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마을 지도자들의 경험세계 : 남성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한도현(Do Hyun Han)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8

        1970년대의 새마을 운동에서 정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였지만 1970년대에 마을 단위에서 활동했던 마을 지도자들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였다. 본 연구는 마을이라는 새마을운동의 일선에서 새마을운동을 추진했던 마을 단위의 남성 지도자들의 구술과 일차자료를 통해 그들의 경험세계를 분석하여 아래로부터 새마을운동을 이해하고자 한다. 마을 단위에는 남자 지도자와 부녀지도자가 있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남자 지도자들에 국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성공사례, 수상자 명단, 새마을 역사관 자료 등을 통해 전형적 인물 10명을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새마을운동의 일선에서는 일방적 지시만 존재했던 것도 아니고 일사 분란한 단결과 화합만이 있었던 것도 아니다. 새마을운동의 일선 현장에서는 주민들 간의 갈등과 협동이 긴장 속에서 공존하였다. 이러한 문제의 최전선에 섰던 사람들은 새마을 지도자라고 불렸던 주민들이다. 마을의 환경개선과 소득증대를 위해 매진했던 이들을 이 글에서 변혁적 리더로 규정하고, 조직의 리더, 마을혁신자, 멘토 등의 제모습을 규명하였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이러한 행위지들을 칭찬하거나 성공스토리 정도로 다룰 뿐 체계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다. 1970년대에 마을 일선에서 지도자로 활동한 사람이 수십만 명이 되지만 단편적인 성공사례 수기들만 존재할 뿐 이들의 경험세계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못했다. 1970년대에 활동한 지도자들이 70대 후반 80대에 이르러 이들의 생생한 체험을 기록할 수 있는 물리적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 새마을운동 지도자들에 대한 본격적인 구술채록의 필요성을 환기하고 구술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본 연구는 구술사방법을 연구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구술채록은 2008년 10월-11월에 추진되었으며 경기도와 충청도 권에서 모두 10명의 구술을 채록하였다. 이러한 구술사적 연구는 그동안 정책 분석위주의 연구들이 지닌 구조주의적 분석이나 계량적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고, 새마을운동의 역동적 모습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rough the Saemaul Undong or New Community Movement, rural Korea was able to overcome its poverty. The strong support policy of the government, the determination of President Park ChungHee, and the dedication of all the leaders of the villages nationwide were central to the success of the Saemaul Undong, Without the belief and effort of the village leaders who had faith in the movement, the Saemaul Undong might have ended up being just an empty slogan. The Saemaul village leaders were resolutely committed to the village work and were dedicated to the village even though they were not paid for their service. These were the people who brought success to the Rural Saemaul Undong in the 1970s. However, these leaders have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within studies of the Saemaul Undong, Scholars tend to describe the leaders negatively as those who were mobilized for political support of the Park regime. This bias mostly comes from an unbalanced approach of researchers who have not met the village leaders of the 1970s. To correct these biases in research, this study utilizes an oral history approach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ading the real and rich experiences of the village leaders of the 1970s. For this study, the autho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en Saemaul village leader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leaders were dedicated to the ideal of the New Community Movement and became pioneering transformative leaders for the better future of their villages. As transformative leaders, the village leaders in the New Community Movement were visionaries, organizers, and mentors both for villagers and fellow village leader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베트남의 두 종족마을(동성마을)의 종족의식 비교 연구

