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3학년생의 디지털미디어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집행기능곤란, 화용능력, 행복감을 중심으로

        최지수(Choi Jisu),최나야(Choi Nay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bability of children s addicting to digital media compared to general users. We analyzed the data from the 10th year Korean Children Panel Study (KCPS), including 1,225 mother with their 9-year-ol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e of the four students belonged to the risk user group.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users and the risk users in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pragmatic competence, and happiness. The higher the level of child’s addiction, the level of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was higher, and the level of pragmatical competence and happiness were lower. Third,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 at-risk or high-risk user compared to the general user were mother s employment, attention-concentration difficulty and emotional control difficulty among the executive functions, whereas child s pragmatical competence and happiness lowered the prob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behavioral aspect of children s digital media addi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together. We also sugges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o enhance students’ emotional control,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pragmatical competence and happiness.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생이 디지털미디어중독 위험 사용자가 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연구(PSKC)의 10차년도 (2017) 조사에 참여한 1,225쌍의 어머니와 만 9세 아동의 자료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ANOVA,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미디어중독의 잠재적위험 사용자는 6.04%, 고위험 사용자는 18.29%로, 아동 4명중 1명꼴로 미디어중독위험 사용자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사용자와 중 독위험 사용자 간에 집행기능곤란, 화용능력, 행복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독위험 사용자의 집행기능곤란의 수준이 더 높고, 화용능력과 행복감은 더 낮았다. 셋째, 일반사용자 대비 잠재적위험 사용자 또는 고위험 사용자가 될 확률을 높이는 위험요인은 모취업, 아동의 집행기능곤란 중 주의집중곤란, 정서 통제곤란이었고, 아동의 화용 능력과 행복감은 중독위험 사용자가 될 확률을 낮추는 보호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의 미디어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선, 아동의 집행기능과 화용능력, 행복감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미디어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정서통제와 주의집중력, 화용능력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도입함과 동시에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의 제공을 제안한다.

      • SCOPUSKCI등재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뽕잎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최지수(Jisu Choi),이설희(Sulhee Lee),박영서(Young-Seo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2

        본 연구에서는 발효식품으로부터 항당뇨 효능을 지닌 유산균을 분리하여 뽕잎 추출물을 발효하고, 제조된 유산균 발효 뽕잎추출물의 항당뇨 효능을 평가하였다. 갓김치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plantarum SG-053은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이 96.8%로 가장 우수하고, 뽕잎을 발효하여 뽕잎에 존재하는 항당뇨 지표물질인 1-deoxynojirimycin (DNJ)의 함량을 2.2배 증가시키며 우수한 생육 활성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뽕잎 추출액의 발효에 사용하였다. L. plantarum SG-053으로 발효한 뽕잎 추출물은 L6 근관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없었고, IRS-1, PI3K p85α, GLUT-4 유전자 발현을 각각 1.4, 2.2, 1.4배로 증가시켰으며, 세포의 2-deoxyglucose 흡수를 1 μM의 인슐린보다 높은 수준인 40.7% 증가시켜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구 당 부하 검사를 통해 유산균 발효 뽕잎 추출물이 포도당 섭취에 의해 증가한 혈당을 빠르게 감소시키고, α-glucosidase의 저해를 통해 maltose의 분해에 의한 혈당 증가를 억제하였다. 유산균 발효 뽕잎 추출물은 SD rat의 허벅지 골격근 조직의 PI3K p85α와 GLUT-4 유전자 발현을 각각 6.4, 2.1배 증가시켜 L6 근관세포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in vivo 근육 조직에서도 인슐린 신호전달경로의 활성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L. plantarum SG-053이 뽕잎을 효과적으로 발효하여 DNJ의 함량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L. plantarum SG-053으로 발효한 뽕잎 추출물은 우수한 항당뇨 효능을 지니는 것을 세포 및 동물실험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novel lactic acid bacteria to ferment mulberry leaf extract (MLE) and to investigate its anti-diabetic effect. Lactobacillus plantarum SG-053 isolated from gatkimchi was selected to ferment MLE because it exhibited high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96.8%) and enhanced the content of 1-deoxynojirimycin (DNJ), an anti-diabetic substance, in fermented MLE up-to 2.2 times. MLE fermented with L. plantarum SG-053 (FMLE) showed growth promoting activity against L6 myotubes and increased the gene expressions of IRS-1, PI3K p85α, and GLUT-4 up-to 1.4, 2.2, and 1.4 times, respectively, and 2-deoxyglucose uptake up-to 40.7%. In rat skeletal muscle tissue, the expressions of PI3K p85α and GLUT-4 increased by 6.4 and 2.1 tim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 plantarum SG-053 could enhance the DNJ content of MLE by fermentation and that FMLE is effective in ameliorating insulin resistance via activation of the insulin signaling pathway.

