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악 영구 중절치의 외상성 치근파절 : 증례보고

        최형준,곽지윤,이종갑,최병재,Choi, Hyung-Jun,Kwak, Ji-Youn,Lee, Jong-Gap,Choi, Byung-Jai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청소년기에는 두개악안면부위의 외상성 손상이 흔하다. 그러나 상아질, 백악질, 치수를 포함하는 치아파절로 정의되는 치근파절은 비교적 드물다. 치근파절에 대하여 취 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는 파절편의 치관부위를 재위치시키고, $2{\sim}3$달간 레진강선 고정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치수괴사나 치근흡수의 징후가 나타날때까지 근관치료를 보류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증례에서 파절편의 치근부위는 그 생활력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본 증례의 10세 4개월된 남아는 상악영구중절치의 치근파절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였으며, 그후 7년동안 동일부위에 2번의 반복적인 외상이 있었으나 파절편 치관부의 재위치, 레진 강선 고정술, 근관치료 시행 후 임상적으로 방사선학적으로 비교적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raumatic injuries in the young permanent dentition are common, but root fractures, defined as fractures involving dentin, cementum and pulp, are relatively uncommon. Appropriate management of root fracture involves repositioning the coronal portion of the tooth fragment and firm immobilization with a splint for 2 to 3 month. Root canal treatment should not be initiated until the sign of necrosis or resorption are apparent because in most cases, the apical fragments maintain their vitality. The following case report describes a patient with root fractures injured three times over the period of 7 years. The results,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were acceptable, but long term periodic evaluation is required.

      • KCI등재

        다양한 마취하 용량에서 케타민에 의해 유발된 청소년기 및 성체 마우스의 행동학적 변화

        최형준,임수정,박해리,이성미,김철응,류승형,Choi, Hyung Jun,Im, Soo Jung,Park, Hae Ri,Lee, Seong Mi,Kim, Chul-Eung,Ryu, Seunghyo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20 생물정신의학 Vol.27 No.1

        Objectives Ketamine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depressant effects or psychotomimetic eff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effects of ketamine treatment at various sub-anesthetic doses in adolescent and adult naïve mice. Methods In each experiment for adolescent and adult mice, a total of 60 male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s, which were intraperitoneally treated with physiological saline, 10, 20, 30, 40, and 50 mg/kg ketamine for consecutive 3 days. At 1 day after last injection, the locomotor and depressive-like behaviors were evaluated in mice, using open field test (OFT) and forced swim test (FST), respectively. Results In case of adolescent mice, ketamine do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distance traveled in the OFT (Spearman's rho = -0.27, p = 0.039). In case of adult mice, we fou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etamine dose and duration of immobility in the FST (Spearman's rho = 0.45, p < 0.001). Immobility time in the 50 mg/kg ketamine-treated mice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saline-treated mice (Dunnett's post-hoc test, p = 0.012).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repeated treatment with ketamine could decrease the locomotor or prolong the duration of immobility in mice as the dose of ketamine increased. Our findings suggest that sub-anesthetic doses of ketamine might induce schizophrenia-like negative symptoms but not antidepressant effects in naïve laboratory animals.

