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재리스크에 기초한 피난안전설계법에 관한 연구

        허예림 ( Huh Ye-rim ),김혜원 ( Kim Hye-won ),이병흔 ( Lee Byeong-heun ),진승현 ( Jin Seung-hyeon ),권영진 ( Kwon Young-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9 No.1

        Currently in domestic, it is difficult to the evacuation in fire due to the building is hig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cuation safety design of building. To conduct the evacuation fire design of building, it should be done the Evacuation Safety Verification. But it is not sufficient the Study about Evacuation Safety Verification in currently domestic.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evacuation safety verification using people who they can’t the evacuation themselves. The method of verification, we suggest the comparative that people who they can’t the evacuation themselves and available safety evacuation time. Available safety evacuation time is determined by determined method from disaster statistics of casualties or equivalence with current standard requirement. it is doing to objectively judge of evacuation safety design validity in building.

      • KCI등재

        Cone Calorimeter를 활용한 천장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허예림(Huh,Yerim),김윤성(Kim,Yunsung),김혜원(Kim,Hyewon),이병흔(Lee,ByeongHeun),진승현(Jin,SeungHyen),권영진(Kwon,YoungJin)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1

        필로티 구조를 가진 도시형 생활주택은 건축 규제의 완화로 인해 화재위험성이 높은 실정이다. 또한;기존 화재사례 조사 결과 최초 착화지점에서 발생한 화재가 가연성 천장재를 통해 외장재로 확대되는 경로를 보였기 때문에 천장재의 화재확대방지가 우선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 이에 필로티 구조물의 천장재에 대한 조사를 시행한 결과 SMC;알루미늄;DMC;석고보드 등이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70% 이상이 SMC 천장재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천장재를 대상으로 Cone Calorimeter 시험을 진행한 결과 SMC 217.10 kW/m2;알루미늄 15.07 kW/m2;DMC 1.78 kW/m2;석고보드 41.92 kW/m2로 조사되었다 Urban living spaces with piloti structures are at high risk for deregulation of building protocols. Recent fire case investigation results have shown the path of the fire from the initial ignition point to the exterior material via combustible ceiling materials; thus;preventing the spread of the fire through the ceiling material is a priority. Accordingly;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on the ceiling materials used in piloti structures;and it was confirmed that SMC;aluminum;DMC;and gypsum board were the main components;with the SMC ceiling materials accounting for more than 70% of the composition. Cone calorimeter tests were performed on these ceiling materials;and the heat fluxes of SMC;aluminum;DMC;and gypsum board were determined to be 217.10;15.07;1.78;and 41.92 kW/m2;respectively.

      • 물류창고 화재 시 피난안전을 위한 연기하강시간 예측에 관한 연구

        허예림(Ye Rim Huh),김윤성(Yoon Seong Kim),진승현(Seung Hyeon Jin),권영진(Young Jin Kw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국내에서는 전자상거래의 발달과 언택트 소비의 증가에 따라 물류창고의 개소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물류창고 개소의 증가와 함께 2012년 인천 경서동 물류창고 화재, 이천 쿠팡 물류센터 화재 등과 같은 창고시설에서의 대형화재도 발생한 바 있다. 물류창고의 경우, 폭과 넓이가 일반 건축물과 비교하여 매우 넓은 건축물으로, 물건을 다량 적재하고 있어 화재하중이 높고, 적재된 물품과 컨베이어 벨트 등의 시설 등이 설치로 피난경로가 복잡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 발생량이 다른 건축물 보다 많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른 연기하강시간 또한 가속화 될 것으로 사료된다. 창고용도와 같이 면적이 넓고 층고가 높은 건축물의 경우, 연기제어 방법 중, 자연배연이 적합하다. 그러나 국내에서 자연배연을 규정하는 건축법에서의 배연설비 설치대상에 물류창고는 포함되지 않아 자연배연과 관련된 국내의 물류창고 기준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국외의 기준을 조사한 결과, 미국과 일본의 경우, 창고시설과 같은 대공간에 대한 자연배연 기준이 존재하며, 법적 기준 외에도 지침이나 핸드북을 통해 설계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물류창고 재실자의 피난안전을 위해 배연설비의 유무에 따른 연기 거동을 확인하고자 국외의 물류창고 배연설비 관련 기준을 조사하여 국내 소재의 물류창고에 적용했을 시, 연기 발생량, 연기배출량 등을 계산하고, 시뮬레이션 구동을 통해 구체적인 설계위치와 크기 등에 따른 연기하강시간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 거실 제연설비 성능 개선을 위한 국내·외 기준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허예림 ( Huh Ye-rim ),김윤성 ( Kim Yoon-seong ),김혜원 ( Kim Hye-won ),진승현 ( Jin Seung-hyeon ),권영진 ( Kwon Young-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2 No.1