        한도현(Do Hyun Han) 한국농촌사회학회 2007 農村社會 Vol.17 No.2

        베트남과 한국은 한자문화권, 유교, 불교, 도교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문화적 유사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 이 글은 양국의 문화적 유사성을 종족마을(동성마을)에서 살펴보려는 비교연구이다. 베트남의 마을 사회에 대한 연구가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것에 비해 종족적 특징을 언급하는 연구들은 대단히 드물다. 베트남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의 종법 이념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베트남과 한국의 종족마을을 하나씩 선정하였다. 베트남하노이의 응우옌 꾸이(Nguyen Quy, 阮貴)씨 집안이 모여 사는 톤딘(thon dinh, 村亭)과 충남 당진의 도리리의 의령 남씨 마을에서 2005년 8월- 9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나라의 종족마을을 비교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창기의 틀을 이용하였다. 이창기의 틀은 종족의식(동족의식)을 종족마을의 특징으로 간주 한 데서 사회학적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창기가 종족의식으로 강조한 가계계승의식, 조상숭배의식, 동조의식, 배타적 족결합 의식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본 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베트남 사례마을의 주민들의 제사의식이 매우 강하다. 북베트 남의 가족에서 제사권이 재산권보다 상위에 있다는 기존 연구들을 본 조사는 뒷받침하고 있다. 베트남 가족에서 제사권이 재산권보다 중시된다는 점은, 베트남의 가족이나 종족이 중국의 그것보다 한국의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제사의식 이외에도 여러 가지 측면에서 베트남 주민들의 종족의식은 한국 주민들의 그것과 상당히 유사하다. 예컨대 장남우대, 제사의 장남 상속, 동성동본금혼 등이 실천되고 있다. 동성동본 금혼은 사회주의 혁명 이후 법률적으로 허용되었지만 아직도 강하게 유지되고 있다. 4대 봉사를 하는 세대도 대단히 많다. 차례, 기제사, 묘제사 등으로 나누어 볼 때 베트남은 주자학적 문화를 실천하고 있다. 문중에 대한 자부심, 문중 일에 대한 참여를 강조하는 것 등은 두 나라의 사례 마을에서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베트남 사례 마을과 사례 종호에서 모두 강하게 나타났다. 자녀들이 족보나 문중역사를 배워야 한다고 강조하는 데서는 도리리 주민이나 남씨가 톤딘 주민이나 응우옌 꾸이 씨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문중관련 사업에 돈을 내는 데 있어서는 톤딘 주민이나 응우옌 꾸이씨가 한국의 사례 마을이나 종족집단에 비해 더 적극적이다. 수치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사례 마을이나 종족들은 동족의식이 강하다는 것이 본 조사에서 드러났다. 물론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차이점도 나타난다. 베트남에서는 처가 제사에 대해 상당히 적극적이다. 거의 절반 정도의 응답자가 처가 제사에 참여하거나 처가제사를 모신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임의로 선정한 두 마을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한 것이므로 일반화할 수는 없다. 다만 한국과 베트남의 종족(동성) 마을에 대한 체계적 비교 연구가 전무한 시점에서 이 연구가 앞으로 더욱 더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를 유발하는 데 하나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Vietnam and Korea share many diverse cultural elements, such as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and the heritage of classical Chinese (hanja civilization). In studying the similarities of the two countries, village lineage structure should not be overlooked.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villages in Vietnam, little exists on its lineage villages. Previous studies of villages in Vietnam have ignored the tradition of dominant lineages there.Thus, the author has aimed to assess the extent and similarities of lineage consciousness in order to fill this gap in Vietnamese village studies and in comparative studies of villages with dominant lineages in Korea and Vietnam. For this study, the author selected one village in rural Hanoi, in which Nguyen Quy (阮貴) is the dominant lineage ( dong ho in Vietnamese), and one village in South Chungcheong in Korea, in which Nam (南) is the dominant lineage. The author has utilized Chang-Kee Lee"s analytical framework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ineage consciousnes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lineage villages based on this framework. In August and September 2005, the author conductedsocial surveys to collect data in each village. The empirical data show that people in the Vietnamese village highly value ancestor worship. Since the Vietnamese give greater priority to rights of ancestor worship than to family and lineage property rights, Vietnamese family and lineage structure more closely resemble their counterparts in Korea than in China. Following this emphasis of ancestor worship, Vietnamese lineage consciousness shares many elements of similarity with the Korean, such as the preferential treatment of the eldest son, the succession of the rights and duties of ancestor worship to the eldest son"s line, and the taboo against marriage among members of the same lineage ( dong ho). This study also shows that among many Vietnamese and Koreans, ancestor worship is conducted for those up to and including great-great grandparents. Vietnamese and Korean lineage members also show similarly strong pride in their lineages and emphasizevarious activities to preserve and improve the state of their lineages, such as compiling genealogy books, decorating ancestral tombs, refurbishing ancestral halls, and teaching their children to be proud of their lineage tradition. Despite these similarities, differences are also found. Compared to Koreans, Vietnamese people are much more active in observing rites for the wife"s ancestors and much less likely to adopt sons for the succession of the lineage.