      • KCI등재

        Evaluation of key-strokes on the basketball game analysis software

        최형준(Hyong Jun Choi)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5 No.3

        경기분석 소프트웨어의 발달이 스포츠경기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듯이, 소프트웨어의 평가는 스포츠와 인간 공학 분야에 관계가 있다. 스포츠경기분석 소프트웨어를 실시간 분석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료수집, 자료 분석의 시간적, 조작적 제한을 고려해야 하며, 실시간 분석환경에서의 경기분석 소프트웨어 사용은 앞선 제한점을 최근의 컴퓨터기술과 체계화된 분석 과정 속에서 축소시킬 수 있다(Choi, 2008; Choi, Hughes, & O``Donoghue, 2007).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05-2006, 2006-2007년도 영국 여자 농구대회(Div 2)에서 사용된 농구 경기분석 소프트웨어의 키 스트로크를 비교하여 분석 과정 속에서 소프트웨어 사용의 변화치를 측정하고, 이를 논의하는 데 있다. 경기 기록은 농구 경기분석 프로그램인 CyberSport for Basketball™ 4.0을 사용하였을 때 기록된 자료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의 키 스트로크를 측정하기 위해 Blacksun사의 Mousotron™ 4.7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ann-Whitney U 검정, 독립 T검정 그리고 빈도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두 시즌 간의 분석 시간(2005 - 2006 시즌 - 85.3±4.7 분, 2006 - 2007 시즌 - 283.6 ± 4.6 분)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 둘째, 두 시즌 간의 총 스트로크 수(2005 - 2006 시즌 - 1198.3±143.3 회, 2006 - 2007 시즌 - 1316.0±164.9 회, p<.05)와 분석시간(분)당 스트로크 수(2005 - 2006 시즌 - 14.1±1.7/min, 2006 - 2007 시즌 - 15.8±1.8/min, p<.05)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스트로크 횟수가 증가하면 분석시간이 증가되는 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 했지만, 경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의 분석 강도에 의하여 스트로크 횟수가 증가되어도 분석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경기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기록자가 경기내용과 경기기록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경우 분석 강도와 분석시간 등을 고려해야만 하며, 스트로크 수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도구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의 자료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의 평가를 스포츠경기흐름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실시간 경기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s the development of match analysis software has enhanced performance in sports, the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s is currently relevant in the field of sport and ergonomics. In order to utilize those applications or systems in real-time situations, however, limits of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time and validity of the data must be addressed in match analysis applications. Modern technologies, on the other hand, te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tch analysis applications by the construction or internal procedure (Choi, 2008; Choi, Hughes, & O` Donoghue, 2007). The main aim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compare the key strokes of basketball match analysis software between the England Women Basketball DIV 2 2005-2006 and 2006-2007. The game data were collected in real-time by Cyber Sport for Basketball ™ 4.0 and then determined by Mann-Whitney U test, independent T-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s. A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on analysis time (85.3±4.7 minutes in 2005-2006, 83.6±4.6 minutes in 2006-2007),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total strokes by key presses/mouse clicks ( 1198.3±143.3 in 2005-2006, 1316.0±164.9 in 2006-2007, p<0.05) and the strokes per analysis minute ( 14.1±1.7/min in 2005-2006, 15.8±1.8/min in 2006-2007, p<0.05) between the seasons. Consequently, the ascend numbers of strokes and descend minutes of analysis time have found in the comparison despite of no difference between analysis time statistically that the intensity of analysis depended on game process would have ca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fore, the application on the match analysis software has to be concerned for all operators who collate performance data or match data using such software. For further research, the development of game intensity index is required in order to evaluate the software evenly.