      • KCI등재

        또래와 함께 그림책 읽기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선택: 협동과 경쟁 읽기에서의 자원공유 의도

        최지수 ( Choi Jisu ),최나야 ( Choi Nay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5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가 글 없는 그림책을 또래와 함께 읽는 맥락에 따라 친사회적 선택의 정도가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6곳에서 유아 115명을 협동, 경쟁, 혼자 읽기 집단에 무선할당하여 그림책을 읽도록 하였고, 자원할당 과제를 실시함으로써 친사회적 선택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그림책을 읽는 맥락과 자원공유의 조건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선택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림책을 또래와 협동하며 읽었을 때 경쟁ㆍ혼자 읽기 맥락에 비해 친사회적 선택의 빈도가 더 높았다. 특히, 상대방에게 자원을 공유하기 위한 비용이 없는 조건일 때 협동 맥락에서 읽은 유아는 경쟁 맥락일 때보다 친사회적인 선택을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을 협동하며 읽었을 때 자원공유의 모든 조건에서 상대방이 자원을 많이 갖게 하는 친사회적 선택을 더 빈번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와 함께 읽기가 유아의 친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또래와 경쟁할 때보다 협동하여 그림책을 읽을 때 친사회적 선택을 더 많이 함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기관에서 협동 맥락 조성을 통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증진을 돕는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four-year-old children differ in their prosocial choices when reading wordless picture books with their peers in different peer interaction conditions. Random assignments of cooperation, competition, or solitary condition were ascribed to six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sponses from 115 children’s prosocial choices after reading picture book.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children’s prosocial choices exhibit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text of reading picture book and resource sharing conditions. When reading a picture book in cooperation with peers, the frequency of prosocial choices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etition and solitary condition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children who read in a cooperative context made more prosocial choices than in a competitive context, as there was no cost to share resources with the counterpart. When reading in a cooperative context sharing resources, prosocial choices that allowed a high amount of resources to the buddy were more frequently made under all condition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of the influence of buddy reading on the prosociality of young children, and shows that more prosocial choices are made when reading picture books in cooperation than competition contexts. Based on this, it is proposed to plan and implement activities to promote prosocial behaviors of childre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or at home by promoting a cooperative context.

      • KCI등재

        학교의 정서적 환경과 초등학생의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다중요인: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집행기능 곤란

        최지수 ( Choi Jisu ),박유미 ( Park You-me ),최나야 ( Choi Nay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생을 대상으로 학교의 정서적 환경과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연구(PSKC)의 10차년도(2017) 조사에 참여한 600쌍의 교사와 초등 3학년생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교의 정서적 환경이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와 집행기능 곤란을 매개변인으로 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직접효과와 병렬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정서적 환경은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학업수행능력과 정적 상관을, 집행기능 곤란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학업수행능력은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와 정적 상관이, 집행기능 곤란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학교의 정서적 환경은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의 정서적 환경은 교사와의 관계, 집행기능 곤란을 각각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만, 또래와의 관계가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학교의 정서적 환경이 교사와의 관계 증진을 돕고, 집행기능 곤란을 완화함으로써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의 향상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개인 내·외 변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교의 정서적 환경이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of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and 3rd graders' academic abilities. To this end, the data of 600 pairs of teachers and 3rd grader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in 2017 were investigated. A research model to delineate how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influences academic abilities was formulated, arranging teacher-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s mediating variables. Th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and direct effect and parallel multiple mediation were analyzed through Process Macro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academic abilities, while having negative correlation with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cademic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and negatively correlated to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Second,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had direct effect on academic abilities. Third,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and academic abilities were mediated by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but not by peer relationship. The results indicate that affective school environments influence the academic abilities by promoting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mitigating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it shows how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 students' academic abilities by considering both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variables.

      • KCI등재

        가정의 독서환경 군집에 따른 유아 어휘력과 읽기 흥미의 차이

        최나야(Choi, Naya),노보람(No, Boram),최지수(Choi, Jisu),오태성(Oh, Tae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물리적 독서환경, 양적 독서상호작용과 질적 독서상호작용으로 구성한 유아 가정의 독서환경에서 가정 간 차이가있을 것으로 보고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가정독서환경 유형에 따라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만 4세 유아와 어머니 47쌍이다. 유아는 어휘력을 측정하는 면대면 검사에 참여하였고, 어머니는 가정의 독서환경과 유아의 읽기 흥미를 측정하는 질문지 조사에 참여하였다. 가정의 독서환경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시행하였고, 군집에따른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군집분석 결과, 가정의 독서환경은 전반적 우수, 물리적 환경 취약, 질적 상호작용 취약의 세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간에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 우수 집단과 물리적 환경 취약 집단의 경우, 질적 상호작용 취약 집단에 비해 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 수준이 높았다. 또한 전반적 우수 집단이 질적 상호작용 취약 집단에비해 유아의 읽기 흥미가 높았다. 결론 유아를 둔 가정의 독서환경은 세 가지 군집으로 유형화될 수 있으며,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는 가정의 독서환경 유형에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질적 독서상호작용이 물리적 환경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of children depending on the clusters of home reading environment, which is consisted of the physical reading environment, quantitative reading interactions, and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s. Methods 47 pairs of 4-year-old children and mothers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o measure home reading environment and children’s reading interests.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the clusters of home reading environment, and one-way ANOVA to find differences in children’s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depending on the cluster. Result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home reading environment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verall superiority, physical environmental vulnerability, and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ility. As a result of the one-way ANOVA,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the overall superior and physical environmental vulnerable group was higher than the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le group. Also, the overall superior group had a higher reading interest than the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le group. Conclusions Children’s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vary according to the home reading environment, especially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s affect a greater impact than the physical environment.

