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학의 국제적 소통에 관한 한 연구 : 한국의 역사와 문화 관련 용어 및 개념의 영어 표현을 중심으로

        김준길(Kim Djun-kil)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2010 국제한국학연구 Vol.4 No.-

        Since Korea was discovered by the Western travelers, traders, missionaries. and diplomats, various terminologies and expressions in European languages had been shown in travelogues, mission reports, and diplomatic records. Most of those terminologies and expressions on Korea by the early Westerners, however, are superficially put into incorrect equivalents in their languages with biased misinterpretations. Korean studies in the mid-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have contributed to the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between Korea and the English-speaking world by creating more academic English terminologies and expressions for the Korea's history and culture. This study attempts to attain more readable terminologies and more accurate expressions in English of the Korean contexts in its history and culture after we have reviewed what the early Western authors and contemporary Korean studies scholars in the 20th and 21st centuries used for the following selective topics of Korean studies: 1) Korea in the East Asian world; 2)Polities and political leadership in premodern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3)Social statuses in Chosŏn Korea; 4) Family in traditional Korea; 5)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 statecraft in Chosŏn Korea: and 6) Literature, arts, and music in traditional Korea. 수 세기 전부터 여러 가지 목적으로 동아시아를 찾았던 서양의 여행자, 선교사, 무역상들은 동아시아 문명의 문화적 컨텐츠를 만나면서 그 용어나 개념을 영어 또는 다른 西歐語 속에서 우선 바로 해당하는 어휘 equivalent를 찾아 단순 번역한 기록들을 남기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영어 표현은 수 천년 역사 동안 서구와는 다른 동아시아문명의 역사문화적 내용을 올바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로 넘어오면서 동아시아 학의 발전은 비로서 특히 한국학의 국제적 소통을 위한 영어 표현에서 새로운 지명을 열고 있다고 하겠다. 그들은 과거 서양 개척자들의 축적된 기록을 자료로 사용하면서도 근대적 인문 사회과학적 접근을 통하여 얻어낸 동아시아 문명의 내용들을 보다 영어답게 표현하는 학문적 작업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만큼 발전적이다. 이 연구는 한국학의 중요한 개념과 용어를 중심으로, 해외한국학의 시대별 발전단계를 거치면서 유럽과 미국의 한국학 학자들이 사용한 영어표현이 어떻게 전개되어왔는가를 살펴보고, 특히 20세기말 21세기초 해외한국학의 새로운 연구를 주목하면서 기존 표현의 문제점을 찾아 보다 글로벌한 시각에서 합리적인 영어표현을 찾는 일차적인 작업으로 보아주기 바란다. 여기서 다루게 되는 한국학의 중요한 개념들은 (1) 동아시아 세계 속의 한국, (2) 만주 한반도의 政治體 발전과정, (3) 전근대 한국의 사회적 신분제도, (4) 한국의 가족제도 전통, (5) 한국 유교: 성리학과 경세학, (6) 한국문학사 그리고 미술과 음악, 총 여섯 가지 큰 관련 범주로 구분하였다. 이상 여섯 가지 범주로 분류한 기준은 해외한국학 연구서에서 가장 그 영어표현의 문제가 많았던 용어 및 개념들을 분야별로 정리한 결과라는 점을 밝혀둔다.

      • 디지털히스토리: 한국학자료 DB구축의 의의와 한계 : 한국관련서양고서 DB검색시스템을 중심으로

        김상민(Kim Sangmin)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2011 국제한국학연구 Vol.5 No.-