      • KCI등재

        테니스 경기분석을 위한 주요 분석인자의 일관성 탐색

        최형준(Hyongjun Choi),조은형(Eun Hyung Cho),김응준(Eung Joon Kim),한도령(Do Ryung Han)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테니스 경기 공식기록을 통하여 승패의 차이를 분석할 때 사용되는 분석인자들에 대한 일관성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대회가 아닌 10개의 테니스 대회에서 나타나는 ``승자``와 ``패자``간의 차 이를 경기기록과 세트기록으로 구분하여 비교해보고, 이에 대한 차이를 논함으로써 분석인자의 탐색에 대한 일관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4대 그랜드슬램 테니스 대회의 자료(경기기록(n=687), 세트기록(n=391))가 대상이 되었으며, ``승자``와 ``패자``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회별로 나누지 않고 전체자료를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에서는 경기기록의 경우 11개의 분석인자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반면, 세트기록에서는 브레이크 포인트 승리율을 제외한 10개의 분석인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둘째, 경기기록을 대회별로 살펴본 결과, 6개의 분석인자에서 공통적으로 통계적 차이(p<.05)를 보였다. 셋째, 세트기록을 대회별로 살펴본 결과, 3개의 분석인자에서 공통적으로 통계적 차이 (p<.05)를 보였다. 따라서 각 대회의 특성과 선수의 경기력 차이와 같은 변인을 고려하지 않고 자료의 범위에 따라서 분석인자를 탐색할 때의 일관성이 나타났으며, 향후 실시간분석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identifica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were distinguishing the winning and losing performances in Tennis Gland Slam competitions. Especially, the consistencies of identification on Performance Indicators through statistical comparisons using Wilcoxon Signed Ranks tests were considered. For this study, 687 matches and 391 sets were selected as subjects in 4 Grand Slam tennis competitions (from 2005 to 2010). Totally, 11 performance indicators were selected from the official stats of 4 Grand Slam tennis championships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that they were % of successful serves, aces, double faults, unforced errors, % of successful 1st serve, % of successful 2nd serve, winners, received points, break points conversions, % of net approaches and total point obtained. As results of the study, there were 3 summarized findings as following below;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ll 11 performance indicators between winning and losing where the data were arranged as match results (p<.05). Likel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of 10 performance indicators between winning and losing where the set data were used for comparisons (p<.05). Only 1 performance indicator was shown differently between match and set data that it was "Break point conversions".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6 performance indicators distinguishing winning and losing where matches` data were used in the comparisons of championships separately (p<.05). The performance indicators were % of successful 1st serve, % of successful 2nd serve, winners, received points, break points conversions and total point obtained.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only 3 performance indicators distinguishing winning and losing where sets` data were used in the comparisons of championships separately (p<.05). The performance indicators were % of successful 1st serve, received points and total point obtained. Consequently,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atic structures of identification for KPI and real-time analysis systems as well.

      • KCI등재

        토양 내 미세플라스틱의 축적경로 및 분석기법 연구 동향

        최형준 ( Hyung-jun Choi ),안진성 ( Jinsung An ),최석순 ( Suk Soon Choi ) 한국공업화학회 2020 공업화학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의 토양 내 축적경로와 분포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토양시료 내 미세플라스틱 분석기법을 요약 제시하였다. 토양으로부터 미세플라스틱을 분리해내는 밀도차 선별 및 방해물질 제거과정과 정성/정량분석 기법으로써 pyrolysis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μ-Raman spectrometr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ry와 microscope 방법의 기본원리 및 분석의 한계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세플라스틱 매개 유해물질(첨가제 및 흡착물질)의 분석을 위한 화학적 추출방법을 인체 경구 섭취경로에 대한 in vitro 생물학적접근성 평가법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양 중 미세플라스틱 분석기법의 원리를 바탕으로 매질상태, 오염수준 및 시료수량 등을 고려한 합리적인 분석기법의 선정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accumulation and distribution routes of microplastics in soil environment were examined, and their analytical methodologies were summarized. Density separation and removal process of inhibition materials were introduced for the separation of microplastics in soil and the basic principles and limitation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including pyrolysis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μ-Raman spectrometr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ry, and microscopes were investigated. Chemical extraction methods for the analysis of mediated hazardous substance (additives and sorbed matters) in microplastics were also discussed with focusing on in vitro bioaccessibility assay for the human oral exposure route. Based on the described methodologies for the analysis of microplastics in soil, it is expected that these methods enable to select appropriate analysis techniques in consideration of medium state, contamination level and sample quantity.

      • 효율적인 원격 프로세스 검사점/재시작 프레임워크

        최형준 ( Hyung Jun Choi ),김은성 ( Eunsung Kim ),정임영 ( Im Y. Jung ),염헌영 ( Heon Young Yeo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2

        병렬/분산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결함 내성 기능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으로 프로세스에 대해 주기적으로 검사점을 만들고 예기치 않은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신속히 가장 최근의 상태로 복원시켜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연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