      • KCI등재

        우리 농산물 애용 운동가 아이덴티티 정치

        한도현 ( Do-hyun Han ) 한국사회사학회 2000 사회와 역사 Vol.58 No.-

        Since the late 1980s, Korean farmers strongly protested against the Urguay Round, while organizing the Buy-Korean-Food Movements. Participants in the movements utilized Korean identity and patriotism to persuade Koreans not to buy foreign foodstuffs. The movements maintain that Koreans should consume Korean local food and attack all foreign foods because they are not produced in Korea. Thus, the movement is closely related to identity politics. The slogan, Shintoblri, clearly shows the nationalistic mentality expressed in the movements. In this paper, first, I criticize the nationalistic mentality in the Buy-Korean- Food Movements, which tends to simplify the complexity of the food system, thereby depriving farmers and citizens of the precious opportunity to take advantage of the changing global food system. The movements eloquently demonstrate a contradiction by emphasizing that exporting Korean food is the most challenging and important development for Korean agriculture of the next century while demanding that Koreans boycott all foreign food. Second, I analyze the causes of the demise of the movements. The closed logic of Shintoburi faces two major internal challenges from the Korean agriculture. One is the development of organic farming, and the other is an additional case of identity politics among Korean food producers. It is easy to see keen competition among food markets in different localities. Local governments and farmers associations have Thus, local identity becomes more accentuated than national identity in the food market. This is the second phase of identity politics of the Buy-Korean- Food Movements. Thanks to the global food system,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1990s, the organic farming movement and a new version of identity politics, the typical nationalistic Shintobuli movement is not so effective in Korean society as it formerly was. The movement became more like a symbol or brand. If nationalistic feeling that upholds the movements decreases, they may possibly disappear. Even though they would exist no longer in the form of a chauvinistic movement, the ecological meaning of Shintoblri --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soil-- will remain.

      • 좌절과 도약의 갈림길 : 한국학 세계화

        한도현(Han,Do-hyun)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2010 국제한국학연구 Vol.4 No.-