        Since 1995, MyongJi Educational Foundation has been collecting above 12,000 rare books on Korea, 2,500 packs of microfilm, rare maps. and documents, and they are preserved and managed in the name of the Myongji-LG Korean Studies Library now. This collection gathers attention from both scholars and general public alike. but not much researched deeply because of the various linguistic problems and the accessibility. Therefore Academia Coreana, the Korean studies research center in Myongji University, had researched a lot to solve these problems. and decided to digitalize this collection using digital history methods, sponsored by NIA,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under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Academia Coreana and Myongji University Library opened "The database of Myongji-LG Korean Studies Librarv" in 2005, and it was updated twice respectively in 2006 and 2010. During the update, the providing data has greatly increased, 638 western books with their indexes, tables of contents in Korean, photographs, illustrations and full bibliographic information are being served online now through this digital database (the database search system of western books on Korea, Hankukkwanryon Seoyanggoseo Wonmun DB, http://e-coreana.or.kr), and even on mobile devices(http://m.e-coreana.or.kr). This online-database serves important Korea-related books to the scholars and public in the world now, and books which has specific conditions were first selected to be digitalized and served. The given conditions are as follows: 1) the books with high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 were selected. 2) unrecoverable materials if damaged 3) high value-added materials for the public. However. even though the database was complete. some irresistible problems and limitations still exited. First of all, users may be required pretty high level of historical knowledge because they have to input exact words into the system to get the exact results they want. Secondly. There are some the possibilities to make users have wrong and distorted information of Modem Korea because of the idiosyncrasies of the books. For this reasons. this article givess two suggestions to operate this database better: 1) More data has to be added on the system 2) Thesaurus function and the fully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this books by the professionals in this field. Although this long-term project was over. if unstoppable supports. researches and efforts on this system keep continuing. this database will be the renter of Korean Studies. and the value and the position of Korean Studies will be greatly increased. 학교법인 명지학원(明知學園)에서는 1995년부터 <LG연암문화재단>의 지원으로 1만 2천여 권 이상의 한국과 관련된 외국 문헌들 및 2,500종 이상의 마이크로필름을 <한국관계고서찾기운동>을 통해 수집했다. 이 자료들은 세계적인 희귀본이 다수 포함된 중요자료로서, 수집 당시부터 사회와 학계의 큰 관심을 받으며 한국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토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이들 중 다수는 서지의 특성상 심각하게 훼손되었고 방대한 자료량과 고어(古語) 및 사어(死語)를 포함한 18개 이상의 언어로 된 서술 등도 그동안 상대적으로 다양한 연구 성과를 도출시키는데 큰 어려움으로 작용해 왔다. 이에 <명지대-LG연암문고> 와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에서는 한국관련 서양고문헌의 보존 및 연구활성화에 대한 문제점과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고 <명지대-LG연암문고>의 디지털화를 추진하기로 결정,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의 지원을 통해 주요자료 638권이 3차에 걸쳐 디지털자료로서 구축되어 현재 온라인(http://e-coreana.or.kr) 및 모바일기기 (http://m.e-coreana.or.kr)로 서비스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들은 <명지대-LG연암문고>가 소장한 자료 중에서 사료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원본과 한 번 손상되면 복구가 불가능한 희귀 자료, 그리고 문화콘텐츠 업계와 일반인이 많이 이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선별하여 디지털화한 것으로, 국문목차, 국문해제, 국문캡션이 온라인으로 제공되며 색인어 검색 기능까지 탑재되어 한국학을 연구하는 학자 및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연구기반을 제공했으며, 일반인들의 한국학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는 데에 크게 기여해 왔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몇 가지 불가피한 한계를 지니고 있는데 이를테면 탑재된 자료가 <명지대-LG연암문고>의 소장자료 전체가 아니라는 점, 이용자가 검색을 위해서 일정 수준 이상의 역사적 지식을 요구받는 경우가 존재, 원문 자체가 편역되어 있지 않아 생길 수 있는 해석의 오류 가능성 등이 그러하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자료추가와 시소러스기능의 탑재, 전문가에 의한 제공자료의 온전한 편역이 요구되며, 이러한 한계 극복을 위한 계속적인 노력은 결국 한국학 연구 및 관심의 확산에 있어 새로운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좌절과 도약의 갈림길 : 한국학 세계화

        한도현(Han,Do-hyun)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2010 국제한국학연구 Vol.4 No.-