      • KCI등재

        균형적.통합적 유아 문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문해력에 미치는 효과

        최나야(Naya Choi),정수지(Suji Jung),최지수(Jisu Choi),박상아(Sanga Park),김효은(Hyoeun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균형적․통합적 유아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의 기초문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만 4세 유아 62명으로, 실험집단 유아 33명과 비교집단 유아 29명이다.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균형적․통합적 유아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12주 동안 실시한 후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균형적․통합적 유아 문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문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기초문해력 6개의 영역 중 소근육운동을 제외한 음운론적 인식, 이야기 이해력, 수용어휘력, 기초쓰기, 기초읽기의 5개 영역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많이 향상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현적 문해, 균형적 접근, 통합적 방식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alanced and integrated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BILEPEC)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early literacy of young children. Methods: Sixty-two four-year-old children, 3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in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BILEPEC program was applied to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12 weeks. Result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revealed that the scores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further improved than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in five areas of basic literacy skills: phonological awareness, story comprehension, receptive vocabulary, early writing, and early reading.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a balanced approach and emergent literacy was discussed.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자녀 말놀이 프로그램이 책 읽기 상호작용, 만 4세 유아의 이야기 이해와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

        최나야(Naya Choi),최지수(Jisu Choi),노보람(Boram No),오태성(Taeseong Oh)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1

        연구목적: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자녀 말놀이 프로그램을 각 가정에서 실시하여 책 읽기 상호작용, 유아의 이야기 이해와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44명의 만 4세 유아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12주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말놀이에 적합한 그림책 14권을 선정하여 말놀이를 구성하고, 그림책을 활용한 언어적 상호작용 방법과 말놀이 교육 동영상을 각 가정에 전달하여 이를 숙지하고 실행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의 변화를 부모가 최대 주 3회 기록하였고, 부모의 질문에 대해 매주 연구진이 온라인 답변을 하고, 직접 소통하는 질의응답 시간을 2회 가졌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와 자녀가 그림책을 활용한 말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다수의 그림책을 읽고 말놀이를 즐겼으며, 유아는 그림책에 대해 높은 흥미를 갖고 질문하였고, 부모는 긍정적인 정서로 참여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이후,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시간이 늘어났고, 부모의 확산적 상호작용과 아동의 발화 빈도가 증가하였다. 셋째, 참여 유아의 이야기 이해와 음운론적 인식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자녀 말놀이 프로그램은 책 읽기 상호작용과 유아의 이야기 이해, 음운론적 인식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arent-child wordpla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n each household to discover its effects on reading interactions, s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Methods: Forty four children of 4 year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pre and post-testing was conducte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12 wee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14 picture books suitable for wordplay were selected, and educational videos were delivered to each household. Parents recorded changes up to three times a week. Researchers gave online answers to parents’ questions every week and had two sessions where they communicated on-line. Results: First, parents and children read several picture books and enjoyed wordplay while participating in wordplay programs on a daily basis. Children asked questions about picture books with high interest, and parents participated with positive emotions. Seco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interaction time for reading picture books increased, and divergent interaction of parents and frequency of children’s speech also increased. Third, s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hav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on book reading interactions, story comprehension, and phonological awareness had been confirmed.

      • KCI등재

        기관 내외 교육과 어머니의 영어교육 신념이 유아의 영어 흥미에 미치는 영향: 일반유치원과 영어학원 유치부의 비교

        최나야 ( Naya Choi ),박유미 ( You-me Park ),최지수 ( Jisu Choi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4

        This study investigated children’s interests in learning English, affected by educational activities in and out of institutes, and mothers’ perceptions regarding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We recruited, 253 mothers of 3- to 5-year-old children in either general kindergartens or English immersion institutes. They answered questions on socioeconomic status, perceived interest in English by their children, their perceptions regarding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outside institutes. In addition, 42 English teachers provided information within institutes such as class time per week, teacher-pupil rate, and language use policy during cla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22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groups were in distinct learning environment. Second, mothers’ perceptions and outside-institut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the English interests of children at both institutes were influenced by mothers’ worries and at-home English interactions. Fourth, education within institutes did not affect both group’s English interests. Fifth, private educ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did not affect both group’s English interests. Lastly, only the children’s interests in English immersion institutes were affected by gender and mother’s perceived necessities. Focusing children’s interests, this study helps in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affective aspects regarding learning English.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a guideline for each home and institute to increase children’s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