering multi-user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have identified requirements for smart home information notifications considering multi-user environments. As a result, we found that simple information alarms based on the present operation do not satisfy user need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user verification of the improved smart home information notifications by integrating the operator-information accessor matrix of existing smart home information notices and the insights obtained through the interviews. First, the users wanted to receive different types of notifications depending on a particular situation or on device-specific capabilities. In addition, users can quickly grasp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when operato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and prefer information notifications including the changed device status and any action to be taken. Finally, some users wanted to receive notifications about the location of family members through a smartphone and to send or receive notifications when they approached their home within a certain dist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ay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otification services that consider users in multi-family households who live in a smart home environment.

      • KCI등재

        수신자와의 심리적 거리감이 이모티콘 사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권희진(주저자) ( Kwon Hee Jin ),우주(공동저자) ( Yu Zhou ),허정윤(공동저자) ( Heo Jeong Yun ),허정윤(교신저자) ( Heo Jeong Y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폰의 확산과 함께 주요 의사소통 방식이 대면 의사소통에서 비대면 의사소통으로 이동한 현대 사회에서 카카오톡, 라인, 위챗 등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의사소통 중 맥락정보의 보완을 위해 사용하는 이모티콘의 사용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수신자와의 심리적 거리감에 따른 메신저 상에서의 사용 이모티콘의 유형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았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심리적 거리감에 대한 정의와 이모티콘의 유형별 구분 기준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후 설문조사를 통해 성별, 관계 등에 따라 수신자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거리감을 측정하고, 표현 가능한 이모티콘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단한 이모티콘의 디자인을 통해 심리적 거리감이 상대적으로 먼 상사와의 관계에서의 이모티콘 사용 유형에 대한 사용자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신자와의 관계에 기반을 둔 심리적 거리감에 대해 이모티콘 유형의 사용 행태가 달라지고, 그에 따른 적합한 이모티콘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servation of this study is the range of communication between person and person is extended by mobile society, and through mobile messengers such as Kakao Talk, Line, and Wechat, we identified the type of emoticon listening device that people use while communicating. First, we classified the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n we looked at how the emoticons are distinguished by type and their definitions. The following survey measured the psychological distance felt by the recipi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relationships, and learned about the expressible emotic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onducted an additional study of simple emoticon patterns to see if other emoticon options were possible in a relationship with a company with many limitations regarding the use of psychological distance. The study suggests that for the psychological distance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receivers, the behavior of the type of emoticon should vary and that appropriate emoticon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ly.

      • KCI등재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허정윤(You Young-Dal),유영달(Heo Jeong-Yun)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first, the influences of parents- and social situation-related trauma experiences in childhood on the later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nd, second, the mediation effect by the self-esteem. The subjects were 429 students from 10 universitie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ubjects' mental health/life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arents- and social situation-related emotional traumas experienced in childhood. The influences of parents- and social situation-related trauma experiences in childhood on the later mental health was partly mediated by the subjects' self-esteem, while those on the later life satisfa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the same. The results imply that the parents- and social situation-related trauma experiences in childhood should be treated seriously at various counseling and educational field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기 부/모 및 사회적 상황에 의한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그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부산광역시 소재 10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아동기 부/모 및 사회적 상황에 의한 정서적 외상은 대학생의 정신건강 전체점수 및 그 하위요소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부/모 및 사회적 상황의 일부 요소인 대인관계 상황에 의한 정서적 외상은 대학생의 삶의만족도 전체점수 및 그 하위척도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 감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상담학적 함의 및 제한점들이 논의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