        In Korea, smoke control measures through NFSC 501 are proposed to reduce human casualties caused by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However,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it was found that domestic regulations do not set fire source, but simply set smoke emissions by floor area or height of smoke boundary. Foreign regulations set fire sourc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 current domestic regulations can be applied in the event of an actual building fire. So,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elated standards for fire zone smoke control system in each country and use them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zone smoke control system.

      • 일본의 주택 내장 방화설계 매뉴얼 조사를 통한 국내 적용 가능성 검토에 관한 연구

        허예림(Ye Rim Huh),김윤성(Yun Seong Kim),이병흔(Byeong Heun Lee),권영진(Young Jin Kw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건축물의 내장 방화설계는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가 외부로 확대되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킴으로서 화재피해를 감소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국내 10년간(2009~2018)의 연소 확대 범위 별 피해 통계에서 ‘발화지점만 연소 시’ 보다 ‘다수 층 연소 시’의 인명 피해 비율이 약 11배, 재산피해 비율은 약 29배 이상으로 집계되는 등 초기 화재를 지연시키는 것이 인명 및 재산피해의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건축물의 내화구조, 방화구획 및 내부 마감 재료 등에 관한 법적 기준은 존재하나 건축물 내장재에 관한 기준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각 용도별 건축물의 화재하중, 가연물 연소특성, 구조 등을 고려한 설계의 예시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나 이러한 기존 연구조차 미비한 실정이다. 국내와 건축법 체계가 비슷한 일본의 경우 내장 제한의 적용 대상이 되는 건축물을 법으로 규정하고 그중, 화재 위험성이 높은 주택을 대상으로 한 내장 방화 설계 매뉴얼을 통해 화재확대를 방지하고 있다. 내장방화설계 매뉴얼에서는 일본 주택에 다수 사용되는 풍로, 난로, 벽난로 등을 사용하는 주택에 대하여 화기가 위치한 실, 화재실 내에서의 화기의 위치, 가연물 연소부분, 화기의 치수 등을 고려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화재통계상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주거시설을 중심으로 일본의 주택 내장방화설계 매뉴얼을 검토하고 향후, 이를 국내 건축물의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 KCI등재

        한⋅일 자연배연 기준 비교를 통한 물류창고 배연설비의 유효면적 산정에 관한 연구

        허예림(Yerim Huh),이유림(Yoolim Lee),김윤성(Yunseong Kim),진승현(Seunghyun Jin),구인혁(Inhyuk Koo),권영진(Youngjin Kwon)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6