        한국학의 세계화는 두 가지 방향에서 추진되어 왔다. 하나의 한국학의 질적 수준을 월드 클래스로 만드는 것이고 다른 하니는 양적 측면에서 한국학을 연구하는 해외 학자와 해외 대학의 숫자를 확대하는 것이다. 양적 부문의 성장은 1990년대 후반 이후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성장에는 국제교류재단(외교통상부)과 한국학중앙연구원(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 활동이 크게 기여하였다.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두 기관의 상호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질적인 면에서 한국학의 세계화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질적인 면에서 한국학의 세계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해외의 석학들이 한국학 연구에 참여하여 학문적 영향력이 있는 논저를 생산하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국내에서 창의적이고도 수준 높은 논저들이 생산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인문한국, 사회과학발전방안, 중점연구소 둥의 초창기 목적과 이상은 잘 실현 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관료주의적 통제와 논문숫자 경쟁으로 말미암아 세계적 연구 논저의 생산이라는 목표와는 멀어지고 있다. 학자들이 연구과정으로부터 소외되어 자괴감에 빠져 있는 현실에서는 세계적 연구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한국학진흥사업단은 2010년에 학계와 정부의 지지를 받아 한국학세계화랩 사업을 출범시켰다. 국내외 석학들의 깊은 관심 속에서 출발한 이 사업도 초기의 목적과 이상을 실현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 선진적 연구비 편성과 연구책임자의 자율성을 강조하려던 초기의 이상은 후퇴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국내 한국학의 발전이 필수적인데 1차년도 한국학세계화랩 선정에서 국내가 완전히 배제된 것도 이러한 후퇴조짐의 하나이다. 앞으로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연구책임자의 자율을 강화하고 논문숫자보다는 학문적 수준을 강조해야 한다. 또 해외의 한국연구가 곧바로 한국의 국익에 봉사해야한다는 근시안적 자민족중심주의의 틀도 극복되어야 한다.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has been driven in two ways. One way has been to lift the quality of Korean Studies to a world class standard, and the other, increasing the number of scholars and universities within Korea and overseas that research Korea. There has been exponential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two areas since the later 1990s. The support and sponsorship of the Korea Found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ntributed greatly to this development. The cooperation of these two institutions has been very important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Qualitatively,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still has a long road ahead. In order to propel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n terms of quality, international distinguished scholars need to be involved in Korean Studies and produce influential academic publications in addition to the need of creative and high quality academic publications produced in Korea. In this regard, the Humanities Korea, Social Science development plans, Core Research Institutions and so forth, should realize and implement their early goals and objectives. However, the reality of bureaucratic control and the competition of thesis numbers is far from, and increasingly moving away from, the goal of academic quality publications of international standard. The reality of scholars being alienated, even during the research process, makes it difficult to anticipate quality research of a world class. As a strategy to improve this matter, the Strategic Initiative for Korean Studies. received support from academia and the government in 2010, and launched the Lab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Although this project received great interest from scholars at the outset, it is uncertain whether the project will realize its goals and objectives. Signs of the ebbing research cost allocation and the regression of the initial emphasis on the research director's autonomy can be seen. Although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within Korea is vital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the fact that applications from South Korea were excluded from selection in the first year of the Lab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s a telling sign of the regression. What is more, the goal of the office seems to be changed: The name change from Strategic Initiative for Korean Studies into Korean Studies Promotion Service is telling that the emphasis on "quality' is weakening. For the future of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there needs to be an emphasis on the autonomy of the research director, as well as quality of the academic research publication rather than numbers. In addition the shortsighted ethnocentrism framework that assumes overseas research on Korea must immediately serve the national interest must be overcome.

      • KCI등재

        국내 양돈장의 사육구간별 주요 소화기질병 원인체 유병율 조사

        정윤수 ( Youn-soo Jung ),박유리 ( Yu-ri Park ),강대영 ( Dae-young Kang ),한도현 ( Do-hyun Han ),윤두학 ( Duhak Yoon ),정병열 ( Byeong-yeal Jung ),박최규 ( Choi-kyu Park ) 한국가축위생학회 2016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39 No.4

        For determining the prevalence of major enteric pathogens, clinical examination and etiological diagnosis were carried out on 75 Korean pig farms. Enteric disease-suspected signs were observed in 90.7% of the farms and the incidence and severity were higher in younger age groups of the pigs. Five of seven pathogens were detected in 375 fecal samples collected from the 75 farms, and the farm-level prevalence of porcine rotavirus group A (PoRVA), pathogenic Escherichia (E.) coli, Lawsonia (L.) in-tracelluraris, Salmonella spp., and Brachyspira (B.) hyodysenteriae was 54.7%, 54.7%, 16.0%, 10.7% and 2.7%, respectively. PoRVA was extensively infected in suckling and weaning pig groups. The prevalence of pathogenic E. coli was highest in suckling period, and after the period, it exhibited a tendency to decrease. Salmonella spp. and L. intracelluraris were detected in all feeding groups of pigs in a ratio of 1.3∼6.7%. B. hyodysenteriae was detected in 1.3∼2.7% of growing and fattening pig groups but not detected in suckling and weaning pig groups. At least one or more pathogens were detected in 30.1% of 375 fecal samples. Among these, 25.0% or 5.1% of cases were single or mixed infection. Enteric disease signs of the pigs were significantly co-related with the detection of PoRVA, pathogenic E. coli or Salmonella spp. (P<0.01) but not with L. intracelluraris or B. hyodysenteriae (P>0.05). Conclusively, it will be expected that thes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are very useful for subsequent studies and prevention strategies for swine enteric disease in Korean pig farms.

