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정부에 대한 인식이 정책만족도와 정책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정책홍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정윤 ( Jungyoon Choi ),유두호 ( Dooho Yoo ),장용석 ( Yongsuk Ja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1 地方行政硏究 Vol.35 No.2

        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의 도입으로 정부의 형태와 정책 서비스의 지능적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지능정부의 등장과 변화된 정책 서비스 제공 방식은 국민들의 정책만족도와 정책인지도를 바꿀 수 있다. 본 연구는 지능정부에 대한 인식이 국민들의 정책만족도와 정책인지도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홍보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지능정부로의 전환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세대학교 미래정부연구센터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2021년에 실시한 ‘초변화 사회의 미래정부에 관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와 정책적 함의를 확인하였다. 첫째, 지능정부 수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정책만족도는 높아지며, 정책홍보를 효과적으로 인식할수록 정책만족도와 정책인지도는 향상되었다. 정부의 지능화 수준이 국민들의 정책만족도와 정책인지도로 이어질 수 있는 효과적 설계가 요구되며, 지능정부의 장점을 살린 정책홍보 방식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정책홍보에 대한 인식은 지능정부 수준에 대한 인식과 정책만족도 및 정책인지도 간의 긍정적 관계를 강화하는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각 중앙부처 및 지방정부가 추구하는 지능정부 특색에 맞는 적실한 기술을 활용한 정책서비스의 차별화 노력과 함께 지속적인 정책홍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Intelligence government services are changing intelligently in response to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se changes can change the public’s aware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public policies. Thu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Intelligence government services on policy satisfaction and awar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that public relations has o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showed that recognition at the Intelligence government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licy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public relations regarding polici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licy satisfaction and awareness. Public relations have been shown to strengthe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government level and policy satisfaction and between Intelligence government level and policy awareness. This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governments should differentiate services and engage in public relations about policies using technology that matches their characteristics.

      • KCI등재

        부산시 복지정책에 대한 증세 태도의 결정요인 : 정책 만족도와 타 지방자치단체와의 비교를 통한 정책 인식을 중심으로

        최정윤(Choi, Jungyoon),유두호(Yoo, Doo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지방정부연구 Vol.25 No.4

        최근 지방분권화가 강조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복지정책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부산시를 대상으로 시민들의 복지정책에 대한 증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타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한 정책 인식은 증세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타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하여 부산시 자체 복지정책의 수준이 충분하다고 인식될 때 추가적인 세금 부담을 부정적으로 인식한다. 정책 만족도가 증세 태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타 지방자치단체와 비교하여 부산시 자체 복지정책의 수준이 충분하다고 인식될 때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 복지정책 만족도에서는 경제, 고용・노동 정책이 증세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가족・돌봄, 교육, 여가, 지역공동체 정책은 증세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부산시의 효과적인 정책 집행을 위해시민들이 정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학습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야 하며 정책 만족도 제고를 위해 정책에 대한정기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체계가 구축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With the recent emphasis on decentralization, the number of welfare measures promoted by each local government is on the ris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citizens for the welfare policy in Busa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olicy perception compared with other local governments had a negative effect on perception for tax increase. In other words, when the level of Busan s own welfare policy is recognized as sufficient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s, the additional tax burden is perceived negatively.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policy satisfaction on the perception for tax increase was strengthened when the level of Busan s own welfare policy was recognized as sufficient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specific welfare programs, economic, employment, and labor policies were found to have a favorable impact on perceptions of tax increases, while family care, education, leisure, and local community policies had a negative impa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provide a place for citizens to receive and learn policy information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in Busan, and to establish a system that allows regular feedback on policies to improve policy satisfaction.

      • KCI등재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참여 : 지역별 정책제안 플랫폼을 중심으로

        최정윤(Jungyoon Choi),유두호(Dooho Yoo) 한국비교정부학회 2021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proposal platforms of local government in Korea and to analyze which policies are mainly proposed and agreed upon.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looked at the operation methods of regional policy proposal platforms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proposed policies.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policies by reg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ocial problem to be solved. In addition, after categorizing the policies proposed on the local government s policy proposal platform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oposals and the degree of sympathy, content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is. (Findings) The policy proposal platform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have clear differences in name, proposal method, and operating period.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proposed policy suggest a direction as to what kind of innovation plan to prepare for policy management in each local government in the future as the main social problems occurred in the region and the policy alternatives to solve them differently.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pose customized policies that meet the policy needs, active administration to resolve local issues based on the data of actual resi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olicy proposal platfor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policy blind spots and public service provision will be possible through the policy typifi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국가정체성 형성: 주변환경과 정책적 지원을 중심으로

        최정윤 ( Jungyoon Choi ),유두호 ( Dooho Yoo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2

        현대사회는 다양한 국적을 가진 구성원들이 사회를 이루는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다문화가정 자녀 국가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주목한다.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를 둘러싼 주변환경과 정책적 지원을 중점적으로 살펴 본다.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분석결과, 가족관계,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와 같은 주변환경의 영향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국가정체성을 높이며, 다문화가정 관련 정책적 지원 역시 국가정체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책적 지원은 가족관계가 국가정체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정 자녀가 국가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안정적인 주변환경의 형성과 관련한 정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또한, 소외받는 다문화가정이 없도록 정책 대상의 검토와 다문화 가정 인권 개선책에 대한 효과적인 홍보 방식의 설계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Modern society is transform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members of various nationalities make up a society. This study focuses on factors affecting the national identity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mid these change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family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enhances the national identity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olicy support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also increases national identity.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policy support reduced the positive influence of family relationships on national identity.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we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policie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a stable surrounding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can establish national identity.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policy demander review and design of effective PR methods for improving human righ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re required so that there are no alienated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융합사회와 거버넌스

        장용석(Jang, Yong Suk),조문석(Cho, Munseok),정장훈(Chung, Jang Hoon),김용현(Kim, Yonghyun),최정윤(Choi, JungYoon) 한국이론사회학회 2011 사회와 이론 Vol.18 No.-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사회문화적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는 융합사회의 개념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러한 사회문화적 융합이 한국사회의 거버넌스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융합사회에서는 ‘공생ㆍ참여ㆍ행복ㆍ역능’ 등 새로운 가치들이 주목받고, 공식적이고 폐쇄적인 운영원리와 개방적이고 유연한 지배구조가 혼합된 새로운 거버넌스가 출현하여 사회 전반을 변화시킨다. 특히, 융합사회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가치 중 국가의 통치구조와 사회의 지배구조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두 가지 개념은 ‘공생’과 ‘참여’이다. 이와 같은 새로운 시대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내용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대통령 연설문에 대한 정량적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현 대통령의 국정운영철학이 발전에서 ‘공생’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둘째, 전통적인 폐쇄적 형태의 관리방식을 채택하고 도구적 합리성을 강조하였던 공공영역에서 ‘참여’가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등장함을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융합사회의 새로운 가치와 작동원리의 동역학을 이해하는 것은 다가오는 미래의 새로운 사회질서를 파악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 작업임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emergence of a new society in which disparate ideas coexist in concord. In this new era, values such as symbiosis, empathy, contentment, and empowerment are highlighted. They emerge as a form of governance, that is the package of formal rules and informal institutions. Based on the analyses on presidential speeches and public management process in South Korea, it is shown that there has been a remarkable paradigm shift from emphasizing values such as development and elitism toward underlining values such as coexistence and participation.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changing governance system and its impact on individual actors as well as society at lar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