        본 논문에서는 물류창고의 자연배연을 위하여 한⋅일의 법령과 일본의 설계지침에서 제공되는 설계법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수용품 특성, 건축물 특성에 따른 배연설비 유효면적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양국의 법적 기준을 통한 유효면적은 10 m2, 20 m2로 산정되었고, 일본 지침을 통한 결과는 7~16 m의 층고에서 CUP를 수용한 공간은 24.71 m2부터 13.76 m2, CEP를 수용한 공간은 41.83 m2부터 22.54 m2로 산정되었다. 이렇게 산정된 유효면적을 통해 배출되는 배연량의 경우, 국내 법적기준을 적용한 경우는 모든 Case에서 플륨유량보다 배연량이 적었다. 일본 기준을 적용한 경우는 CUP 적재창고에서는 9 m부터 16 m까지는 연기발생량보다 배연량이 많은 배연효율을 냈으나 7 m부터 8 m에서는 배연량이 더 적었다. 지침을 적용한 유효면적에서는 모든 Case에서 연기배출량이 연기발생량보다 많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ign methodologies outlined in Korean and Japanese legislation, along with Japanese design guidelines, pertaining to natural smoke ventilation systems in logistics warehouses. Subsequently, we determined the effective area of the smoke exhaust system based on the combustible materials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Our findings indicated that the calculated effective area per the statutory standards of both nations was 10 m2 and 20 m2, respectively. According to Japanese guidelines, the space accommodating the CUP ranged from 24.71 m2 to 13.76 m2 for floor heights between 7 to 16 m, while the space accommodating CEP ranged from 41.83 m2 to 22.54 m2. Analyzing the quantity of smoke emitted through the calculated effective area, we observed that, when applying domestic legal standards, the smoke exhaust rate consistently remained lower than the plume flow rate. Conversely, under the Japanese standard, the smoke emission efficiency of the CUP loading warehouse surpassed that of smoke emission from 9 m to 16 m, while it was lower from 7 m to 8 m. Notably, the smoke exhaust rate consistently exceeded the generated smoke quantity in all instances within the effective area governed by the guidelines.

      • SFPE 연기제어 설계 조사를 통한 국내의 제연설비와의 차이점 분석에 관한 연구

        허예림(Ye Rim Huh),김혜원(Hye Won Kim),진승현(Seung Hyeon Jin),권영진(Young Jin Kw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1971년 대연각 호텔 화재가 발생한 이후로, 국내에서는 연기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법령을 포함한 관련 기준의 제정 및 개선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제연설비에 대한 설계 및 TAB(Testing, Adjusting and Balancing)에 대한 문제점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제기 되고 있다1). 거실 제연은 제연설비를 통해, 예상제연구역에 대하여 화재 시 연기배출과 동시에 공기유입이 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급기 송풍기와 배기 송풍기가 필요하며, 배출시킨 배기량 이상으로 급기를 하여 피난 및 소방 활동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NFSC 501의 경우, 제연설비의 배출량 등의 기준을 국외 기준에 근거를 두고 있어 국내 건축물의 특성 및 조건에 부합할 것인지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국외에서는 코드로써 건물의 구조나 상황에 맞는 제연설비 설계를 진행하지만, 국내의 경우 법령에 의한 일괄적인 설치를 요구하여 건물의 구조나 상황에 맞는 설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연설계의 개선을 위해 NFSC 501과 SFPE Handbook of Smoke Control Engineering과 비교 조사를 통해 제연구획, 방연풍속, 누설량 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비교한 자료를 바탕으로 제연설비 배출량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 구획공간의 화재성상 예측을 위한 한계 열방출률에 관한 문헌고찰

        허예림 ( Huh Ye-rim ),이병흔 ( Lee Byeong-heun ),권영진 ( Kwon Young-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 No.2

        In the case of, the ignition of flammable external materials by the radiant flame and the accompanying fire in the upper layer are occurring every year, and in the case of the Flashover prediction formula, the limit is reached through the surface area of the space and the factor. Predicts heat release rate. In this study, the critical heat release rate of each prediction formula was calculated based on the ISO 9705 model.

      • 고층건축물 수직공간의 화재 시 압력차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허예림 ( Yerim Huh ),김혜원 ( Hyewon Kim ),진승현 ( Seunghyeon Jin ),권영진 ( Youngjin Kwo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 No.1

        As buildings in South Korea become more skyscrapers, the risk of fire is also emerging. Thus, regulations, regulations, and guidelines are being improved to prevent the spread of smoke in the event of a fire in high-rise buildings, but research on smoke flow and pressure distribution in vertical space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mperature of each floor in the vertical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e is measured through the miniature model experiment, and the pressure difference is calculat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domestic air supply facilities in the future. Thus, a scale model of one-sixth the size of the actual building was produc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difference was derived by substituting the value for the expression. The pressure difference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ause of the fire, and it is believed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conditions of the building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efore calculating the supply volume for the analysis of the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use of the fire in the event of f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