      • KCI등재

        베트남의 시장 지향적 개혁과 소득 분배의 변화

        김호섭(Ho Seob Kim),공유식(Yoo Shik Gong),한도현(Do Hyun Han),신치용(Chi Yong Shin) 한국농촌사회학회 1999 農村社會 Vol.9 No.-

        이 연구는 베트남의 시장경제 도입 이후 나타난 소득 구조의 변화 및 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탐색하는 경험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니(Nee)의 시장이행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소득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독립변수로서 정치적 자본과 인적 자본, 그리고 지역변수를 활용하였다. 하노이 시의 한 커뮤니티(우엔주坊)와 하노이 인근의 흥옌省의 농촌 커뮤니티(짜이짱社)로부터 각각 125개의 가구를 표본으로 추출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적 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발견되었다. 우선 기술적 분석에서, 베트남의 시장경제 개혁 이후 도시와 농촌간의 소득 및 교육 수준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고, 정치적 재배분 자원이 과거에 비하여 줄어들고 있으며, 도시 지역의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정치자본이 있을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취업자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도시에 거주할 경우 가구의 소득 수준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특히, 정치자본의 경우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경우에만 소득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농촌의 경우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Nee의 권력이동가설이나 시장인센티브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앞으로 베트남 사회에서 도농간의 소득격차와 계층간 경제적 불평등, 그리고 고급화된 인적 자본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임을 시사한다. This is an empirical study to examine changes in income distribution since the market-oriented reform. Doi Moi, in Vietnam. Following Nee`s market transition theory, it employed four independent variables to explain income distribution. A standardized interview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50 households from a Phuong and a Xa around the Red River Delta.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along with basic descriptive analysis were employed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s a distinctive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income distribution and other independent variables, to what extent these variables explain variance in income distribution, and which capital, political or human, has a more significant bearing on income distribution. Overall, the result obtained by combining all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not unimpressive. When all the variables are pooled, we can account for 21 percent of the variance in income distribution. The variable, `residence,` appears to have statistically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on income distribution, followed by human capital (education level and number of family workers) and political capital. Whi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lay no claim to presenting a final and definitive explanation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income distribution, they at least support Nee`s hypotheses regarding power and market incentives, and imply that the economic inequaliti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the social demands for high quality human education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Vietnam.

      • KCI등재

        향약의 조직원리와 지역자치 : 베트남 모짝싸(xa Mo Trach, 慕澤社)의 사례 The Case of Mo Trach Village in Binh Giang County, Hai Duong Province, Vietnam

        한도현 한국동남아학회 2003 동남아시아연구 Vol.13 No.2

        The community compact or Huong Uoc was widely practiced since the Le dynasty in Vietnam. Houn g Uoc in Sino-Vietnamese is the same word as Xiang Yue ic Chinese or Hyan g'yag in Korean. The French colonial government in Vietnam used the tradition of the community compact to control colonial Vietnam. And since the 1990s, the co ntemporary Vietnamese government revived the tradition of the community co mpact to develop rural villages. This paper focuses on the community compact of Vietnam before French colonialism controlled Vienam. The community compact fr om the Le dynasty to the Nguyen dynasty is called the old community compact ( Huong Uoc Co). The old community compact is very precious resource for stud ying Vietnamese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 d the case of Mo Trach village in Binh Giang county, Hai Duong province in north Vietnam. The village produced many famous Confucian scholars and manda rins. Through the research on the case of Mo Trach village, the author crit icized the previous interpretations of the community compact. The previous stu dies maintained that the community compact was a tool for the dominant class to ru le the villagers. In criticizing this interpretation, the author shows that the old c ommunity compact of Mo Trach village had liberal elements of local autonomy and helped villagers cultivate the affectionate social relations(tinh cam) among themselves. Finally, the author argues that the community compact is a prototype o f the third realm in East Asian society where the government and the volunta ry associations meet together. However, since this argument is just based on a sin gle case, more research on diverse cases is definitely require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compact in Vietn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