        한국학의 세계화는 두 가지 방향에서 추진되어 왔다. 하나의 한국학의 질적 수준을 월드 클래스로 만드는 것이고 다른 하니는 양적 측면에서 한국학을 연구하는 해외 학자와 해외 대학의 숫자를 확대하는 것이다. 양적 부문의 성장은 1990년대 후반 이후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성장에는 국제교류재단(외교통상부)과 한국학중앙연구원(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 활동이 크게 기여하였다.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두 기관의 상호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질적인 면에서 한국학의 세계화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질적인 면에서 한국학의 세계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해외의 석학들이 한국학 연구에 참여하여 학문적 영향력이 있는 논저를 생산하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국내에서 창의적이고도 수준 높은 논저들이 생산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인문한국, 사회과학발전방안, 중점연구소 둥의 초창기 목적과 이상은 잘 실현 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관료주의적 통제와 논문숫자 경쟁으로 말미암아 세계적 연구 논저의 생산이라는 목표와는 멀어지고 있다. 학자들이 연구과정으로부터 소외되어 자괴감에 빠져 있는 현실에서는 세계적 연구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한국학진흥사업단은 2010년에 학계와 정부의 지지를 받아 한국학세계화랩 사업을 출범시켰다. 국내외 석학들의 깊은 관심 속에서 출발한 이 사업도 초기의 목적과 이상을 실현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 선진적 연구비 편성과 연구책임자의 자율성을 강조하려던 초기의 이상은 후퇴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국내 한국학의 발전이 필수적인데 1차년도 한국학세계화랩 선정에서 국내가 완전히 배제된 것도 이러한 후퇴조짐의 하나이다. 앞으로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연구책임자의 자율을 강화하고 논문숫자보다는 학문적 수준을 강조해야 한다. 또 해외의 한국연구가 곧바로 한국의 국익에 봉사해야한다는 근시안적 자민족중심주의의 틀도 극복되어야 한다.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has been driven in two ways. One way has been to lift the quality of Korean Studies to a world class standard, and the other, increasing the number of scholars and universities within Korea and overseas that research Korea. There has been exponential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two areas since the later 1990s. The support and sponsorship of the Korea Found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ntributed greatly to this development. The cooperation of these two institutions has been very important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Qualitatively,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still has a long road ahead. In order to propel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n terms of quality, international distinguished scholars need to be involved in Korean Studies and produce influential academic publications in addition to the need of creative and high quality academic publications produced in Korea. In this regard, the Humanities Korea, Social Science development plans, Core Research Institutions and so forth, should realize and implement their early goals and objectives. However, the reality of bureaucratic control and the competition of thesis numbers is far from, and increasingly moving away from, the goal of academic quality publications of international standard. The reality of scholars being alienated, even during the research process, makes it difficult to anticipate quality research of a world class. As a strategy to improve this matter, the Strategic Initiative for Korean Studies. received support from academia and the government in 2010, and launched the Lab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Although this project received great interest from scholars at the outset, it is uncertain whether the project will realize its goals and objectives. Signs of the ebbing research cost allocation and the regression of the initial emphasis on the research director's autonomy can be seen. Although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within Korea is vital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the fact that applications from South Korea were excluded from selection in the first year of the Lab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s a telling sign of the regression. What is more, the goal of the office seems to be changed: The name change from Strategic Initiative for Korean Studies into Korean Studies Promotion Service is telling that the emphasis on "quality' is weakening. For the future of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there needs to be an emphasis on the autonomy of the research director, as well as quality of the academic research publication rather than numbers. In addition the shortsighted ethnocentrism framework that assumes overseas research on Korea must immediately serve the national interest must be overcome.

      • KCI등재

        목적지향 대화시스템에서 LSTM 언어모델 기반의 한국어 자연어 생성

        허윤석,강상우,서정연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0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6 No.3

        Natural language generation in the dialogue system is a task that transforms the semantic frame of the system utterance determined in the dialogue management phase into a natural language that can be understood by humans. Existing studies have still faced some obstacles in that only very limited types of utterances or grammatically incomplete ones are generated from the semantic frames.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simultaneously, we propose a Korean natural language generation model using a long short term memory based language model. In particular, we exploit the beam search decoding method to obtain system utterances with diverse structures and grammatical correctnes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with respect to the word, morpheme, and syllable units, and the generated utterances were evaluated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ays. As a result, the morpheme-based model with the beam search decoding has achieved the most robust result of all. In fact,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result of the generated sentence, the BLEU-4 score was 0.86 and the SER was 0.03,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was also confirmed to be grammatically correct and contextually natural. 대화시스템에서 자연어 생성은 대화관리 단계에서 결정한 시스템 발화의 의미표현을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자연어로 생성하는 것이다. 기존의 자연어 생성 연구는 의미표현에 대하여 매우 제한된 종류의 발화만을 생성하거나 문법적으로 불완전한 발화를 생성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문제점들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하여 Long Short Term Memory 기반의 언어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자연어 생성 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우리는 시스템 발화의 다양성과 문법적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빔서치 디코딩을 적용한다. 실험은 어절, 형태소, 음절단위에 따라 개별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생성한 문장들은 정량적, 정성적 평가를 모두 진행하였다. 그 결과 형태소 단위로 학습한 제안모델에 빔서치 디코딩을 적용한 방법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실제로 해당 생성 문장은 정량평가 결과에서 BLEU 지표는 0.86, Slot Error Rate 지표는 0.03을 기록하였으며 정성평가 역시 문법적으로 정확하고 문맥적으로 충분히 자연스러운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